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151B1 - 해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151B1
KR102073151B1 KR1020180044928A KR20180044928A KR102073151B1 KR 102073151 B1 KR102073151 B1 KR 102073151B1 KR 1020180044928 A KR1020180044928 A KR 1020180044928A KR 20180044928 A KR20180044928 A KR 20180044928A KR 102073151 B1 KR102073151 B1 KR 10207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insects
attractant
insect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524A (ko
Inventor
최문보
Original Assignee
최문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보 filed Critical 최문보
Priority to KR102018004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1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곤충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인제를 이용하여 말벌을 포함하는 곤충을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유인제가 저장된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단이 연통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망사체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망사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이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복수개의 유입구를 외부면에 관통형성한 상부본체 ;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절개형성된 절개부에 개방된 일단이 연통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안내이동되는 연결관체 ; 및 상기 연결관체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낙하공와 개방된 상단이 연통연결되고, 일정량의 포집수가 채워져 상기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장치{Insect capture device}
본 발명은 곤충을 포함하는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생태실험및 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말벌과 같은 해충을 외관상 손상없이 완벽한 상태로 포획할 수 있고 포획후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곤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 생태계에 수만종의 곤충 중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는 예를 들어, 농업 및 하우스시설, 과수 등 원예농가의 나비목의 나방류과, 축산업의 벌목에 장수말벌과, 파리과, 산림업에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지네과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유해 곤충들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나 농약 등을 살포하여 방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제 약품들은 곤충 뿐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하며 특히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끈끈이와 같은 부착식, 전자살충식, 유인등에 의한 포획통, 또는 성적미끼(sex lure)나 꽃미끼(floral lure)와 같은 곤충트랩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포획통은 곤충류의 유인물질에 따라 포획이 가능한 구조물로서, 연구나 학습자료의 목적으로 곤충류를 생포하고자 할 때 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말벌과 같은 해충의 생태를 연구하고자 하는 경우, 포획대상물인 말벌을 부착하는 부착식은 끈끈이판의 모양 및 크기가 불규칙하여 사용의 어려움과 설치 및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한편 부착되어 포획된 포획물의 형태가 온전하지 않고 훼손되어 정확한 실험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 및 유인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방식은 전기설비의 작동시 전기 소비가 필요하여 설비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노천에 설치되는 구조상 전기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557265 Y1
특허문헌 1에는 꿀벌의 크기보다는 크고 말벌의 크기보다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물이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꿀벌의 크기보다는 크고 말벌의 크기보다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물이 장착되어 있는 말벌 수집통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그물에는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유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말벌 수집통은 하우징과 분리되고, 상기 말벌 수집통의 하면은 상기 말벌 수집통의 내부 공간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말벌 수집통의 하면에는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말벌홀이 형성되어 있는 말벌 수집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말벌과 같은 곤충포획장치는 양봉업자들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끼치는 말벌과 같은 해충의 생태연구 및 DNA 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온전한 성체로 포획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태실험및 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말벌과 같은 해충을 외관상 손상없이 완벽한 상태로 포획할 수 있고 포획후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인제를 이용하여 말벌을 포함하는 곤충을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유인제가 저장된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단이 연통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망사체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망사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이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복수개의 유입구를 외부면에 관통형성한 상부본체 ;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절개형성된 절개부에 개방된 일단이 연통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안내이동되는 연결관체 ; 상기 연결관체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낙하공와 개방된 상단이 연통연결되고, 일정량의 포집수가 채워져 상기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유인제의 냄새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의 착지시 다리가 미끄러지지 않고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안전하게 착지될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를 갖는 랜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딩부재는 말벌이 선호하는 펄프의 함량이 높은 종이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사체는 상기 연결관체와 연결되는 절개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망사체의 상단은 상기 절개부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본체는 개방된 상부 입구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수나사부가 대응삽입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상부캡에 의해서 상부본체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빗물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절개부와 대응하는 개구된 일단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부본체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타단이 밀폐된 전면부를 통하여 채광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나머지 상,하부면 및 양측면은 채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는 암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막부는 상기 낙하공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바닥면에 개구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체의 내부로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광불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관체에 삽입배치되는 박스체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단에 나사결합된 제1연결부재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포집체는 상기 연결관체의 낙하공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관통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체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연결부재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망사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구비되어 유인제의 냄새를 통과시키고 내부유입된 곤충의 낙하를 방지하는 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부본체의 유인제에 의해서 상부본체의 유입구를 통하여 말벌과 같은 곤충을 내부로 유인하고, 밀폐된 전면부에 제한적으로 채광이 이루어지는 연결관체의 내부로 유인된 곤충을 포집체와 연통된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시켜 알코올수가 채워진 포집체에서 포획함으로써 포획된 곤충의 손상이나 훼손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포획된 곤충의 부패를 장시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포획된 곤충의 생태실험 및 유전자 분석에 대한 실험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이 유입구에 국부적으로 구비된 랜딩부에서 착지됨으로써 유입구를 통하여 상부본체의 내부로 진입되는 곤충의 유인 및 포획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에서 하부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에서 상부본체에 연결관체를 연결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에서 상부본체에 연결관체를 연결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곤충 포획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인 말벌을 포함하는 곤충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110), 상부본체(120), 연결관체(130) 및 포집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110)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일정량의 유인제가 채워져 저장되는 원통형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하부본체의 상부단은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제가 외부로 발산되어 휘산될 수 있도록 개방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본체(110)에 저장되어 곤충을 유인하도록 외부로 발산되는 유인제는 말벌과 같은 특정 곤충이 선호하는 페로몬성분이 용해된 유인액이거나 참나무 분비 수용액이거나 과즙일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120)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단이 연통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망사체(125)를 고정설치한 대략 중공원 원통형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본체(120)의 외부면에는 상기 망사체(1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인제에 의해서 유도되어 유인된 말벌과 같은 해충이나 곤충을 내부공간으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개의 유입구(121)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측 외부면에는 상기 하부본체(110)에 저장된 유인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1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110)에 저장되어 곤충을 유인하도록 외부로 발산되는 유인제는 말벌과 같은 특정 곤충이 선호하는 페로몬성분이 용해된 유인액이거나 참나무 분비 수용액이거나 과즙일 수 있다.
상기 유입구(121)를 관통형성하는 상부본체(1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연결관체(130)의 개구된 일단과 연통연결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상의 절개부(122)를 절개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21)에는 유인된 곤충 중 제한된 크기를 갖는 곤충만이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도되어 진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작아지면서 외부면에 슬릿(128a)을 형성하는 유도관(1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21)의 관통크기는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대형 곤충들, 즉 딱정벌레류, 대형나방 등은 상부본체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21)가 관통형성되는 상부본체(120)에는 상기 유입구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일치되도록 대략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124a)을 복수개 관통형성한 랜딩부재(124)를 포함하고, 이러한 랜딩부재(124)는 외부로 발산되어 휘산된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의 다리가 상기 유입구(121)에 근접하여 안전하게 착지될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랜딩부재(124)는 유인된 말벌과 같은 곤충의 착지가 용이하도록 표면거칠기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인하여 포획하고자 하는 대상물인 말벌인 경우 말벌들이 둥지를 지을때 나무껍질이나 젖은종이를 턱으로 씹어 타액과 섞어 펄프소재로 둥지를 만드는 생태습성을 고려하여 펄프함량이 높은 종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랜딩부재(124)가 표면거칠기를 갖는 종이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부본체의 유입구(1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인제에 의하여 1차 유인되는 다양한 종류의 곤충 중 강한 턱으로서 종이소재의 랜딩부재를 씹을 수 있는 말벌을 보다 용이하게 2차 유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120)는 상기 유입구(121)와 대응하는 관통공을 관통형성한 랜딩부재(124)를 외부면에 별도의 부재로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입구(121)를 관통형성하는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곤충의 착지시 다리가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깔주기와 같은 거칠기 처리면을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랜딩부재(124) 및 거칠기 처리면이 상기 상부본체(120)의 외부면 전체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유입구(121)와 대응하는 외부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면, 상기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은 상기 랜딩부재(124) 및 거칠기 처리면를 구비하지 않아 매끄러운 상부본체의 외부면에서 미끄러져 착지하지 않고 상기 유입구 근방에 구비되는 랜딩부재 및 거칠기 처리면에서만 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유입구(121)를 통하여 상부본체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진입되는 포획확률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망사체(125)는 상기 절개부(122)와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단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20)의 내부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링(125a)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에 구비되어 유인제의 냄새를 통과시키고 내부유입된 곤충이 하부본체측으로의 낙하를 방지하는 그물망(12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망사체(125)는 상기 절개부(12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망사체(125)의 상단은 상기 절개부(122)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망사체(125) 또는 이에 일체로 구비되는 그물망이 상기 상부본체(120)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부와 연결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본체의 유입구(121)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말벌과 같은 곤충이 경사진 망사체에 안착되어 착지된 상태에서 위로 높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말벌과 같은 곤충의 생태습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절개부(122)와 연통연결되고 부분적으로 채광이 이루어지는 연결관체(130)측으로 안내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120)는 개방된 상부 입구단에 구비되는 수나사부(126a)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상부캡(126)을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부(126a)가 대응 삽입배치되는 원형공(127a)을 중앙에 관통형성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콘 단면상의 빗물차단판(1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120)의 개방된 상부입구단은 상기 상부캡(126)에 의해서 밀봉처리되며, 상기 상부캡의 개방에 의해서 상부본체의 내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빗물차단판(127)은 상기 상부본체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원반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126)에 의해서 상부본체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유입구(121)를 통하여 내부로 불필요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20)의 개방된 하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하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는 상,하단 각 내부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재(114)를 매개로 하여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유인제가 모두 소진되어 유인성이 저하되면 상기 상부본체(120)와 결합된 제1연결부재(114)로부터 하부본체(110)만을 분리하여 유인제를 보충하여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하부본체(110,120)는 상기 제1연결부재(114)를 매개로 하여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통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상기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부가 직접적으로 나사결합되거나 끼움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체(130)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120)의 외부면에 절개형성된 절개부(122)와 연통연결되는 일단인 후단부는 개방되고, 반대편 타단인 전면부(131)는 밀폐되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본체(12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관체(130)는 상기 상부본체의 절개부(122)와 대응하는 개구된 일단에 양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결부재(13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34)를 통하여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절개부(122)와 개구된 일단이 연통되도록 고정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체(1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본체의 절개부(122)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된 말벌과 같은 곤충이 밀폐된 전면부(131)를 통하여 조사되는 채광에 의해서 3차로 유인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부로 자연스럽게 낙하이동되어 상기 포집체(140)에서 손상없이 포획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낙하공(132)을 관통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본체(120)의 절개부(122)와 개방된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연결관체(130)는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지만 밀폐된 전면부(131)를 통하여 채광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나머지 상,하부면 및 양측면은 채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는 암막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막부(135)는 상기 낙하공(132)과 대응하는 개구부(135a)를 바닥면에 개구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체의 내부로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광불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관체(130)에 삽입배치되는 박스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관체의 내부로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상기 연결관체의 상,하부면 및 양측면에 검정색으로 도색되는 도색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체(130)에 구비되는 암막부(135)에 의해서 상기 절개부와 연통연결되는 개구된 일단의 반대편인 전면부(131)를 통하여 채광됨으로써, 상기 상부본체(120)의 유입구(121)를 통해 내부로 유인되어 경사진 망사체(125)에 안착된 다음, 상측에 위치하는 절개부(122)와 연통된 연결관체(130)의 내부로 진입된 말벌과 같은 곤충은 빛을 따라 이동하는 주광성을 생태습성에 의해서 상기 연결관체의 내부로 3차 유인된 다음, 상기 낙하공(132)으로 자연스럽게 낙하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포집체(140)는 도 1,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13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낙하공(132)과 개방된 상단이 연통연결되고, 일정량의 포집수가 채워져 상기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집체에 채워지는 포집수는 상기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되어 포집되는 말벌과 같은 곤충의 부패를 방지하여 실험목적으로 포집되는 곤충의 신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알코올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체(140)는 개방된 상부단에 수나사부(141)를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낙하공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관통공(142a)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체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연결부재(142)에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집체의 내부에 채워진 포집수에 곤충이 낙하되어 포집되면, 상기 제2연결부재(142)에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된 포집체(14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관체로부터 분리하고, 알코올수에 포집된 곤충을 수거한 다음 분리된 포집체(140)를 간편하게 나사체결방식으로 재조립하여 재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본체(110)의 하부면과 상기 포집체(140)의 하부면은 동시에 바닥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제1,2연결부재(114,142)에 각각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하부본체와 포집체의 조립위치를 상하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연결관체에 구비되는 다른 고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스트랩(S)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체(130)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36)를 매개로 하여 상기 상부본체(120)의 절개부(122)와 연통되도록 접속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136)는 상기 연결관체의 개구된 일단이 대응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절개부와 대응하는 접속관(136a)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136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감싸도록 호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밴드부재(136b)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밴드부재의 각 자유단에 절곡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절곡단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체의 개구된 일단은 접속관의 단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속과 연결관체가 서로 접속연결되는 중첩부위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하부본체
120 : 상부본체
121 : 유입구
122 : 절개부
124 : 랜딩부재
125 : 망사체
130 : 연결관체
131 : 전면부
132 : 낙하공
135 : 암막부
136 : 접속부
140 : 포집체

Claims (10)

  1. 유인제를 이용하여 말벌을 포함하는 곤충을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유인제가 저장된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단이 연통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망사체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망사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이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복수개의 유입구를 외부면에 관통형성한 상부본체 ;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절개형성된 절개부에 개방된 일단이 연통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안내이동되는 연결관체 ;
    상기 연결관체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낙하공와 개방된 상단이 연통연결되고, 일정량의 포집수가 채워져 상기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유인제의 냄새에 의해서 유인된 곤충의 착지시 다리가 미끄러지지 않고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안전하게 착지될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를 갖는 랜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딩부재는 말벌이 선호하는 펄프의 함량이 높은 종이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사체는 상기 연결관체와 연결되는 절개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망사체의 상단은 상기 절개부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본체는 개방된 상부 입구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수나사부가 대응삽입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상부캡에 의해서 상부본체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빗물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절개부와 대응하는 개구된 일단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부본체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타단이 밀폐된 전면부를 통하여 채광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나머지 상,하부면 및 양측면은 채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는 암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막부는 상기 낙하공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바닥면에 개구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체의 내부로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광불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관체에 삽입배치되는 박스체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단에 나사결합된 제1연결부재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포집체는 상기 연결관체의 낙하공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관통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체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연결부재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구비되어 유인제의 냄새를 통과시키고 내부유입된 곤충의 낙하를 방지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획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44928A 2018-04-18 2018-04-18 해충 포획장치 KR10207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28A KR102073151B1 (ko) 2018-04-18 2018-04-18 해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28A KR102073151B1 (ko) 2018-04-18 2018-04-18 해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24A KR20190121524A (ko) 2019-10-28
KR102073151B1 true KR102073151B1 (ko) 2020-02-04

Family

ID=6842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928A KR102073151B1 (ko) 2018-04-18 2018-04-18 해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08Y1 (ko) * 2018-12-24 2020-04-02 김형인 말벌 포획장치
KR102610579B1 (ko) * 2021-03-26 2023-12-07 (주)에프제이테크 해충 포획장치
CN113920541B (zh) * 2021-11-10 2024-07-05 南通大学 一种昆虫着落腿部行为特征采集方法及采集装置
CN117296811B (zh) * 2023-11-01 2024-06-11 肥城市牛山林场 一种可活捉害虫的林业害虫诱捕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576B1 (ko) * 2016-12-28 2017-08-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해충 포획기
KR101799771B1 (ko) *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075B1 (ko) * 2014-12-29 2017-04-04 대한민국 교차형 유인 조립체를 갖는 포충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71B1 (ko) *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765576B1 (ko) * 2016-12-28 2017-08-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해충 포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24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USRE46421E1 (en) Carpenter bee traps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1765576B1 (ko) 해충 포획기
US20130298444A1 (en) Stink bug trap
US4908976A (en) Tubular shaped vermin trap with interior adhesive and suffocation means
US6112454A (en) Insect trap for capturing numerous species of the coleopteran order
KR102040486B1 (ko) 시각, 후각과 온도습성을 이용한 말벌유인 포획기
CN111480632A (zh) 一种蝗虫监测诱捕仪及其使用方法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KR20130069909A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EP1399017B1 (en) Trap and method for trapping wasps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CN211458608U (zh) 一种白蚁自动报警装置
US20170367313A1 (en) Crawling insect trap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102610579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70139389A (ko) 땅 속 매립식 해충 포집기
CN212545210U (zh) 一种蝗虫监测诱捕仪
CN206196742U (zh) 频振式太阳能灭虫灯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