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12B1 - 꿀벌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꿀벌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12B1
KR101068412B1 KR1020090083062A KR20090083062A KR101068412B1 KR 101068412 B1 KR101068412 B1 KR 101068412B1 KR 1020090083062 A KR1020090083062 A KR 1020090083062A KR 20090083062 A KR20090083062 A KR 20090083062A KR 101068412 B1 KR101068412 B1 KR 101068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t
entrance
case
be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884A (ko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김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홍 filed Critical 김주홍
Priority to KR102009008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꿀벌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케이스(10)를 구비하여 해충출입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내부에 꿀벌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유도하는 진입부(21)와 진출부(22)를 구비하는 입출구(20); 및 상기 케이스(10)와 입출구(2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해충의 착지를 방해하는 걸림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말벌 등의 해충의 출입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출입구의 착지면을 줄여 해충이 안착을 방해함으로 꿀벌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말벌, 꿀벌, 해충, 생존률, 출입방지, 보호

Description

꿀벌보호장치{PROTECTIVE FOR BEE}
본 발명은 꿀벌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말벌 등의 해충의 출입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출입구의 착지면을 줄여 해충이 안착을 방해함으로 꿀벌의 생존률을 높이는 꿀벌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봉 및 양봉은 꿀벌이 긴 장마철이나 꽃이 피지 않는 겨울에 식량으로 먹기 위해 꿀을 저장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꿀을 얻기 위해 봉군(蜂群)을 돌보고 관리하는 것으로 가장 오래된 동물사육 형태의 하나이다. 이러한, 꿀벌은 대자연의 기후 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사육지역의 기후조건과 주변 환경에 따라 절대적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상황 변화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심각한 문제로는 말벌 서너 마리가 대동하여 벌통 전체를 초토화 시킬 수 있을 만큼 무서운 존재로 써,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82594에 의하면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제작된 벌통에 있어서, 상부에는 받침턱(21) 및 걸림턱(23)을 구비한 지지턱(22)이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는 경사 돌출턱(24)과 출입구(25)를 구비되며, 출입구(25)측 내측면에는 하부 양 모서리를 삼각형으로 경사지게 메운 모서리 경사면(26)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본체 케이스(20)와, 상기 지지턱(22)에 부합되어 삽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출입구(25) 및 돌출턱(24)부에 전 ·후면 프레임(41, 46)이 서로 결합되고, 출입구(42d, 42e) 전면에 출입통제 격자문(48) 또는 개폐문(49)이 장착된 받침 보호장치(40)로 구성되어, 벌집(50)의 소강대(51)가 보강 프레임(30)의 걸림턱(31)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격자망체(12)가 삽착된 다수개의 통풍공(11)을 형성한 뚜껑(10)과, 그 외부에 공급로(42f)로 삽치된 공급관(61)이 연결된 먹이통(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뚜껑에 구비된 통풍공에 격자망체를 설치하여 통풍은 유지되며, 쥐 및 유해 곤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효과를 도모하지만, 상기 격자망체상에 말벌의 안착이 용이하여 꿀벌의 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05159에 의하면 『말벌 방어용 구조에 있어서, 고정구(7)를 다수 구비하여서 되는 사각형상의 철망프레임(5)내측으로 철망(6)이 구비되어, 양측단으로 각각 통공(11)을 갖으며 벌통(1)의 상방에 위치 고정되는 벌통부착용 가로판재(10) 양측단으로 각각 경사를 갖는 좌우판재(9,8)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우판재(9,8) 하단으로 고정되는 바닥판재(12)의 전단부로 연장되는 말벌방어울타리착륙판재(13)로 되는 말벌방어 울타리체(3) 전면부에 상기 철망프레임(5)이 경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방어 울타리.』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말벌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순 있지만, 철망상에 말벌의 안착이 용이하여 꿀벌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82594호 “벌통”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159호 “말벌 방어 울타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말벌 등의 해충의 출입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출입구의 착지면을 줄여 해충이 안착을 방해함으로 꿀벌의 생존률을 높이는 꿀벌보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꿀벌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해충출입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내부에 꿀벌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유도하는 진입부와 진출부를 구비하는 입출구; 및 상기 케이스와 입출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해충의 착지를 방해하는 걸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선단에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절첩식의 보조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구는 해충의 착지를 방해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방지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내려가는 형태의 계단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 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말벌 등의 해충의 출입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출입구의 착지면을 줄여 해충이 안착을 방해함으로 꿀벌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 1c는 본 발명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입출구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입출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꿀벌보호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 케이스(10), 입출구(20), 걸림판(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는 전·후면이 개방되게 형성하고, 선단으로 향할 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양측면에 다수의 통공(11)을 형성한 채, 꿀벌소상(1)의 입구에 결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내부에 꿀벌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유도하는 진입부(21)와 진출부(22)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출구(20)는 외부방향에 단턱(25)이 형성되고, 꿀벌이 내·외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사각형태의 입출문이 다수 층층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내부로는 진입부(21)와 진출부(22)를 구비하는 바, 상기 진입부(21)와 진출부(22)는 중앙에 갈림대(23)를 중심으로 진입부(21)와 진출부(22)가 나뉘게 된다. 이러한, 진입부(21)는 꿀벌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을 유도하도록 외부가 넓고, 내부가 좁게 형성되고, 진출부(22)는 내부가 넓고, 외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꿀벌이 좁은 공간 보다는 넓은 공간을 통하여 이동이 많음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말벌은 전체적인 크기는 보통 17 ~ 24mm로 높이가 8mm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야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입부(21)의 내부에 좁은 구멍의 높이와 진출부(22)의 외부의 좁은 구멍의 높이를 0.8mm~1.5mm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0.8mm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때, 갈림대(23)는 꿀벌의 출입에 도움을 주고, 공기가 잘 통하도록 중앙홈(23a)을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중앙홈(23a)도 상기 진입부(21)와 진출부(22)와 동일하게 높이를 0.8mm~1.5mm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0.8mm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30)은 상기 케이스(10)와 입출구(2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해충의 착지를 방해한다. 이러한, 걸림판(3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10)의 입출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바, 입출구(20)의 단턱(25)에 밀착되게 안착된다. 이러한, 걸림판(30)은 말벌 등의 해충이 케이스(10)의 상부에 안착하여 꿀벌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걸림판(30)은 5~10cm 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입출구(20)상의 안착부위는 입출구(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꿀벌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선단에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절첩식의 보조케이스(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접첩식의 보조케이스(40)는 상술한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바, 다수의 보조케이스(40)를 통해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는, 꿀벌은 외부온도가 낮아지면 나오지 않고, 외부온도가 높아지면 외부로 나오는 특성으로 인하여 말벌 등의 해충에 의해 피해를 입된다. 그럼으로, 상기 보조케이스(40)를 다수 설치함으로 인해 넓은 공간과 통공(11)을 다수 형성하여 온도를 낮추고, 꿀벌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입출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입출구(20)는 해충의 착지를 방해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방지턱(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안착방지턱(24)은 입출구(20)의 갈림대(23)와 외부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을 원형 또는 타원 형으로 형성하여 몸집이 큰 말벌 등의 해충의 안착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착지시 미끄러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꿀벌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입출구(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내려가는 형태의 계단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술한 안착방지턱(24)과 동일한 효과로 몸집이 큰 말벌 등의 해충의 안착을 방해하도록 역방향 계단식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써, 말벌 등의 해충의 안착이 불안정해 꿀벌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하였던 안착방지턱(24)과 함께 역방향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결합에 있어서, 먼저, 케이스(10)를 꿀벌소상(1)의 입구방향에 볼트에 의해 고정시킨 다음, 입출구(20)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억지끼움 시킨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와 입출구(20)의 사이에 걸림판(30)을 개재하여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도록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말벌 등의 해충의 출입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출입구의 착지면을 줄여 해충이 안착을 방해함으로 꿀벌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a, 1b, 1c는 본 발명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입출구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입출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꿀벌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꿀벌보호장치의 입출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꿀벌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꿀벌소상 10: 케이스
11: 통공 20: 입출구
21: 진입부 22: 진출부
23: 갈림대 23a: 중앙홈
24: 안착방지턱 25: 단턱
30: 걸림판 40 : 보조케이스

Claims (4)

  1. 꿀벌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케이스(10)를 구비하여 해충출입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내부에 꿀벌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유도하는 진입부(21)와 진출부(22)를 구비하는 입출구(20); 및
    상기 케이스(10)와 입출구(2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해충의 착지를 방해하는 걸림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선단에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절첩식의 보조케이스(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20)는 해충의 착지를 방해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방지턱(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내려가는 형태의 계단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보호장치.
KR1020090083062A 2009-09-03 2009-09-03 꿀벌보호장치 KR10106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62A KR101068412B1 (ko) 2009-09-03 2009-09-03 꿀벌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62A KR101068412B1 (ko) 2009-09-03 2009-09-03 꿀벌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84A KR20110024884A (ko) 2011-03-09
KR101068412B1 true KR101068412B1 (ko) 2011-09-29

Family

ID=4393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62A KR101068412B1 (ko) 2009-09-03 2009-09-03 꿀벌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70B1 (ko) * 2017-11-17 2018-11-27 전응식 양봉통의 말벌 방어터널
KR20190087162A (ko) 2018-01-16 2019-07-24 정혁 양봉용 벌통의 꿀벌 보호장치
KR20190127028A (ko) 2018-05-03 2019-11-13 정혁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KR20200037153A (ko) 2020-03-19 2020-04-08 김윤식 말벌방지망
KR20210080814A (ko) 2019-12-23 2021-07-01 오승재 환기 및 사양액 공급이 가능한 바닥판 구조를 갖는 벌통
KR20210080809A (ko) 2019-12-23 2021-07-01 오승재 회전소문을 갖는 기능성 벌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977A (ko) 2017-01-20 2018-07-30 신승호 벌통용 말벌 차단 출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봉시스템
KR101966058B1 (ko) 2017-08-28 2019-04-05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파 분석을 이용한 벌통용 말벌 차단 출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봉시스템
EP3897113B1 (en) * 2018-12-21 2024-05-22 BEE-IQ Solutions Limited Anti-predator device for bee hive
KR102147287B1 (ko) * 2019-04-19 2020-08-24 김호겸 도봉 방지기구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82U (ko) * 1989-07-25 1991-03-18
JP2004261095A (ja) 2003-01-10 2004-09-24 Fujio Hisashi ミツバチ防御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KR100552350B1 (ko) 2003-12-15 2006-02-20 김주홍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090013147A (ko) * 2008-12-18 2009-02-04 백영근 양봉용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82U (ko) * 1989-07-25 1991-03-18
JP2004261095A (ja) 2003-01-10 2004-09-24 Fujio Hisashi ミツバチ防御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KR100552350B1 (ko) 2003-12-15 2006-02-20 김주홍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090013147A (ko) * 2008-12-18 2009-02-04 백영근 양봉용 보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70B1 (ko) * 2017-11-17 2018-11-27 전응식 양봉통의 말벌 방어터널
KR20190087162A (ko) 2018-01-16 2019-07-24 정혁 양봉용 벌통의 꿀벌 보호장치
KR20190127028A (ko) 2018-05-03 2019-11-13 정혁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KR20210080814A (ko) 2019-12-23 2021-07-01 오승재 환기 및 사양액 공급이 가능한 바닥판 구조를 갖는 벌통
KR20210080809A (ko) 2019-12-23 2021-07-01 오승재 회전소문을 갖는 기능성 벌통
KR20200037153A (ko) 2020-03-19 2020-04-08 김윤식 말벌방지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84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412B1 (ko) 꿀벌보호장치
US8764512B1 (en) Inner cover for bee hive
US20110306272A1 (en) Bottom board for a beehive
CN107047377B (zh) 可改善蜜蜂环境的蜂箱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KR101203167B1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US11363802B1 (en) Nest box or birdhouse
JP2011036218A (ja) 蜜蜂の飼育箱
KR200287083Y1 (ko) 계상형 벌통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US20210084868A1 (en) Beehive excluder
CN211558460U (zh) 一种具有可闭合巢门的蜂箱
KR200175782Y1 (ko) 소상의 소문마개
KR200282594Y1 (ko) 벌통
KR102433856B1 (ko) 말벌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꿀벌보호장치
JP6808866B1 (ja) アシナガバチ類用飼育容器
KR200298517Y1 (ko) 벌통의 소문 구조
KR102384064B1 (ko) 회전소문을 갖는 기능성 벌통
CN217364263U (zh) 一种防胡蜂多功能蜂箱
CN211558459U (zh) 一种改良的蜂箱
TWM460525U (zh) 養蜂箱之巢門組件
KR20180014303A (ko) 벌통용 해충 침입방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벌통
KR102373654B1 (ko)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