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727B1 -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727B1
KR101677727B1 KR1020140145635A KR20140145635A KR101677727B1 KR 101677727 B1 KR101677727 B1 KR 101677727B1 KR 1020140145635 A KR1020140145635 A KR 1020140145635A KR 20140145635 A KR20140145635 A KR 20140145635A KR 101677727 B1 KR101677727 B1 KR 10167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llecting
fluid
guide tube
attr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193A (ko
Inventor
이일규
Original Assignee
이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규 filed Critical 이일규
Priority to KR102014014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7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이격되게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인제를 증발시켜 해충을 유인한 다음 포집하는 수목의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형으로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포집구가 형성된 중공의 포집 가이드들을 상하 이격되게 적층시킨 포집 가이드부와;
상기 포집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집 가이드부를 따라 하부로 자중 낙하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함과;
상기 포집 가이드의 포집구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관과;
증발유체에 용해되어, 포집 가이드를 관통한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유체와 함께 증발되는 유인제; 및
상기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 또는 유인제가 배치된 안내관의 표면에 증발유체를 공급하는 증발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증발 유체 공급부는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를 안내관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를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Forest insect enticing capture apparatus}
본 발명은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이격되게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인제를 증발시켜 해충을 유인한 다음 포집하는 수목의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해충은 수목에 피해를 주는 곤충류를 칭한다. 이러한 해충은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히 활동을 하면서 수목에 피해를 가한다. 해충은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주택지거나 공장과의 거리, 지형이나 그 밖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70년대 중반까지는 솔나방, 솔잎혹파리, 미국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의 해충 4종과 잣나무털녹병을 포함하여 산림의 5대 병해충이 크게 문제가 되었으나, 1980년대에는 솔나방 피해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솔껍질깍지벌레, 잣나무넓적잎벌, 황철나무알락하늘소, 버즘나무방패벌레 등 새로운 해충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도록 매개하는 해충인 광릉긴나무좀의 활동으로 인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이 크게 문제되고 있으며, 아울러 포도나무와 가중나무, 사철나무, 버즘나무 등의 수간에 위치하여 흡즙 가해하여 수목 등을 손상시키는 꽃매미의 문제가 급격하게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광릉긴나무좀은 수컷이 참나무류, 서어나무 등의 수간을 천공하여 침입한 후, 수컷의 페로몬으로 집단(암컷, 수컷)을 유인하여 천공공간으로 암컷을 유인한다.
그리고, 광릉긴나무좀의 암컷 등에 있는 균낭속의 레펠이아(Raffaelea)속 암브로시아균이 수목의 내부로 전염되어 수목의 도관 등을 파괴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꽃매미는 포도나무와 같은 유실수에 왕성하게 달라붙어서 수액을 흡즙한다. 따라서, 산림이나 원예 농가는 각각 광릉긴나무좀이나 꽃매미로 인하여 피해가 막심하다.
수목의 외피(수피)로 침투하는 해충의 경우 나무의 밑둥에 톱밥 같은 배설물 및 나무가루가 쌓여있는 것을 통해 감염을 예찰할 수 있고, 잎을 가해하는 해충의 경우 잎이 부분적으로 없다거나 변색한 잎의 색상을 통해 감염을 예찰할 수 있으며, 특정 해충의 경우 암컷이 분비하는 페로몬을 이용하여 감염을 예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는 암브로시아 해충은 수목의 하단에서부터 약 1.5m 정도(특정 나무는 이보다 더 높게 가해)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목의 수간측 외피를 뚫고 침입하여 수목의 도관을 경색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흡즙성 해충은 수간의 외피에 붙어서 수액을 흡즙하여 수액의 흐름을 방해하고, 결국 이러한 해충에 의해 수목은 고사된다.
한편, 이러한 천공성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목이 영구적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피해목을 선별하여 벌채한 후 적정 크기로 적층한 후, 적층된 수목을 비닐로 커버링하고, 상기 비닐 내측에 메탐소디움과 같은 휘발성 약제를 적정량 주입한 다음 약 3~6개월 전후의 기간 동안 커버링 상태로 방치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벌채방식을 통한 방제는 수목을 벌목하므로 대경목 벌채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야기되고, 또 피해목을 벌채하게 됨에 따른 수목의 개체수가 감소되는 한편, 수목을 임야에 적층 후 훈증함에 따른 산림 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불가피하게 야기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지면에 이격되게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인제에 포함된 유인물질을 증발시켜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유인제 증발구조를 마련하여 유인제에 지속적으로 증발유체를 공급하여 유인제에 포함된 유인물질의 안정된 증발을 통해 해충의 유인 및 포집에 따른 향상된 효율성 및 지속성을 갖도록 한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형으로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포집구가 형성된 중공의 포집 가이드들을 상하 이격되게 적층시킨 포집 가이드부와;
상기 포집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집 가이드부를 따라 하부로 자중 낙하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함과;
상기 포집 가이드의 포집구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관과;
증발유체에 용해되어, 포집 가이드를 관통한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유체와 함께 증발되는 유인제; 및
상기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 또는 유인제가 배치된 안내관의 표면에 증발유체를 공급하는 증발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삭제
상기 증발 유체 공급부는, 포집함 내에 수용되게 배치되며 증발유체가 저장된 저수조와; 상기 포집 가이드의 포집구를 관통한 안내관에 상하 관통되게 배치되며 하단부를 저수조에 함침시켜서, 저수조에 저장된 증발유체를 모세관 현상을 통해 안내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모세관 부재와; 상기 안내관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모세관 부재에 의해 안내관의 상부로 이동된 증발유체를 유인제가 배치된 안내관의 표면으로 이송시키는 자중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자중 이송부재에 흡수된 증발 유체는 자중에 의해 안내관의 표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안내관의 각 지점에 배치된 유인제의 유인물질을 용해시켜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증발 유체 공급부는 유인제가 용해되는 증발유체를 안내관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가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 가이드의 내벽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유인제에 집광되도록 구성되어서, 증발유체에 의해 용해된 유인제는 집광된 빛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면에 부양하여 설치된 해충을 유인시켜 포집하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유인제에 증발유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증발유체 공급구조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증발유체에 의해 유인제에 포함된 유인물질의 지속적인 증발을 통해 해충의 유인 및 포집에 따른 효율성 및 지속성이 확보되므로,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유인제에 증발유체를 공급하여야 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인력의 낭비 발생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 가이드에 반사면을 형성하여, 안내관에 배치된 유인제에 빛이 집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인물질이 혼입된 증발유체의 증발을 가속화시켜서, 보다 효율성 높은 해충의 유인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및 결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를 통한 해충의 유인 포집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및 결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를 통한 해충의 유인 포집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종의 임목들이 자생하는 각 산림 각 지점에 설치되어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잣나무넓적잎벌, 황철나무알락하늘소, 버즘나무방패벌레 등 임목에 생육에 해를 입히는 해충들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상기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1)는, 해충의 포집 경로를 제공하는 포집 가이드부(10)와; 상기 포집 가이드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집 가이드부(10)를 따라 하향 이동된 해충(B)을 포집하는 포집함(20)을 포함한다.
상기 포집 가이드부(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형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포집 가이드(11)들이 상하 이격되게 일렬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각 포집 가이드(11)들의 가장자리를 견인줄(12)을 통해 상하 이격되게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포집 가이드부(10)의 상부에는 덮개(13)를 배치하여 포집 가이드부(10)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 가이드부(10)를 구성하는 맨 하부에 형성된 포집 가이드(11)에는 체결부(11c)를 형성하여, 상부 개방형의 함체로 이루어진 포집함(20)의 상부와 체결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1)는, 견인줄(12)을 통해 삼발이형의 거치대(40)에 거치되어, 포집 가이드부(10)와 포집함(20)은 지면에 이격되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상기 포집함(20)의 하부에는 무게추(21)를 고정시켜 외풍에 의한 포집함(20) 및 포집 가이드부(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증발되는 유인제(P)의 유인물질에 의해 임목의 생육에 해를 끼지는 솔잎혹파리 등의 해충들이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 가이드(11) 내로 진입하면, 이들 포집 가이드(11)로 진입된 해충(B)들은 경사진 포집 가이드(11)의 내벽에 미끄러지면서 자중 낙하하여, 포집 가이드부(10)의 하부에 배치된 포집함(20)으로 포집된다.
이때, 상기 포집함(20)의 외벽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구성하고 외벽에는 내벽에 반사면(22a)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집광부재(22)를 배치하여서, 집광부재(22)에 의해 집광된 빛이 포집함(20) 내에 집광되어 포집함(20) 내부가 가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집광된 빛에 의해 포집함(20) 내부는 가열되고, 결과적으로 포집함(20) 내에 포집된 각종 해충 및 해충에서 분비된 분비물들은 가열에 의해 자연 박멸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물질에 지속적으로 증발유체를 공급하는 증발유체 공급부(30)를 마련하여, 유인제(P)에 포함된 유인물질에 의한 해충의 보다 안정된 포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증발유체 공급부(3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포집함(20) 내에 수용되게 배치되며 증발유체(L)가 저장된 저수조(31)와; 상기 각 포집 가이드(11)의 포집구(11a)를 관통한 안내관(32)에 상하 관통되게 배치되며 하단부를 저수조(31)에 함침시켜서, 저수조(31)에 저장된 증발유체를 모세관 현상을 통해 안내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모세관 부재(33)와; 상기 안내관(32)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모세관 부재(33)에 의해 안내관(32)의 상부로 이동된 증발유체(L)를 유인제(P)가 배치된 안내관(32)의 표면으로 이송시키는 자중 이송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모세관 부재(33)와 자중 이송부재(34)는 증발유체(L)의 흡수가 가능한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중 이송부재(34)의 표면에 방수피막(34a)을 형성하여서 자중 이송부재(34)를 따라 자중 하강하면서 유인제(P)에 공급되는 증발유체(L)의 증발이 억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유체 공급부(30)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증발유체(L)와의 혼입에 의해 유인물질을 증발시키는 유인제(P)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내관(32)의 표면에 패치(35)를 접합시킨 패치형,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내관(32)의 각 지점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32a)에 투입되어 수용되는 입자형, 또는 안내관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고체형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31)에 저장된 증발유체(L)는 모세관 부재(33)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안내관(32)의 상부로 이동하여 자중 이송부재(34)를 통해 흡수되고, 상기 자중 이송부재(34)에 흡수된 증발유체(L)는 자중에 의해 안내관(32)의 표면을 따라 하향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자중 이송부재(34)를 따라 하향 이동하는 증발유체(L)는 안내관(32)의 각 지점에 배치된 유인제(P)의 유인물질을 용해시키고, 이후 유인물질과 함께 증발하여서 해충들을 유인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내관(32)이 관통하는 깔대기 형상의 포집 가이드(11)에 반사면(11b)을 형성하여, 상기 반사면(11b)에 의해 반사된 빛은 안내관(32)의 각 지점에 배치된 유인제(P)에 집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유인물질이 용해시킨 증발유체는, 반사면(11b)이 형성된 포집 가이드(11)에 의해 집광된 빛에 의해 신속히 가열되어서, 유인물질이 용해된 증발유체의 보다 신속한 증발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증발유체와 함께 증발되는 유인제의 유인물질에 의해 해충의 유인성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해충의 유인 포집에 따른 보다 향상된 효율성과 지속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10. 포집 가이드부 11. 포집 가이드
11a. 포집구 11b. 반사면
11c. 체결부 12. 견인줄
13. 덮개
20. 포획함 21. 무게추
30. 증발유체 공급부
31. 저수조 32. 안내관
32a. 수용 공간부
33. 모세관 부재 34. 자중 이송부재
34a. 방수피막
40. 거치대 P. 유인제

Claims (3)

  1.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형으로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포집구가 형성된 중공의 포집 가이드들을 상하 이격되게 적층시킨 포집 가이드부와;
    상기 포집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집 가이드부를 따라 하부로 자중 낙하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함과;
    상기 포집 가이드의 포집구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관과;
    증발유체에 용해되어, 포집 가이드를 관통한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유체와 함께 증발되는 유인제; 및
    상기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 또는 유인제가 배치된 안내관의 표면에 증발유체를 공급하는 증발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발 유체 공급부는, 포집함 내에 수용되게 배치되며 증발유체가 저장된 저수조와; 상기 포집 가이드의 포집구를 관통한 안내관에 상하 관통되게 배치되며 하단부를 저수조에 함침시켜서, 저수조에 저장된 증발유체를 모세관 현상을 통해 안내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모세관 부재와; 상기 안내관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모세관 부재에 의해 안내관의 상부로 이동된 증발유체를 유인제가 배치된 안내관의 표면으로 이송시키는 자중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자중 이송부재에 흡수된 증발 유체는 자중에 의해 안내관의 표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안내관의 각 지점에 배치된 유인제의 유인물질을 용해시켜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증발 유체 공급부는 유인제가 용해되는 증발유체를 안내관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유인제가 용해된 증발유체가 안내관의 표면에서 증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 가이드의 내벽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유인제에 집광되도록 구성되어서, 증발유체에 의해 용해된 유인제는 집광된 빛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20140145635A 2014-10-27 2014-10-27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167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635A KR101677727B1 (ko) 2014-10-27 2014-10-27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635A KR101677727B1 (ko) 2014-10-27 2014-10-27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93A KR20160049193A (ko) 2016-05-09
KR101677727B1 true KR101677727B1 (ko) 2016-11-18

Family

ID=5602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635A KR101677727B1 (ko) 2014-10-27 2014-10-27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81A (ko) * 2017-08-22 2019-03-05 김선수 천연 해충 퇴치기
CN111053074A (zh) * 2020-01-06 2020-04-24 马鞍山市金农牧业有限公司 一种湖羊养殖用驱虫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1861A (zh) * 2021-11-03 2022-04-12 益阳市金十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气化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591B1 (ko) * 1994-05-02 1999-10-01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2단계 액체방출 미끼장치
KR101360234B1 (ko) * 2012-04-25 2014-02-12 대한민국 산림해충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65564A (en) * 1982-05-25 1984-04-17 B. Staffan Lindgren Insect trap
JPH07147876A (ja) * 1993-10-08 1995-06-13 Kaishin:Kk 害虫駆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591B1 (ko) * 1994-05-02 1999-10-01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2단계 액체방출 미끼장치
KR101360234B1 (ko) * 2012-04-25 2014-02-12 대한민국 산림해충 포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81A (ko) * 2017-08-22 2019-03-05 김선수 천연 해충 퇴치기
KR101960374B1 (ko) 2017-08-22 2019-07-15 김선수 천연 해충 퇴치기
CN111053074A (zh) * 2020-01-06 2020-04-24 马鞍山市金农牧业有限公司 一种湖羊养殖用驱虫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93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76B1 (ko) 해충 포획기
Yi et al. A comparison of terrestrial arthropod sampling methods
JP6067194B2 (ja) 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とカラフトヒゲナガカミキリの発生予察及び大量捕獲によるマツ材線虫病の防除方法
Stelinski et al. Season-long mating disruption of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by one machine application of pheromone in wax drops (SPLAT-OFM)
Ruling et al. Seasonal flight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colytidae attracted to ethanol in an oak-hickory forest in Missouri
KR101677727B1 (ko)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1140671B1 (ko) 해충 유인 퇴치기
WO2018073772A1 (en) Fire ant attractant and trap
Sharma et al. Sex pheromones of noctuid moths. XXIV. Evaluation of pheromone traps for males of Trichoplusia ni
KR101852962B1 (ko)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US20130305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illing flying insects
KR101523059B1 (ko) 곤충트랩
CN203340862U (zh) 一种太阳能诱虫灯
KR20170139389A (ko) 땅 속 매립식 해충 포집기
CN110352005B (zh) 蜱虫捕捉器和蜱虫捕捉方法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JP4129671B2 (ja) 害虫誘引捕獲器
CN209995179U (zh) 一种果树害虫诱捕装置
JP4129673B2 (ja) 害虫誘引捕獲器
KR101648125B1 (ko) 해충 포집기용 유인제 증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충 포집기
JP2685088B2 (ja) アブ捕獲器
CN203692257U (zh) 果实蝇诱捕器
CN209330963U (zh) 一种茶叶种植用害虫诱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