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093B1 -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 Google Patents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093B1
KR101653093B1 KR1020150018580A KR20150018580A KR101653093B1 KR 101653093 B1 KR101653093 B1 KR 101653093B1 KR 1020150018580 A KR1020150018580 A KR 1020150018580A KR 20150018580 A KR20150018580 A KR 20150018580A KR 101653093 B1 KR101653093 B1 KR 10165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exit
rumor
beehiv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914A (ko
Inventor
조상균
Original Assignee
조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균 filed Critical 조상균
Priority to KR102015001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0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는 일측이 벌통의 소문에 연결되어 상기 소문과 연통되는 제1 출입통로를 형성하는 제1 출입구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 출입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소문보다 낮은 위치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출입통로와 연통되는 제2 출입통로가 형성되는 제2 출입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Honeybee gateway structure for passing the winter}
본 발명은 벌통의 소문(巢門)에 연결되어 출입구가 지면 가까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동절기 동안 보온재로 벌통을 완전히 감싸 보온할 수 있도록 한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에 관한 것이다.
양봉을 위한 벌통은 통상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사각함체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하부에는 꿀벌이 내외부를 왕래하는 출입구, 즉 소문(巢門)이 형성된다(도 1 참조).
꿀벌들은 이 소문(2)를 통하여 출입하며 인근의 밀원식물로부터 꽃꿀을 채집하여 본 체의 내부 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된 벌집, 즉 소비에 벌꿀 등을 저장하며 봉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꿀벌들은 생리적 특성상, 빛, 계절, 날씨, 기온 등의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고 추위에 매우 약하다. 특히, 동절기에는 꿀벌들에 대한 보온과 체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사봉율을 줄이도록 벌통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동절기에는 보온재를 덮어 보온을 해주고 있지만, 출입구가 있는 전면은 출입구를 전부 막으면 안되기 때문에 위에서부터 중간 정도까지만 덮어 보온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한파가 오는 기간에는 밤 동안 보온덮개로 소문을 포함하여 벌통 전면을 전부 덮어 보온하고, 기온이 오르면 낮 동안 다시 보온덮개를 열어 꿀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보온덮개를 반복적으로 덮고 여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자가 현장에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
또한, 낮에 출입구가 보온덮개로 오래 가려지면 결로현상으로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고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지 못하여 벌한테 치명적인 피해를 주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문 약간 열어 놓기도 하나 찬 바람이 직접 벌통 안으로 들어가 벌 일부가 동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3147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79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절기 동안 보온덮개를 열고 닫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벌통을 보온할 수 있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벌통의 소문에 연결되어 상기 소문과 연통되는 제1 출입통로를 형성하는 제1 출입구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 출입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소문보다 낮은 위치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출입통로와 연통되는 제2 출입통로가 형성되는 제2 출입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입구부재는 상기 벌통의 소문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입구부재는 상기 제1 경사부재와 연결되는 제2 경사부재와, 상기 제1 경사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평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부재와 상기 제2 경사부재는 소문의 높이에 맞추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부재는 벌통을 덮는 보온재를 지지하는 보온재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입구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벌통의 소문에 상기 제1 출입구부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입구부재는 상부에 벌통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입구부재는 외부와 연통되는 출입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벌통의 소문에 연결되어 출입구가 지면 가까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동절기 동안 보온덮개로 벌통을 완전히 감싸 보온할 수 있으며 밤과 낮에 따라 보온덮개를 덮거나 열 필요가 없어 노동력이 절감된다.
또한, 소문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출입구를 통해 환기됨으로써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찬바람이 직접적으로 벌통으로 들어가지 않아 꿀벌이 동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벌통의 소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를 이용하여 벌통을 보온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벌통의 소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를 이용하여 벌통을 보온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3)는 도 1에 도시된 소문(2)에 연통되도록 이착륙대(1)에 걸쳐지는 구조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3)는 일측이 벌통의 소문(2)에 연결되는 제1 출입구부재(10)와, 제1 출입구부재(1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출입구부재(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출입구부재가 제1 출입구부재(10)의 하측에 연결됨으로써 꿀벌의 출입구(24)가 소문(2)보다 지면에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출입구부재(10)는 벌통의 소문(2)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수평부재(11)와, 제1 수평부재(11)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경사부재(12)를 포함한다.
제1 수평부재(11)와 제1 경사부재(12) 내측에는 소문(2)과 연통되는 제1 출입통로(13)가 형성된다. 제1 수평부재(11)는 소문(2) 앞에 마련되는 이착륙대(1)에 걸쳐져 지지된다. 제1 수평부재(11)는 벌통의 소문(2)에 상기 제1 출입구부재(10)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이대(14)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대(14)는 벌통에 못을 박고 못의 머리 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제1 수평부재(1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재이다.
제1 수평부재(11)의 상부에는 환기구(15)가 형성된다. 환기구(15)는 벌통 내측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며, 출입구(24)를 통해 들어오는 찬바람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걸이대(14)를 대신하여 벌통에 제1 수평부재(11)를 잡아맬 때 줄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경사부재(12)는 꿀벌이 기어올라 올 수 있도록 수직이 아닌 비스듬한 기울기로 제1 수평부재(11)로부터 연장된다.
제2 출입구부재(20)는 제1 경사부재(12)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경사부재(22)와, 제2 경사부재(2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평부재(21)를 포함한다.
제2 경사부재(22)와 제2 수평부재(21) 내측에는 제1 출입통로(13)와 연통되는 제2 출입통로(23)가 형성된다.
제2 경사부재(22)는 제1 경사부재(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벌통 종류마다 지면으로부터 소문(2)까지의 높이가 다를 수 있는데, 제1 경사부재(12)와 제2 경사부재(22)의 결합거리가 소문(2) 높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조절됨으로써 벌통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경사부재(22)와 제1 경사부재(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소문의 높이가 일정한 규격화된 벌통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제2 경사부재(22)와 제1 경사부재(1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수평부재(21)는 제2 경사부재(2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지면 또는 바닥 보온재에 맞닿는 부분이다.
제2 수평부재(21)의 좌측 말단부에는 보온재(4, 도 4 참조)를 지지하는 보온재 지지대(26)가 상방향으로 연결된다. 보온재 지지대(26)와 제1, 제2 경사부재(12, 22) 사이의 홈에 보온재(4)를 끼워넣음으로써 보온재(4)가 출입구(24)를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출입구(24)의 앞측에는 소문(2) 앞측에 형성되는 종래의 이착륙대(1)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이착륙발판(25)이 마련된다. 또한, 출입구(24)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출입문(27)이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3)는 벌통의 소문(2)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재로 벌통 전체를 덮어도 출입구(24)가 밖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보온재(4)를 밤과 낮에 따라 덮거나 여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보온재(4)를 지면까지 내려 덮을 수 있어 벌통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 출입구부재 11: 제1 수평부재
12: 제1 경사부재 13: 제1 출입통로
14: 걸이대 20: 제2 출입구부재
21: 제2 수평부재 22: 제2 경사부재
23: 제2 출입통로 24: 출입구
25: 이착륙대 26: 보온재 지지대
27: 출입문

Claims (7)

  1. 일측이 벌통의 소문에 연결되어 상기 소문과 연통되는 제1 출입통로를 형성하는 제1 출입구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 출입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소문보다 낮은 위치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출입통로와 연통되는 제2 출입통로가 형성되는 제2 출입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부재는 상기 벌통의 소문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입구부재는 상기 제1 경사부재와 연결되는 제2 경사부재와, 상기 제1 경사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재와 상기 제2 경사부재는 소문의 높이에 맞추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재는 벌통을 덮는 보온재를 지지하는 보온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벌통의 소문에 상기 제1 출입구부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부재는 상부에 벌통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환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입구부재는 외부와 연통되는 출입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KR1020150018580A 2015-02-06 2015-02-06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KR10165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80A KR101653093B1 (ko) 2015-02-06 2015-02-06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80A KR101653093B1 (ko) 2015-02-06 2015-02-06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14A KR20160096914A (ko) 2016-08-17
KR101653093B1 true KR101653093B1 (ko) 2016-09-01

Family

ID=5687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80A KR101653093B1 (ko) 2015-02-06 2015-02-06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348Y1 (ko) 1999-12-20 2000-06-15 이석춘 벌통의 꿀벌 착륙판
KR200342090Y1 (ko) 2003-11-26 2004-02-14 고상인 벌통 소문의 개폐장치
KR200478892Y1 (ko) 2014-08-08 2015-11-26 이천호 벌통용 꿀벌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94B1 (ko) 2008-12-18 2010-06-29 백영근 양봉용 보호장치
KR20110004795U (ko) 2009-11-09 2011-05-17 안문옥 신개념 벌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348Y1 (ko) 1999-12-20 2000-06-15 이석춘 벌통의 꿀벌 착륙판
KR200342090Y1 (ko) 2003-11-26 2004-02-14 고상인 벌통 소문의 개폐장치
KR200478892Y1 (ko) 2014-08-08 2015-11-26 이천호 벌통용 꿀벌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14A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371B1 (ko)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200385239Y1 (ko) 통풍이 강화된 벌통
US8764512B1 (en) Inner cover for bee hive
KR101986727B1 (ko) 벌통용 단열 패널
KR101068412B1 (ko) 꿀벌보호장치
GB2051546A (en) Bee hives
KR101093261B1 (ko) 벌통 출입구 구조
US11425893B2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KR101203167B1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KR101653093B1 (ko)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US11744232B2 (en) Beehive
US7051679B2 (en) Heat efficient animal shelter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US20200229403A1 (en) Insulating Wrap for Beehives
KR200475464Y1 (ko) 벌통용 환기장치
KR101348172B1 (ko) 벌통
KR200490320Y1 (ko) 사양기 및 화분공급기를 내장할 수 있는 양봉통
KR200489356Y1 (ko)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KR100381383B1 (ko) 동절기용 양봉사
KR20110004795U (ko) 신개념 벌통
KR101075984B1 (ko) 가축 사육용 축사
JP2020115836A (ja) 養蜂箱保温容器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US11839199B2 (en) Beehive wind shield
KR200333848Y1 (ko) 벌통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