KR200343501Y1 -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501Y1
KR200343501Y1 KR20-2003-0039105U KR20030039105U KR200343501Y1 KR 200343501 Y1 KR200343501 Y1 KR 200343501Y1 KR 20030039105 U KR20030039105 U KR 20030039105U KR 200343501 Y1 KR200343501 Y1 KR 200343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bees
landing
entrance
la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김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홍 filed Critical 김주홍
Priority to KR20-2003-0039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A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양측에 볼트구멍이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구멍을 통해 꿀벌소상의 전면에 볼트결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전면에 둘레가 끼워져 고정되는 외부틀과, 양측 끝단이 외부틀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바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착륙판과, 착륙판 위로 4 ~ 7 mm 높이의 꿀벌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착륙판 하부 또는 외부틀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틈막이부재로 구성된 꿀벌출입장치;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말벌 등의 해충이 소문 입구에 접근할 수 없게 되고, 다수 개의 착륙판과 꿀벌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소수의 말벌에 의해 많은 수의 꿀벌이 죽지 않게 되며, 꿀벌출입구가 꿀벌소상과 떨어져 있어 꿀벌이 침투한 말벌 등의 해충에 대해 과잉반응을 일으키지 않게 되고, 꿀벌보다 큰 해충이 착륙판에 착륙하더라도 이동이 어려워 꿀벌을 해치지 못하게 된다.

Description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THE VERMINS ENTRANCE PREVENTING APPARATUS FOR BEEHIVE}
본 고안은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꿀벌소상에는 꿀벌이 내외로 출입하기 위한 소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문을 통해 말벌 등의 크기가 큰 해충이 꿀벌소상 내부에 침입하거나 소문앞에서 꿀벌을 죽여 양봉업 종사자들에게 큰 피해를 입혀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문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개폐 정도에 따라 환기만 이루어지거나 꿀벌보다 큰 해충은 들어오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소상의 소문마개'(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75782호)가 안출되었다.
또, 위와 같이 소문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해충이 벌통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벌통의 소문구조'(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8517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상기 장치들은 소문(31)에 문틀(70)이 설치되어 있고, 문틀(70)에 좌우로 이동하는 출입문(80)이 설치되어 있어 출입문(80)의 이동 정도에 따라 개폐구의 크기가 달라져 꿀벌만 꿀벌소상(30)으로 출입할 수 있고, 말벌 등의 큰 해충은 꿀벌소상(30)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소문(31) 앞의 입구가 좁아 소문(31) 앞에서 소수의 말벌(60)이 내부로 들어가려 하는 꿀벌을 죽여 먹이를 가로채고, 내부에서 밖으로 나오려고 하는 많은 수의 꿀벌을 죽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출입문(80)과 꿀벌소상(30) 내부간의 거리가 짧아 말벌이 꿀벌들을 물어 죽이게 되면 꿀벌들의 신호를 받아 한꺼번에 많은 수의 꿀벌들이 과잉반응을 하게 되어 말벌을 공격하러 나옴으로써 더 많은 수의 꿀벌이 말벌의 공격에 의해 죽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소문 앞의 출입문은 격자형태의 판이나 철망으로 되어 있어 말벌 등의해충이 판이나 철망에 붙어 이리저리 쉽게 이동할 수 있어 꿀벌을 해치기 쉬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꿀벌소상의 소문 앞에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 전면에 다수 개의 착륙판과 꿀벌출입구가 층을 이뤄 형성되어 있어 꿀벌의 출입을 분산시키고, 말벌들이 꿀벌소상 소문입구에 바로 접근하여 꿀벌을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꿀벌출입구와 꿀벌소상의 소문 사이가 이격되어 말벌 침입시 꿀벌이 과잉반응을 일으키지 않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착륙판은 꿀벌이 착륙하기 쉽고, 체구가 큰 말벌은 착륙이 어렵도록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착륙판에 칸막이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말벌이 착륙판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해 꿀벌의 희생을 최소화 시키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충출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의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가 꿀벌소상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가 꿀벌소상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해충출입 방지장치의 또다른 꿀벌출입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해충출입 방지장치의 또다른 꿀벌출입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해충출입 방지장치의 또다른 꿀벌출입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해충출입 방지장치의 또다른 꿀벌출입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케이스 11 : 플랜지
11a : 볼트구멍 12 : 통공A
20 : 꿀벌출입장치 21 : 외부틀
21a : 걸림턱 22 : 착륙판
22a : 수직부재 23 : 틈막이부재
23a : 통공B 24 : 꿀벌출입구
25 : 가이드부재 26 : 통로형성부재
27 : 연결부재 28 : 칸막이틀
29 : 칸막이부재 30 : 꿀벌소상
31 : 소문 40 : 볼트
50 : 꿀벌 60 : 말벌
70 : 문틀 80 : 출입문
본 고안은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는 꿀벌이 장애물을 정확히 기억하고 이를 피해 집을 찾아가는 점에 착상하여 고안한 것으로써, 벌통 앞에 커다란 장애물을 설치했을 때 처음에는 빙빙돌다가 시간이 지나면 이를 기억하고, 나중에는 장애물을 피해 꿀벌소상으로 정확히 찾아가는 것을 참조하여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는 다수 개의 착륙판과 꿀벌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말벌의 공격으로부터 꿀벌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꿀벌소상 소문과 꿀벌출입구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 꿀벌들의 공격적 방어능력이 둔화되어 말벌 등의 해충 침입했을 때 꿀벌이 과잉반응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착륙판과 칸막이부재에 의해 말벌 등의 크기가 큰 해충이 착륙판 위에서 이동하기 힘들게 되어 있어 꿀벌들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각각의 꿀벌출입장치를 각기 다른 색으로 형성하여 꿀벌이 자신의 꿀벌소상을 쉽게 판별하여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A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양측에 볼트구멍이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구멍을 통해 꿀벌소상의 전면에 볼트결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전면에 둘레가 끼워져 고정되는 외부틀과, 양측 끝단이 외부틀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바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착륙판과, 착륙판 위로 4 ~ 7 mm 높이의 꿀벌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착륙판 하부 또는 외부틀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틈막이부재로 구성된 꿀벌출입장치;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케이스(1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A(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양측에 꿀벌소상(30)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볼트구멍(11a)이 있는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밝은 색을 선호하는 꿀벌(5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안쪽이 밝고 바깥쪽이 잘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 흰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케이스(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부식의 염려가 적고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11)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1a)에 볼트(40)가 체결됨으로써 꿀벌소상(30)의 전면에 케이스(10)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꼭 볼트(40)로만 체결하는 것은 아니며 못, 피스 등의 간단한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꿀벌소상(30) 전면에 케이스(10)를 설치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종래의 꿀벌소상(30)처럼 소문(31)과, 소문(31)을 개폐시키는 출입문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 꿀벌소상(30) 내부와 소문(31) 사이의 거리가 짧아 말벌(60)이 꿀벌소상(30) 소문(31)에 출입하는 꿀벌(50)들을 공격하게 되면 말벌(60)의 침입을 알리는 신호가 꿀벌소상(30) 내부로 빨리 전달되어 많은 수의꿀벌(50)이 말벌(60)에 대응하기 위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과도하게 많은 수의 꿀벌(50)이 소문(31) 밖으로 계속 나오게 되고, 공격력이 약한 꿀벌(50)들은 전멸하거나 개체수가 현저히 적어지게 된다.
그런데, 꿀벌소상(30)의 전면에 본 고안의 케이스(10)를 고정시킬 경우 말벌(60)의 소문(31) 접근이 불가능하고, 말벌(60) 케이스(10) 내부로 출입하는 꿀벌(50)을 한두 마리 공격하더라도 말벌(60)의 침입을 알리는 신호가 꿀벌소상(30) 내로 전달되지 않거나 약하게 전달되어 꿀벌(50)이 방어 반응을 일으켜 소문(31) 입구로 몰리는 현상이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꿀벌소상(30)의 케이스(10) 크기는 꿀벌(50)의 종류와 군세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토종벌을 키우기 위한 한봉 소상에 고정시킬 때는 가로 길이를 18 ~ 22 cm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양종 소상의 경우에는 37 ~ 44 cm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면과 후면 사이의 길이 역시 꿀벌소상(30)의 크기, 벌의 개체수 등에 따라 10 ~ 25 cm 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A(12)는 케이스(10) 내부 환기와 무더운 여름에 꿀벌(50)들의 피서를 위한 것으로 통공A(12)을 통해 꿀벌(50) 등이 출입하지 않도록 직경 0.5 ~ 3 mm 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공A(12)는 꼭 케이스(10)의 양측에만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0)의 상면과 하면에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꿀벌출입장치(20)는 케이스(10) 전면에 둘레가 끼워져 고정되는 외부틀(21)과, 양측 끝단이 외부틀(21)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바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착륙판(22)과, 착륙판(22)과 착륙판(22) 사이에 4 ~ 7 mm 높이의 꿀벌출입구(24)가 형성되도록 착륙판(22)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틈막이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꿀벌출입구(24)의 높이를 4 ~ 7 mm 로 한 이유는, 꿀벌의 가장 큰 천적인 말벌(60)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의 높이는 8 mm 이상이어야 하므로, 그보다 작게 형성하되 꿀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4 ~ 7 mm 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동양종의 경우 4 mm 이하의 높이를 통과한다.
본 고안의 외부틀(21)은 케이스(10) 전면의 형태와 같은 형태를 갖는데 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틈막이부재(23)에는 다수 개의 통공B(23a)를 형성할 수 있다.
통공B(23a)의 크기는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A(12)와 같이 0.5 ~ 3 mm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륙판은 폭 3 ~ 6 cm 정도가 되도록 하고, 꿀벌출입구(24)에서 착륙판(22) 전면까지의 거리는 1 ~ 3 cm 정도가 되도록 만들어 꿀벌(50)은 착륙이 쉬운 대신 말벌(60)은 착륙이 어렵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꿀벌출입구(24)의 상하 간격은 2 ~ 3 cm 가 되도록 해 말벌(60)이 착륙판(22) 위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좋다.
외부틀(21), 착륙판(22), 틈막이부재(23)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지만부식 방지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꿀벌출입장치(20)를 엷은 색의 노랑, 파랑, 초록, 분홍 중 어느 한 색으로 형성하여 꿀벌출입장치(20) 입구를 케이스(10)의 불투명 흰색보다 밝게 하면 꿀벌소상(30)에 있는 꿀벌(30)들이 밖으로 나올 때 더 밝은 꿀벌출입구를 통해 쉽게 나가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꿀벌(50)이 구별할 수 있는 색상으로 꿀벌출입장치(20)를 형성하게 되면 다수 개의 꿀벌소상(30)을 배열할 때 인접한 꿀벌소상(30)에는 서로 다른 색을 갖는 꿀벌출입장치(20)를 설치해 꿀벌(50)이 자신의 집을 보다 쉽게 찾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일측은 착륙판(22) 전면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틈막이부재(23)의 하단에 고정됨으로써 꿀벌출입구(24) 앞이 경사지게 해 꿀벌(5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많은 수의 꿀벌(50)이 외부 요인 등에 의해 갑자기 꿀벌출입장치(20)에 몰릴 경우 틈막이부재(23)와 착륙판(21) 하부 모서리에 막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지 않도록 비스듬한 경사를 주는 것이다.
가이드부재(2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꿀벌출입구(24)에 통로가 생기도록 가이드부재(25) 하단에 착륙판(22) 바닥과 평행하게 통로형성부재(26)를 고정시켜 꿀벌출입구(24) 내측으로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통로형성부재(26)를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통로형성부재(26)와 착륙판(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7)를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착륙판(22)의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착륙판(22)과 착륙판(22) 사이에 꿀벌출입구(24)가 형성되도록 착륙판(22)의 단면 형태를 다양한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등으로 형성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륙판(22)에 직각으로 다수 개의 칸막이부재(29)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칸막이부재(29)를 설치하게 되면 착륙판(22) 위에 말벌(60)이 착륙하더라도 착륙판(22) 위에서의 행동에 제한을 받아 꿀벌(50)을 보다 덜 죽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칸막이부재(29)를 설치하여도 말벌(60)이 칸막이부재(29)를 타고 다음 칸으로 넘나들어 꿀벌(50)을 죽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칸막이부재(29) 전면을 착륙판(22)보다 앞으로 돌출시켜 말벌(60)이 다음칸으로 쉽게 못 넘어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부재(29)를 돌출시킬 경우 말벌(60)의 크기를 고려해 착륙판(22) 전면으로부터 1 ~ 3 cm 정도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칸막이부재(29)를 앞으로 돌출시킬 때 외부틀(21)과 면하게 되는 칸에 말벌(60)의 침입이 어겹게 하기 위해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외부틀(21)의 크기에 맞게 칸막이틀(28)을 형성하여 외부틀(2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꿀벌소상(30)에 설치시 꿀벌출입장치(20)의 가장 아랫칸이 테이블등에 올려지게 될 경우 말벌(60)이 착륙하기 쉬워 꿀벌(50)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말벌(60)이 기어오르기 힘들도록 수직부재(22a)를 하부에 설치한 후 그 위에 착륙판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꿀벌출입장치(20)는 케이스(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해 케이스(10)를 분리하지 않아도 필요에 따라 꿀벌출입장치(20)를 분리한 후 소문(31)에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하거나 꿀벌소상(30) 소문(31)의 크기조절이 필요할 때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틀(21) 테두리에 걸림턱(21a)을 형성해 케이스(10)에 외부틀(21)을 끼워넣을 때 걸림턱(21a)에 걸리도록 해 꿀벌소상에 결합, 분리가 쉽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21a)은 꼭 외부틀(21)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형성되거나 칸막이틀(28)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해충출입 방지장치를 꿀벌소상(30) 전면에 고정시키면 소문(31) 앞은 입체형 울타리를 형성하게 되므로 말벌(60)의 꿀벌소상(30) 소문(31)의 접근은 불가능하고 꿀벌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해충출입 방지장치를 통해 꿀벌(50)이 꿀벌소상(30)으로 들어가는과정은, 먼저 공중에서 꿀벌출입장치(20)의 착륙판(22)으로 착륙한 다음 꿀벌출입구(24)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들어간 다음 꿀벌소상(30)의 소문(31)을 통하여 꿀벌소상(30) 내부로 들어간다.
꿀벌(50)이 밖으로 나올 때는 위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말벌(60)이 침입할 때는 꿀벌출입장치(20) 앞에 붙은 다음 꿀벌출입구(24)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려 하나 꿀벌출입구(24)의 높이가 말벌(60)이 케이스(10)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낮게 만들어져 있어 말벌(60)은 꿀벌소상(30)의 소문(31)에 접근이 불가능하고, 꿀벌출입장치(20) 앞에서 수직으로 붙을 수 밖에 없게 된다.
또, 착륙판(22)과 착륙판(22) 사이의 꿀벌출입구(24) 간격이 2 ~ 3 cm 떨어져 있게 되어 말벌이 꿀벌소상(30) 소문(31) 앞에서와 같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게 된다.
또, 말벌(60)이 착륙판(22) 위에 있게 되더라도 칸막이부재(29)가 설치되어 있으면 좌우 이동이 어려워 꿀벌(50)을 공격하기 어렵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해, 다수 개의 착륙판과 꿀벌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소수의 말벌에 의해 많은 수의 꿀벌이 죽지 않게 된다.
또, 꿀벌출입구가 꿀벌소상과 떨어져 있어 꿀벌이 침투한 말벌에 대해 과잉 방어 반응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말벌이 착륙판에 착륙하더라도 이동이 어렵게 해 꿀벌을 해치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철망이나 실그물에 비해 꿀벌소상 내부로 꽃가루의 반입률이 높아지고, 봉군 내검시 그물을 걷어내는 과정이 필요 없어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Claims (7)

  1. 해충출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A(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양측에 볼트구멍(11a)이 있는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구멍(11a)을 통해 꿀벌소상(30)의 전면에 볼트결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전면에 둘레가 끼워져 고정되는 외부틀(21)과, 양측 끝단이 외부틀(21)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바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착륙판(22)과, 착륙판(22) 위로 4 ~ 7 mm 높이의 꿀벌출입구(24)가 형성되도록 착륙판(22) 하부 또는 외부틀(21)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틈막이부재(23)로 구성된 꿀벌출입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은 착륙판(22) 전면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틈막이부재(23)의 하단에 고정됨으로써 꿀벌출입구(24) 앞이 경사지게 해 꿀벌(5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22) 전면 끝단과 꿀벌출입구(24)와의 거리는 1 ~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틈막이부재(23)에는 다수 개의 통공B(2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틈막이부재(23)는 분홍, 노랑, 초록, 파랑 중 어느 한 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22)을 여러 칸으로 나누는 다수 개의 칸막이부재(29)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29)는 전면이 착륙판(22) 전면에서 1 ~3 cm 돌출되어 있고, 칸막이부재(29)의 외측에 칸막이틀(28)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2003-0039105U 2003-12-16 2003-12-16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0343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05U KR200343501Y1 (ko) 2003-12-16 2003-12-16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05U KR200343501Y1 (ko) 2003-12-16 2003-12-16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406A Division KR100552350B1 (ko) 2003-12-15 2003-12-15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501Y1 true KR200343501Y1 (ko) 2004-03-02

Family

ID=4942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105U KR200343501Y1 (ko) 2003-12-16 2003-12-16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5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4409B2 (en) * 2020-06-26 2022-04-19 Martin Hanscom Murder hornet excluder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US11547096B2 (en) * 2019-08-29 2023-01-10 Richard Holmes Insertable beehive entranc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7096B2 (en) * 2019-08-29 2023-01-10 Richard Holmes Insertable beehive entrance device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US11304409B2 (en) * 2020-06-26 2022-04-19 Martin Hanscom Murder hornet exclu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KR102053409B1 (ko) 양봉용 벌통의 꿀벌 보호장치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KR102019200B1 (ko)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CA1330163C (en) Entrance gate for fish traps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KR100552350B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0343501Y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CN110521714A (zh) 一种多功能连续捕鼠器
EP2375891A1 (en) Trapping device for frugivorous insects
KR200405159Y1 (ko) 말벌 방어 울타리
CN205547082U (zh) 具有捕捉马蜂功能的蜜蜂箱
JP3760320B2 (ja)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EP3473090B1 (en) Barrier
KR20180005771A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US11304409B2 (en) Murder hornet excluder
JP2000316456A (ja) 動物捕獲装置
JP5597125B2 (ja) ハエ等の飛翔防止及び捕獲用ネット構造
KR200435146Y1 (ko) 말벌포살기
KR200175782Y1 (ko) 소상의 소문마개
EP3897113B1 (en) Anti-predator device for bee hive
CN109452200B (zh) 一种蜜蜂止盗装置及方法
JP7085575B2 (ja) 分蜂捕獲器。分蜂群を捕獲し新巣箱へ移動する分蜂捕獲器。
JP7387051B1 (ja) 害獣生体捕獲狭域収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