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962B1 -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 Google Patents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962B1
KR101852962B1 KR1020160113038A KR20160113038A KR101852962B1 KR 101852962 B1 KR101852962 B1 KR 101852962B1 KR 1020160113038 A KR1020160113038 A KR 1020160113038A KR 20160113038 A KR20160113038 A KR 20160113038A KR 101852962 B1 KR101852962 B1 KR 101852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velcro tape
storage cup
tree
s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087A (ko
Inventor
김성숙
Original Assignee
김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숙 filed Critical 김성숙
Priority to KR102016011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9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민달팽이를 유인 및 포획할 수 있는 민달팽이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도나무, 복숭아나무를 비롯한 과실수 나무 위를 기어다니면서 작물에 해를 입히는 민달팽이 포획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민달팽이 특유의 유인액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을 과실수 통과부를 통하여 나무줄기에 끼워넣은 후 수납컵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나무줄기에 둘러 수납컵의 벨크로테이프 결착부에 붙여 고정시키는 구조체로 구성함으로써, 농약이나 인력의 투입없이 장치의 간단한 설치만으로 과실목을 타고 오르는 민달팽이가 본 장치의 표면을 기어오르면서 유인액이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 수납컵 내부에 손쉽게 포획 및 유인되는 기술을 제공한다.
포도나무, 복숭아나무를 비롯한 과실수에 본 장치를 나무줄기에 통과부를 통하여 끼워넣은 후, 필요 시 유인액 수납컵에 유인액을 보충하는 것으로 관리 상 편이하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본 장치를 나무에 끼워서 장치의 일측에 과실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여 끼우거나 장치를 좌,우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나무줄기에 끼울때는 한쌍의 유인액 수납컵(좌,우)을 서로 대향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무줄기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나무의 양방향으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방식은 유인액 수납컵의 일측에 벨크로테이프의 반대면을 부착하여 고정시키거나, 돌출홈과 함몰홀부를 형성하여 서로 마주보고 끼우는 방식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장치 설치작업과 관리상의 편이성을 도모한다.
또한 수납컵 상부에는 빗물방지캡을 장착하여 우천 시 및 여러 다양한 환경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인액의 증발로 인한 소실 및 수납컵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빗물에 의한 유인액 희석 현상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유용성 및 효율성을 함께 도모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Fruit trees mounted Slug collector}
본 발명은 많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민달팽이를 유인 및 포획할 수 있는 민달팽이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도나무, 복숭아나무를 비롯한 과실수 나무 위를 기어다니면서 작물에 해를 입히는 민달팽이를 유인액 수납컵에 유인액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유인액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을 과실수 통과부를 통하여 나무줄기에 끼워넣은 후 수납컵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나무줄기에 둘러 수납컵의 벨크로테이프 결착부에 붙여 고정시키도록 구비함으로써, 과실수 나무를 타고 오르는 민달팽이가 본 포집기 표면을 기어오른 후 유인액이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수납컵 내부에 손쉽게 유인 및 포획되는 민달팽이 포집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민달팽이는 습한 곳과 온실 등에 서식하면서 낮에는 돌 밑이나 흙속에 숨어있다가 야간에 지표로 나와 활동을 하는 해충으로서, 전특작 및 과채류 등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어 효과적인 방제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 민달팽이 등 해충제거에 소요되는 방제 방법은 거의 농약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고, 농약 사용량이 증가되면서 우리나라의 농약 소비량은 10년 사이에 두 배가 증가하여 지구환경 보호차원에서도 농약사용량 절감이 시급하다.
기존의 제품들은 나뭇가지 등에 걸어 놓아 날아다니는 성충, 나방류를 포집하는 형태로 기어다니는 민달팽이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상부걸이형으로 포집 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며 나방, 성충 등 비행해충에만 국한, 토양바닥이나 나무줄기 등을 기어다니는 민달팽이를 포집하는 기능은 구조적으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 20-2014-0003740 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 있는 바, 이는 낮에 활동하는 해충인 파리와 밤에 활동하는 모기를 모두 포획할 수 있는 해충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의 발광부, 하단부의 해충유인부, 중간부의 포획부로 구성하여 상기 유인부를 통해 들어온 해충들은 해충포획부로 이동하여 자연사되어 박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날아다니는 해충을 포집하기 위한 기술로 토양이나 작물줄기로 기어다니면서 작물의 잎에 해를 끼치는 민달팽이에 대한 포집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특허출원 제 10-2006-0138718 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 있는 바, 이는 이동식 달팽이 유인포획트랩에 관한 것으로 포획함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형성되는 관찰구를 개폐하는 도어, 지지대, 개구부, 배수구, 가이드벽, 포획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인미끼용기 등을 구성하여 달팽이를 유인 포획하여 방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장치구조가 복잡하고 마찬가지로 나무줄기 등으로 기어다니면서 작물의 잎에 해를 끼치는 민달팽이에 대한 포집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나무줄기에 고정된 유인액 수납컵에 유인액을 구비하여 나무줄기를 기어오르는 민달팽이가 용이하게 포집기로 들어올 수 있게 하여 간편하고 용이한 포획을 가능하게 하고, 수납컵 상부에 빗물방지캡이 형성되어 우천 시에도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납컵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빗물에 의한 유인액 희석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민달팽이 포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인액(3)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형태와 나무줄기에 끼워넣는 형태로 과실수 통과부(6)와 관통홀(6-a)을 구성하여 제작된 유인액 수납컵(2); 상기 유인액 수납컵(2)이 나무줄기에 끼워진 후 나무줄기에 유인액 수납컵(2)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벨크로테이프(4); 상기 유인액 수납컵(2)의 상부에 원기둥형태로 다수구성된 빗물방지캡 지지봉(5-c);빗물방지캡 지지봉(5-c)에 의해 지탱되어 우천시에 내리는 빗물에 의한 유인액(3)의 소실이나 희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빗물방지캡(5); 으로 이루어지는 나무줄기 고정설치를 특징으로 하는 민달팽이 포집기에 있어서,
특유의 유인액(3)을 유인액 수납컵(2)에 수납하고 유인액(3)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2)을 과실수 통과부(6)를 통하여 나무줄기에 끼워넣은 후 수납컵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 테이프(4)를 나무줄기에 두른 후 유인액 수납컵(2)의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에 붙여 고정시키는 구조체를 형성하여 과실수 나무줄기를 타고 오르는 민달팽이가 본 장치의 표면을 기어오른 후 유인액(3)이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 수납컵(2)의 내부에 손쉽게 유인되어 포집되게 된다.
본 발명의 민달팽이 포집기에 따르면, 농약의 사용 없이 유인액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민달팽이를 포집함으로써 과실수 및 작물의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에 빗물방지캡을 구비하여 우천에 의한 특유 유인액성분이 희석되어 방제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잡한 장치 없이 벨크로테이프에 의한 간단한 고정방법과 유인액 수납컵을 좌, 우 분리된 형태로 보는 면을 벨크로 테이프나 돌출홈과 함몰홀부를 구성하여 고정시키는 등 여러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용이하며 실용적이다.
필요에 따라 유인액만 보충하면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며 농약(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등) 및 유독물질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토양 오염원을 원천 저감시켜 농약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살충제 사용에 따른 유용미생물 훼손이 없어 친환경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빗물방지캡을 제거한 외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빗물방지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유인액 수납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우 분리컵형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우 분리컵형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우 분리컵형의 빗물방지캡을 제거한 외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유인액 우측수납컵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유인액 좌측수납컵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빗물방지캡을 제거한 외부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결착부의 상세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결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유인액 우측수납컵의 사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 우 분리컵형의 결착홈방식의 유인액 좌측수납컵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4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은 특유의 유인액(3)을 유인액 수납컵(2)에 수납하고 유인액(3)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2)을 과실수 통과부(6)를 통하여 나무줄기에 끼워넣은 후 수납컵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4)를 나무줄기에 두른 후 유인액 수납컵(2)의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에 붙여 고정시키는 구조체를 형성하여 과실수 나무줄기를 타고 오르는 민달팽이가 본 장치의 표면을 기어오를 때 유인액이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 수납컵(2)의 내부에 손쉽게 유인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인액(3)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2)의 일측에 과실수의 나뭇가지가 통과 될 수 있도록 과실수 통과부(6)를 형성하여 과실수의 줄기에 끼우고 유인액 수납컵(2)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4)를 줄기에 두른 후 일측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에 접착 고정이 되어 민달팽이를 유인함으로써 손쉽게 포집할 수 있으면서도, 우천 시에 내리는 비에 의한 유인의 유실이나 희석을 방지하여 민달팽이 유인효과가 오래 유지된다.
농약의 사용이나 별도의 장치 없이 유인액(3)과 유인액 수납컵(2)의 내부구조로 인하여 민달팽이가 외부로 탈출하지 않고, 장시간 모여 있게 되므로 민달팽이의 포집이 손쉽게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제작된다.
또한 유인액(3)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형태와 나무줄기에 끼워넣는 형태로 과실수 통과부(6)와 관통홀(6-a)을 구성하여 제작된 유인액 수납컵(2); 상기 유인액 수납컵(2)이 나무줄기에 끼워진 후 나무줄기에 유인액 수납컵(2)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벨크로테이프(4); 상기 유인액 수납컵(2)의 상부에 원기둥형태로 다수 구성된 빗물방지캡 지지봉(5-c); 빗물방지캡 지지봉(5-c)에 의해 지탱되어 우천시에 내리는 빗물에 의한 유인액의 소실이나 희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빗물방지캡(5); 으로 이루어지는 나무줄기 고정설치를 특징으로 하는 민달팽이 포집기 통하여 과실수의 줄기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특유의 유인액(3)이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 수납컵(2)을 통하여, 유인액의 유인작용과 부직포로 인한 습한 환경의 조성으로, 부직포가 설치된 토양의 하부에 모여 있게 되므로 민달팽이가 유인되어 포집되는 친환경 유인포집장치이다.
작물에 피해를 주는 민달팽이를 특유의 유인액(3)을 유인액 수납컵(2)에 수납하고 상부에 우천시의 비에 의한 유인액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빗물방지캡(5)을 구성한 민달팽이 포집기에 있어서, 유인액(3)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2)을 과실수 통과부(6)를 통하여 나무줄기에 끼워넣은 후 고정하는 방식에는 유인액 수납컵(2)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4)를 나무줄기에 두른 후 유인액 수납컵(2)의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에 붙여 고정시키는 구조체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한손으로 손쉽게 과실수의 나무줄기에 유인액(3)이 수납된 본 장치를 끼워넣은 후 장치의 벨크로테이프 고정부(4-a)에 장착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4)를 나무줄기에 두른 후 수납컵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에 부착하여 포집기를 고정하는 방식과, 민달팽이 포집기를 나무줄기에 고정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 유인액 수납컵(2)을 좌,우로 분리하여 구성한 후, 유인액 수납컵(2)의 일측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까글한 부분(4-c)을 부착하고, 또 다른 수납컵의 일측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보들이 부분(4-d)을 부착하여 과실수(1)의 나무줄기를 사이에 두고 좌우의 한쌍의 유인액이 수납된 유인액 수납컵을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기만 하면 벨크로테이프의 결착력에 의해 양측의 좌우로 분리된 형태의 유인액 수납컵 한쌍이 상호 대향 결합, 고정하는 방식과, 좌우로 분리된 유인액 수납컵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벨크로 테이프 대신 일측에는 결착돌출홈부(7)를 구비하고, 또 다른 유인액 수납컵의 일측에는 홀가공된 결착함몰홀부(8)를 구성하여 한쌍의 유인액 수납컵을 과실수 나무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끼워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등 여러가지 고정방식을 통하여 과실수줄기를 타고 오르는 민달팽이가 본 장치의 표면을 기어오른 후 유인액이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수납컵의 내부에 손쉽게 유인하여 포획이 가능한 민달팽이 포집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설치작업과 친환경 무농약 무동력으로 민달팽이 유인을 가능하게 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 과실수(나무) 2: 유인액 수납컵
2-a: 유인액 우측수납컵 2-b: 유인액 좌측 수납컵
3: 유인액 4: 벨크로 테이프
4-a: 벨크로테이프 고정부 4-b: 벨크로테이프 결착부
4-c: 벨크로테이프 4-d: 벨크로테이프
5: 빗물방지캡 5-a: 우측빗물방지캡
5-b: 좌측빗물방지캡 5-c: 빗물방지캡 지지봉
6: 과실수 통과부 6-a: 과실수 관통홀
7: 결착돌출홈부 8: 결착함몰홀부

Claims (3)

  1. 많은 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민달팽이를 포획하는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에 있어서,
    유인액(3)을 내부에 수납하고 일측에 가공된 틈에 과수의 줄기를 끼워서 고정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유인액 수납컵(2), 과수의 줄기에 끼워진 유인액 수납컵(2)을 과수의 줄기에 두르는 방식으로 유인액 수납컵(2)을 줄기에 고정 장착하도록 하는 벨크로테이프(4), 유인액수납컵(2)의 일측에 벨크로테이프(4)를 고정된 형태로 구비하도록 해주는 벨크로테이프 고정부(4-a), 벨크로테이프 고정부(4-a)에서 돌출되어 과수의 줄기에 두른 후 벨크로테이프(4)의 일측을 붙일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4-d)가 부착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 우천시에 유인액 수납컵(2)에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인액 수납컵(2)의 상부에 구성된 빗물방지캡(5), 유인액 수납컵(2)과 빗물방지캡(5)의 사이에 구성되어 빗물방지캡(5)을 지탱하는 빗물방지캡 지지봉(5-c)을 형성하여 한 손으로 과수나무에 밀어 넣는 방식이며,
    나무줄기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유인액 수납컵(2)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4)를 나무줄기에 두른 후 유인액 수납컵(2)의 벨크로테이프 결착부(4-b)에 붙여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한손으로 손쉽게 과실수 나무줄기에 유인액(3)이 수납된 본 장치를 끼워넣은 후 벨크로테이프(4)를 이용하여 나무줄기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여 민달팽이의 유인과 포획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인액 수납컵(2)을 좌우로 분리하고, 좌우로 분리된 유인액 수납컵(2) 중 어느 하나의 유인액 수납컵(2)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착돌출홈부(7)를 구비하고, 또 다른 유인액 수납컵에는 홀가공된 결착함몰홀부(8)를 구성하여 한쌍의 유인액 수납컵(2)을 과실나무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2. 삭제
  3. 삭제
KR1020160113038A 2016-09-02 2016-09-02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KR101852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38A KR101852962B1 (ko) 2016-09-02 2016-09-02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38A KR101852962B1 (ko) 2016-09-02 2016-09-02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87A KR20180026087A (ko) 2018-03-12
KR101852962B1 true KR101852962B1 (ko) 2018-04-30

Family

ID=6172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38A KR101852962B1 (ko) 2016-09-02 2016-09-02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208A (ko) * 2018-12-21 2020-07-01 경상남도 지렁이 사육 장치
KR20220105930A (ko) 2021-01-21 2022-07-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달팽이 자동 방제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553A (zh) * 2019-04-01 2019-06-07 元谋原生源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果园虫害的防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2367B2 (ja) * 2000-03-16 2004-03-29 和男 石川 蝉幼虫捕獲器
KR200475778Y1 (ko) * 2014-07-10 2015-01-02 조명완 아이스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2367B2 (ja) * 2000-03-16 2004-03-29 和男 石川 蝉幼虫捕獲器
KR200475778Y1 (ko) * 2014-07-10 2015-01-02 조명완 아이스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208A (ko) * 2018-12-21 2020-07-01 경상남도 지렁이 사육 장치
KR102269742B1 (ko) * 2018-12-21 2021-06-28 경상남도 지렁이 사육 장치
KR20220105930A (ko) 2021-01-21 2022-07-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달팽이 자동 방제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87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derland et al. Populations and communities
Mracek et al. Survey of heterorhabditidae and steinernematidae (Rhabditida, Nematoda) in Western Canada
Hoddle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areawide pheromone trapping, pesticide applications, and eradication of infested date palms for Rhynchophorus ferrugineus (Coleoptera: Curculionidae) management in Al Ghowaybah, Saudi Arabia
Hutchins Techniques for sampling arthropod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101852962B1 (ko)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Hasyim et al. Population fluctuation of adult males of the fruit fly, Bactrocera tau Walker (Diptera: Tephritidae) in passion fruit orchards in relation to abiotic factors and sanitation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awabata et al. Recommendations for coffee berry borer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hawaii 2013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Laskar et al.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melon fly, Bactrocera cucurbitae (Coq.)(Diptera: Tephritidae) in the foot hills of Himalaya
Van Herk et al. A pheromone-baited pitfall trap for monitoring Agriotes spp. click beetles (Coleoptera: Elateridae) and other soilsurface insects
Al-Saoud EFFECT OF RED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COLEOPTERA: CURCULIONIDAE) AGGREGATION PHEROMONE TRAPS'HEIGHT AND COLORS ON THE NUMBER OF CAPTURED WEEVILS
Iannuzzi et al. Sampling methods for beetles (Coleoptera)
KR20170139389A (ko) 땅 속 매립식 해충 포집기
KR101677727B1 (ko)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Isaacs et al. Spotted wing drosophila management recommendations for Michigan raspberry and blackberry growers
Osorio-Osorio et al. Reducing Cosmopolites sordidus populations and damage using traps baited with pheromone and plantain corm
KR102052989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관리시스템
Meadow et al. Exclusion fences against brassica root flies (Delia radicum and D. floralis)
KR101830521B1 (ko) 민달팽이 포집기
US20120204484A1 (en) Plant enclosure that offers pest control
Philipsen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Danish carrot fields: Monitoring carrot fly (Psila rosae E) by means of yellow sticky tr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