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627B1 -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 Google Patents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627B1
KR102145627B1 KR1020180159144A KR20180159144A KR102145627B1 KR 102145627 B1 KR102145627 B1 KR 102145627B1 KR 1020180159144 A KR1020180159144 A KR 1020180159144A KR 20180159144 A KR20180159144 A KR 20180159144A KR 102145627 B1 KR102145627 B1 KR 10214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ee
pollen
passage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424A (ko
Inventor
이경용
윤형주
고현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5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6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정면 상부에 뒤영벌의 출구 및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뒤영벌에 꽃가루를 부착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통의 출구에서 꽃가루를 직접 부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구의 하부에 비산 방지를 위한 방지재가 구비되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Beehive of bombus agrorum including pollination device}
본 발명은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으로, 출구에서 꽃가루를 직접 부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야생벌을 비롯한 수많은 화분매개 곤충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늘어난 오늘날에는 병해충 및 잡초관리를 위한 농약살포가 보편화된 반면, 야생벌들이 적합한 서식지와 서식환경을 잃어가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유리온실,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시설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화와 개발로 인한 서식처 파괴로 자연계 내에도 화분매개곤충의 종류와 밀도가 감소하여, 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현재 농작물의 화분매개에 이용하고 있는 곤충으로는 꿀벌 및 뒤영벌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화분매개용 벌은 별도로 제작된 벌통을 이용하여 사육 및 증식할 수 있으며, 벌통은 시설하우스 내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면 벌이 화분매개 행동을 하여 수분 작업을 행한다.
하지만, 일부 암꽃과 수꽃이 나뉘어진 작물 중, 경제적인 이점을 위하여 암꽃만 피는 나무를 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벌을 화분매개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수 꽃의 꽃가루가 없기 때문에 전혀 착과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5899호(2015.12.31. 공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2982호(2007.02.08. 등록)
본 발명은 벌통의 출구에서 꽃가루를 직접 부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구의 하부에 비산 방지를 위한 방지재가 구비되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정면 상부에 뒤영벌의 출구 및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뒤영벌에 꽃가루를 부착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출구에 상기 뒤영벌의 출입을 제한하는 출구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문은,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향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뒤영벌이 출구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꽃가루가 부착되는 출구통로와, 상기 출구통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통로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출구통로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연결되는 입구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통로는, 상기 뒤영벌의 출입을 제한하는 입구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문은,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향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뒤영벌이 입구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통로는,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되는 출구판과, 상기 출구판의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봉 형태로 구비되는 부착대와, 상기 출구판 및 부착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꽃가루가 부착되는 부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통의 출구에서 꽃가루를 직접 부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상 작물의 착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출구의 하부에 비산 방지를 위한 방지재가 구비됨으로써, 벌에 꽃가루가 더 잘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의 출구 및 입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의 출구통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의 입구통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수분 방법별 골드키위의 착과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수분 방법별 그린키위의 착과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의 출구 및 입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의 출구통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의 입구통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는 몸체부(100), 덮개부(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통 형태로 구비되고, 정면 상부에 뒤영벌의 출구(110), 입구(120), 출구문(130), 방지재(14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110)는 몸체부(100)의 정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구(110)의 형태는 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되며, 도 1 및 2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뒤영벌의 종류 및 상황에 따라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입구(120)는 몸체부(100)의 정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입구(120)의 형태는 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되며, 도 1 및 2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뒤영벌의 종류 및 상황에 따라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입구(120)의 위치는 출구(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출구문(130)은 뒤영벌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판 형태로 출구(11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출구문(130)은 상부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향하고, 하부는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뒤영벌이 출구(110)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구문(13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뒤영벌이 출구(110)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방지재(140)는 출구(110)의 하부에 뒤영벌에 부착된 꽃가루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지재(140)는 바닥에서 상부의 길이가 0.5~1mm인 털, 융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꽃가루의 비산을 방지하기 힘들고, 길이가 1mm 이상인 경우에는 출구에서 외부로 나가기가 어렵게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방지재(140)는 털, 융 등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뒤영벌과 방지재(140)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서 꽃가루가 뒤영벌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출구(110)와 연결되어 뒤영벌에 꽃가루를 부착시킬 수 있고, 출구통로(210), 상부덮개(220), 입구통로(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덮개부(200)는 몸체부(100) 내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 형태(예를 들면, 일자 형태, 빗살무늬 형태, 다각형 등)로 상부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통로(210)는 출구(110)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출구판(211), 부착대(212), 부착재(213) 등을 포함하여 꽃가루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출구통로(210)는 일측이 출구(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몸체부(100)의 내부와 연결되어, 뒤영벌이 출구통로(210)의 타측을 통해 들어와서 출구(110)로 나갈 수 있다.
출구판(211)은 출구(110)와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구판(211)은 일부를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형성하여 몸체부(100)의 안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출구판(211)은 폭이 20~30mm, 길이는 50~150mm로 형성되어 뒤영벌의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착대(212)는 출구판(211)의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봉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착대(212)는 직경이 1~2mm로 형성될 수 있다. 직경이 1mm 미만인 경우에는 뒤영벌이 출구판(211) 및 부착대(212)에 앉지 않고 바로 출구로 날아가서 꽃가루 부착이 되지 않고, 직경이 2mm 이상인 경우에는 활동 통로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나가는 활동이 적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착대(212)는 직경이 1~2mm로 형성됨으로써, 뒤영벌의 꽃가루 부착비율을 높일 수 있다.
부착재(213)는 출구판(211) 및 부착대(212)의 상부에 구비되고, 꽃가루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착재(213)는 바닥에서 상부의 길이가 0.5~1mm인 털, 융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뒤영벌과 꽃가루가 맞닿는 부분이 적어 꽃가루가 뒤영벌에 부착되기가 힘들고, 길이가 1mm 이상의 경우나 부착재가 뚜껑과 바닥에 동시에 설치될 경우에는 외부의 빛이 차단되어 뒤영벌의 활동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착재(213)는 바닥에서 상부의 길이가 0.5~1mm인 털, 융 등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뒤영벌과 부착재(213)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서 꽃가루가 뒤영벌에 잘 부착되면서 뒤영벌의 활동량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부덮개(220)는 출구통로(2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출구통로(2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220)는 일측만 고정되어 타측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출구통로(210) 상부의 개폐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덮개(220)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덮개홀이 형성되어 출구통로(210)에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뒤영벌이 출구통로(210) 내에서 활동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입구통로(230)는 출구통로(210)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입구(120)와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입구통로(230)는 뒤영벌의 출입을 제한하는 입구문(23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입구문(231)은 상부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향하고, 하부는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뒤영벌이 입구통로(23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구문(231)은 입구통로(230)의 타측에 끝단에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뒤영벌이 입구통로(230)로 진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입구문(231)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뒤영벌이 몸체부(100) 내부로 원활하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를 이용한 골드키위 및 그린키위의 착과율을 실험예 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상술한 바와 같은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와 무처리, 인공수분, 수분수(수나무를 수분목적으로 심어 놓은 것)를 이용한 수분 대상 작물의 착과율을 실험하였다.
실험조건은 벌의 방사기간이 2018년 5월 8일 ~ 2018년 5월 30일이고, 실험장소는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과수시험장 비가림 하우스이며, 실험곤충은 서양 뒤영벌 80마리이고, 수분 대상 작물은 골드키위와 그린키위로 하였으며, 착과율 조사는 2018년 6월 10일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인공수분, 수분수(수나무)는 각각 다른 동에서 이루어지고, 무처리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가 위치하는 동과 인공수분을 하는 동에 위치하는 일부 키위나무에 뒤영벌이나 인공수분이 되지 않도록 망을 씌워놓았다.
도 5는 수분 방법별 골드키위의 착과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도 5를 참조하면, 무처리 시 착과율은 평균 9.8%이고, 인공수분 시 착과율은 평균 86.4%이며, 수분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평균 53.7%이고,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평균 81.5%의 착과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수분 방법별 그린키위의 착과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무처리 시 착과율은 평균 19.4%이고, 인공수분 시 착과율은 평균 92.3%이며,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평균 87.4%의 착과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은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는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키위의 경우, 수분수를 이용한 방법보다 약 1.5배, 무처리 대비 약 4.5 ~ 8배 높은 착과율을 보임으로써, 수분수 및 무처리 대비 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는 인공수분보다 약 5% 낮은 착과율을 보이지만 인공수분에 근접한 착과율을 보이기 때문에, 많은 인건비가 필요한 인공수분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벌통의 출구에서 꽃가루를 직접 부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상 작물의 착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출구의 하부에 비산 방지를 위한 방지재가 구비됨으로써, 벌에 꽃가루가 더 잘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몸체부 110: 출구
120: 입구 130: 출구문
140: 방지재 200: 덮개부
210: 출구통로 211: 출구판
212: 부착대 213: 부착재
220: 상부덮개 230: 입구통로
231: 입구문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정면 상부에 뒤영벌의 출구 및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 형태의 몸체부;
    상기 출구에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향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뒤영벌이 출구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출구문;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뒤영벌에 꽃가루를 부착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꽃가루가 부착되는 출구통로;
    상기 출구통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통로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
    상기 출구통로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연결되는 입구통로; 및
    상기 입구통로에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향하며,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뒤영벌이 입구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입구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통로는,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되는 출구판;
    상기 출구판의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봉 형태로 구비되는 부착대; 및
    상기 출구판 및 상기 부착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털 또는 융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꽃가루가 부착되는 부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59144A 2018-12-11 2018-12-11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KR10214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44A KR102145627B1 (ko) 2018-12-11 2018-12-11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44A KR102145627B1 (ko) 2018-12-11 2018-12-11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24A KR20200071424A (ko) 2020-06-19
KR102145627B1 true KR102145627B1 (ko) 2020-08-20

Family

ID=7113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144A KR102145627B1 (ko) 2018-12-11 2018-12-11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8773A (zh) * 2020-10-26 2020-12-18 贵州省畜禽遗传资源管理站 一种蜜蜂携粉授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41B2 (ja) * 1992-09-18 1995-05-10 実治 小松 蜜蜂による花粉の受粉方法及びその受粉交配装置
KR100682982B1 (ko) 2006-10-02 2007-02-16 주식회사 세실 뒤영벌 사육 및 화분매개용 벌통
UA116760C2 (uk) * 2011-04-07 2018-05-10 Біі Векторінг Течнолоґи Інк. Пристрій для обробки рослин
KR20150145899A (ko) 2014-06-19 2015-12-31 임채경 벌통
KR101895242B1 (ko) * 2016-06-13 2018-09-10 파수꾼영농조합법인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24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982B1 (ko) 뒤영벌 사육 및 화분매개용 벌통
US6301827B1 (en) Japanese beetle trap
US10172342B2 (en) Apparatus for pest control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US20220125029A1 (en) Insect and Creature Monitoring System
KR102145627B1 (ko)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WO2011097749A1 (es) Sistema apícola, que permite la sanitización, desparasitación y dispersión de agentes biológicos y otras sustancias benéficas.
KR102096332B1 (ko) 꿀벌을 이용한 생물 농약 살포 장치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US6804911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bait
CA2071575A1 (en) Earwig collector
CN111887211A (zh) 蜘蛛饲养装置和蜘蛛饲养方法
US6634315B1 (en) Method of feeding ants and a food dispenser for the purpose
JP3579537B2 (ja) 蜜 蜂 用 巣 箱
Jackson Tree squirrels
KR20220058171A (ko) 벌을 이용한 생물 농약 살포 장치
RU2804805C1 (ru) Улей для диких пчел - опылителей трудно опыляемых культур и растений редких и исчезающих видов
KR102208426B1 (ko) 포충기
KR102265735B1 (ko) 벌의 수분을 위한 꽃가루 부착장치
Goodier Bees v elephants: from Chad to South Africa, beehive fences deter African elephants from crops
KR20180014303A (ko) 벌통용 해충 침입방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벌통
ES2813023A1 (es) Caja desparasitadora de abejas
JP4381559B2 (ja) マメコバチの人工巣
JP2021058128A (ja) 有害獣捕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