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576B1 - 해충 포획기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576B1
KR101765576B1 KR1020160180878A KR20160180878A KR101765576B1 KR 101765576 B1 KR101765576 B1 KR 101765576B1 KR 1020160180878 A KR1020160180878 A KR 1020160180878A KR 20160180878 A KR20160180878 A KR 20160180878A KR 101765576 B1 KR101765576 B1 KR 101765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attractant
coupled
catch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길
이진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Priority to KR102016018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윗면에 연결용 고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부커버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중앙이 개방되어 해충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해충 유입구에 결합되어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통형 탈출방지캡1,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일정 길이의 실에 의해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탈출방지캡1의 내부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는 탈출방지 콘,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연통돌기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단의 외측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통 형상의 포획통,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관통하며 양자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이격볼트, 상기 포획통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돌기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담긴 해충 유인제를 배출하는 유인제 배출장치 및 상기 포획통의 측방에 형성된 연통돌기에 착탈으로 결합되고, 측방에 다수의 탈출공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하는 선별채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기{Multi-purpose 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본 발명은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해충의 습성을 이용해 방향성 유인제로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통과 채집통으로 해충을 생포하는 것으로, 유익한 곤충은 탈출이 가능하나 유해한 해충은 탈출할 수 없어 선별적으로 생포할 수 있고, 설치 조립, 해체와 유지 관리가 편리하여 기능성과 실용성이 뛰어난 친환경적인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업, 축산업, 산림업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을 방향성 유인제로 유인하고, 포획통과 채집통을 이용하여 포획하여 해충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를 줄이고, 포획된 곤충을 이용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거나 연구자료, 학습자료로 이용하도록 하는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자연 생태계에 존재하는 수만 종의 벌레나 곤충 중에 하우스시설, 과수 등의 농업, 양봉업, 축산업이나 임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는 예를 들어, 모기, 나비목의 나방류, 말벌류, 메뚜기류, 벼멸구, 파리, 송충이, 소나무 재선충, 딱정벌레목 하늘소, 지네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유해 곤충들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나 농약 등을 살포하여 방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제 약품들은 벌레나 곤충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하며 환경을 오염시켜 장기간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환경오염을 피하면서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끈끈이와 같은 부착식, 전자살충식, 유인등에 의한 포획통, 또는 성적미끼(sex lure)나 꽃미끼(floral lure)와 같은 곤충트랩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곤충을 유인물질로 유인한 후 포획통을 이용해 포획하는 기술의 예로, 등록특허 10-1438976호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유해곤충의 유인제를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외부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되는 유인제수납통을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에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역이동방지 게이트를 설치하며, 상기 유인제수납통의 상부측에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로용 망체를 씌우고, 이동로용 망체의 주위를 포위하는 포획망(470)체와 고정덮개로 구성되는 유해곤충류 유인 친환경 포획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포획기는 유인제의 휘산을 촉진하는 기능이 없어 대상 곤충을 모으는데 한계가 있으며, 주변에 모여든 유해곤충이 포획기에 접근하기가 어려워 유해곤충의 포획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가 고안하여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866호에서는 상하로 분리 가능한 포획통에 포획하고자 하는 곤충에 따라 페로몬이나 유인액 및 고체 유인물질과 태양열 발광체를 설치하고, 유인 포획된 곤충이 모여있는 하포획통의 일측에 제2유인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채집통에 통기공 사이즈를 조정하여 포획할 필요가 없는 곤충은 빠져나가고 포획하고자 하는 종류나 크기의 곤충만을 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목적 곤충 포획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도 유인제의 휘산을 촉진하는 기능이 없어 목적하는 곤충을 모으는데 한계가 있었고, 유인액을 먹은 해충이 탈출방지캡을 통해 탈출이 가능하였으며, 유인제 수납용기가 협소하여 사용기간이 짧아 유인제를 자주 충전해야 하였고, 채집통에 들어간 꿀벌이나 작은 곤충이 탈출구에 접근하기가 어려워 탈출시간이 길어져 말벌에게 잡혀 죽는 경우가 많았으며, 채집통이 작아 일시에 많은 곤충이 포획되었을 때 채집의 한계가 있었고, 말벌과 같은 맹독성 곤충을 채집통에서 꺼내는 일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38976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86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하기 위해, 유인제의 확산을 촉진하여 넓은 지역의 해충을 유인하고, 포획통으로부터 유인된 해충의 탈출을 차단하며, 유인제 수납용기의 확대와 포획통과 결합을 개선하여 사용기간을 늘리고, 채집통에 들어간 꿀벌과 같은 익충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채집통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시에 많은 해충이 포획되더라도 수용이 가능하고, 말벌과 같은 맹독성 해충을 채집통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윗면에 연결용 고리(120)가 형성된 상부커버(100); 상부커버(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중앙이 개방되어 해충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커버(200); 상기 해충 유입구에 결합되어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통형 탈출방지캡1;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일정 길이의 실에 의해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탈출방지캡1의 내부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는 탈출방지 콘;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연통돌기(310)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단의 외측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통 형상의 포획통(300); 상기 상부커버(100)의 상부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200)를 관통하며 양자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이격볼트; 상기 포획통(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돌기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담긴 해충 유인제를 배출하는 유인제 배출장치; 및 상기 포획통(300)의 측방에 형성된 연통돌기(310)에 착탈으로 결합되고, 측방에 다수의 탈출공(430)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하는 선별채집통(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인제 배출장치는 수용부, 테이퍼부와 주입구를 갖춘 병 형상의 유인제 용기A; 상기 테이퍼부의 외부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획통의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포획통(300)과 결합되는 제1 체결부(530); 상기 유인제 용기A의 내부와 상기 주입구에 연결되어 유인제를 모세관현상에 의해 주입구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인제배출심지(550); 및 상기 테이퍼부의 상부, 포획통이 결합되는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담긴 유인제가 상기 기공을 통해 포획통(300)의 내부와 외부로 휘산되고, 외부로부터 유인된 해충이 상기 유인제배출심지에 앉아 유인제를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기는 유인제의 휘산을 촉진하여 넓은 지역의 해충이나 곤충을 유인할 수 있고, 포획통으로부터 유입된 해충이 탈출할 수 없으며, 유인제 수납용기의 확대와 포획통과 결합을 개선되어 장기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채집통에 들어간 꿀벌 등의 유익한 곤충의 탈출이 용이하여 말벌 등에 의한 피해가 줄어들며, 채집통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어 일시에 많은 곤충이 포획되더라도 수용이 가능하고, 말벌과 같은 맹독성 곤충을 채집통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어 과수, 채소, 양봉장 등에 많은 피해를 주는 말벌, 파리, 노린재 등의 유해한 곤충을 농약을 치지 않고 유인제로 유인하여 친환경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출방지 콘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판의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선별채집기의 다양한 결합태양에 대한 설명도.
본 발명의 해충 포획기에 대한 구성, 특이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이용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탈출방지 콘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판의 사시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선별채집기의 다양한 결합태양에 대한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해충 포획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해충 채집기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해충이 포획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포획통(300)의 상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날아다니는 해충이 착륙하여 진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커버(200)가 포획통(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커버(200)의 상부에는 포획통(300)에 빗물이 들어가거나 햇빛이 비추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상부커버(100)가 이격볼트(270)를 통해 결합된다.
포획통(300)의 하부에는 페로몬, 유인액 또는 고체 유인물질 등의 유인제가 담긴 유인제 배출장치(500)가 결합되고, 포획통(300)의 측면에는 포획통(300)에 진입하여 유인제를 포식한 해충을 채집하기 위한 선별채집통(400)이 부착되어 해충을 산채로 포획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해충 포획기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커버(100)는 포획기의 상부에 햇빛과 빗물이나 낙엽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부착되며, 해충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도록 햇빛이 반사하지 않는 불투명한 재질에 나무줄기와 유사한 색상으로 제작하고, 빗물이 잘 흘러내리도록 가운데가 부풀어 만곡된 형태가 좋으며, 일측은 호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나무줄기에 걸어두어도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커버(100)의 상면에는 고리(120)를 형성하여 철사, 노끈 등의 줄을 연결하여 해충 채집기를 나무 등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00)의 아래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부커버(100)와 같은 색상과 재질로 제작되며, 일측이 호형상을 이루고, 중앙이 개방되어 해충 유입구를 이루는 하부커버(200)가 결합된다. 상하부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호형상은 포획기가 나무줄기에 기대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충이 나무줄기를 통하여 하부커버(200)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하부커버(200)의 유입구의 주변에 유인액저장홈(250)을 형성해 놓고 소량의 유인제를 넣어 두면 유인제의 휘산이 촉진되고, 해충이 유인제와 유입구 주변으로 직접 모여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해충 유입구에는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는 넓고 출구가 좁은 상광하협 형상의 원뿔대통형 탈출방지캡1이 장착된다. 상기 탈출방지캡1과 연동하여 해충의 탈출을 더 어렵게 하기 위해 탈출방지 콘(350)이 결합된다. 탈출방지 콘은 탈출방지캡1의 내부보다 폭이 좁은 꼬깔이나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탈출방지 콘의 첨단부가 상부커버의 아래쪽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실에 연결되어 탈출방지캡1(340)의 내부에 대롱대롱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충이 탈출방지캡1로 들어가 탈출방지 콘에 닿으면 옆으로 밀려 입구를 열어주고, 해충이 진입하면 중력에 의해 다시 탈출방지캡1의 중심부로 이동하여 출구를 막도록 한다.
하부커버(200)의 밑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 돌출된 연통돌기(310)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단의 외측에는 다수의 체결돌기(370)가 형성된 원통 또는 각기둥 형상의 포획통(300)이 결합된다.
상부커버, 하부커버와 포획통의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커버(100)의 상부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200)를 관통하며 중간의 굵은 부분에 의해 양자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이격볼트(270)가 결합된다.
상기 포획통(300)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로 유인제 배출장치(500)와 결합을 위해 외측에 복수의 체결돌기(370)가 형성되고, 유인제 배출장치에는 포획통(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530, 720)가 형성된다. 유인제 배출장치(500)는 유인제 용기A(510)와 유인제 용기B(700)를 포함하며, 유인제 용기A와 유인제 용기B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포획통(300)의 측면에 형성된 연통돌기(310)에 병 형상으로 제작되고, 측방에 다수의 탈출공(430)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하는 선별채집통(400)이 결합된다.
포획통(300)에서 유인제를 포식한 해충이 귀가하기 위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연통돌기(310)는 포획통(300)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별채집통(400)의 주입구의 단부 주변에는 두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포획통(300)의 연통돌기(310)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들어가는 안내홈과 안내홈에 연결된 2개의 슬롯(320)이 형성되어 선별채집통(400)과 결합시 잠금홈의 작용을 하게 된다.
선별채집통(400)을 포획통(300)에서 분리할 때에 포획통(300)에 남아있는 말벌 등의 해충이 튀어나와 사람을 공격하거나 탈출하게 되므로, 포획통의 적절한 곳에 실, 철사, 노끈과 같은 줄에 연결하여 부착된 별도의 탈출방지용 탈출방지 셔터(330)를 상기 슬롯(320)에 삽입하여 포획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선별채집통(400)의 주입구에는 원뿔대통 형상의 탈출방지캡2가 결합되어 선별채집통(400)에 진입한 해충이 포획통(300)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 형상의 선별채집통(400)의 측방에는 채집을 원하지 않는 꿀벌과 같이 몸집이 작은 곤충의 탈출을 위해 다수의 탈출공(430)이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공(430)들의 아래에는 막대형 착륙판(440)을 설치하여 채집을 원하지 않는 곤충들이 신속히 탈출하여 말벌과 같은 포식자들에 의해 잡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선별채집통은 목적하는 곤충류의 크기, 종류 및 양에 따라 탈출공(430) 직경의 크기나 모양에 변화를 주면 특정 곤충용 채집통으로 이용될 수 있어 포획기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데, 탈출공(430)의 직경을 5.6 ~ 6.1 mm일 때 꿀벌과 꿀벌보다 몸집이 작은 곤충들이 쉽게 탈출할 수 있고 이보다 큰 말벌 등은 탈출할 수 없게 된다.
선별채집통(400)의 후미 외측에는 돌출턱(450)을 형성되고, 돌출턱(450)에 입구에 링형상의 조임 가능한 고무줄이나 줄이 결합된 포획망(470)을 결합해 놓으면, 채집된 개체수가 많아질 때, 늘어난 곤충을 더 수용할 수 있으며, 말벌과 같은 위험한 곤충을 선별채집통(400)으로부터 꺼낼 때에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선별채집통(400)의 상부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유인액을 담은 병 형상의 유인액 발산부재(420)가 상기 삽입구에 설치되어 유인제의 휘산이 촉진되게 할 수 있고, 상기 선별채집통의 외측 단부는 개방되어 가운데에 삽입구가 형성된 별도의 채집통 마개(480)가 결합되고, 상기 삽입구에는 탈출방지캡2(410)가 결합되어 해충이 선별채집통에 직접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집통 마개(480)의 삽입구에 소주 등의 담금술이 담기고 주둥이가 "ㄱ"자 형상으로 꺾인 술병(800)을 결합하고, 상기 채집통 마개의 안쪽으로부터 술병에 들어간 해충의 탈출을 막는 원뿔대통 형상의 탈출방지캡3(490)을 설치해 놓고, 포획된 말벌 등의 해충이 담금술에 직접 들어가도록 하여 위험한 말벌 등을 잡아 술병에 집어 넣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유인제 배출장치(500)는 포획기간에 따라 크기가 큰 유인제 용기를 사용하여 비교적 장기간 동안 포획을 하는 경우와 포획기간이 짧고 작은 유인제 용기를 사용하는 두가지 실시예가 제시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인제배출장치(500)는 유인제용기A(510)를 사용하며, 장기간 동안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며, 유인제배출장치(500)의 크기가 유인제용기B(700)에 비해 크므로 나무에 걸어두고 사용하기보다는 바닥에 거치대나 가대를 설치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인제용기A는 물통 형상의 용기의 몸통부와 목부를 연결하는 테이퍼부의 외부에 포획통이 삽입되도록 원형으로 제1 체결부(530)가 돌출 형성되고, 포획통(300)의 체결돌기(370)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포획통(300)과 결합된다.
유인제 용기A(510)에는 비교적 큰 용기에 담긴 유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 유인제배출심지(550)를 유인제 용기A(510)의 내부에서 주입구로 연결하여 유인제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배출된다. 유인제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올라오는 관계로 유인제가 휘산되는 양이 부족하므로 유인제 용기A의 테이퍼부의 상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여 내부의 유인제가 기공을 통하여 휘산되도록 하는 한편, 유인제 용기A의 테이퍼부의 외부 바깥쪽에 태양전지(600)와 전원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태양전지(600)의 전력을 이용해 유인제 용기A의 내부에 수중펌프(630)에 결합된 분수 노즐(670)을 설치하여 유인제의 휘산을 더욱 촉진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인제 용기A의 주입구로부터 수용부로 지지봉(620)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620)의 하단에 수중펌프(630)를 고정하며, 상기 수중펌프의 하부에 유인제 흡입관(640)을 유인제 내부에 연결하고, 수중펌프(630)의 상부에 배출관(650)을 연결한 후 배출관(650)의 단부에 노즐(670)을 결합하여 수중펌프(630)를 이용해 유인제를 유인제용기A의 상부, 즉 포획통이 결합된 내측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향해 분출하여 유인제가 원활하게 휘산되도록 한다.
한편, 노즐에서 분출된 유인제가 기공의 상부에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공의 상부에 다수의 관통된 기공이 형성된 휘산판(680)을 설치하여 유인제가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해충이 휘산판에서도 유인제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산된 유인제는 기공(540)을 통해 나와 포획통(300)과 탈출방지캡1을 거쳐서 해충 포획기의 외부에 휘산되며, 말벌을 비롯한 해충은 하부커버(200)에 착지한 후 탈출방지캡1을 통해 포획통(300)에 진입한 후 유인제 용기A의 주입구에 돌출된 유인제배출심지(550)의 상부나 휘산판(680) 에 앉아 유인제를 포식한 후 귀가하기 위해 포획통(300)의 상부로 올라간 후 선별채집통(400)으로 들어가 갖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인제 배출장치는 통상적으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유인제 용기B(700)가 사용되는 것으로, 용기의 크기가 유인제 용기A(700) 보다 작아 나무 등에 걸어두거나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컵 형상의 유인제 용기B(700)는 내부의 유인제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획통(30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바닥판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제2 체결부(720)가 구성되며, 제2 체결부(720)에는 포획통(300)의 체결돌기(370)와 결합을 위해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유인제 용기B(700)는 내부에 담긴 페로몬 등의 액상 유인제 상부에 띄워 말벌 등의 해충이 유인제를 먹기 위한 장소로 부유판(730)이 설치된다. 부유판은 하부에 다수의 공기저장공간(760)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저장공간(760)의 사이에는 다수의 유인제 배출구멍(780)이 형성되어 유인액의 상부에 부유하면서 유인제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유인제 용기B(700)의 내측면에 상하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750)를 형성하고, 부유판(730)의 가장자리에도 이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여 삽입하면 부유판(730)이 유인액의 상부에서 기울어져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기는 농업, 축산업, 산림업 등에 많은 피해를 주는 말벌, 파리, 노린재 등의 유해한 곤충을 농약을 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포획할 수 있으며, 특히, 양봉장의 꿀벌을 습격하는 말벌을 포획하여 꿀벌의 개체수감소를 차단하여 꿀벌이 꽃가루받이를 해주는 과일을 비롯한 농작물을 풍성하게 수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포획된 말벌을 이용하여 말벌주를 제조하는 등, 포획한 유해한 곤충을 가공하여 농가의 부가소득을 창출할 수 있고, 연구자료, 학습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상부커버 120 : 고리
200 : 하부커버 250 : 유인액저장홈
270 : 이격볼트 300 : 포획통
310 : 연통돌기 320 : 슬롯
330 : 탈출방지 셔터 340 : 탈출방지캡1
350 : 탈출방지 콘 370 : 체결돌기
400 : 선별채집통 410 : 탈출방지캡2
420 : 유인액 발산부재 430 : 탈출공
440 : 착륙판 450 : 돌출턱
470 : 포획망 480 : 채집통 마개
490 : 탈출방지캡3 500 : 유인제배출장치
510 : 유인제용기A 530 : 제1 체결부
550 : 유인제배출심지 600 : 태양전지
620 : 지지봉 630 : 수중펌프
640 : 흡입관 650 : 배출관
670 : 노즐 680 : 휘산판
700 : 유인제용기B 720 : 제2 체결부
730 : 부유판 750 : 가이드 돌기
760 : 공기저장공간 800 : 술병

Claims (8)

  1. 윗면에 연결용 고리(120)가 형성된 상부커버(100);
    상부커버(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중앙이 개방되어 해충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커버(200);
    상기 해충 유입구에 결합되어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통형 탈출방지캡1;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일정 길이의 실에 의해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탈출방지캡1의 내부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는 탈출방지 콘;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연통돌기(310)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단의 외측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통 형상의 포획통(300);
    상기 상부커버(100)의 상부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200)를 관통하며 양자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이격볼트;
    상기 포획통(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돌기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담긴 해충 유인제를 배출하는 유인제 배출장치; 및
    상기 포획통(300)의 측방에 형성된 연통돌기(310)에 착탈으로 결합되고, 측방에 다수의 탈출공(430)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하는 선별채집통(400);을 포함하고,
    상기 포획통의 측방에 줄로 매달아 놓은 탈출방지용 탈출방지 셔터(33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선별채집통(400)의 주입구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포획통(300)의 측방에 형성된 연통돌기(310)에는 안내홈에 연결된 2개의 슬롯(320)이 형성되어 선별채집통(400)과 결합시 잠금홈의 작용을 하고, 상기 선별채집통(400)의 주입구에는 원뿔대통 형상의 탈출방지캡2(410)가 결합되어 선별채집통(400)에 진입한 해충이 포획통(300)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선별채집통을 포획통으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슬롯(320)에 상기 탈출방지 셔터(330)를 삽입하여 포획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배출장치는
    수용부, 테이퍼부와 주입구를 갖춘 병 형상의 유인제 용기A(510);
    상기 테이퍼부의 외부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획통의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포획통(300)과 결합되는 제1 체결부(530);
    상기 유인제 용기A의 내부와 상기 주입구에 연결되어 유인제를 모세관현상에 의해 주입구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인제배출심지(550); 및
    상기 테이퍼부의 상부, 포획통이 결합되는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담긴 유인제가 상기 기공을 통해 포획통(300)의 내부와 외부로 휘산되고, 외부로부터 유인된 해충이 상기 유인제배출심지에 앉아 유인제를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용기A의 테이퍼부에 결합된 태양전지(600);
    상기 유인제 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수용부로 삽입된 지지봉(620);
    상기 지지봉(620)의 하단에 결합된 수중펌프(630);
    상기 수중펌프(630)에 연결된 흡입관(640)과 배출관(650);
    상기 배출관(650)의 단부에 결합된 노즐(670); 및 상기 기공의 상부에 얹어지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휘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600)의 전력을 이용해 수중펌프(630)를 가동하여 유인제를 유인제 용기A의 내부와 기공에 분사하여 유인제의 휘산을 촉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배출장치는
    상기 포획통(300)의 하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유인제가 담겨지는 컵형상의 유인제용기B(700);
    상기 유인제 용기B의 바닥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포획통의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포획통과 결합되는 제2 체결부; 상기 유인제 용기B의 내부 벽면에 상하로 돌출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750); 및
    상기 유인제 용기B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에 다수의 공기저장공간(760)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저장공간(760)의 사이에는 다수의 유인제배출구멍(780)이 형성되며, 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를 타고 승하강하면서 유인액의 상부에 부유하며 유인제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부유판(7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채집통(400)의 상부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유인액을 담은 병 형상의 유인액 발산부재(420)가 상기 삽입구에 결합되어 유인제의 휘산이 촉진되고, 상기 선별채집통의 단부가 개방되며 외측에는 돌출턱(45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에 입구가 묶인 포획망(470)이 더 포함되어 포획된 해충의 저장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채집통의 단부가 개방되고, 삽입공이 형성된 채집통 마개(480)가 결합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탈출방지캡2(410)가 결합되어 선별채집통의 외부로부터 해충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통마개(480)의 삽입구에는 담금술이 담긴 술병의 주둥이가 결합되고 상기 채집통마개의 안쪽으로부터 술병에 들어간 해충의 탈출을 막는 원뿔대통 형상의 탈출방지캡3(49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기.

















KR1020160180878A 2016-12-28 2016-12-28 해충 포획기 KR10176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878A KR101765576B1 (ko) 2016-12-28 2016-12-28 해충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878A KR101765576B1 (ko) 2016-12-28 2016-12-28 해충 포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576B1 true KR101765576B1 (ko) 2017-08-07

Family

ID=5965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878A KR101765576B1 (ko) 2016-12-28 2016-12-28 해충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57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064B1 (ko) 2018-12-04 2019-10-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20190121524A (ko) * 2018-04-18 2019-10-28 최문보 해충 포획장치
KR102040486B1 (ko) * 2018-04-30 2019-11-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후각과 온도습성을 이용한 말벌유인 포획기
KR102052989B1 (ko) 2018-10-03 2019-12-06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관리시스템
KR200491408Y1 (ko) 2018-12-24 2020-04-02 김형인 말벌 포획장치
WO2020096313A1 (ko) *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하니비웨이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CN111449036A (zh) * 2020-05-14 2020-07-28 南京威迪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有害生物智能识别自动分拣装置
KR20220108950A (ko) 2021-01-28 2022-08-04 김동규 벌통 덮개 구조
KR20230000988U (ko) 2021-11-09 2023-05-16 김우열 말벌포획안전제거장치
CN117296811A (zh) * 2023-11-01 2023-12-29 肥城市牛山林场 一种可活捉害虫的林业害虫诱捕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301A (ja) * 2001-06-29 2003-03-18 Earth Chem Corp Ltd 飛翔害虫用捕獲器
KR200381866Y1 (ko) * 2005-02-02 2005-04-18 이준길 다목적 곤충 포획기
JP2009500038A (ja) * 2005-07-06 2009-01-08 アメリカン バイオフィジ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霧発生器を備えた虫捕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301A (ja) * 2001-06-29 2003-03-18 Earth Chem Corp Ltd 飛翔害虫用捕獲器
KR200381866Y1 (ko) * 2005-02-02 2005-04-18 이준길 다목적 곤충 포획기
JP2009500038A (ja) * 2005-07-06 2009-01-08 アメリカン バイオフィジ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霧発生器を備えた虫捕捉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24A (ko) * 2018-04-18 2019-10-28 최문보 해충 포획장치
KR102073151B1 (ko) * 2018-04-18 2020-02-04 최문보 해충 포획장치
KR102040486B1 (ko) * 2018-04-30 2019-11-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후각과 온도습성을 이용한 말벌유인 포획기
KR102052989B1 (ko) 2018-10-03 2019-12-06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관리시스템
WO2020096313A1 (ko) *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하니비웨이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102029064B1 (ko) 2018-12-04 2019-10-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200491408Y1 (ko) 2018-12-24 2020-04-02 김형인 말벌 포획장치
CN111449036A (zh) * 2020-05-14 2020-07-28 南京威迪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有害生物智能识别自动分拣装置
CN111449036B (zh) * 2020-05-14 2024-04-26 南京威迪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有害生物智能识别自动分拣装置
KR20220108950A (ko) 2021-01-28 2022-08-04 김동규 벌통 덮개 구조
KR20230000988U (ko) 2021-11-09 2023-05-16 김우열 말벌포획안전제거장치
CN117296811A (zh) * 2023-11-01 2023-12-29 肥城市牛山林场 一种可活捉害虫的林业害虫诱捕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76B1 (ko) 해충 포획기
US6301827B1 (en) Japanese beetle trap
US6112454A (en) Insect trap for capturing numerous species of the coleopteran order
KR101822029B1 (ko) 꿀벌통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101945815B1 (ko) 토양 바닥 설치형 일회용 토양 서식 해충 포집기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EP2375891B1 (en) Trapping device for frugivorous insects
KR200483775Y1 (ko) 나무좀 예찰 트랩
KR101677727B1 (ko)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2610579B1 (ko) 해충 포획장치
CN218245266U (zh) 一种简易火龙果害虫诱捕器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CN214126635U (zh) 一种大容量诱捕器
KR20160143161A (ko) 소나무 재선충병 방지용 통발구조 해충 포획트랩
CN211932173U (zh) 一种昆虫诱捕器
CN209995179U (zh) 一种果树害虫诱捕装置
JPH09140310A (ja) 害虫誘引捕獲器
CN218007818U (zh) 一种昆虫活体采集装置
CN212184798U (zh) 一种百香果种植诱虫装置
RU207900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накопительная ловушка для отлова клопов-щитников
CN213756347U (zh) 一种天牛捕捉装置
CN220875620U (zh) 一种便携式胡蜂诱捕装置
CN215582964U (zh) 一种天牛诱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