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73B1 -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 Google Patents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73B1
KR102342873B1 KR1020190096475A KR20190096475A KR102342873B1 KR 102342873 B1 KR102342873 B1 KR 102342873B1 KR 1020190096475 A KR1020190096475 A KR 1020190096475A KR 20190096475 A KR20190096475 A KR 20190096475A KR 102342873 B1 KR102342873 B1 KR 10234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dumplings
skin
discharging
stuf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8659A (ko
Inventor
방상봉
Original Assignee
방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상봉 filed Critical 방상봉
Priority to KR102019009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는, 원통형의 만두소 및 상기 만두소를 둘러싸는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로 이루어진 만두롤을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만두롤을 낱개의 만두들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한다. 압출부는, 중앙으로 만두소를 토출하고 그 바깥으로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한다. 노즐부는, 중앙에 형성되어 만두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융기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공을 포함한다. 토출공은 십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두피에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만두를 찐 후에 쌓아두어도 종래에 비하여 만두끼리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어서 만두끼리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감소된다. 또한, 만두를 튀긴 후에 시간이 지나도 누그러짐이 없이 형태가 유지되며, 만두 조리 과정에서도 만두피가 부풀어오르거나 터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특한 형태의 만두피를 포함하는 만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장치에 의해 제조된 만두에 관한 것이다.
만두는 야채 및 고기 등을 주재료로 하여 속(만두소)을 만들고, 그 속을 만두피로 둘러싸서 만들어진 것이다. 예전에는 만두를 손으로 빚었지만 대량 생산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만두제조장치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만두제조장치로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123947호, 실용신안등록 제350472호, 특허등록 제529831호, 특허등록 제1735515호, 특허등록 제1747886호 등이 있다.
종래의 만두제조장치는 일반적으로, 만두소를 수용하는 제1 호퍼와 만두피의 재료인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제2 호퍼를 통해 만두소와 밀가루 반죽을 투입받아서 동심원의 안쪽에 만두소를 압출하고 바깥쪽에 만두피를 원통형으로 압출하는 압출부와, 압출되는 만두소와 만두피로부터 소정의 형태를 가진 낱개의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한다.
만두소와 밀가루 반죽을 각각 제1 호퍼와 제2 호퍼로 공급하면, 밀가루 반죽은 중심축 상에 중공이 있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반죽공급 스크류를 통하여 압출 공급되고, 만두소는 반죽공급 스크류의 중공 속에 축설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별도의 만두소 공급 스크류를 통하여 각각 전방으로 압출 공급된다. 성형부는 압출부에서 압출 공급되는 만두소와 만두피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 및 절단하여 낱개의 만두를 제조한다. 성형부는 성형하고자 하는 만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529831호, 특허등록 제1453439호, 특허등록 제1823759호, 특허등록 제1866782호 등이 있다. 이렇게 낱개의 만두를 제조한 후에는 만두의 종류에 따라서 증숙, 가열, 급속동결 등의 처리를 한 후에 포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성형된 만두는 만두피가 만두소에 밀착된 형태를 가지며, 이를 증숙시키면 만두피의 겉부분에 얇은 막이 형성된다. 증숙된 만두를 튀기거나 굽거나 재증숙시킬 때에 만두소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수증기가 이 막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여 심하게 부풀거나 심하면 터지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만두피를 얇게 하면 조리 과정에서 만두피가 터지기 쉽게 된다. 만두피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두피를 두껍게 하면 식감이 떨어지고 요리 과정 중에 심하게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등록 제1747886호를 제안하였다. 이 발명에서는 튜브부와, 튜브부에서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튜브형 만두피의 날개부를 튜브부에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만두피 내에 빈 공간을 발생시켜서 만두피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튀겼을 때 좀더 바삭한 식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만두도 찐 후에 만두를 쌓아두면 다른 만두의 만두피끼리 달라붙어서 젓가락으로 만두를 집을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튀긴 후에는 시간이 지나면 공기층 부분이 사라지면서 만두가 누그러져서 형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찐 후에 만두를 쌓아두어도 만두끼리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감소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튀긴 후에 시간이 지나도 누그러짐이 없이 형태가 유지되는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두 조리 과정에서 만두피가 부풀어오르거나 터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제조장치 및 이러한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만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두를 튀기거나 구울 때 바삭바삭한 식감을 줄 수 있는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적으로 독특한 미감을 줄 수 있는 만두를 제조하기 위한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는, 원통형의 만두소 및 상기 만두소를 둘러싸는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로 이루어진 만두롤을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만두롤을 낱개의 만두들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한다.
압출부는, 중앙으로 만두소를 토출하고 그 바깥으로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한다. 노즐부는, 중앙에 형성되어 만두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융기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공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토출공은,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제1 슬릿과 상기 슬릿과 수직으로 만나거나 교차하는 방향의 제2 슬릿을 각각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토출공은 십자 형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공은 T자 형태를 갖는다.
노즐부는, 제1 만두피압노즐, 제1 만두피압노즐을 압출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구, 제2 만두피압노즐 및 제2 만두피압노즐을 제1 고정구에 고정하기 위한제2 고정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만두피압노즐은, 중앙에 형성되며 압출되는 만두소를 토출하기 위한 중앙 토출구와, 상기 중앙 토출구의 주변에 배치되어 압출되는 반죽을 토출하기 위한 주변 토출구를 포함한다. 제2 만두피압노즐은, 상기 주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반죽을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로 토출시킨다.
제1 만두피압노즐은, 상기 주변 토출구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가운데에 상기 중앙 토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 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만두피압노즐은, 중앙에 형성되어 만두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융기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공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벽부와 제2 만두피압노즐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내주면 사이에 상기 원통형 벽부의 외면을 따라 원형 이격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 이격부를 통해 만두피의 계곡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토출되며, 상기 토출공을 통해 만두피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토출된다.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만두피에 융기부와 주름진 계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두피에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만두를 찐 후에 쌓아두어도 종래에 비하여 만두끼리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어서 만두끼리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감소된다. 또한, 융기부가 골격을 형성하므로 만두를 튀긴 후에 시간이 지나도 누그러짐이 없이 형태가 유지되며, 만두 조리 과정에서도 만두피가 부풀어오르거나 터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만두를 튀길 때에 융기부와 주름진 계곡부에 의해 기름과 접촉하는 면이 넓어져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줄 수 있으며, 만두를 구을 때에도 바삭바삭한 부분과 촉촉한 부분이 공존하여 색다른 식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융기부와 주름진 계곡부에 의해 시각적으로 독특한 미감이 생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압출부의 만두피압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압출부의 만두피압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압출부의 만두피압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압출부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만두롤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에서 낱개 만두를 성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만두의 한가지 예를 보여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는 압출부(10)와 성형부(20)를 구비한다.
압출부(10)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제1 호퍼(A)와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제2 호퍼(B)를 통해 만두소와 밀가루 반죽을 투입받아서, 노즐부(100)을 통해 만두소와 만두피를 압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융기부가 형성된 피가 압출된다. 즉, 노즐부(100)을 통해 원통형의 만두소를 압출하고,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D1)가 만두소(D2)를 둘러싸도록 압출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이하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만두소(D2), 만두피(D1)를 통칭하여 만두롤(R)이라 한다.
성형부(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컨베이어 벨트(F)를 타고 이동하여 오는 만두롤(R)을 절단하고 성형함으로써 낱개 만두(G)를 성형한다.
압출부(10)는 노즐부(100)의 형태가 종래와 다른 형태를 가지며, 나머지 구성은 특허등록 제529831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압출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즉, 본 발명의 압출부(10)는 밀가루 반죽 호퍼(B)로 투입된 밀가루 반죽을 전방으로 압출하는 반죽공급 스크류와, 상기 반죽공급 스크류의 중공 내에 마련되어 만두소 호퍼(A)로 투입된 만두소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만두소 공급 스크류와, 만두피압노즐을 구비한다. 밀가루 반죽과 만두소를 각각 밀가루 반죽 호퍼(B)와 만두소 호퍼(A)로 공급하면, 밀가루 반죽은 중심축 상에 중공이 있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반죽공급 스크류를 통하여 압출 공급되고, 만두소는 반죽공급 스크류의 중공 속에 축설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별도의 만두소 공급 스크류를 통하여 각각 전방으로 압출 공급된다. 압출부에는 압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발산시킬 수 있는 냉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즐부(100)에서는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D1)가 압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노즐부(100)는, 만두소 공급 스크류에 의해 압출되는 만두소를 중앙에 형성된 중앙 토출구(111)로 토출하고, 반죽공급 스크류에 의해 압출되는 반죽을 복수의 주변 토출구(112)로 토출하는 제1 만두피압노즐(110)을 구비한다. 중앙 토출구(111)는 만두소와 반죽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 토출구(112)보다 출구쪽에 가까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만두피압노즐(110)은 주변 토출구(11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가운데에 중앙 토출구(111)를 형성하는 원통형 벽부(113)를 구비한다. 주변 토출구(112)는 토출되는 반죽을 납작한 복수의 만두피용 반죽으로 토출하기 위하여 둘레 방향으로 길고 좁게 형성된다. 도 3은 주변 토출구(112)가 각 줄마다 4개씩 두 줄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주변 토출구(112)의 갯수와 줄 수는 사용되는 반죽의 재질과 만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만두피압노즐(110)은 제1 고정구(120)에 의해 압출부(10)에 고정된다. 제1 고정구(120)는 바람직하게는 압출부(10)의 노즐 결합 부위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지만, 억지끼움 방식이나 기타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즐부(100)는, 제1 만두피압노즐(110)에서 주변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반죽을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D1)로서 토출시키는 제2 만두피압노즐(130)을 더 구비한다. 제2 만두피압노즐(130)의 중앙에는 만두소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131)의 둘레를 따라 만두피의 융기부(E1)를 구성하는 부분을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계곡부(E2)를 구성하는 부분은 후술하는 것처럼 벽부(113)와 제2 만두피압노즐(130) 내측면 사이의 틈(원형 이격부)으로 토출된다.
도 2에 토출공(132)의 두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토출공(132)이 (a)와 같이 십자 형태를 갖거나 (b)처럼 T자 형태를 갖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토출공(132)은 배출구(13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제1 슬릿(예를 들면 T자의 기둥 부분)과 상기 슬릿과 수직으로 만나거나 교차하는 방향의 제2 슬릿(예를 들면 T자의 천장 부분)을 구비하면 된다. 또는 제2 슬릿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제1 슬릿의 폭이 위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슬릿을 직선이 아닌 원호 형태로 구성하거나 V자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숫자, 폭, 길이 등에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슬릿을 2개 이상 마련하거나(하고), 제2 슬릿을 2개 이상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제1 슬릿의 폭을 제2 슬릿의 폭과 다르게 하거나, 제1 슬릿의 길이를 제2 슬릿의 길이와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슬릿의 폭이 토출공(132) 쪽에 가까울수록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하거나, 제2 슬릿의 폭이 제1 슬릿 쪽에 가까울수록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토출공(132)을 배출구(131)의 둘레의 일부에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만두피압노즐(130)의 배출구(131)의 내경은 제1 만두피압노즐(110)의 원통형 벽부(113)의 외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만두피압노즐(110)의 원통형 벽부(113)와 제2 만두피압노즐(130)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내주면 사이에는 원통형 벽부(113)의 외면을 따라 원형 이격부(C)가 형성되며, 이 원형 이격부(C)를 통해 만두피(D1)가 토출된다. 토출공(132)의 제1 슬릿은 원형 이격부(C)와 통해 있어서, 원형 이격부(C) 및 복수의 토출공(132)을 통해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D1)가 토출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 토출구(111)를 통해서는 만두소(D2)가 토출되고, 복수의 토출공(132)을 통해서 토출되는 만두피는 융기부(E1)를 형성하고 그 이외의 원형 이격부(C)를 통해서 토출되는 만두피는 계곡부(E2)를 형성한다.
제1 슬릿의 폭은 원형 이격부(C)의 폭(이격 거리)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슬릿을 통하여 밀려나오는 반죽이 받는 저항이 원형 이격부(C)를 통하여 밀려나오는 반죽이 받는 저항보다 커서, 제1 슬릿을 통하여 밀려나오는 반죽의 토출 속도보다 원형 이격부(C)를 통하여 밀려나오는 반죽의 토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원형 이격부(C)를 통하여 토출되는 계곡부(E2)에는 주름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계곡부(E2)에 주름이 형성된 만두의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주름에 의해 만두피가 잘 터지지 않고 만두끼리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만두피압노즐(130)은 제2 고정구(140)에 의해 제1 고정구(120)에 고정된다. 제2 고정구(140)는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구(120)의 결합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지만, 억지끼움 방식이나 기타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구(140)를 제1 고정구(120)에 결합시키는 깊이로 원형 이격부(C)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제2 고정구(140)를 제1 고정구(120)에 깊이 결합시킬수록 원형 이격부(C)의 이격 거리가 짧아져서 제2 만두피(D2)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만두롤(R)은 성형부(20)에서 낱개의 만두(G)로 성형된다. 성형부(20)의 구성은 성형할 형상에 따라 정해지며, 본 발명은 특정 성형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529831호, 특허등록 제1453439호, 특허등록 제1787654호, 특허등록 제1823759호, 특허등록 제1866782호 등에 개시된 성형부를 사용하여 반달형, 소룡포, 원형, 장방형 등의 형상을 가진 낱개의 만두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출부(10)에서 토출되는 만두롤로부터 성형부를 사용하여 낱개의 만두를 성형하는 한가지 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만두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만두롤로부터 낱개 만두를 성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노즐부(100)를 통해 압출 공급되는 만두롤(R)은 컨베이어 벨트(F)를 타고 성형부(20)에 공급되고, 성형부(20)에서는 복수의 커터날로 만두롤(R)을 절단하여 낱개만두(G)를 성형한다. 도 8은 도 7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낱개 만두((G)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성형부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원하는 만두 형상에 따라 적절한 성형부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상의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823759호나 등록특허 제186678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성형부를 사용함으로써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를 가진 교자 만두를 제조할 수 있으며, 등록특허 제52983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성형부를 사용함으로써 융기부(E1)와 계곡부(E2)가 형성된 만두피를 가진 원형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압출부,
100 노즐부,
110 제1 만두피압노즐,
120 제1 고정구,
130 제2 만두피압노즐,
140 제2 고정구,
20 성형부.

Claims (9)

  1. 중앙으로 만두소를 토출하고 그 바깥으로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하며, 원통형의 만두소 및 상기 만두소를 둘러싸는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로 이루어진 만두롤을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만두롤을 낱개의 만두들로 성형하는 성형부
    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부는,
    중앙에 형성되며 압출되는 만두소를 토출하기 위한 중앙 토출구와, 상기 중앙 토출구의 주변에 배치되어 압출되는 반죽을 토출하기 위한 주변 토출구와, 상기 주변 토출구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가운데에 상기 중앙 토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 벽부를 포함하는 제1 만두피압노즐과,
    상기 제1 만두피압노즐을 상기 압출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구와,
    중앙에 형성되어 만두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융기부가 형성된 만두피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주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반죽을 융기부와 계곡부가 형성된 만두피로 토출시키는 제2 만두피압노즐과,
    상기 제2 만두피압노즐을 상기 제1 고정구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구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공은,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제1 슬릿과 상기 슬릿과 수직으로 만나거나 교차하는 방향의 제2 슬릿을 각각 구비하여 T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벽부와 제2 만두피압노즐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내주면 사이에 상기 원통형 벽부의 외면을 따라 원형 이격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 이격부를 통해 만두피의 계곡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토출되며, 상기 토출공을 통해 만두피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계곡부 위로 토출되는, 만두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의 만두성형장치로 만들어지며, 만두소와, 상기 만두소를 둘러싸는 만두피를 포함하며, 상기 만두피에는 주름진 계곡부와, 상기 계곡부 위에 형성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만두.
KR1020190096475A 2019-08-08 2019-08-08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KR10234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75A KR102342873B1 (ko) 2019-08-08 2019-08-08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75A KR102342873B1 (ko) 2019-08-08 2019-08-08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659A KR20210018659A (ko) 2021-02-18
KR102342873B1 true KR102342873B1 (ko) 2021-12-24

Family

ID=7468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475A KR102342873B1 (ko) 2019-08-08 2019-08-08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231A (ko) 2022-07-26 2024-02-05 최상업 회오리 형상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만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226A (ja) * 1999-06-03 2000-12-12 Jafoma Corp 餃子製造装置
KR101747886B1 (ko) * 2016-06-14 2017-06-16 방상봉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995B2 (ja) * 1994-02-09 2000-07-10 大英技研株式会社 麺皮で覆われた食品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装置
KR101186887B1 (ko) * 2009-08-24 2012-10-02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주름 만두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226A (ja) * 1999-06-03 2000-12-12 Jafoma Corp 餃子製造装置
KR101747886B1 (ko) * 2016-06-14 2017-06-16 방상봉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659A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8219A (en) Cereal product with honeycomb-like appearance and method of making same
AU592411B2 (en) Nozzle for extrusion
US4888192A (en) Method for extrusion of baked goods
US4648821A (en) Apparatus for co-extrusion of a dough mass having dissimilar inner and outer portions
KR101747886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US625839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panded cereal
EP2731886B1 (en) Completely disposable cooking apparatus for filling and decorating of foods
KR102342873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EP0669081B1 (en) Molding nozzle assembly for producing hollow cylindrical snack foods
KR102040549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JP3009835B2 (ja) 有芯棒状食品吐出装置
KR102236355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KR102040981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WO2015162138A1 (en) Patterned baked food products
KR102332660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EP3119212B1 (en) Spaghetti-like long pasta shape and relative production device
US27726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oughnut dough formations having scalloped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US4420298A (en) Device for making spatzels
US5536162A (en) Apparatus for preparing pretzel chips
EP1262106B1 (en) Extruded expanded cereal shaped as an array of touching balls
KR100444296B1 (ko) 국수형 만두 제조장치
KR102015293B1 (ko)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TWI753314B (zh) 複合口味之米果膨化加工裝置
EP2756758A1 (en) Improved snack produc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24023765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sta by means of extrusion through a bronze die plate insert with gro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