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293B1 -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 Google Patents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293B1
KR102015293B1 KR1020170168190A KR20170168190A KR102015293B1 KR 102015293 B1 KR102015293 B1 KR 102015293B1 KR 1020170168190 A KR1020170168190 A KR 1020170168190A KR 20170168190 A KR20170168190 A KR 20170168190A KR 102015293 B1 KR102015293 B1 KR 10201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dumplings
dough
semicircula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653A (ko
Inventor
방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그린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그린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그린푸드
Priority to KR102017016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2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만두성형장치는, 튜브형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있는 만두롤을 배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밀착부를 통과한 만두롤로부터 낱개의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성형부는, 실리더형 바디, 상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 및 상기 반원형 리세스의 원호에 대응하는 바디의 일부에 형성된 무늬부를 갖는 성형 롤러부와, 상기 성형 롤러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지지 롤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Dumpling forming apparatus and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에 관한 것이다.
만두는 야채 및 고기 등을 주재료로 하여 속(만두소)을 만들고, 그 속을 만두피로 둘러싸서 만들어진 것이다. 예전에는 만두를 손으로 빚었지만 대량 생산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만두제조장치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만두제조장치로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123947호, 실용신안등록 제350472호, 특허등록 제529831호 등이 있다.
이러한 만두제조장치를 사용한 종래의 만두제조방법은 만두피의 재료인 밀가루반죽과 각종 양념류인 만두소를 만두용 압출식 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공정과, 압출된 재료를 성형 롤러를 통과시켜 통상의 만두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된 만두를 가열/비가열로 분리처리하여 급속동결기에서 동결한 후에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만두제조를 위한 만두성형장치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호퍼(A)와 만두피의 재료인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호퍼(B)를 통해 만두소와 밀가루 반죽을 투입받아서 동심원의 안쪽에 만두소를 압출하고 바깥쪽에 만두피를 원통형으로 압출하는 압출부와, 압출된 원통형 만두(이하에서는 만두롤이라 함)로부터 낱개의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낱개의 만두를 성형한 후에는 만두의 종류에 따라서 증숙, 가열, 급속동결 등의 처리를 한 후에 포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만두성형장치는 만두롤을 로울러형 만두금형으로 압착 절단하여 만두를 연속적으로 자동성형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소형이면서도 자동으로 만두를 비교적 빠른 속도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종래 만두성형 장치에서는 압출되는 만두롤이 튜브형으로 납작해지면서 상하로 눌러붙어 성형되는 만두의 몸체 형상도 납작한 형태로 성형되어 스팀으로 찌거나 만두국등의 끓이는 요리를 하여도 통통한 형상의 손만두에 비하여 외관상으로 볼품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하의 만두피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만두피의 접합 부분은 밀가루로만 구성되므로, 이 부분이 두껍게 형성되면 찌거나 튀길 때에 제대로 익혀지지 않거나 기름이 제대로 스며들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만두의 형상을 잘 유지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만두를 찌거나 튀길 때에 만두피의 접합 부분이 잘 익혀지고 기름이 제대로 스며드는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성형장치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만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는 튜브형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있는 만두롤을 배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밀착부를 통과한 만두롤로부터 낱개의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성형부는, 실리더형 바디, 상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 및 상기 반원형 리세스의 원호에 대응하는 바디의 일부에 형성된 무늬부를 갖는 성형 롤러부와, 상기 성형 롤러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지지 롤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은 상기 리세스들의 반원의 평면이 상기 바디의 베이스에 대응하고 상기 리세스들의 반원의 정점이 상기 바디의 외주면의 중심 라인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늬부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와의 경계 부분에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늬부는 상기 반원형 리세스의 원호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은 상기 바디의 외주면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배치된 반원형 리세스의 중심이 다른 측면에 배치된 반원형 리세스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롤러부는 상기 반원형 리세스들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 및 상기 성형 롤러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를 더 포함하는 만두성형장치.
상기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은 상기 실린더형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바디까지 상기 실린더형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반원형상으로 삭감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만두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두의 형상을 잘 유지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므로, 만두를 찌거나 튀길 때에 이 부분이 잘 익혀지고 기름이 제대로 스며드는 만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두성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만두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성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성형부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롤러부의 외주면을 펼쳐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만두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두성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만두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는 압출부(110)와 성형부(150)를 구비한다.
압출부(110)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제1 호퍼(A)와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제2 호퍼(B)를 통해 만두소와 밀가루 반죽을 투입받아서, 만두소를 동심원의 안쪽으로 압출하고, 속이 빈 원통형의 튜브 형상의 만두피를 바깥쪽으로 압출한다. 그에 따라, 원통형의 만두소와 만두소를 둘러싼 튜브 형상의 만두피로 이루어진 만두롤이 압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압출부(110)는 만두소 호퍼(A), 밀가루 반죽 호퍼(B), 중심축 상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밀가루 반죽 호퍼(B)로 투입된 밀가루 반죽을 전방으로 압출하는 반죽공급 스크류와, 상기 반죽공급 스크류의 중공 내에 마련되어 만두소 호퍼(A)로 투입된 만두소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만두소 공급 스크류와, 만두피압노즐을 구비한다. 밀가루 반죽과 만두소를 각각 밀가루 반죽 호퍼(B)와 만두소 호퍼(A)로 공급하면, 밀가루 반죽은 중심축 상에 중공이 있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반죽공급 스크류를 통하여 압출 공급되고, 만두소는 반죽공급 스크류의 중공 속에 축설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별도의 만두소 공급 스크류를 통하여 각각 전방으로 압출 공급된다.
압출부(110)의 선단에는 만두피압노즐(140)이 설치되어 있다. 만두피압노즐(140)은 반죽공급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반죽 투입호퍼(B)로부터 공급된 반죽이 압출되면서 압출부(110) 선단의 만두피압노즐(140)을 통해 튜브형 만두피를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만두속 투입호퍼(A)로부터 공급된 만두속이 만두소공급 스크류를 통해 밀려 나오면서 튜브형 만두피 속에 들어가게 되며, 그에 따라, 압출부(110)로부터 안쪽의 만두소와 바깥쪽의 만두피로 이루어진 원통형 만두롤이 압출 공급된다. 만두피압노즐(140)은 원형 슬릿(slit)을 가질 수 있다.
압출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만두롤은 압출부(110) 전방에 설치된 성형부(200)를 통해 성형되면서 반원형 만두로 성형되게 된다.
성형부(200)는 이동하여 오는 만두롤을 일정 시간마다 절단함으로써 동일한 길이의 낱개 만두를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성형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성형부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성형부(200)는 성형 롤러부(210) 및 상기 성형 롤러부(210)과 맞물려 회전하는 지지 롤러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성형부(200)는 성형 롤러부(210)의 회전축(242), 지지 롤러부(230)의 회전축(244), 및 성형 롤러부(210)의 회전축(242)과 지지 롤러부(230)의 회전축(244)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202) 및 제2 지지판(20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들은 종래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만두롤은 압출부(110)로부터 만두피압노즐(140)을 통해 압출 공급된다. 만두롤은 만두 형성부(200)의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로 공급된다. 성형 만두 성형시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는 서로 반대로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그에 따라,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로 공급되면,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의 회전에 의해 만두롤의 공급 방향의 반대편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경우, 성형 롤러부(210) 및 지지 롤러부(230)의 회전 속도는 압출부(110)로부터의 만두롤의 압출 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를 통과할 때, 만두롤은 만두로 성형된다.
성형 롤러부(210)는 실리더형 바디(212), 실린더형 바디(2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220), 및 반원형 리세스(220)의 원호에 대응하는 바디의 일부에 형성된 무늬부(214, 216)를 포함한다.
또한, 성형 롤러부(210)는 반원형 리세스(220)들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222) 및 성형 롤러부(21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224)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224)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반원형 리세스(220)는 실린더형 바디(212)의 일부가 실린더형 바디(212)의 표면으로부터 반원형상으로 삭감됨으로써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반원형 리세스(220)는 실린더형 바디(212)의 표면으로부터 베이스 바디(224)까지 실린더형 바디(212)의 외주면을 따라 반원형상으로 삭감된다.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220)은 리세스의 반원의 평면이 실링더형 바디(212)의 베이스(평면)에 대응하고 리세스(220)의 반원의 정점이 실링더형 바디(212)의 외주면의 중심 라인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된다.
실링더형 바디(212)의 외주면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는 반원형 리세스들(220)은 연결부(22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222)는 반원형 리세스들(220)의 단부들을 연결한다. 반원형 리세스들(220)의 연결 부분은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베이스 바디(22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반원형 리세스들(220) 사이의 연결부(222)는 베이스 바디(224)의 표면과 떨어져 있다. 그에 따라, 연결부(222)와 베이스 바디(22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은 만두롤로부터 만두를 성형할 때, 만두롤이 압박되지 않고 만두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롤러부의 외주면을 펼쳐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220)은 중심 라인(CL)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220)들은 일 측면에 배치된 반원형 리세스(220)의 중심(L)이 다른 측면에 배치된 반원형 리세스들(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무늬부(216)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실링더형 바디(212)와의 경계 부분에 단차를 갖는다. 무늬부(216)의 단차는 절단부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늬부(214, 216)의 단차는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에 공급되면서 만두가 성형될 때, 만두롤을 성형된 만두 형상에 따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무늬부(214, 216)의 단차는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늬부(216)는 반원형 리세스(220)의 원호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214)를 갖는다. 이 돌출부(214)는 성형된 만두에서 만두피가 접합된 부분에 무늬를 형성시킨다. 그러므로, 돌출부(214)는 만두롤을 압박할 때, 돌출부(214)에 대응한 만두롤의 부분이 제거되도록 그 에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성형된 만두에 무늬가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돌출부(214)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복수개의 돌출부(214)는 삼각형, 원형, 한 쌍의 대칭 도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무늬부(216)는 만두롤로부터 만두를 형성할 때, 만두피를 압박하며, 무늬부(216)의 단차에 의해 만두롤이 절단된다. 그러므로, 무늬부(216)는 만두피가 잘 붙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원형 리세스들(220)도 만두롤의 만두피가 맞닿는 부분이므로, 무늬부(216)와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만두 성형시 만두롤이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 만두피가 들러붙지 않은 재료, 예컨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성형부(200)가 만두를 성형하는 동작은 이하에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로 공급되면,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의 회전에 의해 만두롤의 공급 방향의 반대편으로 끌어당겨지면서,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를 통과한다.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를 통과할 때, 성형 롤러부(210)에 형성된 반원형 리세스(220)에 의해 반원 형상으로 만두롤이 변형되고, 실린더형 바디(210)의 표면에 의해 만두롤이 눌러진다.
다시 말해, 만두롤이 성형 롤러부(210)와 지지 롤러부(230) 사이를 통과할 때, 반원형 리세스(220)에 의해 눌리지 않고, 반원형 리세스(220)의 원호의 바깥 부분은 실린더형 바디(210)에 의해 눌러져 반원형 만두가 성형된다.
이 때, 리세스(220)의 원호에 대응한 바디의 일부에 형성된 무늬부(214, 216)가 지지 롤러부(230)과 맞물려 만두롤을 누르면 무늬부(216)의 돌출부(214)에 대응한 부분이 제거된다. 그에 따라, 성형 만두에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늬가 형성된 만두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만두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성형 장치에 의하면, 만두의 성형시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 무늬가 생성될 수 있다. 만두의 무늬는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서 만두피를 소정 패턴에 따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완성된 만두는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 무늬에 대응한 구멍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므로, 만두를 찌거나 튀길 때에 이 부분이 잘 익혀지고 기름이 제대로 스며드는 만두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무늬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의 패턴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패턴이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패턴은 삼각형, 원형, 한 쌍의 대칭 도형 등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성형된 만두는 증숙부에서 증숙 과정을 거치고 급속동결기에서 동결한 후에 포장하여 판매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압출부
130 밀착부
200 성형부
210 성형 롤러부
220 반원형 리세스
230 지지 롤러부

Claims (10)

  1. 튜브형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있는 만두롤을 배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압출부를 통과한 만두롤로부터 낱개의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성형부는,
    실린더형 바디, 상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 및 상기 반원형 리세스의 원호에 대응하는 바디의 일부에 바디와의 경계 부분에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무늬부를 갖는 성형 롤러부와,
    상기 성형 롤러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지지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은 상기 리세스들의 반원의 평면이 상기 바디의 베이스에 대응하고 상기 리세스들의 반원의 정점이 상기 바디의 외주면의 중심 라인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무늬부는 상기 반원형 리세스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에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서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는,
    만두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은 상기 바디의 외주면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배치된 반원형 리세스의 중심이 다른 측면에 배치된 반원형 리세스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만두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부는 상기 반원형 리세스들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 및 상기 성형 롤러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를 더 포함하는 만두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반원형 리세스들은 상기 실린더형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바디까지 상기 실린더형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반원형상으로 삭감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만두성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제1 호퍼와,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제2 호퍼와,
    중심축 상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호퍼로 투입된 밀가루 반죽을 전방으로 압출하는 반죽공급 스크류와,
    상기 반죽공급 스크류의 중공 내에 마련되어 제1 호퍼로 투입된 만두소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만두소 공급 스크류와,
    반죽공급 스크류의 선단 측에 마련되며, 원형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반죽공급 스크류에 의해 전방으로 공급되는 밀가루 반죽을 튜브형 만두피로서 압출하는 만두피압노즐
    을 포함하는 만두성형장치.
  10. 제1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만두성형장치로 만들어지며, 만두피의 접합 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만두.
KR1020170168190A 2017-12-08 2017-12-08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201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90A KR102015293B1 (ko) 2017-12-08 2017-12-08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90A KR102015293B1 (ko) 2017-12-08 2017-12-08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53A KR20190068653A (ko) 2019-06-19
KR102015293B1 true KR102015293B1 (ko) 2019-10-22

Family

ID=6710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190A KR102015293B1 (ko) 2017-12-08 2017-12-08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2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74Y1 (ko)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소형 자동 만두제조장치용 잎사귀 만두 성형로울러와성형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887B1 (ko) * 2009-08-24 2012-10-02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주름 만두 성형장치
KR101453439B1 (ko) * 2010-11-15 2014-10-21 (주)더본코리아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74Y1 (ko)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소형 자동 만두제조장치용 잎사귀 만두 성형로울러와성형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53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9590A (ja) 錠剤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040549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JP3811789B2 (ja) 食品用生地整形装置
KR102015293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JP6871630B2 (ja) 串刺食品製造装置
US3847531A (en) Die assembly for foodstuff extruder
KR101696579B1 (ko) 쿠키 반죽용 압출 성형기
KR19990071345A (ko) 중공부를갖는국수제조장치및그중공국수
KR102342873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EP3632211B1 (en) Stuffed food processing device
KR102395327B1 (ko)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KR102236355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102040981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KR200246211Y1 (ko) 제면기의 수제비성형장치
KR102332660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KR102128259B1 (ko) 타래과자 성형기
JP2005333900A (ja) 串焼きおにぎり製造装置
JPH04144671A (ja) ギョーザの連続成形装置
CN209436136U (zh) 一种出面效率高的面食机
KR200301478Y1 (ko) 떡 제조장치
KR20230035951A (ko) 만두 성형장치
US20050220954A1 (en) Process and system for making shaped snack products
KR200305846Y1 (ko) 중공부를 갖는 면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