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56Y1 -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 Google Patents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56Y1
KR200489356Y1 KR2020160007559U KR20160007559U KR200489356Y1 KR 200489356 Y1 KR200489356 Y1 KR 200489356Y1 KR 2020160007559 U KR2020160007559 U KR 2020160007559U KR 20160007559 U KR20160007559 U KR 20160007559U KR 200489356 Y1 KR200489356 Y1 KR 200489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fixed frame
circuit breaker
hole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028U (ko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20160007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5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용 소문에 고정틀을 구성하여 양봉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소문의 차단이 가능하며, 화분채취를 위한 화분채취기의 설치가 손쉽고, 비가 오면 빗물차단이 가능한 빗물차단막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는, 벌통(100)의 본체(1) 출입공(2)에 고정클립(3)으로 벌집 소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차단기(20)가 결합된 고정틀(1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틀(10)의 중앙에 차단기(20)가 열리면 관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1)의 아래쪽에 힌지(12)로 고정틀(10)에 차단기(20)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12)로 결합된 차단기(20)는 본체(1) 외측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차단기(20)가 닫힐 경우, 상기 고정틀(10)의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된 차단기(20)에 구성된 돌출부(22)와 돌출부(22)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닫힘홈(23)을 구성하며; 상기 고정틀(10)의 상부에 빗물차단막(4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끼움홈(41)과; 상기 고정틀(10)의 관통부(11) 양쪽에 화분채취기(3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걸림홈(34);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for easy pollen collecting prefabricated hive entrance}
본 고안은 벌통용 조립식 채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벌이 출입하는 소문의 차단막을 벌의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화분을 채취하여 수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분채취기가 화분의 채집량을 최대로 수확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가 가능한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오랜 옛날부터 벌꿀을 채집하여 귀한 약품 및 식품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는 야생벌의 수효가 격감됨에 따라 꿀이 매우 귀해진 반면에 인공적으로 벌을 길러 꿀을 채집하는 양봉업이 발달되어 이른 봄에서 늦가을까지, 남쪽은 제주도에서 북쪽은 강원도에 이르기까지 벌통을 차에 싣고 꽃을 찾아 이곳저곳을 옮겨다니며 꿀을 생산한다.
이러한 양봉용 벌통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몸체의 내외부로 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집을 지어서 저장한 왕유, 화분, 밀랍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의 벌통은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 몸체와 상기의 몸체 하부에 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한다. 상기의 출입구는 소문이라 하며, 상기 소문을 통해서 벌들이 출입한다. 벌은 꿀을 채집하여 벌통의 내부에 있는 소비에 벌집을 형성하여 벌꿀을 저장하고 알을 낳게 된다.
벌통은 매년 12회 이상 이동하게 되는데 화분을 채취하는 화분 채취기와 벌통의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이동망을 벌통에 고정스크류로 고정함에 따라 이동시 화분채취기와 차단기를 교체해야 하기때문에, 벌통, 화분채취기, 이동망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봉을 위해서는 벌통의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벌들은 생리적 특성상, 빛, 계절, 날씨 또는 기온 등의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고 추위에 약하여, 동절기에는 벌들에 대해 보온과 체력소모를 최소화하여도 사봉율이 높은 편이다. 그래서, 종래의 방법은 벌통 출입구에 판재를 못으로 박아 설치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른 벌들을 관리하였지만 상기의 방법만으로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벌의 생활조건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비가 오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입구를 밀폐하게 되면, 벌통 내부의 습도가 상승하면서 벌통 내부에 곰팡이 또는 진드기가 번식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33848호(2003.11.19) 국내등록특허 제10-1506126호(2015.03.2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에 의한 결합으로 개폐가 쉽고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개폐시 벌의 손상이 적은 차단기가 설치된 탈부착형 고정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을 채집해 오는 일벌들의 출입시 벌들간의 충돌이 적은 진입공과 진출공을 가지며, 화분이 벌통의 내부로 떨어져 손실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화분채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가 올 때 벌통을 기존의 방식으로 방치하는 것보다 비를 적극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벌통 환기 및 내부온도 상승에 의한 문제점을 개선한 빗물차단막을 고정틀에 손쉽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벌통(100)의 본체(1) 출입공(2)에 고정클립(3)으로 벌집 소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차단기(20)가 결합된 고정틀(1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틀(10)의 중앙에 차단기(20)가 열리면 관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1)의 아래쪽에 힌지(12)로 고정틀(10)에 차단기(20)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12)로 결합된 차단기(20)는 본체(1) 외측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차단기(20)가 닫힐 경우, 상기 고정틀(10)의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된 차단기(20)에 구성된 돌출부(22)와 돌출부(22)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닫힘홈(23)을 구성하며; 상기 고정틀(10)의 상부에 빗물차단막(4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끼움홈(41)과; 상기 고정틀(10)의 관통부(11) 양쪽에 화분채취기(3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걸림홈(34); 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화분채취기(30)는, 고정틀(10)에 관통부(11) 양쪽의 걸림홈(34)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걸림부(33)가 있는 일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상자 형태로, 개방된 측면은 관통부(11)와 접하며; 전면 하부에는 수직 수평으로 다수개의 진입공(31)이 설치되며 진입공(31)의 하부에 수평으로 받침판(35)이 형성되고, 전면 상부에는 단부가 점점 좁아지게 돌출된 진출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진출공(32)이 후면 하부에 활주턱(36) 형성이 되도록 한다.
상기 빗물차단막(40)은 넓은 판형상으로 몸체에 접하는 일측 단부에 끼움부(42)가 형성되어, 비가 올 때 고정틀(1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41)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틀을 이용할 경우에는 잦은 탈부착시 내구성이 떨어져 오랫동안 사용이 어려웠던 벌들의 출입을 차단하는 차단기를 일체형으로 고정틀에 설치하여 개폐가 손쉽고, 분실염려가 없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단기의 개폐시 벌의 기존의 방법보다 손상이 줄어들어 벌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에 접합이 가능한 화분채취기를 이용함으로써 벌들간의 진출입시 충돌하여 손상입는 벌의 개체수가 줄어들며 채집해오는 화분이 벌통 내부에 떨어져 소실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화분의 채집양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에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빗물차단막을 제공함으로써 빗물이 벌통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착탈이 쉬워서 항상 설치 할 수도 있고 필요에 의해서 손쉽게 제거도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화분채집시 갑자기 비가 올 때에도 기존에 채집한 화분을 비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통에 고정틀을 설치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채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채취기의 정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채취기를 설치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차단막과 설치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차단막의 결합방법 모식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차단막의 결합방법 모식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벌이 드나들도록 형성된 출입구 부분을 전방, 반대쪽을 후방이라는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방향에 대한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벌통(100)의 몸체(1)와 하부에 출입공(2)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도 3과 같이 상기 벌통의 출입공(2)에 고정틀(10)을 설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틀(10)은 도2와 같이 구성되어, 고정클립(3)에 의해서 벌통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고정틀(10)이 벌통(100)의 소문에 설치되면, 고정틀(10)에 빗물차단막(40), 화분채취기(30), 차단기(20)를 선택적으로 쉽게 착탈할 수 있다. 상기 고정틀(10)이 벌통에 설치가 되면, 비가 올 때 빗물차단막(40)을 설치 했다가 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벌의 출입을 막는 차단기(20)가 손쉽게 설치 되며, 차단기(20)의 개폐시 벌들에게 가해지는 피해가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있다.
본 고안의 벌통의 본체(1) 출입공(2)에 고정클립(3)으로 설치되는 고정틀(10)은 중앙에 관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1)의 하부에는 힌지(12)에 의해 결합된 차단기(20)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20)는 본체(1)의 힌지(12)에 의해 외측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단기(20)는 항상 고정틀(10)에 결합 설치되어, 차단기(20)를 분리하여 분실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양봉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꽃을 찾아 벌통을 자주 이동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벌통을 이동할 때에는 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벌통의 출입구를 닫고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자주 이동하게되는 벌통의 출입구를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하며, 문의 개폐시 문에 의해 벌이 손상되어 소실되는 비율을 줄이기 위해 차단기(20)를 힌지(12)에 결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에 사용되던 조립식 소문의 경우 벌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하면서 소문 개폐를 실시할 때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면 벌통 내부에 온도가 상승하여 벌이 질식사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결합되어 있는 차단기에 의하여 손쉽게 개폐가 가능하여 기존에 제품들보다 약 70%가 더 빠르게 작업실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차단기(20)는 평소에는 벌통의 외측 방향으로 열어놓아서, 화분채취기(4)에 결합하여 고정을 하였다가, 이동시에 차단을 실시하는데 상기 차단과정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실시할 경우 벌이 슬라이딩 도어에 끼어서 손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으나, 힌지(12)에 의하여 열고 닫히는 경우 벌을 밀어 내면서 닫을 수 있기 때문에 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단기(20)로 벌통(100)의 관통부(11)를 차단할 경우 차단기(20)의 상부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고, 고정틀(10)의 돌출부(22)가 접하는 곳에는 닫힘홈(23)을 구성하여 벌통(100)의 차단시 차단기(20)가 잘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기(20)는 차단기(20)로 닫았을 경우, 환풍구(21)가 설치되어 벌통(100) 내부의 환기를 돕는다. 상기 환풍구(21)의 크기는 벌들의 진출입이 불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차단기(20)를 열었을 경우 본체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거함(4)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화분수거함(4)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화분수거함(4)은 일벌들에게 묻어 있는 화분이 벌통에 들어가면서 떨어져 화분수거함(4)에 모일 수 있도록, 차단기의 환풍구를 통해 화분수거함(4)의 내부에 화분만 모으게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화분수거함(4)은 본체(1)의 출입공(2)하부에 설치되며, 차단기(20)의 환풍구(21)사이로 화분만 떨어져 통과하여 외부의 불순물 유입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환풍구(21) 덕분에 벌통(100)의 이동시 차단기(20)를 설치 하여도 내부가 밀폐가 되지 않아서, 많은 양의 벌 몸에서 발열하는 열에 의해 벌통(100)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벌들이 폐사할 수 있는 위험을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이하, 화분채취기(30)의 설명은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양봉은 꿀을 모으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상기와 같이 화분을 모으는 일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화분을 많이 채취하기 위해서 고정틀(10)에 화분 채취가 용이하도록 화분채취기(30)를 쉽게 설치 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화분채취기(30)는 벌들의 진출입시 벌들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벌의 진입공(31)과 진출공(32)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화분채취기(30)는 고정틀(10)의 관통부(11)를 완전히 막아서 벌들이 출입을 할 경우 진입공(31)과 진출공(32)으로만 출입을 하도록 한다. 화분채취기(30)의 전면 하부에 역삼각형 형상의 진입공(31)이 수직수평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진입공(31)의 하부에 수평으로 받침판(35)이 형성되고, 전면 상부에는 단부가 점점 좁아지게 돌출된 진출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진출공의 후면 하부에 활주턱(36)이 형성된다. 상기 화분 채취기는 고정틀(10)에서 10 ~ 50mm 의 크기(A)로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화분채취기(30)는 상기와 같이 사각의 상자 형태로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면이 관통부(11)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화분채취기(30)의 전면에는 벌들이 다닐수 있는 진입공(31), 진출공(32) 등이 형성되며, 그 외의 면에는 벌이 지나다닐 수 없는 크기의 환풍구(21)를 형성하여 벌통(100)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벌들이 진입공(31)과 진출공(32)을 명확히 구분하여 진출입할 때는 벌들간의 충돌로 인해 벌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벌들의 활동량이 왕성하게 유지되어 화밀과 화분의 채취량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과 같이 화분채취기(30)가 돌출이 되어 형성된 경우, 벌이 가져오는 화분이 화분수거함(4)에 떨어지지 않고 입구를 통과하여 본체(1)의 내부에 떨어지게 되면서 발생하는 화분 소실의 문제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일벌이 진입공(31)을 지나면서, 벌에게는 길게 형성된 화분채취기(30) 내부의 공간을 통과하며 화분을 떨어 뜨리게 되어, 본체(1)까지 화분을 가지고 들어가는 경우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가능해 진다. 또한, 일벌들이 몸체 입구에서 열려있는 차단기(20) 근처에 착륙하게 되면 화분채취기(30)를 통과하기 전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이 떨어지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데, 이때 화분이 몸체(1)의 입구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1)입구로 떨어진 화분을 화분수거함(4)의 내측에 쌓이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화분채취기(30)는 고정틀(10)이 접하는 단부에, 관통부(11)의 양쪽의 걸림홈(34)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걸림부(33)를 구성한다. 상기 걸림부(33)에 의하여 화분채취기(30)는 필요시마다 고정틀(10)에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분채취기(30)에는 전면 하부에는 수직 수평으로 다수개의 진입공(31)이 설치되고, 진입공(31)의 하부에 수평으로 받침판(35)이 형성되며, 전면 상부에는 단부가 점점 좁아지게 돌출된 진출공(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진출공(32)의 후면 하부에 활주턱(36)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화분채취기(30)의 진입공은 벌의 머리구조가 역사다리꼴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벌의 머리구조가 역사다리꼴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벌의 몸구조에 맞게 설계되어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꽃가루 채취시 역사다리꼴의 구조는 꽃가루가 외부로 떨어지게 되어 화분 채취양이 약 30%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기존의 화분채취기(30)는 벌통의 이동을 위해서 소문 개폐를 실시하고, 화분채취기(30)를 철거하였다가, 이동망위에다 다시 설치하는 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 지지못하였다. 본 고안과 같이 차단기(20)와 화분채취기(30)가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게되고 화분수거함이(4)결합되어 기존의 방식보다 약 80%의 노동력 절감효과를 발생시켰다.
또한, 양봉과정에서 매일 벌이 모아오는 화분을 수거해야 하는 과정에서 본체에 붙이는 하분채취기(30)를 이용한 경우 노동력이 기존의 사용보다 50%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빗물차단막(40)의 설명은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고정틀(10)에는 비가 올때에 손쉽게 설치 가능한 빗물차단막(40)을 설치할 수 있는 끼움홈(41)을 구성한다. 상기 빗물차단막(40)은 항시 설치 하여, 날씨가 뜨거우면 고온방지 및 비가오면 비가림으로 구성한다. 상기 빗물차단막(40)은 넓은 판형상이며 본체에 접하는 일측 단부에는 끼움부(42)가 형성되어, 비가 올 때 고정틀(1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41)에 결합 하게 된다. 상기 빗물차단막(40)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하는 사각 형태의 패널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의 끝단에는 반원형태의 부드러운 곡선의 라운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차단막(40)은 끼움부(42)가 없이도 도9와 같이 끼움홈(41)이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빗물차단막(40)은 전체에 끼움부(42)없이도, 끼움홈이(41) 길게 형성되고 방향이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벌통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빗물차단막(41)이 단단히 결합하여 빗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빗물차단막(40)은 고정틀(10)에 설치된 끼움홈(41)을 이용하지 않고도 벌통 본체에 벌이 출입하는 소문을 덮을 수 있는 어디에나 빗물차단이 가능하도록 끼움홈(41)만을 설치하여 빗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0).
상기 빗물차단막(40)은 좌, 우측 길이를 벌통(10)의 좌, 우측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사용하여 빗물차단막(40)으로 떨어진 빗물이 벌통(100)에 형성된 입구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곳의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빗물차단막(40)을 상시 설치할 경우 갑자기 쏟아지는 비에도 이미 모아져 있던 화분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의 폐기율이 줄어들어 화분수거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는 여름철에는 항상 빗물차단막(40)을 설치하게되면, 갑자기 내리는 빗물 차단의 효과뿐만 아니라 뜨거운 태양이 벌들의 머물러 있는 소문부분을 막아주어 벌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벌통 1 : 본체(몸체)
2 : 출입공 3 : 고정클립
4 : 화분수거함 10 : 고정틀
11 : 관통부 12 : 힌지
20 : 차단기 21 : 환풍구
22 : 돌출부 23 : 닫힘홈
30 : 화분채취기 31 : 진입공
32 : 진출공 33 : 걸림부
34 : 걸림홈 35 : 받침판
36 : 활주턱 40 : 빗물차단막
41 : 끼움홈 42 : 끼움부

Claims (3)

  1. 벌통(100)의 본체(1)에 있는 벌의 출입공(2)에 고정클립(3)으로 설치되는 고정틀(10);
    상기 고정틀(10)의 중앙에 출입공(2)과 함께 개방되어 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관통부(11);
    상기 관통부(11)의 하부의 좌·우에 힌지(12)로 고정틀(10)에 결합되어 관통부(11)의 개폐가 가능한 차단기(20);
    상기 차단기(20)가 닫힐 때 고정틀(10)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차단기(20)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2);
    상기 돌출부(22)가 고정틀(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닫힘홈(23);
    상기 관통부(11)를 덮어 벌의 충돌을 막을 수 있는 진입공(31)과 진출공(32)이 형성되고, 화분채취가 가능하고,
    일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상자 형태로, 개방된 측면은 관통부(11)와 접하며,
    고정틀(10)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화분채취기(30)에 형성된 걸림부(33);
    전면의 상부에 형성된 단부가 점점 좁아지게 돌출된 진출공(32);
    상기 진출공(32)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활주턱(36);
    전면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진입공(31);
    상기 진입공(31)의 상기 각 수평열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받침판(35);
    상기 고정틀(10)에 형성된 걸림홈(34);
    화분채취기(30)가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 벌이 가져오는 화분이 화분수거함에 떨어지지 않고 입구를 통과하여 본체(1)의 내부에 떨어지게 되면서 화분이 손실되는 화분소실의 문제가 줄어들게 되는 데, 이러한 현상은 일벌이 진입공(31)을 지나면서, 벌에게는 길게 형성된 화분채취기(30) 내부의 공간을 통과하며 화분을 떨어뜨리게 되어, 본체(1)까지 화분을 가지고 들어가는 경우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가능해진 것이고,
    일벌들이 몸체 입구에서 열려있는 차단기(20) 근처에 착륙하게 되면 화분채취기(30)를 통과하기 전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 데, 이때 화분이 몸체(1)의 입구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1) 입구로 떨어진 화분을 화분수거함(4)의 내측에 쌓이도록 유도하게 되는 화분채취기(30);
    비가 올 때, 고정틀(10)의 상부의 끼움홈(41)에 결합하여 빗물이 벌통에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된 빗물 차단막(40);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20)는 차단기(20)로 닫았을 경우, 환풍구(21)가 설치되어 벌통(100) 내부의 환기를 도우며, 상기 환풍구(21)의 크기는 벌들의 진출입 불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차단기(20)를 열었을 경우 본체 하부에 배치된 화분수거함(4)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화분수거함(4) 역할을 하게 되며,
    화분수거함(4)은 일벌들에게 묻어 있는 화분이 벌통에 들어가면서 떨어져 화분수거함(4)에 모일 수 있도록, 차단기의 환풍구를 통해 화분수거함(4)의 내부에 화분만 모으게 되는 역할을 하며,
    차단기(20)의 환풍구(21) 사이로 화분만 떨어져 통과하여 외부의 불순물 유입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7559U 2016-12-27 2016-12-27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KR200489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59U KR200489356Y1 (ko) 2016-12-27 2016-12-27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59U KR200489356Y1 (ko) 2016-12-27 2016-12-27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28U KR20180002028U (ko) 2018-07-05
KR200489356Y1 true KR200489356Y1 (ko) 2019-06-07

Family

ID=6290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59U KR200489356Y1 (ko) 2016-12-27 2016-12-27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710B1 (ko) * 2018-07-13 2019-04-25 윤준민 교환 장착이 가능한 벌통용 다용도 양봉기구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61B1 (ko) * 2009-07-17 2011-12-14 김상민 벌통 출입구 구조
KR200480190Y1 (ko) * 2014-02-28 2016-04-22 최황규 다기능 벌통 소문 세트
KR101679918B1 (ko) * 2014-10-30 2016-11-28 장봉환 양봉용 화분채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48Y1 (ko) 2003-09-04 2003-11-19 임윤재 벌통 덮개
KR101506126B1 (ko) 2015-02-03 2015-03-26 윤효권 벌통용 소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61B1 (ko) * 2009-07-17 2011-12-14 김상민 벌통 출입구 구조
KR200480190Y1 (ko) * 2014-02-28 2016-04-22 최황규 다기능 벌통 소문 세트
KR101679918B1 (ko) * 2014-10-30 2016-11-28 장봉환 양봉용 화분채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28U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371B1 (ko)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200489356Y1 (ko)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WO2010098853A1 (en) Ventilation, moisture removal and heat management in a beehive
KR101093261B1 (ko) 벌통 출입구 구조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KR101971710B1 (ko) 교환 장착이 가능한 벌통용 다용도 양봉기구
WO2017005963A1 (en) Structure of a honeycomb frame
CN104012430B (zh) 组合式n型隔王巢门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US11839199B2 (en) Beehive wind shield
KR101075984B1 (ko) 가축 사육용 축사
US4419780A (en) Honey drying ventilator for beehives
KR200298517Y1 (ko) 벌통의 소문 구조
Montero et al. Greenhouse design and covering materials
KR200465677Y1 (ko) 벌통 차양 및 우수차단장치
CN208446368U (zh) 一种中蜂养殖蜂箱
KR200226837Y1 (ko) 양봉용 입체소문
CN220383995U (zh) 一种带有调节功能的蜂箱巢门结构
KR101654782B1 (ko) 가변 출입구가 구비된 벌통
KR200491066Y1 (ko) 벌통의 소문구조
CN220777021U (zh) 一种中蜂养殖蜂箱
KR200270493Y1 (ko) 벌통
US11793173B2 (en) Apiary awning
KR102290518B1 (ko) 벌통 소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