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028A -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028A
KR20190127028A KR1020180051075A KR20180051075A KR20190127028A KR 20190127028 A KR20190127028 A KR 20190127028A KR 1020180051075 A KR1020180051075 A KR 1020180051075A KR 20180051075 A KR20180051075 A KR 20180051075A KR 20190127028 A KR20190127028 A KR 2019012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ember
beehive
entrance
bee
she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214B1 (ko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혁 filed Critical 정혁
Priority to KR102018005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1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봉용 벌통으로 꿀벌의 천적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꿀벌이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꿀벌의 천적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구로 이어지는 출입공간 또는 출입구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꿀벌의 천적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구로 이어지는 출입공간에서 천적을 살상함으로써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 및 방지함으로써 꿀벌이 죽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양봉 농가의 피해를 막아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Natural enemy exterminating apparatus for beehive}
본 발명은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봉용 벌통으로 꿀벌의 천적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꿀벌이 죽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양봉 농가의 피해를 막아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봉사업을 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말벌은 사업의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두려운 존재로 인식되며, 통상 10~11mm의 작은 크기를 가지는 꿀벌은 말벌의 적수가 되지 못하여 벌통에 말벌이 침입하면 참변이 발생하게 된다.
말벌은 통상 30mm 전후로 크고 턱이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힘이 세고 독성이 매우 강해 말벌이 벌통에 침입하면 말벌 한 마리가 꿀벌 수천 마리를 1시간 안에 살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우에 따라 말벌 척후병 한 마리 정도는 많은 숫자의 꿀벌들이 희생을 감수하면서 말벌과 대결을 펼쳐 말벌의 체온이 올라가도록 하여 살상하는 예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통상 몇 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척후병이 꿀벌과의 대결 도중에 본대에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척후병은 꿀벌들에 의하여 죽임을 당하더라도 결국 말벌 본대가 벌통에 도달하게 되면 참변을 면하지 못하게 된다.
즉, 말벌의 척후병을 꿀벌들이 대결하여 죽이기까지는 수 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척후병이 죽기 전까지 말벌 본대에 구조신호를 보내기에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 일단 말벌 척후병에게 벌통이 노출되면 꿀벌들의 참변은 막을 방도가 없다 할 것이다.
따라서, 말벌의 척후병이 죽기 전에 말벌 본대에 구조신호를 보낼 시간적인 여유를 주지 않고 몇 초 이내에 완전히 살상하여야 한다는 과제가 따르게 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2161호에는 메인 통로에 말벌의 진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어서 격자형으로 된 2차 차단수단을 구비하며, 1차 스크린과 2차 차단수단을 통과한 말벌이 포살공간이나 포획 통 안으로 진입하도록 유인하며 포살공간이나 포획 통 안으로 진입한 말벌을 많은 숫자의 꿀벌들이 공격하여 말벌의 체온이 오르도록 하고 결국 체온이 올라간 말벌이 죽임을 당하도록 하는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참고로, 말벌은 체온이 38℃ 이상이 되면 몇 분 안에 죽는다는 사실이 학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많은 숫자의 말벌을 죽이기 위해서는 수백 내지 수천 마리의 꿀벌이 희생이 되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말벌들을 모두 죽일 수 있는 보장도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2214호에는 말벌이 앉을 수 있는 스크린이 구비된 말벌 유인액 보관부 안으로 말벌이 유인되어 들어오도록 하고 말벌이 들어오는 통로의 좌우에 수천 볼트 이상의 고전압이 흐르는 전극 판을 대향되게 배치를 시켜서 말벌이 전극 판 사이를 통과할 때 감전이 되어서 죽도록 하는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말벌이 꿀벌 출입구로 가지 않고 유인액에 의하여 유인이 되어야만 하는 불확실한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수천 볼트 이상의 고전압을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5485호에는 하우징의 전방의 공간부 앞쪽으로 빛을 조사하여 격자 형태로 반사가 되도록 하여 빛 망을 만들고, 하우징 안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램프 또는 유인물을 구비한 후 상술한 해충이 빛 망을 통과하면 해충이 안으로 진입하였다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이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포충기나 살충제 분사기, 전기살충기를 작동시켜 해충을 죽이거나 또는 해충이 끈끈이에 붙어서 죽도록 한 포획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포획장치는 빛 망을 통과한 물체는 무조건 죽여 버리기 때문에 꿀벌을 선택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41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9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97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33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꿀벌의 천적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구로 이어지는 출입공간 또는 출입구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꿀벌의 천적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구로 이어지는 출입공간에서 천적을 살상함으로써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 및 방지함으로써 꿀벌이 죽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양봉 농가의 피해를 막아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연통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쉘터와; 상기 쉘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쉘터의 출입공간으로 천적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에서 쉘터의 출입공간으로 천적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출입구 또는 상기 출입공간을 폐쇄시키거나, 상기 쉘터 내부의 천적을 살상시켜 상기 벌통 내부로 천적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쉘터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소자와 마주하는 쉘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쉘터를 따라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센서부들 상호간 이격되는 상기 기준간격은 꿀벌의 몸통 두께보다 길고, 천적의 몸통 두께보다 짧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들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 빛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출입구가 폐쇄되게 상기 승강구동부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쉘터의 입구와 상기 벌통의 출입구 사이의 출입공간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구멍 또는 틈새가 형성된 복수의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구멍 또는 틈새를 상기 스크린부재들 상호 간에 일치시키거나 불일치시키도록 상기 스크린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크린부재를 나머지 스크린부재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들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 빛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스크린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구동부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상기 스크린부재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들의 이격거리는 꿀벌의 길이보다 길고 천적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상기 스크린부재들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들의 두께는 꿀벌의 길이보다 길고 천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꿀벌의 천적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구로 이어지는 출입공간 또는 출입구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꿀벌의 천적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구로 이어지는 출입공간에서 천적을 살상함으로써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 및 방지함으로써 꿀벌이 죽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양봉 농가의 피해를 막아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감지유닛을 이용한 꿀벌과 말벌의 출입공간에 진입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통해 말벌을 선택적으로 살상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를 통해 말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차단유닛을 이용하여 말벌을 선택적으로 살상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차단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유닛 및 차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크게 쉘터(100)와, 감지유닛과, 차단유닛을 구비한다.
쉘터(100)는 벌통(10)에 마련된 출입구(11)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벌통(10)의 출입구(11)와 연통되는 출입공간(105)이 형성된다. 쉘터(100)는 출입구(11)와 인접하는 일 측 단부에 출구(102)가 형성되고, 출입구(11)와 대향되는 타 측 단부에 입구(101)가 형성된다.
벌통(10)의 출입구(11)가 벌통(10)의 후면 또는 좌우 측면 또는 전후좌우 측면 각각에 모두 마련될 경우 쉘터(100) 역시 각각의 출입구(11) 모두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쉘터(100)는 목재나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유닛은 쉘터(100)의 입구(101) 측 내부에 설치되어 쉘터(100)의 출입공간(105)으로 천적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발광소자(201)와 수광소자(202)를 각각 구비하는 센서부들(S1~Sn)을 포함한다.
천적은 꿀벌(3)의 천적인 말벌(5)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말벌(5) 외에도 거미 등과 같이 꿀벌(3)을 죽일 수 있는 다양한 동물들이 천적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는 꿀벌(3)의 천적으로서 말벌(5)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발광소자(201)는 쉘터(100)의 상판(110) 측에서 쉘터(100)의 바닥판(120) 측으로 빛이 진행할 수 있도록 쉘터(100)의 상판(110) 저면에 설치되어 쉘터(100)의 바닥판(120)을 향해 빛을 출력한다.
수광소자(202)는 발광소자(201)와 상하방향으로 일대일 대응되게 발광소자(201) 하방의 쉘터(100) 바닥판(120)에 설치되어 발광소자(201)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한다.
센서부들(S1~Sn)은 쉘터(100)의 입구(101)에서 벌통(10)의 출입구(11)를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또는 쉘터(100)의 입구(101) 측 출입공간(105)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기준간격은 꿀벌(3)의 몸통 두께보다 길고, 천적의 몸통 두께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꿀벌(3)과 천적 즉, 말벌(5)의 크기 차이와 이크기 차이로 인한 빛의 차단 여부에 따라 꿀벌(3)과 말벌(5)을 식별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후술하는 차단유닛의 컨트롤러(330)를 통해 기준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나의 센서부(S1 또는 S3 등)에서만 빛이 수신되지 않거나 모든 센서부(S1~Sn)에서 빛이 수신되는 경우 꿀벌(3)이 통과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이와 다르게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S1과 S2 또는 S4와 S5 또는 S7과 S8등) 모두에서 빛이 수신되지 않으면 말벌(5)이 진입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센서부들(S1~Sn) 각각은 발광소자(201)에서 방출되는 빛이 일대일 대응되게 매칭된 수광소자(202)에서 수신되면, 수광소자(202)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가 후술하는 컨트롤러(330)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컨트롤러(330)와 연결된다.
차단유닛은 감지유닛에서 쉘터(100)의 출입공간(105)으로 천적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벌통(10)의 출입구(11) 또는 쉘터(100)의 출입공간(105)을 폐쇄시키고, 천적이 진입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벌통(10)의 출입구(11) 또는 쉘터(100)의 출입공간(105)을 개방시킨다.
차단유닛은 쉘터(100)의 출입구(11)와 인접하는 전방 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310)와, 도어(3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20)와,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수광소자(202)의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승강구동부(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30)를 포함한다.
도어(310)는 쉘터(100)의 상판(110)에 형성된 설치홈(111)에 삽입 설치된다.
도어(310)에는 전면과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랙기어(311)가 설치된다.
승강구동부(320)는 쉘터(100)의 상판(110)에 고정되는 승강구동모터(321)와, 일 측이 승강구동모터(32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도어(310)에 설치된 랙기어(31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2)를 포함한다. 도어(310)는 승강구동모터(3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한다.
컨트롤러(330)는 복수의 센서부(S1~Sn)와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센서부(S1~Sn)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센서부들(S1~Sn) 각각에 구비된 발광소자(201)로부터 방출된 빛이 수광소자(202)에 수신되는지를 즉, 각 센서부(S1~Sn)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가 수신되는지 모니터링한다.
컨트롤러(330)는 센서부들(S1~Sn)의 설치위치 정보 또는 센서부들(S1~Sn)에 각각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S1와 S2 또는 S4와 S5 등) 각각의 수광소자(202)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분석 및 판정되면, 천적이 쉘터(100)의 입구(101)를 지나 출입공간(105)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정하고, 출입구(11)를 폐쇄시키도록 승강구동모터(321)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는 상하로 승강하면서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좌우로 이동하면서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컨트롤러(330)는 모든 센서부(S1~Sn)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부들(S1~Sn) 중에서 서로 인접되지 않고 기준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각각의 센서부로부터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는 경우 일 예로, 제1센서부(S1) 또는 제5센서부(S5) 또는 제9센서부(S9) 각각에서 또는 제1센서부(S1), 제5센서부(S5), 제9센서부(S9) 모두에서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는 경우 꿀벌(3)이 통과한 것으로 판정 및 천적이 침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출입구(11)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다르게 컨트롤러(330)는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모두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는 경우 일 예로, 제1센서부(S1)와 제2센서부(S2) 모두 또는 제5센서부(S5)와 제6센서부(S6)와 제7센서부(S7) 모두에서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면 꿀벌(3)이 통과한 것이 아닌 천적이 침입한 것으로 판정하고, 출입구(11)를 폐쇄 및 일정시간 동안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330)는 센서부들(S1~Sn) 각각이 꿀벌(3)의 몸통 두께보다 길게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한 마리의 꿀벌(3)이 쉘터(100)의 입구(101)를 통과하더라도 서로 인접하는 둘 이상의 센서부(S1~Sn)에서 출력되는 빛에 모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원리를 이용하여 벌을 식별하고, 센서부(S1~Sn) 각각이 꿀벌(3)의 크기보다 수배 큰 말벌(5) 등과 같은 천적의 몸통 두께보다 짧게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한 마리의 말벌(5)이 쉘터(100)의 입구(101)를 통과하면 필연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둘 이상의 센서부(S1~Sn)에서 출력되는 빛에 모두 간섭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말벌(5)의 진입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감지유닛 및 차단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70)가 더 구비된다. 전원공급부(370)는 벌통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모듈 및 태양광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말벌(5)과 같은 꿀벌(3)의 천적에 대한 쉘터(100)의 입구(101) 및 출입공간(105)으로의 진입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 및 파악하여 벌통(10)의 출입구(11)를 자동으로 폐쇄 및 차단함으로써 말벌(5)이 벌통(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 및 꿀벌(3)이 말벌(5)에 의해 살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천적이 벌통(1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 및 방지함으로써 꿀벌(3)이 죽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양봉 농가의 피해를 막아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크게 쉘터(100)와, 감지유닛과, 차단유닛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 있어서 차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즉, 쉘터(100) 및 감지유닛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차단유닛은 감지유닛에서 쉘터(100)의 출입공간(105)으로 천적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쉘터(100) 내부의 천적을 구멍 또는 틈새에 끼게 하여 살상시켜 벌통(10) 내부로 천적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차단부(410)와, 이동구동부(420)와, 컨트롤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부(410)는 쉘터(100)의 입구(101)와 벌통(10)의 출입구(11) 사이의 출입공간(105)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구멍 또는 틈새가 형성되며 제1스크린부재(411)과 제2스크린부재(4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부(410)는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부(410)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호 간 이격거리는 꿀벌(3)의 길이보다 길고 천적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동구동부(420)는 제1스크린부재(411)과 제2스크린부재(415)의 구멍 또는 틈새를 제1스크린부재(411)과 제2스크린부재(415) 상호 간에 일치시키거나 불일치시키도록 제1스크린부재(411)과 제2스크린부재(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킨다.
컨트롤러(430)는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수광소자(202)의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이동구동부(4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430)는 센서부들(S1~Sn)과 각각 연결되어 센서부들(S1~Sn) 각각의 수광소자(202)에 빛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202)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정되면, 차단부(410)를 작동시키도록 이동구동부(42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단부(410)의 스크린부재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2개만 구비하는 것을 적용하였다.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는 쉘터(100)의 입구(101)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된 쉘터(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쉘터(100)의 출입공간(105)을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꿀벌(3)이나 천적은 차단부(410)를 통과해야 벌통(10)의 출입구(11) 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411)는 쉘터(100)의 좌측판(131) 및 우측판(132)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고, 제2스크린부재(415)는 쉘터(100)의 우측판에 마련된 삽입 슬릿을 따라 제1스크린부재(41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제1스크린부재(411) 및 제2스크린부재(415) 모두 쉘터(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스크린부재(411)는 제2스크린부재(415)보다 쉘터(100)의 입구(101)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1스크린부재(411) 및 제2스크린부재(415) 각각에는 구멍 또는 틈새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에 각각 복수의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을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은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의 일 면에서 각각 타 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의 모양은 도시된 사각형 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에 각각 형성된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의 수와 크기 및 모양은 동일하다.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의 넓이는 꿀벌(3) 및 천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은 꿀벌(3)이 여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말벌(5)은 겨우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가령, 말벌(5)의 몸통 크기를 감안할 경우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의 좌우방향의 폭 또는 상하방향의 폭은 10 내지 15mm가 적당하다. 이러한 크기의 구멍은 말벌(5) 성체의 몸통 크기와 비슷하므로 말벌(5)은 구멍을 즉시 통과하지 못하고 지체된다.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거나, 이격되지 않고 상호 인접하여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될 경우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의 이격거리는 꿀벌(3)의 길이보다 크고 천적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의 공간에서 꿀벌(3)의 이동은 자유롭다.
이동구동부(420)는 후술하는 컨트롤러(430)의 제어에 따라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에 형성된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을 일치 및 불일치시킨다.
도시된 이동구동부(420)는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중 쉘터(100)의 입구(101) 측과 인접한 제1스크린부재(411)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달리 후면에 위치하는 제2스크린부재(415)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모두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구동부(420)는 이동구동모터(421)와, 이동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을 제1스크린부재(411)에 전달하여 제1스크린부재(411)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이동구동부(420)로서 다양한 형태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동구동모터(421)는 기어드모터나 서보모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쉘터(1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랙(423)과 피니언(425)을 적용할 수 있다.
피니언(425)은 이동구동모터(421)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그리고 랙(423)은 제1스크린부재(411)와 연결되어 피니언(425)과 치합된다. 따라서 이동구동모터(4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스크린부재(411)는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에 각각 형성된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2스크린부재(415)가 이동하면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이 서로 어긋나 불일치한다. 제1스크린부재(411)를 이동시키는 것은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에 각각 형성된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을 불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이동하는 제1스크린부재(411)는 구멍의 폭 이내만큼만 이동하여도 충분하다.
가령, 구멍의 좌우 폭이 12mm일 경우, 제1스크린부재(411)는 6 내지 12mm만 이동하여도 충분하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1스크린부재(411)는 이동구동모터(421)의 구동에 의해 6 내지 12mm 이동하고, 이동구동모터(421)의 회전방향이 바뀌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동구동부(420)에 의해 제1스크린부재(411)는 계속 왕복 이동하는 상태이거나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411)의 이동시 꿀벌(3)이 구멍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스크린부재(411)의 이동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컨트롤러(430)는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차단유닛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구동부(4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430)는 복수의 센서부(S1~Sn)와 연결되고, 각 센서부(S1~Sn)의 설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센서부(S1~Sn)들 각각의 수광소자(202)에 빛이 수신되는지를 즉, 각 센서부(S1~Sn)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가 수신되는지 모니터링한다.
컨트롤러(430)는 센서부(S1~Sn)의 설치위치 정보 또는 센서부(S1~Sn)에 각각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S1~Sn)들 각각의 수광소자(202)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분석 및 판정되면, 천적이 쉘터(100)의 입구(101)를 지나 출입공간(105)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정하고, 차단부(410)를 이동시키도록 이동구동모터(421)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430)는 모든 센서부(S1~Sn)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부(S1~Sn)들 중에서 서로 인접되지 않고 기준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각각의 센서부(S1~Sn)로부터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는 경우 일 예로, 제1센서부(S1~Sn) 또는 제5센서부(S1~Sn) 또는 제9센서부(S1~Sn) 각각에서 또는 제1센서부(S1~Sn), 제5센서부(S1~Sn), 제9센서부(S1~Sn) 모두에서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는 경우 꿀벌(3)이 통과한 것으로 판정 및 천적이 침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차단부(410)가 이동되게 이동구동모터(421)를 작동시켜 말벌(5)을 차단부(410) 사이에서 절단 또는 비틀어 살상시킨다.
한편, 컨트롤러(430)는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모두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는 경우 일 예로, 제1센서부(S1~Sn)와 제2센서부(S1~Sn) 모두 또는 제5센서부(S1~Sn)와 제6센서부(S1~Sn)와 제7센서부(S1~Sn) 모두에서 전기신호를 미수신하면 꿀벌(3)이 통과한 것이 아닌 천적이 침입한 것으로 판정하고,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의 제1구멍과 제2구멍이 일치한 상태로 유지되게 제1스크린부재(411)를 정지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430)는 센서부(S1~Sn) 각각이 꿀벌(3)의 몸통 두께보다 길게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한 마리의 꿀벌(3)이 쉘터(100)의 입구(101)를 통과하더라도 서로 인접하는 둘 이상의 센서부(S1~Sn)에서 출력되는 빛에 모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원리를 이용하고, 센서부(S1~Sn) 각각이 꿀벌(3)의 크기보다 수배 큰 말벌(5) 등과 같은 천적의 몸통 두께보다 짧게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한 마리의 말벌(5)이 쉘터(100)의 입구(101)를 통과하면 필연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둘 이상의 센서부(S1~Sn)에서 출력되는 빛에 모두 간섭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말벌(5)의 진입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말벌(5)과 같은 꿀벌(3)의 천적에 대한 쉘터(100)의 입구(101) 및 출입공간(105)으로의 진입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 및 파악하여 제1스크린부재(411)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를 통과하는 말벌(5)을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에서 절단 또는 비틀어 살상시킴으로써 말벌(5)이 벌통(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 및 꿀벌(3)이 말벌(5)에 의해 살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차단유닛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꿀벌(3)은 자유롭게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를 통과하여 벌통(10)의 출입구(11)를 드나든다. 또한, 제1스크린부재(411)가 이동하더라도 제1스크린부재(411)에 형성된 구멍(16)은 꿀벌(3)보다 훨씬 크므로 꿀벌(3)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꿀벌(3)은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를 바로 통과하거나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의 공간에 머물다가 고정차단부(410)(15)를 통과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의 이격거리가 꿀벌(3)의 길이보다 더 크므로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의 공간에서도 날아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이동하고 있는 제1스크린부재(411)의 구멍(14)으로 진입한 말벌(5)은 제2스크린부재(415)의 구멍(16) 위치가 머리와 일치할 때 제2스크린부재(415)의 구멍(16)으로 머리를 집어넣으면서 진입을 시도한다.
이때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의 이격거리가 말벌(5)의 길이보다 더 작으므로 말벌(5)의 몸은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에 걸쳐진다.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은 말벌(5)의 몸집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므로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에서 말벌(5)의 움직임은 둔화된다. 이 상태에서 제1스크린부재(411)가 이동하면 제1스크린부재(411)와 구멍(14)과 제2스크린부재(415)의 구멍(16)이 어긋나면서 말벌(5)은 2개의 제1구멍(412)과 제2구멍(416)에 낀 상태로 몸집이 잘리거나 틀어져 죽는다.
그리고 말벌(5)이 제2스크린부재(415)의 구멍(16)으로 진입을 시도하지 않고 제2스크린부재(415)와 제1스크린부재(411) 사이에 머무는 경우에는 제2스크린부재(415)와 제1스크린부재(411)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말벌(5)의 움직임이 극도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차단유닛은 복수의 차단부(410)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하나 이상의 스크린부재를 다른 스크린부재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차단부(410)를 통과하는 말벌(5)을 구멍에 끼이도록 하여 말벌(5)에 물리적 힘을 가해 절단하거나 비틀어 살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말벌(5)이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를 무사히 통과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필터링부재를 쉘터(100)의 내부에 더 설치할 수 있다. 필터링부재는 벌통(10)의 출입구(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에 설치한다. 필터링부재는 꿀벌(3)은 통과시키고 천적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터링부재로 꿀벌(3)의 몸집보다는 크고 말벌(5)의 몸집보다 더 작은 크기의 구멍이 뚫려 있는 다공판이나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부재에 의해 말벌(5)이 벌통(10)의 출입구(1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단유닛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는 서로 이격되지 않고 서로 대향되는 제1스크린부재(411A)의 일 면과 제2스크린부재(415A)의 일 면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의 두께는 앞서 설명한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와 비교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의 전후 길이는 또한 앞서 설명한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에 형성된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의 전후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의 총 두께, 즉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를 모두 합한 두께는 꿀벌(3A)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말벌(5A)의 길이보다는 더 크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에 형성된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이 일치된 상태에서 꿀벌(3)은 자유롭게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에 위치한 제1스크린부재(411A)가 이동하더라도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의 넓이와 전후 길이가 꿀벌(3)보다 충분히 크므로 꿀벌(3)은 손상을 입지가 않고 원활하게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하고 있는 제1스크린부재(411A)(33A)의 구멍(34A)으로 진입한 말벌(5)은 제2스크린부재(415A)(35A)의 구멍(36A) 위치가 머리와 일치할 때, 제2스크린부재(415A)의 제2구멍(416A)으로 머리를 집어넣으면서 진입을 시도한다.
이때 말벌(5)의 몸통은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에 걸쳐진다.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2스크린부재(415A)의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은 말벌(5)의 몸집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므로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에서 말벌(5)의 움직임은 둔화된다. 이 상태에서 제1스크린부재(411A)(33A)가 계속 이동하므로 제1스크린부재(411A)와 제1구멍(412A)과 제2스크린부재(415A)의 제2구멍(416A)이 어긋나면서 말벌(5)은 2개의 제1구멍(412A)과 제2구멍(416A)에 낀 상태로 몸집이 잘리거나 틀어져 살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단유닛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부재(411B)와 제2스크린부재(415B)에 각각 형성된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의 경사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의 경사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다.
제1스크린부재(411B)와 제2스크린부재(415B)에 각각 형성된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의 경사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스크린부재(411B)와 제2스크린부재(415B)가 겹쳐 있는 경우 2개의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은 서로 연결되어 중간에서 굽어진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굽어진 통로 구조에 의해 제1스크린부재(411B)의 구멍(44B)으로 진입한 말벌(5B)이 계속 직진하여 제2스크린부재(415B)의 구멍(46B)으로 머리가 진입되면 말벌(5)의 몸이 굽어지므로 말벌(5)의 몸은 제1스크린부재(411B)와 제2스크린부재(415B)에 걸쳐진 상태에서 움직임이 매우 둔화된다. 이 상태에서 제1스크린부재(411B)가 계속 이동하므로 제1스크린부재(411B)와 구멍(44B)과 제2스크린부재(415B)의 구멍(46B)이 어긋나면서 말벌(5)은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에 낀 상태로 몸통이 잘리거나 틀어져 죽는다.
반면에 꿀벌(3)은 제1구멍(412B)과 제2구멍(416B)의 크기와 길이가 충분히 큰 상태이므로 제1스크린부재(411B)와 제2스크린부재(415B)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단유닛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부재(411C)와 제2스크린부재(415C)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고, 제1스크린부재(411C)와 제2스크린부재(415C)의 이격 거리를 꿀벌(3)의 길이보다 크고 말벌(5)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스크린부재(411C)와 제2스크린부재(415C)는 각각 복수의 제1틈새(413C)와 제2틈새(417C)가 형성된다. 즉, 제1스크린부재(411C)와 제2스크린부재(415C)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측에 복수의 제1분할바(414C)와 제2분할바(418C)가 설치된다.
제1분할바(414C)와 제2분할바(418C)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분할바(414C)와 제2분할바(418C)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1분할바(414C)와 제2분할바(418C) 사이의 거리, 즉 제1틈새(413C)와 제2틈새(417C)의 좌우 폭은 꿀벌(3) 및 말벌(5) 몸의 좌우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도시된 예 역시 제1스크린부재(411C)와 제2스크린부재(415C) 중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1스크린부재(411C)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1스크린부재(411C)와 제2스크린부재(415C)에 각각 형성된 제1틈새(413C)와 제2틈새(417C)가 서로 일치하거나 불일치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말벌(5)은 틈새에 끼어 절단 또는 비틀려 살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단유닛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터(100)의 입구(101) 측에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가 나란하게 설치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는 서로 이격되지 않고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는 쉘터(100)의 입구(101) 측에서 쉘터(100)의 출구(102) 측 또는 벌통(10)의 출입구(11) 측 순으로 설치된다.
제1스크린부재(510)와 제3스크린부재(530)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제2스크린부재(520)는 이들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의 총 두께, 즉 모두 합한 두께는 꿀벌(3)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말벌(5)의 길이보다는 더 크거나 다소 작게 형성된다.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에는 각각 제1구멍(511)과 제2구멍(521)과 제3구멍(531)이 형성된다.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에 형성된 구멍의 수와 크기는 모두 동일하다.
도시된 예에서 제1스크린부재(510)와 제3스크린부재(5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크린부재(520)가 이동구동부(420)와 연결되며, 제2스크린부재(520)는 이동구동부(420)에 의해 제1스크린부재(510)와 제3스크린부재(530)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에 형성된 구멍들(511, 521, 531)을 통해 꿀벌(3)은 자유롭게 차단부(410)들을 통과하여 쉘터(100)의 내부로 진입 및 벌통(10)의 출입구(11)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말벌(5)의 몸통이 제1스크린부재(510) 내지 제3스크린부재(530)의 구멍에 걸쳐지게 되므로 이때 제2스크린부재(520)가 이동하면 말벌(5)은 구멍에 낀 상태로 몸집이 잘리거나 비틀려 살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감지유닛으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센서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쉘터의 입구 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말벌의 유무를 분석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를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꿀벌과 말벌에 해당하는 영역을 각각 추출하며, 추출된 영역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크기 이상이면 말벌인 것으로 감지하고, 미만이면 꿀벌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이와 다르게 감지유닛은 꿀벌 또는 말벌이 날 때 날개에서 발생하는 소리정보 정보를 획득하도록 쉘터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에서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진동정보를 추출하는 진동추출부 및 진동추출부에서 추출된 진동정보가 말벌의 진동수와 대응되는지 꿀벌의 진동수와 대응되는 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지유닛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터(100)의 입구(101) 측에 제1스크린부재(510)와 제2스크린부재(52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감지유닛은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센서부는 제1발광소자어레이(203) 및 제1수광소자어레이(미도시)를 포함하고, 제2센서부는 제2발광소자어레이(205) 및 제2수광소자어레이(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와 제2발광소자어레이(205)는 각각 라인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203A, 205A)를 구비하고, 제1수광소자어레이와 제2수광소자어레이(206)는 각각 라인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광소자(206A)를 구비한다.
제1발광소자어레이(203)는 쉘터의 입구 측에 배치된 제1스크린부재(411)와 쉘터(100)의 출구 측에 배치된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에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와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제2발광소자어레이(205)는 쉘터(10)의 출구 측에 배치된 제2스크린부재(415)의 후방에 제2스크린부재(415)와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제1수광소자어레이는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 사이에 설치된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2수광소자어레이(206)는 제2발광소자어레이(205)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제2발광소자어레이(205)의 하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의 이격 간격은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1수광소자어레이에 수신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와 제2발광소자어레이(205) 사이의 간격은 꿀벌의 길이보다는 길고, 말벌의 길이보다는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스크린부재(411) 및 제2스크린부재(415)의 두께는 꿀벌이 길이보다 길게 말벌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와 제2스크린부재에는 제1구멍과 제2구멍(416)이 각각 형성되고, 제1구멍과 제2구멍(416)의 수와 크기 및 모양은 동일하다. 제1구멍과 제2구멍(416)의 크기는 꿀벌 및 천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구멍과 제2구멍(416)은 꿀벌이 여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말벌(5)은 겨우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가령, 말벌의 몸통 크기를 감안할 경우 제1구멍과 제2구멍(416)의 좌우방향의 폭 또는 상하방향의 폭은 10 내지 15mm가 적당하다. 이러한 크기의 구멍은 말벌 성체의 몸통 크기와 비슷하므로 말벌은 구멍을 즉시 통과하지 못하고 지체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컨트롤러는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와 제2발광소자어레이(205)에서 각각 방출된 빛이 동시 또는 설정된 시간 내에 모두 제1수광소자어레이와 제2수광소자어레이(206)에 수신되지 않으면, 꿀벌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구동부(420)를 통해 제1스크린부재(411) 또는 제2스크린부재(415)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스크린부재(411) 및 제2스크린부재(415)를 통과하는 꿀벌을 절단하여 살상시키도록 한다.
이는 제1발광소자어레이(203)와 제2발광소자어레이(205) 사이의 간격이 말벌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므로 말벌이 제1스크린부재 및 제2스크린부재를 통과할 때는 필연적으로 제1수광소자어레이 및 제2수광소자어레이(206)에 빛이 수광되지 못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언급된 이외의 경우에는 꿀벌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구동부(420)와 제2스크린부재(415)를 연결하여 이동구동부(420)를 통해 제2스크린부재(415)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이동구동부(420)와 제1스크린부재(411)를 연결하여 이동구동부(420)를 통해 제1스크린부재(411)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2개의 이동구동부를 마련하고,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에 각각 이동구동부(420)를 연결하며, 각각의 이동구동부(420)를 서로 반대로 동작시켜 제1스크린부재(411)와 제2스크린부재(415)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의 감지유닛은 발광소자를 쉘터의 상부에 배치하고 소광소자를 쉘터의 하부에 배치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쉘터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에 발광소자를 배치하고, 쉘터의 우측벽 또는 좌측벽에 수광소자를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감지유닛은 수광소자 대신 미러를 적용하고, 발광소자에 수광소자도 함께 갖고 있는 수발광소자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 꿀벌
5 : 말벌
10 : 벌통
11 : 출입구
100 : 쉘터
101 : 입구
102 : 출구
105 : 출입공간
110 : 상판
120 : 바닥판
201 : 발광소자
202 : 수광소자
310 : 도어
311 : 랙기어
320 : 승강구동부
321 : 승강구동모터
322 : 피니언기어
330 : 컨트롤러
370 : 전원공급부
411 : 제1스크린부재
412 : 제1구멍
415 : 제2스크린부재
416 : 제2구멍

Claims (7)

  1.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연통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쉘터와;
    상기 쉘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쉘터의 출입공간으로 천적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에서 쉘터의 출입공간으로 천적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출입구 또는 상기 출입공간을 폐쇄시키거나, 상기 쉘터 내부의 천적을 살상시켜 상기 벌통 내부로 천적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쉘터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소자와 마주하는 쉘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쉘터를 따라 설정된 기준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간격은 꿀벌의 몸통 두께보다 길고, 천적의 몸통 두께보다 짧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들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 빛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출입구가 폐쇄되게 상기 승강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쉘터의 입구와 상기 벌통의 출입구 사이의 출입공간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구멍 또는 틈새가 형성된 복수의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구멍 또는 틈새를 상기 스크린부재들 상호 간에 일치시키거나 불일치시키도록 상기 스크린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크린부재를 나머지 스크린부재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들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 빛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부들 각각의 수광소자에서 모두 빛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스크린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들의 이격거리는 꿀벌의 길이보다 길고 천적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들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들의 두께는 꿀벌의 길이보다 길고 천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KR1020180051075A 2018-05-03 2018-05-03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KR102078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075A KR102078214B1 (ko) 2018-05-03 2018-05-03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075A KR102078214B1 (ko) 2018-05-03 2018-05-03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28A true KR20190127028A (ko) 2019-11-13
KR102078214B1 KR102078214B1 (ko) 2020-04-07

Family

ID=6853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075A KR102078214B1 (ko) 2018-05-03 2018-05-03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956A (ko) 2020-03-17 2021-09-27 신현주 말벌 퇴치장치
KR20210136336A (ko) 2020-05-07 2021-11-17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20007298A (ko) 2020-07-10 2022-01-18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21U (ko) 2008-10-01 2008-10-23 박영창 꿀벌 안전망
KR101068412B1 (ko) 2009-09-03 2011-09-29 김주홍 꿀벌보호장치
KR101635317B1 (ko) *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101723346B1 (ko)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101799771B1 (ko)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20180045177A (ko) * 2016-10-25 2018-05-04 장승룡 말벌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21U (ko) 2008-10-01 2008-10-23 박영창 꿀벌 안전망
KR101068412B1 (ko) 2009-09-03 2011-09-29 김주홍 꿀벌보호장치
KR101635317B1 (ko) *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101799771B1 (ko)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20180045177A (ko) * 2016-10-25 2018-05-04 장승룡 말벌 제거장치
KR101723346B1 (ko)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956A (ko) 2020-03-17 2021-09-27 신현주 말벌 퇴치장치
KR20210136336A (ko) 2020-05-07 2021-11-17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20007298A (ko) 2020-07-10 2022-01-18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214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409B1 (ko) 양봉용 벌통의 꿀벌 보호장치
KR20190127028A (ko) 양봉용 벌통의 천적 퇴치장치
KR10163531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KR102441623B1 (ko)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WO2016120649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JP3192877U (ja) 蜜蜂巣門構造
US2024000845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est denial, apiary monitoring and management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WO2010069503A1 (en) Trapping device for frugivorous insects
KR20220048407A (ko) 말벌 퇴치장치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KR20230137563A (ko)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JP3760320B2 (ja)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JP3220502U (ja) スズメバチ捕獲器
KR200372161Y1 (ko) 말벌 지킴이
US20240122170A1 (en) Wasp catcher
JP7085575B2 (ja) 分蜂捕獲器。分蜂群を捕獲し新巣箱へ移動する分蜂捕獲器。
NO346801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light treatment of pollinating insects
KR200343501Y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101952592B1 (ko) 벌통용 출입부
CN113226019B (zh) 用于蜂箱的防捕食装置
JP2004261095A (ja) ミツバチ防御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JP2024520709A (ja) スズメバチ捕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