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872B1 -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872B1
KR102016872B1 KR1020190006120A KR20190006120A KR102016872B1 KR 102016872 B1 KR102016872 B1 KR 102016872B1 KR 1020190006120 A KR1020190006120 A KR 1020190006120A KR 20190006120 A KR20190006120 A KR 20190006120A KR 102016872 B1 KR102016872 B1 KR 10201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printed
bracket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후원
Original Assignee
서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후원 filed Critical 서후원
Priority to KR102019000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04Machines for printing sheets
    • B41F15/0813Machines for printing sheets with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41F15/423Driving means for reciprocating squeeg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인쇄 전에 피인쇄물의 상부에 스크린을 미리 올려 놓지 않도록 된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피인쇄물(A)이 놓여지는 수평테이블(120)과, 상기 본체부의 상단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131)와 상기 회동부의 좌우 양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단(132)과 상기 지지단의 전단을 연결하는 수평브라켓(133)을 구비한 회동프레임(130)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프레임의 하향회동시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근접하는 스크린부(140)와,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서 상기 지지단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유닛(150)과, 상기 이송유닛에 구비된 인쇄부(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Apparatus of silk screen print}
본 발명은 인쇄시 스크린부가 피인쇄물 측으로 근접되게 회동하도록 된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크 스크린 인쇄는 프레임에 실크 등을 부착시켜 필요한 화상 이외의 부분이 막히도록 한 후 고무롤러로 잉크를 일정한 힘으로 문질러 막히지 않은 실과 실 사이로 잉크가 새어나와 인쇄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실크 스크린 인쇄의 원리는 등사판과 같으나 등사판이 종이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실크 혹은 다른 섬유를 이용하기 때문에 잉크가 많이 묻어 색상이 강하고 선명한 것이 특징이며, 평면, 곡면, 원형, 구형 등 피인쇄물의 모양이나 종이, 플라스틱, 천, 유리, 도자기 및 피혁 등 피인쇄물의 재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는 피인쇄물이 놓여지는 테이블(1)과, 상기 피인쇄물의 상부에 위치되는 특정 패턴을 가진 스크린(S)과, 상기 테이블(1)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유닛(2) 과, 상기 이동유닛(2)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쇄시 피인쇄물측으로 하강하면서 스크린(S)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스크린부로 통과시켜 아래의 피인쇄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스퀴즈(3)와 스크래퍼(4)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는 스크린(S)이 동일 높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인쇄물의 두께가 달라질 경우 정상적인 인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스크린(S)의 높이를 다시 세팅해 주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10-2008-0022019 A
본 발명은 피인쇄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항상 우수한 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피인쇄물이 놓여지는 수평테이블과, 상기 본체부의 상단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좌우 양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전단을 연결하는 수평브라켓을 구비한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프레임의 하향회동시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근접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서 상기 지지단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구비된 인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전단에 설치된 제1승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후단에 설치된 제2승강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크린부로 하강하여 상기 스크린부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로 통과시켜 아래의 피인쇄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스퀴즈과, 상기 제2승강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크린부로 하강하여 상기 스크린부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확산시켜 주는 스크래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지지단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동프레임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린판과, 상기 스크린판과 지지단을 연결하며 상기 스퀴즈가 하강할 때 신장되면서 상기 스크린판을 피인쇄물에 근접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크린부가 회동프레임을 따라 피인쇄물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피인쇄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 스크린부와 피인쇄물은 항상 정상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피인쇄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일정한 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종래와 달리 스크린부의 위치를 세팅해 줄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퀴즈와 스크래퍼가 상하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스크래퍼가 스크린판에 잉크를 원활하게 확산시킬 수 있게 되고 스퀴즈가 상기 스크린부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로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인쇄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부가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면, 인쇄가 이루어질 경우에만 하강하는 스퀴즈에 의하여 스크린판이 피인쇄물에 근접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인쇄 후에도 스크린판이 피인쇄물에 여전히 근접하여 잉크가 피인쇄물의 표면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잉크가 번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수평테이블을 의도적으로 일정 높이 하강시킨 상태에서 인쇄가 이루어지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는 본체부(110)와 수평테이블(120)과 회동프레임(130)과 스크린부(140)와 이송유닛(150)과 인쇄부(16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수평테이블(120)은 본체부(110)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수평테이블(120) 위에는 피인쇄물(A)이 놓여진다.
상기 회동프레임(130)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131)와, 상기 회동부(131)의 전단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지지단(132)과 상기 지지단의 전단을 연결하는 수평브라켓(133)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린부(140)는 상기 회동프레임(130)이 하향회동할 때 상기 수평테이블(120)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근접하도록 상기 회동프레임(130)과 함께 상하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부(140)는 후단이 상기 회동부(131)의 회전축(131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단(132)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스크린판(141)과, 이격된 상기 스크린판(141)의 전단과 상기 지지단(132)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42)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142)는 상기 수평브라켓(133)에 결합된 상부브라켓(142a)과, 상기 스크린판(141)의 전단에 결합된 하부브라켓(142b)과, 상기 상부브라켓(142a)과 하부브라켓(142b)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42c)과, 상기 상부브라켓(142a)과 하부브라켓(142b)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142d)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브라켓(142c)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142e)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142b)에는 상기 장공(142e)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걸림돌기(142f)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판(141)이 하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걸림돌기(142f)가 장공(142e)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브라켓(142b)이 인장스프링(142d)을 신장시키면서 하부로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스크린판(141)은 후단을 중심으로 하향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린판(141)에 가해지던 하방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인장스프링(142d)이 축소되면서 하부브라켓(142b)이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스크린판(141)은 후단을 중심으로 원위치로 상향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42)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면, 인쇄가 이루어질 경우에만 스크린판(141)이 피인쇄물(A)에 근접하게 되므로 인쇄 후에 스크린판(141)이 피인쇄물(A)에 여전히 근접하여 잉크가 피인쇄물(A)의 표면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인쇄가 번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150)은 상기 스크린부(140)의 상방에서 상기 지지단(132)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부(160)는 이송유닛(150)에 구비되어 이송유닛(15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인쇄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인쇄부(160)는 상기 이송유닛(150)의 전단에 설치된 제1승강유닛(161)과, 상기 이송유닛(150)의 후단에 설치된 제2승강유닛(162)을 구비한다.
상기 제1승강유닛(161)에는 스퀴즈(163)가 설치된다. 상기 스퀴즈(163)는 상기 이송유닛(150)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승강유닛(161)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부(140)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140)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140)로 통과시켜 아래의 피인쇄물(A)의 표면에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유닛(162)에는 스크래퍼(164)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래퍼(164)는 상기 이송유닛(15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크린부(140)로 하강하여 상기 스크린부(140)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140)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확산시켜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는 회동프레임(130)을 상부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피인쇄물(A)을 수평테이블(120)의 상부의 일정 위치에 올려 놓은 다음 회동프레임(130)이 하부로 회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된 이송유닛(15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스퀴즈(163)는 상승한 상태이고 스크래퍼(164)는 하강한 상태로서, 이송유닛(150)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크래퍼(164)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판(141)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일정한 두께로 넓게 펴주게 된다.
이송유닛(150)이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유닛(161)이 동작하면서 스퀴즈(163)가 하강한다. 하강하는 스퀴즈(163)는 상기 스크린판(141)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스크린판(141)은 하향 회동하여 상기 수평테이블(120)에 놓여진 피인쇄물(A)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근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유닛(150)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송유닛(150)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스퀴즈(163)가 상기 스크린부(140)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140)로 통과시켜 아래의 피인쇄물(A)의 표면에 도포하면서 인쇄가 진행된다. 이송유닛(150)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제1이송유닛(150)이 스퀴즈(163)를 원위치로 상승시키게 되며 인쇄는 완료된다.
인쇄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회동프레임(130)으 상방으로 회동시킨 다음 인쇄가 완료된 피인쇄불을 수평테이블(120)로부터 수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부(140)가 회동프레임(130)을 따라 피인쇄물(A)측으로 근접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인쇄물(A)의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 스크린부(140)와 피인쇄물(A)은 항상 정상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피인쇄물(A)의 두께에 상관없이 일정한 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평테이블(120)은 승강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에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수평테이블(120)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17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유닛(170)은 피인쇄물(A)의 두께가 기준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 해당 두께 차이만큼 상기 수평테이블(120)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피인쇄물(A)의 두께에 상관없이 수평테이블(120)에 농여지는 피인쇄물(A)과 스크린판(141)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항상 우수한 인쇄품질이 보장된다.
한편,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는 피인쇄물(A)에 인쇄된 잉크를 건조시키기 위한 예컨대 UV 램프나 열선과 송풍기를 구비한 건조기와 같은 건조유닛(1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유닛(170)은 인쇄가 완료된 이후 수평테이블(120)을 공간부 내부로 하강시켜 피인쇄물(A)의 표면에 인쇄된 잉크가 상기 건조유닛(180)을 통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테이블(120)에는 피인쇄물(A)과 피인쇄물(A)의 표면에 인쇄된 잉크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19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유닛(180)은 로드셀(19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인쇄된 잉크의 무게를 산출하고, 산출된 잉크의 무게에 비례하여 작동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로드셀(190)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잉크가 도포되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의 공간부 내에 건조유닛(180)이 구비되면 인쇄가 이루어진 이후에 피인쇄물(A)을 별도의 건조장치로 이송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로스타임 발생과 인쇄면에 먼지가 달라붙을 가능성이 최소화되면서 인쇄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가 이루어지기 전에 수평테이블(120)을 의도적으로 일정 높이 하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쇄 전에 수평테이블(120)을 의도적으로 일정 높이 하강시키면, 스크린판(141)과 피인쇄물(A)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인쇄시 스퀴즈(163)의 작용으로 스크린판(141)을 통과한 잉크가 상기 이격공간부로 유출되어 피인쇄물(A)의 표면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건조유닛(180)에 의한 예비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건조시간이 더욱 단축되면서, 로스타임 발생과 인쇄면에 먼지가 달라붙을 가능성은 극히 희박해진다.
이 경우, 상기 건조유닛(180)이 열선과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기일 경우에는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잉크가 특정방향으로 특정거리 만큼 흩날리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독특한 형태의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부 120; 수평테이블
130; 회동프레임 131; 회동부
131a; 회전축 132; 지지단
140;스크린부 141; 스크린판
142;연결부재 150; 이송유닛
160; 인쇄부 161; 제1승강유닛
162; 제2승강유닛 163; 스퀴즈
164; 크래퍼 A; 피인쇄물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공간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테이블; 상기 수평테이블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승강유닛; 상기 수평테이블에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본체부의 상단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좌우 양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전단을 연결하는 수평브라켓을 구비한 회동프레임;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프레임의 하향회동시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근접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서 상기 지지단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 구비된 인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전단에 설치된 제1승강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후단에 설치된 제2승강유닛; 상기 제1승강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크린부로 하강하여 상기 스크린부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로 통과시켜 아래의 피인쇄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스퀴즈; 및 상기 제2승강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크린부로 하강하여 상기 스크린부 상부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확산시켜 주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은 피인쇄물과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된 잉크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서는 스크린판을 통과하여 피인쇄물의 표면으로 하강 이동하는 잉크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선과 송풍기를 구비한 건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인쇄된 잉크의 무게를 산출하고, 산출된 잉크의 무게에 비례하여 작동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지지단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린판 및 상기 스크린판과 지지단을 연결하며 상기 스퀴즈가 하강할 때 신장되면서 상기 스크린판을 피인쇄물에 근접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수평브라켓에 결합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스크린판의 전단에 결합된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에는 상기 스크린판이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하부브라켓이 상기 인장스프링을 신장시키면서 상기 장공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판을 하향회동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6120A 2019-01-17 2019-01-17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KR10201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20A KR102016872B1 (ko) 2019-01-17 2019-01-17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20A KR102016872B1 (ko) 2019-01-17 2019-01-17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872B1 true KR10201687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20A KR102016872B1 (ko) 2019-01-17 2019-01-17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8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6064A (zh) * 2020-06-22 2020-10-23 陈辉 一种多位调节压动式丝印机
CN114311969A (zh) * 2021-12-27 2022-04-12 常州普拓智能科技有限公司 铝板定位印刷设备
CN114379203A (zh) * 2022-01-20 2022-04-22 李洪振 一种全自动丝网印刷机
KR20230154134A (ko) * 2022-04-30 2023-11-07 정종덕 실크스크린 인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26A (ja) * 1991-07-11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2283536A (ja) * 2001-03-26 2002-10-03 Sony Miyuujitsuku Entertainment: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4338248A (ja) * 2003-05-16 2004-12-02 Hitachi Industries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80022019A (ko) 2006-09-05 2008-03-10 라인시스템(주) 전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101192013B1 (ko) * 2012-05-29 2012-10-16 강상부 백스퀴지가 구비된 반자동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26A (ja) * 1991-07-11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2283536A (ja) * 2001-03-26 2002-10-03 Sony Miyuujitsuku Entertainment: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4338248A (ja) * 2003-05-16 2004-12-02 Hitachi Industries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80022019A (ko) 2006-09-05 2008-03-10 라인시스템(주) 전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101192013B1 (ko) * 2012-05-29 2012-10-16 강상부 백스퀴지가 구비된 반자동 인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6064A (zh) * 2020-06-22 2020-10-23 陈辉 一种多位调节压动式丝印机
CN111806064B (zh) * 2020-06-22 2021-09-10 山东韵杰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位调节压动式丝印机
CN114311969A (zh) * 2021-12-27 2022-04-12 常州普拓智能科技有限公司 铝板定位印刷设备
CN114311969B (zh) * 2021-12-27 2024-02-13 佛山市九度装饰材料有限公司 铝板定位印刷设备
CN114379203A (zh) * 2022-01-20 2022-04-22 李洪振 一种全自动丝网印刷机
KR20230154134A (ko) * 2022-04-30 2023-11-07 정종덕 실크스크린 인쇄 시스템
KR102652908B1 (ko) * 2022-04-30 2024-03-29 정종덕 실크스크린 인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872B1 (ko)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
TWI532601B (zh) 在3d玻璃物件上網版印刷之方法
JPS5853332B2 (ja) プリント用スクリ−ンの塗布方法及びその装置
CN208452552U (zh) 一种全自动3d移印机
WO1997027950A1 (en) Screen printing machine
KR100732917B1 (ko) 반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US2881698A (en) Screen process printing machine
US7024993B2 (en) Screen printing machine including exposure unit
JP2005514247A (ja) イメージ転写方法及び装置
KR102099466B1 (ko) 성형제품의 다면 및 다색 패드인쇄 자동시스템
KR200412043Y1 (ko) 반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20160072456A (ko) 인쇄 정 위치 세팅기능을 구비한 로터리형 스크린 인쇄기
CN208277594U (zh) 凹版印刷机转向装置
CN217226998U (zh) 一种角度可调的刮刀装置
CN111169150A (zh) 一种丝网印刷装置
JPH0444849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スキージ保持装置
CN109094217A (zh) 双面打印数码印花机
KR100826216B1 (ko) 원추형 인쇄물 스크린 인쇄장치
JP2539322B2 (ja) シ―ト状物の模様プレス機
JPH09207310A (ja) ワークテーブルレス式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並びに印刷シート材に対するスクリーン印刷乾燥方法
KR102065996B1 (ko)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제작 방법
KR102077598B1 (ko)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및 그 제작 시스템
CN218054421U (zh) 一种汽车按钮及面板弧面丝印装置
JPH0414451A (ja) スキージ装置
CN220681890U (zh) 一种用于手机后盖的丝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