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383B1 - 동절기용 양봉사 - Google Patents

동절기용 양봉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383B1
KR100381383B1 KR10-2000-0071600A KR20000071600A KR100381383B1 KR 100381383 B1 KR100381383 B1 KR 100381383B1 KR 20000071600 A KR20000071600 A KR 20000071600A KR 100381383 B1 KR100381383 B1 KR 100381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keeper
air
winter
temperatur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931A (ko
Inventor
이석건
최광수
이현우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석건
최광수
이현우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건, 최광수, 이현우,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석건
Priority to KR10-2000-007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3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동절기용 양봉사(20)는 콘크리트기초층(1) 위에 평평한 단열바닥체(2)를 형성하고, 전 후면 단열벽체(3)와 양 측면 단열벽체(3)로 구성된 벽체의 상부에 단열천정체(4)를 부착하여 양봉사(20)를 구성하였으며, 벽체 일측에 단열 출입문(5)을 설치하고 밀폐되도록 하여 양봉사(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최소화 하였으며,
양봉사(20)의 벽체 일측면의 공기유입구(8)에는 공기유입팬(9)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공기유입구(8)와 마주 보는 곳에 소정간격 떨어뜨려 공기분배팬(14)과 공기닥트(13)를 구비한 공기분배수단(19)을 설치하고, 벽체 전후면 일측의 공기배출구(16)에는 공기배출팬(17)을 설치하여 양봉사내의 환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본 발명의 양봉사(20)는 양봉사(20) 내, 외부에 온도검출센서를 부착하고 이 온도검출센서와 연결되어 온도에 따라 환기팬을 작동케 하는 마이크로 프로쎄서가 내장된 제어판(18)을 구비하여 양봉사(20) 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팬을 작동하여 적절한 환기를 하므로서 관리인 없이도 꿀벌의 생리에 알맞는 온, 습도 및 탄산까스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동절기용 양봉사(2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절기용 양봉사 {Beeshed for keeping bees in winter time}
본 발명은 동절용 양봉사에 관한 것으로서 추운 겨울철에 꿀벌들이 동사 또는 아사 하지 않고 건강하게 월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꿀벌이 살고 있는 벌통을 동절기 동안에 보관하는 동절기용 양봉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동절기에 꿀벌들을 월동하게 하려면 벌통을 양지 바른 곳에 함께 모아놓고 볏짚으로 둘러싸던가 보온 부직포로 둘러 싸은 다음 눈, 비에 젖지 않도록 덮개를 씌운 후 줄로 묶어 고정하고, 덮개가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덮개 위에는 시멘트블록이나 자동차 타이어를 올려 놓아 추운 겨울을 나게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날씨가 매우 춥게 되면 많은 벌들이 동사 하거나 또는 벌 들이 추운 날씨를 이겨 내려고 몸을 많이 움직여 열을 내어 온도를 유지하게되고 많이 움직인 만큼 먹이를 많이 먹게 되는데 벌통 내의 먹이가 일정하므로 먹이가 떨어져 아사하는 일이 생겨 양봉하는 양봉가들의 피해가 매우 컸다.
꿀벌들을 겨울철에 잘 월동 시키려면 꿀벌들의 생리에 알맞는 온, 습도 및 탄산까스 조절로 월동 관리를 하여 주어야 꿀벌들이 건강하게 겨울을 지내고 나서날씨가 따듯한 봄철이 되면 왕성한 활동을 하여 많은 꿀을 채취 할 수 있는 데, 월동 관리 중에서도 외기 온도가 매우 낮아 지는 겨울이기 때문에 꿀벌들이 동사하지 않도록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주는 것과 겨울철에 이상 고온 현상으로 외기의 온도가 높아질 때, 양봉사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적정한 온도 관리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꿀벌이 월동하는 데 필요한 적정 온도범위는 2∼9℃이며 최적온도는 4±1℃이고, 습도에 있어서는 꿀벌은 넓은 습도 범위에 적응 할수 있기 때문에 50∼75%의 범위가 적정 습도의 범위로 추천 되고 있지만, 꿀벌들은 항상 열과 함께 수증기를 내보내고 있기 때문에 적정한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꿀벌은 벌통 한개에서 시간당 3∼10g의 수분을 발생시키는 것을 고려 할때 별도의 가습장치 없이도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 할 수 있고, 습도가 높아 질 때에는 환기 만 으로도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절기용 양봉사는 단열이 잘 되어 양봉사 내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 하는 데 어려움이 없어야 하므로 동절기 중부지방의 외기 조건과 양봉사의 열평형 방정식을 이용하여 적정두께를 산정 한 결과 벽체와 천정부에 대한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을 기준으로 두께 200㎜정도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두께 200㎜정도의 발포 폴리우레탄 판이나 유리섬유판 및 암면판을 사용 할 수도 있다.
동절기용 양봉사 내부의 온도조절, 습도조절 및 탄산까스 조절을 위하여 환기가 필요하며 환기의 주목적은 온도 조절이지만, 월동기간중 벌들은 열과 함께 수증기 및 탄산까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온도가 적당한 경우에도 습도 및 탄산까스 조절을 위하여 최소한의 환기가 필요하다.
양봉사에는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양봉사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균일하게 분배 시키고, 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가 필요 한데, 양봉사에 요구되는 필요 공기 순환량은 꿀벌 1㎏당 2.0ℓ/s정도 이다.
꿀벌은 소음과 진동등 외부 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모터나 팬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최소화 시켜야 되므로, 최근에 개발되어 성능이 매우 향상된 소음이 아주 적은 환기 팬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 이다.
양봉사 내에 빛이 들어가게 되면 꿀벌들이 벌통 밖으로 나가서 활동 하려고 하므로 월동용 양봉사는 빛을 완전히 차단 시켜야 하며 특히 환기구를 통하여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빛 차단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동절기용 양봉사이므로 양봉사에 난방을 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살펴 보면, 꿀벌이 발산하는 열량은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고려하여 벌통 1개당 20W로 가정하여 난방부하량을 계산 한 결과 저온기에도 난방설비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꿀벌이 발생하는 열량만으로서도 내부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로 분석되어 추가적인 난방설비는 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 되었으며,
동절기에도 이상 고온 현상으로 외기온도가 15℃이상이면, 냉방설비를 하지 않고 양봉사 내부의 온도를 꿀벌의 월동 적정온도 범위인 4∼9℃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경기도 용인 지역과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기상조건을 살펴보면 동절기 중에서 온도가 비교적 높은 11월과 3월의 10년 평균온도가 용인지역이 9.8℃ 및 9.2℃이고, 영주지역이 11.8℃ 및 10.8℃ 이어서 환기에 의한 냉방만으로 꿀벌들의 생리에 맞는 적정한 온도를 유지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추가적인 냉방설비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것은 추가적인 냉, 난방 설비 없이 동절기용 양봉사를 건축하여 환기 만으로써 양봉사 내부의 온도, 습도 및 탄산까스를 관리 하므로서 양봉가들에게 초기 건축 비용과 관리에 있어서 공기순환에 사용되는 팬 구동에 필요한 전기료 외에 추가비용을 발생치 않는 실용적이고도 경제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절기용 양봉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절기용 양봉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절기용 양봉사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절기용 양봉사 내부의 공기분배수단의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초 콘크리트층 2: 단열바닥체
3: 단열벽체 4: 단열천정체
5: 출입문 6: 지붕트러스
7: 지붕 8: 공기유입구
9: 공기유입팬 10: 차광구
13: 공기닥트 14: 공기분배팬
15: 공기구멍 16: 공기배출구
17: 공기배출팬 18: 제어판
19: 공기분배수단 20: 양봉사
B: 벌통
본 발명에 의한 동절기용 양봉사는 양봉을 많이 하는 양봉가 또는 양봉을 적게 하드라도 여러명의 양봉가들이 연합하여 적정 크기의 양봉사를 건축하여 동절기에는 양봉사로서 벌통을 보관하고 기타 절기에는 저온 창고로써 수확물을 보관하는 창고로써 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절기용 양봉사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봉사(20)는 기본적으로는 직육면체로 건축하되 다양한 형태로 건축 할 수 있는 데, 먼저 양봉사(20)를 건축할 건축부지의 지면을 다진 다음에 온통기초로서 두께 200㎜의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기초층(1)을 형성 하고, 콘크리트 기초층(1) 위에 단열성이 좋은 200㎜의 경량콘크리트로 마감하거나, 콘크리트기초층(1)위에 100㎜의 단열재로 단열 처리 한후 100㎜의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여 단열바닥체(2)를 평평하게 형성하였다.
평평한 단열바닥체(2) 위에, 전 후면 단열벽체(3)와 양 측면의 단열벽체(3)로 이루어진 벽체를 설치 고정하고, 벽체 상부에 단열천정체(4)를 설치하여 양봉사(20)를 구성하였다.
단열벽체(3)와 단열천정체(4)는 내부에 200㎜의 발포폴리스티렌 판이 삽입되고 양면은 철판으로 마감된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 하였고, 벽체 일측면에 출입문(5)을 달아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 출입문(5)에도 단열재를 삽입하여 단열 처리 하였으며 밀폐되도록 하여 양봉사(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최소화 하였다.
단열천정체(4)의 상부에는 경량철골로써 지붕트러스(6)를 부착 하고 그 위에는 철판이나 슬레이트로 지붕(7)을 설치 하였다.
지붕(7)을 설치 한 것은 기본적으로 눈과 비를 지붕(7)에서 막아주고, 지붕에 떨어진 눈과 빗물을 지붕 밖으로 떨어뜨려서 벽면으로 눈과 빗물이 흘러 내리지 못하게 하므로서 벽이 녹슬거나 지저분 해지는 것을 막아주는 구실을 하지만, 비와 우박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켜 꿀벌들이 놀라지 않게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봉사(20) 일 측면 상부의 2곳에 공기 유입구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공기유입구(8)는 양봉사(20)의 크기에 따라 1곳에 설치 할 수도 있고, 2곳 이상 더 많이 설치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8)에는 공기유입팬(9)이 설치되는데 팬이 작동하지 않을때 외부의 빛과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셔터가 구비된 팬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입팬(9)의 틈 사이에서 들어 오는 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상부측면과 하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차광구(10)를 공기유입구에 씌워 부착 하였으며, 이 차광구(10)의 하부에는 벌레들이 칩입하지 못하도록 하부에 방충망(11)을 설치 하였다.
또한 상기 차광구(10) 내에는 빛 차단 칸막이(12)를 교호로 다수개 설치 하였는데 이것은 차광구(10) 하부에서 빛이 들어와 상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양봉사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한다.
양봉사(20) 내부에는 공기유입구(8)와 마주보는 곳에 양봉사(20)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분배수단(19)을 설치 하였는 데, 상기 공기분배수단(19)은 공기유입구(8)와 소정간격 떨어뜨려 길이가 긴 원통형의 공기닥트(13)를 설치하였다. 상기 공기닥트(13)의 전단부에는 공기분배팬(14)이 설치되었으며 후단부는 막혀져 있고, 공기닥트(13)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기구멍(15)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분배수단(19)은 양봉사(20)의 천정에 행거를 고정하여 공기분배수단(19)을 매달았다. 상기 공기닥트(13)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원통형이 아니고 일반적인 사각통형의 형상 이어도 상관이 없다.
상기 공기분배수단(19)이 공기유입구(8)와 간격이 떨어져 있는 것은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 되어 직접 벌통(B)으로 분배되지 않고 내부의 공기와 혼합 됨으로서 찬 공기가 완화 되어 분배 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공기닥트(13)의 전단부에는 공기분배팬(14)이 부착되고 후단부는 막혀져 있으며 공기닥트(13)의 몸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공기구멍(15)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분배수단(19)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0평 정도의 양봉사(20)에서 공기분배수단(19)은 공기닥트의 직경이 35㎝일때 공기구멍의 직경은 10.5㎝, 공기구멍 간의 간격을 30㎝로 하여 일열로 공기탁트(13)에 공기구멍(15)을 형성 하거나, 공기닥트(13)에 이열로 공기구멍(15)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직경7.5㎝로 하고, 공기구멍(15)간의 간격을 30㎝로 하여 공기구멍을 형성하였는데, 이열로 공기구멍을 형성할 경우 공기구멍(15)을 공기닥트(13)의 직하부 쪽에서 양측으로 45°각도로 비스듬히 공기구멍(15)을 설치하여 공기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공기닥트(13)의 직경, 공기구멍(15)의 직경 및 공기구멍(15)간의 간격은 양봉사(20)의 크기와 공기분배장치(19)의 종류에 따라 좀 더 크거나 작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양봉사(20) 전 후면의 일측 상부에는 공기배출구(16)가 설치되고 공기배출구(16)에는 공기배출팬(17)이 설치되는데 이 공기배출구(16)에도 공기유입구(8)나 마찬가지로, 공기배출구(16)를 통하여 양봉사(20) 내부로 외부의 빛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구(10)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양봉사(20)는 냉, 난방 설비가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환기 만으로써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양봉사(20) 내부의 온도 또는 양봉사 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팬이 작동하여 적시에 적절한 환기를 하는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양봉사(20)의 내, 외부에 온도 검출 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이 온도검출 센서(미도시)에서 검출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팬, 즉공기유입팬, 공기분배팬 및 공기배출팬을 작동 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프로쎄서를 내장한 제어판(18)을 외부의 출입문 근처에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봉사(20)는 먼저 양봉사(20)를 건축할 건축부지의 지면을 다진 다음에 온통기초로서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기초층(1)을 형성하고, 그 위에 100㎜의 단열재로 단열처리 한후 100㎜의 시멘트몰탈로 마감하거나, 200㎜의 경량콘크리트로 단열처리하여 평평한 단열바닥체(2)를 형성하였다.
단열바닥체(2)위에 전, 후면 단열벽체(3)와 양 측면 단열벽체(3)로 이루어진 벽체의 상부에 단열천정체(4)가 설치되어 양봉사(20)를 구성하였는데 단열벽체(3)와 단열천정체(4)는 내부에 200㎜의 발포폴리스티렌이 삽입되고 양면은 철판으로 마감된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 하였고, 벽체 일 측면에 출입문(5)을 달아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 출입문(5)도 단열재를 삽입하여 단열처리 하되 밀폐되도록 하여 양봉사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단열천정부(4)의 상부에는 지붕트러스(6)를 부착하고 그 위에는 철판이나 슬레이트로 지붕(7)을 설치 하였다.
지붕(7)을 설치 한 것은 기본적으로는 눈과 비를 지붕(7)에서 막아주고, 지붕에 내린 눈과 빗물을 지붕 밖으로 떨어뜨려서 벽면으로 흘러 내리지 못하게 하므로서 벽이 녹슬거나 지저분 해지는 것을 막아주는 구실을 하지만, 비와 우박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켜 꿀벌들이 놀라지 않게 한다.
양봉사(20) 일 측면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유입구(8)에 설치된 공기유입팬(9)의 구성과 양봉사(20) 내부 공기분배수단(19)의 공기분배팬(14)과 공기닥트(13) 및 양봉사 전, 후면에 설치된 공기배출구(16) 및 공기배출팬(17)의 구성과, 양봉사(20) 내, 외부에 부착된 온도검출센서(미도시)와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쎄서가 내장된 제어판(18)의 구성에 따른 작용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봉사(20)의 내부 온도 만을 고려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케 한다.
양봉사의 내부 온도가 6℃보다 클 때에는 양봉사(20) 내, 외부간에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지도록 공기유입구(8)의 공기유입팬(9)과 내부 공기분배수단의 공기분배팬(14) 및 공기배출구(16)의 공기배출팬(17)을 연속 작동시키면, 공기유입구(8)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공기는 내부공기와 혼합되어 공기분배장치의 공기분배팬(14)에 의하여 공기닥트(13)에 도입되고 공기닥트(13)는 후단부가 막혀 있으므로 도입된 공기는 공기닥트(13)의 공기구멍(15)으로 분배되어 양봉사(20) 내부로 분배되고, 양봉사(20)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16)의 공기배출팬(17)에 의하여 배출되어 양봉사(20) 내부의 온도를 3℃∼6℃로 유지하게 되고,
양봉사(20) 내부의 온도가 6℃보다 작을 때에는 양봉사(20) 내부의 온도가 더 내려가지 않도록 공기유입팬(9)과 공기분배팬(14) 및 공기배출팬(17)을 30분 마다 3분씩 작동하여 최소한의 환기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습도와 탄산까스의 농도를 조절을 한다.
양봉사(20)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를 고려하여 작동시킬 경우에는, 외부온도가 9℃보다 클때에는 외기가 유입되면 내부의 온도가 더 올라갈 우려가 있으므로 내부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최소한의 환기만 이루어지도록 공기유입팬(9)과 공기분배팬(14) 및 공기배출팬(17)을 30분 마다 3분씩 작동하고, 외부온도가 9℃와 같거나 낮을 때에는 양봉사(20) 내부의 온도를 고려하여, 내부의 온도가 6℃보다 작거나 같을 때에는 습도와 탄산까스의 농도 조절을 위한 최소한의 환기를 하기 위하여 공기유입팬(9)과 공기분배팬(14) 및 공기배출팬(17)을 30분 마다 3분씩 작동 시켰으며, 내부의 온도가 6℃보다 클때에는 온도조절을 위하여 공기유입팬(9)과 공기분배팬(14)과 공기배출팬(17)을 연속으로 작동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봉사(20)를 건축할 건축부지의 지면을 다진 다음에 온통기초로서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로 기초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기초층(1)위에 단열재로 단열처리한 후에 시멘트몰탈로 마감하거나, 경량콘크리트로 단열처리하여 평평한 단열바닥체(2)를 형성하고, 단열바닥체(2) 위에 전, 후면 단열벽체(3)와 양 측면 단열벽체(3)로 구성된 벽체를 설치 고정하고 벽체 상부에 단열천정체(4)를 설치하여 양봉사를 구성하고, 벽체 일측면에 단열출입문(5)을 달아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였는데 상기 출입문(5)도 단열재를 삽입하여 단열처리 하되 밀폐되도록 하여 양봉사(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최소화 하였으며,
단열천정체(4)의 상부에는 지붕트러스(6)를 부착하고 그 위에는 철판이나 슬레이트로 지붕(7)을 설치 하였는데, 지붕(7)을 설치 한 것은 기본적으로 눈과 비를 지붕(7)에서 막아주고, 지붕에 내린 눈과 빗물을 지붕 밖으로 떨어뜨려서 벽면으로 흘러 내리지 못하게 하므로서 벽이 녹슬거나 지저분 해지는 것을 막아주는 구실을 하지만, 비와 우박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켜 꿀벌들이 놀라지 않게 하였고,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입팬(9) 및 공기배출구(16)와 공기배출팬(17)의 틈 사이에서 들어 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부의 측면과 하부가 개구된 차광구(10)를 공기유입구(8)및 공기배출구(16)에 씌워 부착 하므로서 양봉사(20) 내부를 캄캄하게 만들어 벌들이 벌통에서 나와 활동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 차광구(10)의 하부에는 벌레들이 칩입하지 못하도록 하부에 방충망(11)을 설치 하였고,
상기 차광구(10) 내에는 외부의 빛이 양봉사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빛 차단 칸막이(12)를 교호로 다수개 설치 하였는데 이것은 차광구(10) 하부에서 빛이 들어와 차광구(10)의 상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양봉사(2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양봉사 내부에는 공기유입구(8)와 마주보는 곳에 양봉사(20)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분배수단(19)을 설치 하였고 이 내부의 공기분배수단(19)은 공기유입구(8)와 소정간격 떨어져 있는데, 상기 공기분배수단(19)이 공기유입구(8)와 간격이 떨어져 있는 것은 찬 공기가 직접 벌통으로 분배되지 않고 내부의 공기와 섞여 찬 공기가 완화되어 분배 되므로서 벌들에게 충격이 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양봉사(20)는 양봉사(20) 내, 외부에 온도검출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이 온도검출센서(미도시)와 연결된 공기유입팬(9)과 공기분배팬(14) 및 공기배출팬(17)의 작동용 마이크로 프로쎄서가 내장된 제어판(18)을 외부의 출입문 근처에 부착 하여 양봉사(20)의 내부 또는 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팬 및 분배팬이 작동하여 적시에 적절한 환기를 하므로서 관리인 없이도 꿀벌들의 생리에 알맞는 온, 습도 및 탄산까스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동절기 동안에 꿀벌들이 건강하게 월동 할수 있도록 하고, 또 무인 관리시스템이므로 인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8)

  1. 평평한 단열바닥체와, 전 후면 및 양 측면이 단열벽체로 구성되고 단열벽체의 일측면에 출입문이 설치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에 설치된 단열천정체로 이루어진 양봉사와; 상기 양봉사의 일측면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 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입팬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입팬에서 소정간격 떨어져 공기분배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양봉사의 전후면 일측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 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와 공기배출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수단은 공기닥트의 전단부에 공기분배팬이 부착되고 후단부는 막혀져 있으며, 공기닥트의 몸체에는 공기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 및 공기배출구에는 차광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구에는 빛 반사 차단 칸막이와 방충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사의 상부에는 지붕트러스가 부착되고 그 위에 지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사는 내, 외부에 온도검출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온도검출센서와 연결되어 온도에 따라 환기팬을 작동케 하는 마이크로 프로쎄서가 내장된 제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사의 상부에는 지붕트러스가 부착되고 그 위에 지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사의 내, 외부에 온도검출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온도검출센서와 연결되어 온도에 따라 환기팬을 작동케 하는 마이크로 프로쎄서가 내장된 제어판(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양봉사.
KR10-2000-0071600A 2000-11-29 2000-11-29 동절기용 양봉사 KR100381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600A KR100381383B1 (ko) 2000-11-29 2000-11-29 동절기용 양봉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600A KR100381383B1 (ko) 2000-11-29 2000-11-29 동절기용 양봉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931A KR20020041931A (ko) 2002-06-05
KR100381383B1 true KR100381383B1 (ko) 2003-04-26

Family

ID=1970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600A KR100381383B1 (ko) 2000-11-29 2000-11-29 동절기용 양봉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3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653B1 (ko) * 2017-04-06 2017-10-12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방역 축사
CN110278888A (zh) * 2019-07-30 2019-09-27 日照市畜牧站 中华蜂育王箱及蜂王培育方法
WO2020025899A1 (fr) * 2018-07-31 2020-02-06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US11684045B2 (en) * 2019-04-10 2023-06-27 Hivetech Solutions Inc. Mobile indoor controlled apiar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09B1 (ko) * 2014-06-05 2016-10-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습도센서 고정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N104186373B (zh) * 2014-09-05 2016-03-02 王钦兵 一种能实现智能控温的蜂箱
KR101880284B1 (ko) * 2017-04-24 2018-08-17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RU2711940C1 (ru) * 2019-03-12 2020-01-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Т. Трубили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ульях пасек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052Y1 (ko) * 1984-02-29 1986-05-31 최두섭 비상 경보장치
JPH06257231A (ja) * 1993-03-03 1994-09-13 Achilles Corp 断熱壁構造および建築物構造
KR950024176U (ko) * 1994-02-15 1995-09-13 주식회사 고려엔지니어링 양잠기
JPH10108588A (ja) * 1996-10-04 1998-04-28 Api Kk 蜂の巣箱を収納した箱体
KR19980013105U (ko) * 1996-08-30 1998-06-05 김광희 이동식 돈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052Y1 (ko) * 1984-02-29 1986-05-31 최두섭 비상 경보장치
JPH06257231A (ja) * 1993-03-03 1994-09-13 Achilles Corp 断熱壁構造および建築物構造
KR950024176U (ko) * 1994-02-15 1995-09-13 주식회사 고려엔지니어링 양잠기
KR19980013105U (ko) * 1996-08-30 1998-06-05 김광희 이동식 돈사
JPH10108588A (ja) * 1996-10-04 1998-04-28 Api Kk 蜂の巣箱を収納した箱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653B1 (ko) * 2017-04-06 2017-10-12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방역 축사
WO2020025899A1 (fr) * 2018-07-31 2020-02-06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FR3084559A1 (fr) * 2018-07-31 2020-02-07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US11684045B2 (en) * 2019-04-10 2023-06-27 Hivetech Solutions Inc. Mobile indoor controlled apiary system
CN110278888A (zh) * 2019-07-30 2019-09-27 日照市畜牧站 中华蜂育王箱及蜂王培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931A (ko)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7080C (en) Thermally insulated building and a building panel therefor
US4827872A (en) Animal shelter
KR102045666B1 (ko) 자돈 인큐베이터
KR100381383B1 (ko) 동절기용 양봉사
US3581649A (en) Solar heating air changing wall structure
KR101080261B1 (ko)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
JP2023024227A (ja) 建造物
US4483031A (en) Ventilating inner cover for beehives
CN209057758U (zh) 一种新型保育舍
JP2001311232A (ja) 温湿度調整機能付き住宅
JP2000054519A (ja) 建築物の蓄熱・蓄冷構造
JPH085237Y2 (ja) 建築物の棟換気装置
KR900000900B1 (ko) 온혈동물용 사육사
US3285153A (en) Building ventilating system
RU2226051C2 (ru) Улей федора михайловича прогальского
SU829835A1 (ru) Нару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JP7432954B2 (ja) 建造物
KR101653093B1 (ko)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USRE20851E (en) Building construction
JP2875166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建築用パネル
JPS6134052B2 (ko)
JP5030246B1 (ja) 建物の通気断熱構造
Mazur et al. Ventilation and constructional solutions influencing microclimate in livestock buildings for dairy cattle
JP2012184905A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JPS5820111Y2 (ja) 寒冷地用畜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