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94B1 - 양봉용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양봉용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94B1
KR100966794B1 KR1020080129461A KR20080129461A KR100966794B1 KR 100966794 B1 KR100966794 B1 KR 100966794B1 KR 1020080129461 A KR1020080129461 A KR 1020080129461A KR 20080129461 A KR20080129461 A KR 20080129461A KR 100966794 B1 KR100966794 B1 KR 10096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beekeeping
protection device
beehive
b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147A (ko
Inventor
백영근
Original Assignee
백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근 filed Critical 백영근
Priority to KR102008012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벌통의 소문과 내부가 통하도록 상기 벌통 외측에 설치되는 몸통과, 꿀벌의 통과는 허용하고 꿀벌보다 큰 곤충의 통과는 차단하도록 상기 몸통 내부에 마련되는 망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통에 설치되는 침입차단기와, 양단에 각각 소공과 대공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소공이 소문 쪽을 향하도록 상기 몸통에 설치되는 유출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봉용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는 양봉용 보호장치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말벌이나 산란성일벌과 같은 꿀벌의 적들로부터 꿀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는 말벌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한 침입차단기와 산란성일벌에 의한 도봉이나 도거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유출차단기를 말벌이나 산란성일벌의 출몰시기에 따라 몸통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꿀벌의 보호작용을 꿀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각 적들의 출몰시기에 맞추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양봉용 보호장치 {Bee-pro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양봉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꿀벌의 보호를 위해 말벌 등 외적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벌통에 설치되는 양봉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은 벌꿀과 그에 따른 봉산물, 즉 벌꿀, 화분, 로얄젤리 등을 생산하기 위해 사람이 인위적으로 꿀벌을 사양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양봉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벌통이 사용된다.
벌통은 대부분 목재나 합성수지 및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벌집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벌통의 개방된 상단에는 뚜껑이 덮여지며, 벌통 내부에는 육각형의 홈을 구비하여 판상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벌집이 세워지도록 수용된다.
그리고 벌통의 일 측벽 하단에는 꿀벌의 출입을 위한 소문이 형성되고, 소문의 외측 하부에는 소문으로부터 나온 꿀벌의 이륙이나 소문으로 들어오려는 꿀벌의 착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착륙대가 설치된다.
따라서 꿀벌들은 상기 소문을 통해 벌통 내부를 출입하면서 적정한 행동반경 내의 꽃에서 채집한 꿀을 벌집에 저장하게 되고, 양봉업자는 이와 같이 저장된 꿀을 채취함으로써 벌꿀을 인위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양봉시에는 말벌과 같이 꿀벌보다 덩치가 큰 외적이나 산란성일벌이나 도봉 등이 그 출몰시기에 벌통 내부로 침입하여 꿀벌이나 여왕벌들을 상하게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에 따라 종래에는 꿀벌의 외적이나 산란성일벌 등을 격퇴시키기 위해 벌통 주위에 약제를 뿌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약제를 이용하여 말벌이나 산란성일벌 등을 퇴치시키는 경우에는 벌통을 드나드는 꿀벌들도 이러한 약제에 의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양봉업자 사이에는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꿀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꿀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봉용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는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벌통의 소문과 내부가 통하도록 상기 벌통 외측에 설치되는 몸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의 길이는 20 ~ 50cm 로 마련되고, 상기 몸통의 직경은 50 ~ 150mm 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문은 상기 벌통의 측벽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소문 외측 하부에는 꿀벌의 이륙 및 착륙시 이용되도록 이착륙대가 설치되되, 상기 소문 쪽 몸통의 단부가 상기 측벽과 상기 이착륙대의 상면과 상기 소문 전방 쪽 이착륙대 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소문 쪽 몸통의 단부 일측에는 측면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에는 상기 측면개구의 개구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개구조절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조절부재는 상기 측면개구를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된 가림판과, 상기 소문 전방 쪽 상기 이착륙대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판 일단에 마련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조절부재에는 상기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조절부재는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측면개구 쪽 몸통에 체결되는 나사부재를 통해 몸통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는 꿀벌의 통과는 허용하고 꿀벌보다 큰 곤충의 통과는 차단하도록 상기 몸통 내부에 마련되는 망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통에 설치되는 침입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차단기는 상기 망부재의 외곽을 감싸는 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에는 상기 몸통 내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부재의 격자크기는 6 ~ 10mm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는 양단에 각각 소공과 대공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소공이 소문 쪽을 향하도록 상기 몸통에 설치되는 유출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는 상기 몸통에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는 상기 벌통으로부터 상기 몸통의 연장방향을 따라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 순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는 상기 몸통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공 쪽 유출차단기 외면에는 상기 몸통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몸통지지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차단기는 상기 몸통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출차단기의 대공 쪽 선단 테두리에는 상기 몸통 선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는 양봉용 보호장치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말벌이나 산란성일벌과 같은 꿀벌의 적들로부터 꿀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는 말벌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한 침입차단기와 산란성일벌에 의한 도봉이나 도거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유출차단기를 말벌이나 산란성일벌의 출몰시기에 따라 몸통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꿀벌의 보호작용을 꿀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각 적들의 출몰시기에 맞추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10)는 꿀벌의 보호를 위해 벌통(1)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봉용 보호장치(10)의 설명에 전에 이 보호장치(10)가 설치되는 벌통(1)의 구조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벌통(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벌집(1a)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마련되고, 벌통(1)의 개방된 상단에는 뚜껑(2)이 덮여진다. 벌통(1)은 목재나 합성수지 및 스티로폼 등의 다양한 재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벌집(1a)은 벌통(1) 내부에 세워진 상태에서 한 쪽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는데, 벌통(1)의 일 측벽(3) 하단에는 각 벌집(1a)으로 꿀벌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길게 형성된 소문(4)이 마련되며, 소문(4)의 외측 하부에는 소문(4)으로부터 나온 꿀벌의 이륙이나 소문(4)으로 들어오려는 꿀벌의 착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착륙대(5)가 설치된다. 상기 이착륙대(5)는 본 실시예와 같이 벌통(1)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6)의 한 쪽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소문(4)은 진드기를 없애기 위한 약물 등을 벌통(1) 내부로 공급하여 벌통(1) 내부가 잘 환기되도록 하거나 꿀벌의 적들이 침몰할 우려가 없는 시기 등에는 완전히 개방되고, 적들이 자주 침몰하는 시기에는 조금만 개방되도록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소문(4) 쪽 측벽(3)에는 소문(4)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방식의 소문마개(7)가 설치된다.
따라서 양봉시 꿀벌들은 상기 소문(4)을 통해 벌통(1) 내부를 출입하면서 적정한 행동반경 내의 꽃에서 채집한 꿀을 벌집(1)에 저장하게 되고, 양봉업자는 이와 같이 저장된 꿀을 채취함으로써 벌꿀을 인위적으로 얻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꿀벌의 보호를 위해 상기 소문(4) 쪽 벌통(1)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소정길이 관형상의 몸통(20)을 구비한다. 몸통(20)은 PVC 재질로 마련된 통상의 파이프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몸통(20)은 원통이 아닌 다각형의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이나 나무 및 종이 등의 재질을 통해서도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몸통(20)은 좁은 공간 내에서 날지 못하는 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벌통(1) 내부로 침입할 우려가 있는 꿀벌의 적들을 격퇴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이러한 몸통(20)을 통해 소문(4)이 가려지도록 몸통(20)을 소문(4) 앞에 설치하게 되면, 말벌과 같이 꿀벌을 해칠 수 있는 벌들이 소문(4)으로 들어오기 전에 이러한 몸통(20)을 날지 않고 기어서 통과하게 되는데, 기고 있는 상태의 말벌 등은 전투력이 크게 상실되어 꿀벌들의 협공을 통해 간단히 격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몸통(20)의 직경이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말벌과 같은 적들이 몸통(20) 내부에서 날게 될 우려가 있으며, 몸통(20)이 과도하게 길게 형성되면 꿀벌의 벌통출입이 원활하게 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감안했을 때 상기 몸통(20)의 직경은 50 ~ 150mm 의 범위 내로 마련되고, 몸통(20)의 길이는 20 ~ 50 cm의 범위 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20)은 이와 같은 길이와 직경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직경크기나 형상이 다른 관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몸통(20)은 말벌이나 산란성일벌과 같이 꿀벌을 공격할 우려가 있는 적들이 자주 침몰하는 시기에 일부만 개방되어 있는 소문(4)을 그 일단을 통해 완전히 덮어 가리도록 설치되는데, 몸통(20)의 측벽(3)이 상기 이착륙대(5)에 닿도록 설치 될 경우에는 측벽(3)의 하단에 형성되는 소문(4)을 몸통(20) 단부를 통해 제대로 가리기 어려우므로, 몸통(20)을 통해 소문(4)을 효과적으로 가리기 위해 소문(4) 쪽 몸통(20)의 단부가 측벽(3)과 이착륙대(5)의 상면과 소문(4) 전방 쪽 이착륙대(5) 측면에 함께 접할 수 있도록 소문(4) 쪽 몸통(20)의 단부 일측에는 측면개구(21)가 마련된다. 이러한 측면개구(21)는 몸통(20)의 단부 일측을 절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개구(21)를 통해 소문(4) 쪽 몸통의 단부에는 상기 측벽(3) 외면에 대향되도록 마련된 제1대향부(22)와, 상기 이착륙대(5) 상면에 대향되도록 마련된 제2대향부(23)와, 상기 소문(4) 전방 쪽 이착륙대(5) 측면에 대향되도록 마련된 제3대향부(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벌통(1)의 측벽(3)과 이착륙대(5)의 경우 상호 수직을 이루어 상기 제1대향부(22)와 제2대향부(23)는 상기 측벽(3)과 이착륙대(5) 상면에 간단히 밀착될 수 있는데 반해, 이착륙대(5)의 폭에 해당하는 상기 소문(4) 전방 쪽 이착륙대(5)의 길이는 벌통(1)의 형태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측면개구(21)는 상기 제1대향부(22)와 제3대향부(24) 사이의 거리가 평균적인 이착륙대(5)의 폭에 비해 다소 길게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몸통(20)에는 측면개구(21)의 개구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개구조절부재(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소문(4) 전방 쪽 이착륙대(5) 측면과 제3대향부(24)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개구조절부재(30)는 측면개구(21)를 가릴 수 있게 측면개구(21)의 형상에 대 응하도록 곡률판 형태로 마련된 가림판(31)과, 소문(4) 전방 쪽 이착륙대(5)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판(31) 일단에 가림판(31)과 수직을 이루도록 일체로 마련된 지지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림판(31)에는 몸통(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31a)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조절부재(30)는 상기 장공(31a) 쪽 가림판(31)이 측면개구(21) 쪽 몸통(20) 내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장공(31a)을 통해 몸통(20)에 체결되는 나사부재(33)를 통해 몸통(20)에 고정된다. 나사부재(33)의 머리부에는 나사부재(33)의 회전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레버(3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장공(31a)에 대응하는 몸통(20)에는 나사부재(33)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25)이 가공되며, 체결홀(25)과 장공(31a)을 통과한 몸통(20) 내부의 나사부재(33)에는 너트(34)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33a)를 나사부재(33)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구조절부재(30)는 장공(31a)을 따라 몸통(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고, 나사부재(33)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구조절부재(30)는 슬라이딩이 방지된 상태로 몸통(20)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소문(4) 전방 쪽 이착륙대(5) 측면과 몸통(20)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개구조절부재(30)가 설치된 몸통(20)은 브래킷(40)을 통해 벌통(1)에 고정된다. 브래킷(40)은 상기 제1대향부(22) 쪽 몸통(20) 외면에 설치되며, 몸통(20)에 지지되도록 몸통(20)의 곡률에 따라 곡률지게 마련된 몸통지지부(41)와, 상기 벌통(1)의 측벽(3) 외면에 지지되도록 몸통지지부(41)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벌통지지부(4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통 지지부(41)는 몸통(20) 외면에 본딩 결합되며, 몸통(20)을 벌통(1)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벌통지지부(42)는 스크류부재(43)를 통해 벌통에 결합된다.
한편 보호장치(10)는 상기 몸통(20)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말벌과 같이 꿀벌보다 몸집이가 큰 외적이 벌통(1)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침입차단기(50)와, 벌통(1) 내부로 유입된 산란성일벌 등이 다시 벌통(1)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유출차단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과 도 4에는 침입차단기(50)가 설치된 상태의 보호장치(10)의 구조와 유출차단기(60)가 설치된 상태의 보호장치(10)의 구조가 각각 도시된다.
이중 먼저 침입차단기(50)는 말벌과 같이 꿀벌보다 부피가 큰 적이 벌통(1)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완전히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말벌이 주로 출몰하는 9월 ~ 11월에 몸통(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침입차단기(50)는 꿀벌의 통과는 허용하고 꿀벌보다 큰 곤충의 통과는 차단하도록 상기 몸통(20) 내부에 마련되는 망부재(51)를 구비한다.
망부재(51)는 꿀벌과 말벌의 평균적인 크기를 감안하여 꿀벌은 통과할 수 있고 말벌은 통과할 수 없도록 격자크기가 6 ~ 10mm 범위 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입차단기(50)는 망부재(51)가 설치되도록 망부재(51) 외곽을 감싸는 링형상의 테두리부재(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망부재(51)는 외곽이 테두리부재(52) 내경 쪽에 접하도록 테두리부재(52)에 고정되고, 이러한 테두리부재(52) 외면은 몸통(20)의 내경에 지지되도록 몸통(20)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침입차단기(50)는 몸통(20)의 일단 쪽에서 몸 통(20) 내부 중도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몸통(2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몸통(20) 내부 중도에 설치되는 침입차단기(50)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될 경우에는 몸통(20) 내면과 침입차단기(50)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서 말벌과 같은 적들이 몸통(20)을 통과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테두리부재(52)에는 몸통(20) 내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리브(52a)가 마련되며, 이 지지리브(52a)는 테두리부재(52)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침입차단기(50)에서 상기 망부재(51)는 격자배열이 아니라 다수개의 소공을 구비하는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또 이러한 침입차단기는 상기 격자의 크기를 조금 더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말벌과 같은 적의 침입을 차단하는 이외는 다른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즉, 5 ~ 9월에는 여왕벌과 수벌이 벌통(1) 외부로 빠져나가는 분봉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시기에 상기 침입차단기(50)가 설치된 보호장치(10)를 소문(4)에 설치하고, 망부재(51)의 격자크기를 수벌이나 여왕벌이 걸릴 수 있도록 8 ~ 9mm 정도 마련하게 되면, 벌통(1) 내부의 여왕벌이나 수벌이 벌통(1)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분봉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도 일벌은 망부재(51)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 4월 5월 8월 중 일정기간에는 화분이 많이 형성되는 시기인데, 이러한 시기에 침입차단기(50)가 장착된 보호장치(10)를 소문(4)에 설치하고, 상기 망부재(51)를 일벌이 간신히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크기가 6 ~ 7mm 정도인 것을 사용하게 되면, 화분을 가지고 벌통(1)으로 들어오려던 일벌이 망부재(51) 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벌 발에 묻어 있던 화분이 망부재(51)에 걸려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망부재(51) 한 쪽 몸통(20) 내부에 화분이 쌓이게 되면서 화분을 손쉽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출차단기(60)는 양단에 각각 소공(61)과 대공(62)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소공(61)이 소문(4) 쪽을 향하도록 상기 몸통(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유출차단기(60)는 산란성일벌이나 도봉이 자주 출몰하며, 꿀벌이 벌통(1) 외부로 나올 필요가 없는 10월 ~ 2월에 몸통(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태적인 특성상 이러한 유출차단기(60)를 몸통(20)에 설치하게 되면, 산란성일벌나 도봉들이 대공(62) 쪽에서 소공(61)을 통해 몸통(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쉽게 되지만, 몸통(20) 내부로 유입된 산란성일벌이나 도봉들이 몸통(20) 내부에서 소공(6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효과적으로 차단 및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출차단기(60)가 설치된 시기에 몸통(20)을 통해 벌통(1) 내부로 유입된 산란성일벌이나 도봉들은 유출차단기(60)를 통해 벌통(1)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되어 벌통(1) 내부에서 죽거나 합봉되고, 이에 따라 산란성일벌이나 도봉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침입차단기(50)와 유출차단기(60)의 적절한 설치시기를 살펴보면, 10월과 11월의 경우 말벌과 산란성일벌이나 도봉이 동시에 출몰하는 시기가 되므로, 10 ~ 11월의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침입차단기(50)와 유출차단기(60)가 몸통(20)에 함께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는 몸통(20) 내부로 침입된 말벌 등을 몸통(20) 내부에서 생포하여 처치할 수 있도록 침입차단기(50)와 유출차단기(60)는 벌통(1)으로부터 연장되는 몸통(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침입차단기(50)와 유출차단기(60)의 순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출차단기(60)와 침입차단기(50)가 함께 설치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침입차단기(50)는 몸통(20) 내부 중도에 설치되고, 상기 유출차단기(60)는 벌통(1) 반대 쪽 몸통(20) 선단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유출차단기(60)와 침입차단기(50)는 모두 몸통(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침입차단기(50)의 설치구조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유출차단기(60)의 구조 및 설치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출차단기(60)의 대공(62) 쪽 선단 테두리에는 몸통(20)의 선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63)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출차단기(60)를 소공(61)이 소문(4)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몸통(20) 선단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유출차단기(60)는 상기 걸림턱(63)이 몸통(20) 선단에 걸려 지지되면서 몸통(20) 선단 내부로 삽입된다. 또 걸림턱(63)과 인접하게 되는 대공(62) 쪽 유출차단기(60) 외면에는 몸통(20)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몸통지지면(64)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몸통(20) 선단 내부에 설치된 유출차단기(60)는 몸통지지면(64)을 통해 몸통(20) 내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며, 유출차단기(60)를 몸통(20)에서 제거할 때는 걸림턱(63) 부분에 손가락을 걸어 유출차단기(60)를 몸통(20) 외부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유출차단기(60)를 몸통(20)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보호장치의 몸통에 침입차단기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보호장치의 몸통에 유출차단기만 설치된 상태를 나 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보호장치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보호장치의 몸통에 유출차단기와 침입차단기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양봉용 보호장치 20: 몸통
30: 개구조절부재 40: 브래킷
50: 침입차단기 51: 망부재
52: 테두리부재 60: 유출차단기
61: 소공 62: 대공
63: 걸림턱 64: 몸통지지면

Claims (16)

  1.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벌통의 소문과 내부가 통하도록 상기 벌통 외측에 설치되는 몸통을 포함하되,
    상기 소문은 상기 벌통의 측벽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소문 외측 하부에는 꿀벌의 이륙 및 착륙시 이용되도록 이착륙대가 설치되며, 상기 소문 쪽 몸통의 단부가 상기 측벽과 상기 이착륙대의 상면과 상기 소문 전방 쪽 이착륙대 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소문 쪽 몸통의 단부 일측에는 측면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길이는 20 ~ 50cm 로 마련되고, 상기 몸통의 직경은 50 ~ 150mm 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에는 상기 측면개구의 개구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개구조절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조절부재는 상기 측면개구를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된 가림판과, 상기 소문 전방 쪽 상기 이착륙대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판 일단에 마련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조절부재에는 상기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조절부재는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측면개구 쪽 몸통에 체결되는 나사부재를 통해 몸통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꿀벌의 통과는 허용하고 꿀벌보다 큰 곤충의 통과는 차단하도록 상기 몸통 내부에 마련되는 망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통에 설치되는 침입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차단기는 상기 망부재의 외곽을 감싸는 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에는 상기 몸통 내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재의 격자크기는 6 ~ 10mm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10. 제 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소공과 대공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소공이 소문 쪽을 향하도록 상기 몸통에 설치되는 유출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는 상기 몸통에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는 상기 벌통으로부터 상기 몸통의 연장방향을 따라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 순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차단기와 유출차단기는 상기 몸통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공 쪽 유출차단기 외면에는 상기 몸통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몸통지지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차단기는 상기 몸통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출차단기의 대공 쪽 선단 테두리에는 상기 몸통 선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보호장치.
  16. 삭제
KR1020080129461A 2008-12-18 2008-12-18 양봉용 보호장치 KR10096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61A KR100966794B1 (ko) 2008-12-18 2008-12-18 양봉용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61A KR100966794B1 (ko) 2008-12-18 2008-12-18 양봉용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47A KR20090013147A (ko) 2009-02-04
KR100966794B1 true KR100966794B1 (ko) 2010-06-29

Family

ID=4068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61A KR100966794B1 (ko) 2008-12-18 2008-12-18 양봉용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013A (ko) * 2014-06-18 2015-12-29 김동순 일벌의 벌통 귀소장치
KR20190045031A (ko) 2017-10-23 2019-05-02 송인택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12B1 (ko) * 2009-09-03 2011-09-29 김주홍 꿀벌보호장치
CN102450222A (zh) * 2010-10-26 2012-05-16 高崇东 蜂箱巢门横向大小调整器
KR101653093B1 (ko) 2015-02-06 2016-09-01 조상균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KR102147287B1 (ko) * 2019-04-19 2020-08-24 김호겸 도봉 방지기구
KR20220106575A (ko) * 2021-01-22 2022-07-29 신현주 관찰형 벌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82U (ko) * 1989-07-25 1991-03-18
JP2001161204A (ja) 1999-12-07 2001-06-19 Api Co Ltd 蜂の巣箱及びそれに使用する蜂の餌容器
JP3918042B2 (ja) * 1996-02-23 2007-05-23 有限会社アイピーサービス 養蜂箱
JP4157942B2 (ja) * 1999-04-14 2008-10-01 有限会社アイピーサービス 簡易小型式養蜂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82U (ko) * 1989-07-25 1991-03-18
JP3918042B2 (ja) * 1996-02-23 2007-05-23 有限会社アイピーサービス 養蜂箱
JP4157942B2 (ja) * 1999-04-14 2008-10-01 有限会社アイピーサービス 簡易小型式養蜂箱
JP2001161204A (ja) 1999-12-07 2001-06-19 Api Co Ltd 蜂の巣箱及びそれに使用する蜂の餌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013A (ko) * 2014-06-18 2015-12-29 김동순 일벌의 벌통 귀소장치
KR101647141B1 (ko) * 2014-06-18 2016-08-10 김동순 일벌의 벌통 귀소장치
KR20190045031A (ko) 2017-10-23 2019-05-02 송인택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47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94B1 (ko) 양봉용 보호장치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JP4856267B1 (ja) ミツバチ巣箱用底板
JP2011139676A (ja) ミツバチの巣箱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KR101895246B1 (ko) 말벌의 진입이 방지되는 화분 채집 장치
CN206390012U (zh) 一种能有效防范蜜蜂天敌的蜜蜂养殖装置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US11744232B2 (en) Beehive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KR102093807B1 (ko) 벌통용 해충 피해 방지장치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KR20180069456A (ko) 해충 차단 기능을 갖는 벌통
EP29506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lants
KR102338322B1 (ko) 벌통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KR20010044750A (ko)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GB2586263A (en) Beehive entrance apparatus
US11304409B2 (en) Murder hornet excluder
KR102147287B1 (ko) 도봉 방지기구
JP2019083788A (ja) 蜜蜂巣箱
KR102433856B1 (ko) 말벌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꿀벌보호장치
KR20240107595A (ko) 도봉 차단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양봉 장치
KR20200071424A (ko)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