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258B1 -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258B1
KR102015258B1 KR1020190065177A KR20190065177A KR102015258B1 KR 102015258 B1 KR102015258 B1 KR 102015258B1 KR 1020190065177 A KR1020190065177 A KR 1020190065177A KR 20190065177 A KR20190065177 A KR 20190065177A KR 102015258 B1 KR102015258 B1 KR 10201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dboard
region
ink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이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근 filed Critical 이승근
Priority to KR102019006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2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moving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2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 B41F33/0045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the ink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시 골판지 표면에 대한 인쇄 불량 및 이에 따른 제품 폐기를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Corrugated cardboard box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시 골판지 표면에 대한 인쇄 불량 및 이에 따른 제품 폐기를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는 파도 모양으로 성형된 골심지와 골심지의 편면 또는 양번에 라이너 원지를 접착한 것으로서, 구조에 따라 편면골판지, 양면골판지, 2중양면 골판지, 3중 골판지 등으로 분류되며, 또한 용도에 따라 단위 포장용, 내부포장용, 외부포장용 골판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골판지는 트러스 구조로 성형한 골심지를 라이너로 샌드위치한 역학적 구조체로서, 강성, 내충격성, 완충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내용물의 유닛성, 보호성, 안전성에 효과적이고, 다른 포장 재료에 비하여 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골판지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고, 단납기, 다품종 소롯트에도 대응하는 유연성이 있으며, 품질의 안정성이 높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빈 상자의 보관장소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가볍고, 작업성이 좋으며, 상자 표면에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양질의 인쇄가 가능하여 미적 효과를 용이하게 높이고 표시성과 선전 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고지원료로 회수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리사이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장점으로 인하여 골판지는 여러 분야에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제품이나 혹은 이들의 부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제작되는 완성품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로 장/단시간의 보관 처리 및 적정 장소로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포장 박스는 이미 개발되어 일반화되어 있으며, 골판지 박스의 스티로폼 박스에 비하여 친환경적이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특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골판지 박스는 일반적으로 골판지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골판지 원지 제조업체를 통해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가 골판지 박스 제조 업체에 납품되며, 골판지 박스 제조 업체는 이러한 단위 골판지에 인쇄를 하고, 박스의 전개도 모양으로 외형을 절단하고, 박스를 접을 수 있도록 접철선을 형성시킨 후,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및 타단을 서로 접착시켜 상자 형상으로 만들 수 있는 포장 박스의 바로 전단계인 포장재 상태로 제작되어 출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후에, 박스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포장재 상태에서 박스를 인력 또는 장치 등을 이용하여 접철함으로써 입체적인 포장박스로 만들어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골판지는 통상 폐지를 재활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골판지 원단의 품질이 불균일하고,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단면구조를 보유하기 때문에 강도가 다양할 수 있으며, 또한 골판지에 대한 인쇄 작업시 계절 및 작업환경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해 인쇄용 잉크의 점도가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인쇄 품질이 불균일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골판지 박스 유닛의 제조시 인쇄 불량에 의한 제품 폐기를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골판지 박스 제조 업체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쇄를 위한 인쇄 유닛과, 프레스 유닛 등을 각각 따로 구비하여 수동적으로 인쇄작업, 프레스 작업 및 일단 및 타단의 접철 및 접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작업성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반복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피로감을 주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에 따라 프레스 작업 등이 능숙하지 않아 위험성이 있을 수 있으며,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 인한 인력 관리 등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골판지 박스 유닛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인쇄를 하기위한 잉크가 구비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단위 골판지가 투입되며 인쇄가 이루어지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절단 및 절곡선 형성이 이루어지는 제3영역과, 상기 제3영역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절곡 및 접착이 이루어지는 제4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 형성되되 내부에 잉크가 수용되며 상기 내부에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이 장착되는 잉크 저장 유닛과, 상기 제1영역의 잉크 저장 유닛에 구비되는 잉크로 상기 제2영역에서 단위 골판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사이를 왕복하며, 인쇄되는 잉크의 번짐 정도를 감지하는 비전 모듈을 갖는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단위 골판지를 제2영역에서 제3영역으로 왕복하며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단위 골판지가 박스 전개도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형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프레스 유닛과, 상기 프레스 유닛에 의해 절단되고 절곡선이 형성된 단위 골판지를 제3영역에서 제4영역으로 왕복하며 이송하는 제2이송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4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서로 접착시키는 절곡접착 유닛을 포함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는 상기 잉크 저장 유닛은 내부의 잉크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점도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온습도계 및 온습도에 따른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를 가지며, 최초 인쇄작업 시작 전 상기 온습도계로부터 감지되는 온습도와 상기 온습도에 따른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를 맵핑하여 기준 점도를 산정한 후 상기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상기 점도 측정기의 값을 기준 점도에 도달시킨 후 인쇄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최초 인쇄작업 후 상기 비전 모듈을 통해 잉크의 번짐 정도를 감지하며, 번짐 정도가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상기 점도 측정기에 측정되는 점도 값을 조절한 후 두 번째 인쇄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초 인쇄작업 후에 점도값을 조절하는 경우에, 상기 조절된 점도값을 상기 온습도에 따른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에 반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저장 유닛과, 인쇄유닛과, 제1이송유닛과, 프레스 유닛과, 제2이송유닛과, 절곡접착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에 투입되는 단위 골판지를 상기 인쇄유닛이 인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시키는 제1승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4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절곡접착 유닛을 통과하며 접합된 단위 골판지가 적층되는 적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골판지는 복수 개가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으로 일시에 투입되며, 상기 제1승강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단위 골판지 전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인쇄유닛이 인쇄를 수행하는 위치로 상승시키되, 상기 적층된 단위 골판지의 적층 개수와 무관하게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단위 골판지의 최상면이 항상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강유닛은 상기 단위 골판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승강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기 제1승강베이스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싱부와,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베이스의 일측이 고정되는 볼너트부와, 상기 볼스크류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승강베이스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제1승강베이스에 안착되는 단위 골판지의 최상면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인쇄수평이동유닛과, 상기 인쇄수평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제1영역에서 승강되어 잉크를 충전하고 제2영역에서 승강되어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수직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수평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쇄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인쇄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쇄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인쇄슬라이드 블록과 결합되며 일체로 이동되는 인쇄수평이동프레임과, 상기 인쇄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쇄구동모터와, 상기 인쇄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인쇄슬라이드 레일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타이밍 풀리와, 페루프를 이루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각 타이밍 풀리에 기어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인쇄수평이동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인쇄수평이동프레임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쇄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인쇄수평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수직이동유닛은 상기 인쇄수평이동유닛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인쇄수직이동프레임과, 상기 인쇄수직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승강프레임과, 상기 인쇄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인쇄승강프레임에 장착되며 일면에 인쇄을 위해 양각으로 형태가 형성되는 양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과 제3영역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수평이동유닛과, 상기 제1수평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제2영역에서 승강되어 단위 골판지를 들어올린 후 상기 제1수평유닛에 의해 제3영역으로 이동된 후 승강되어 상기 단위 골판지를 제3영역에 안착시키는 제1수직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과 제3영역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1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제1슬라이드 블록과 결합되며 일체로 이동되는 제1수평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제1슬라이드 레일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타이밍 풀리와, 페루프를 이루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각 제1타이밍 풀리에 기어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1수평이동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이동프레임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수평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1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이동유닛은 상기 제1수평이동유닛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제1수직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이동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승강프레임과, 상기 제1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승강프레임에 장착되며 일면에 상기 단위 골판지를 흡착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 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는 일면에 상기 단위 골판지의 외형을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부와, 상기 단위 골판지에 절곡선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곡선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프레스 가압시 상기 절단부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단위 골판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유닛은 상기 단위 골판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유닛은 단부가 상기 프레스의 접촉 영역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 가압시 상기 절곡선 형성부가 상기 절단부보다 먼저 단위 골판지에 접촉되고, 상기 프레스의 상승시 상기 절단부보다 나중에 단위 골판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선 형성부의 상단은 탄성유닛으로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절단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과 제4영역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수평이동유닛과, 상기 제2수평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제3영역에서 승강되어 단위 골판지를 들어올린 후 상기 제2수평유닛에 의해 제4영역으로 이동된 후 승강되어 상기 단위 골판지를 제4영역에 안착시키는 제2수직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평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과 제4영역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제2슬라이드 블록과 결합되며 일체로 이동되는 제2수평이동프레임과,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타이밍 풀리와, 페루프를 이루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각 제2타이밍 풀리에 기어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2수평이동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2수평이동프레임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2수평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2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직이동유닛은 상기 제2수평이동유닛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제2수직이동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이동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승강프레임과, 상기 제2승강프레임에 장착되며 일면에 상기 단위 골판지를 흡착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접착 유닛은 단위 골판지가 상기 제2이송유닛에 의해 이송시 일단 및 타단이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에서 제4영역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제4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절곡가이드와, 상기 절곡가이드에 의해 접혀지는 일단 및 타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제3영역에서 전달되는 단위 골판지의 하방을 지지하되 상기 단위 골판지의 적층 수와 무관하게 적층된 단위 골판지의 최상면이 항상 같은 높이에 위치되면서 적재될 수 있도록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단위 골판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재승강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기 적재승강베이스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싱부와,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승강베이스의 일측이 고정되는 볼너트부와, 상기 볼스크류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적재승강베이스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4영역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적재승강베이스에 안착되는 단위 골판지의 최상면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가 베이스 프레임의 제2영역에 투입되는 단계와, 일면에 잉크가 묻혀진 인쇄유닛이 상기 투입된 단위 골판지를 가압하여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된 단위 골판지를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으로 1차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된 단위 골판지가 접혀지는 경우 박스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형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단위 골판지를 베이스 프레임의 제4영역으로 2차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와, 접착된 단위 골판지를 다단으로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골판지 박스 유닛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는 골판지 박스 유닛의 적재 분리, 인쇄, 절단 및 절곡선 형성, 절곡 및 접착 등의 제조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제조 과정에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작업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비전 모듈을 통해 잉크의 번짐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품질 확인 및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비전 모듈을 통해 감지한 정보와 점도 측정기 정보를 통하여 잉크의 점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초기 잉크 점도값의 설정이 빠르고 용이하다.
또한, 최초 인쇄 작업 후 두번째 인쇄 작업 전 비전 모듈을 통해 인쇄 품질 확인하여 점도를 조절한 후 인쇄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품질 불량이 감소되고 불량 발생시 소모되는 인쇄 불량 단위 골판지의 양이 최소화된다.
또한, 온습도에 따른 점도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이를 점도 기준 테이블에 반영함으로써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방법에 관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의 구성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제조 유닛(1)은 절단된 상태로 입고되는 단위 골판지를 자동으로 인쇄하고, 절단 및 절곡하며, 다시 적층시켜 배출한다.
이를 위해 골판지 박스 제조 유닛(1)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컨베어유닛(200)과, 잉크저장유닛(300)과, 인쇄유닛(400)과, 프레스 유닛(500)과, 접착 유닛(6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전술한 유닛들이 장착될 수 있는 몸체의 역할을 하며, 제1영역(100-1) 내지 제4영역(10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각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대로 제1영역(100-1)부터 제4영역(100-4)까지 구성되며, 제1영역(100-1)에는 인쇄를 위한 잉크 저장 유닛(300)이 구비되며,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가 투입될 수 있다.
제1영역(100-1)과 제2영역(100-2)에는 인쇄유닛(400)이 결합되어 제1영역(100-1) 및 제2영역(100-2) 사이를 왕복하며, 제1영역(100-1)의 타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영역(100-2)에서는 인쇄유닛(400)에 의해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제3영역(100-3)에는 프레스유닛(500)이 장착되며, 컨베어 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단위 골판지가 절단됨과 동시에 절곡선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영역(100-4)에는 접합유닛(600)이 장착되며, 컨베어 유닛(200)에 의해 이송되는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이 절곡되면서 접착되어 골판지 박스 유닛이 제조되면서 배출될 수 있다.
이해 및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작업이 진행되는 순서대로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소정 크기로 절단된 단위 골판지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의 일측으로 투입될 수 있다.
컨베어 유닛(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서부터 제4영역(100-4)까지 이송시키며,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서부터 제4영역(100-4)까지 형성될 수 있다.
컨베어 유닛(200)에 의해 투입된 단위 골판지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서 제2영역(100-2)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후 상기 제2영역(100-2)에서 인쇄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작업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는 잉크가 수용되는 잉크 저장 유닛(300)이 형성되고, 제1영역(100-1) 및 제2영역(100-2)에는 일면에 잉크를 충전하여 단위 골판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유닛(400)이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저장 유닛(300)은 내부에 잉크가 수용되며, 인쇄유닛(400)이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잉크를 공급한다. 이러한 잉크 저장 유닛(300)에는 잉크 점도 조절 모듈(미도시)과 점도 측정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잉크 저장 유닛(300) 내부에 잉크 원액 또는 희석을 위한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온습도계(미도시) 및 온습도에 따른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점도 측정기는 수용되는 잉크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인쇄 점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수동으로 인쇄 점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임의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잉크 점도 조절 모듈에 포함된 온습도계의 온습도 정보를 활용하여 온습도에 따른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온도 및 습도에 맞는 기준 점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도 측정기가 해당 기준 점도에 맞춰질 때까지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을 조절하여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연속적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초기에 하나의 단위 골판지만을 인쇄작업을 수행한 후 인쇄 작업의 결과를 후술할 인쇄유닛(400)의 비전 모듈(미도시)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불량 또는 양품 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불량으로 판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잉크의 번짐 정도를 확인하고 수동으로 전술한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을 조절하여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자동으로 인쇄 점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온습도계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인한다
그 후 획득된 온도 및 습도 정보와 온습도에 따른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를 맵핑하여 기준 점도를 산정한 후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이 상기 기준 점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도 측정기가 해당 기준 점도에 맞춰질 때까지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을 조절하여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점도를 자동으로 조절한 후 최초 인쇄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최초 인쇄 작업 후 후술할 비전 모듈을 통해 잉크의 번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번짐 정도가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점도 측정되는 점도값을 수정한 후 두 번째 인쇄 작업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번짐 정도가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번짐 정도를 확인하여 번짐 정도가 설정값 이내로 들어와 양품으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작업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인쇄 작업 결과가 양품을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온도 및 습도와 매칭되는 점도값이 수정된 점도값이 되도록 상기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에 해당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2는 인쇄유닛(4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a) 및 도 3(b)는 인쇄유닛(400)의 수평이동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는 잉크 저장 유닛(300)이 구비되며, 인쇄유닛(400)은 제1영역(100-1)과 제2영역(100-2)을 왕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영역(100-1)에서 잉크를 묻혀 제2영역(100-2)에서 단위 골판지에 접촉시킴으로써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쇄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유닛(410)과, 수직이동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동유닛(4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과 제2영역(100-2)에 걸쳐서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411)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4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414)와, 슬라이드 가이드와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수평이동프레임(413)과, 슬라이드 레일(411)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415)와, 구동모터(415)의 출력축과 슬라이드 레일(41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타이밍풀리(416)와, 페루프를 이루되 일측 및 타측이 각 타이밍 풀리(416)에 기어 결합되며 일부가 수평이동프레임(413)과 결합되어 수평이동프레임(413)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타이밍벨트(4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유닛(410)의 구성은 리니어 시스템을 이루며, 일반적으로 1축 로봇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유닛(410)의 슬라이드 레일(411)은 LM레일일 수 있으며,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일 수 있다. 또한, 인쇄슬라이드 블록(414)은 LM블록일 수 있으며, 슬라이드 테이블일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411) 및 슬라이드 블록(414)은 수평이동프레임(413)의 이동시 이를 보조하고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유닛(413)의 작동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5)의 출력축과 슬라이드 레일(411)의 타측에 타이밍풀리(41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타이밍풀리(416)에 타이밍벨트(417)가 폐루프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417)의 일부에는 연결블록(418) 등을 매개로 수평이동프레임(413)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5)에 결합되는 타이밍풀리(416)가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그에 따라 타이밍벨트(417)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러한 타이밍벨트(417)에 결합된 인쇄수평이동프레임(413)이 함께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인쇄유닛(400)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대의 경우에도 모터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그에 따라 타이밍벨트(417)가 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러한 타이밍벨트(417)에 결합된 수평이동프레임(413)이 함께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인쇄유닛(400)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수직이동유닛(420)은 인쇄수평이동유닛(410)에 장착되어 함께 수평이동되며, 이와 별도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이동유닛(420)은 제1영역(100-1)에서 승강하여 잉크를 충전하고, 제2영역(100-2)에서 승강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수직이동유닛(420)은 수직이동프레임(421)과, 승강프레임(425)과, 액츄에이터(423)와, 양각판(427)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이동프레임(421)은 수평이동유닛(410)에 장착되어 일체로 수평으로 이동되며, 승강프레임(425)이 장착될 수 있는 몸체를 제공한다.
승강프레임(425)은 수직이동프레임(421)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프레임(425)은 액츄에이터(423)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츄에이터(423)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승강프레임(425)에는 양각판(427)이 장착되며, 양각판(427)은 일면에 인쇄를 위한 형태가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는 필요에 따라, 또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도 4는 프레스 유닛(5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내지 도 7은 프레스(510)의 요부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프레스 유닛(5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3영역(100-3)에 형성되며, 프레스(500)를 이용하여 단위 골판지가 절곡되어 조립되는 경우 박스 형상를 이룰 수 있도록 박스 형태의 전개도의 외형을 갖도록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이 필요한 부분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프레스(510)는 일면에 단위 골판지의 외형을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부(511)와, 절곡선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곡선 형성부(515)를 포함하며, 절단부(511)와의 마찰에 의해 단위 골판지가 상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방으로 가압하는 보조유닛(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스(51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방식의 프레스(510)가 적용될 수 있다.
프레스(510)의 보조유닛(5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5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단부의 모서리에 의해 단위 골판지가 파손되지 않도록 단부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유닛(5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절단부(511)와 절곡선 형성부(515)는 가압시 절곡선 형성부(515)가 절단부(511)보다 먼저 단위 골판지에 접촉되고, 상승시 절단부(511)보다 나중에 단위 골판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절곡선 형성부(515)의 상단은 탄성유닛(517)으로 연결되고 하단은 절단부(511)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프레스(510)의 상승시 절단부(511)의 외면에 단위 골판지의 절단면이 접촉되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절단부(511)보다 절곡선 형성부(515)가 단위 골판지에서 더 늦게 분리됨으로써 단위 골판지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단위 골판지의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접착유닛(6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4영역(100-4)에 장착되며, 프레스 유닛(500)에 의해 박스 전개도의 형태로 절단 및 절곡선이 형성된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접착유닛(600)은 절곡가이드(도면부호 없음)와 접착제 도포 모듈(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가이드는 컨베어 유닛(200)에서 단위 골판지가 이송되는 경우 일단 및 타단이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3영역(100-3)에서 제4영역(100-4)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단위 골판지는 이송이 진행됨에 따라 절곡가이드에 일단 및 타단이 들려져 절곡되며, 절곡이 진행되는 구간에는 접착제 도포 모듈이 배치되어 지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접착제가 단부에 도포되어 절곡이 끝나는 시점에 자동으로 접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은 전술한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1)를 이용하며,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가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 투입되는 단계(s10)와, 최초 인쇄작업 전 잉크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s20)와, 인쇄유닛이 상기 투입된 단위 골판지를 가압하여 최초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s30)와, 최초 인쇄 상태 확인 및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s40)와, 상기 점도가 조절된 잉크가 묻혀진 인쇄유닛으로 투입되는 단위 골판지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50)와, 상기 인쇄된 단위 골판지가 접혀지는 경우 박스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형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단계(s60)와,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s70)와, 접착되어 완성된 골판지 박스 유닛을 배출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가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 투입되는 단계(s10)에서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는 수작업 또는 별도의 투입 유닛 등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 투입될 수 있다.
최초 인쇄작업 전 잉크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s2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온습도 등의 정보와 그에 따른 기준 점도 테이블 정보 등을 활용하여 최초 점도 값이 조절될 수 있다.
인쇄유닛이 상기 투입된 단위 골판지를 가압하여 최초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s30)에서 인쇄유닛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영역(100-1)에서 일면에 최초로 점도가 조절된 잉크를 묻힌 후 제2영역(100-2)으로 이동되어 최초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최초 인쇄 상태 확인 및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s40)는 최초 인쇄된 인쇄상태를 확인하고 상태가 기준값 이내인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그대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점도를 추가로 조절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점도가 조절된 잉크가 묻혀진 인쇄유닛으로 투입되는 단위 골판지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50)에서 인쇄유닛은 투입되는 각 단위 골판지에 연속적으로 인쇄 작업을 할 수 있다.
인쇄된 단위 골판지가 접혀지는 경우 박스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형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단계(s60)에서 프레스 유닛은 프레스로 가압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하며, 동시에 절곡선 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보조유닛에 의해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압유닛의 위치 구성으로 인하여 유동 방지 및 효율적인 절곡선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s70)는 접착 유닛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절곡 및 접착이 끝난 후에는 접착되어 완성된 골판지 박스 유닛을 배출(s80)할 수 잇으며,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골판지 박스 유닛의 적재 분리, 인쇄, 절단 및 절곡선 형성, 절곡 및 접착 등의 제조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제조 과정에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작업 관리가 용이한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전 모듈을 통해 잉크의 번짐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품질 확인 및 확보가 용이하고, 비전 모듈을 통해 감지한 정보와 점도 측정기 정보를 통하여 잉크의 점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점도 기준 테이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초기 잉크 점도값의 설정이 빠르고 용이하며, 최초 인쇄 작업 후 두번째 인쇄 작업 전 비전 모듈을 통해 인쇄 품질 확인하여 점도를 조절한 후 인쇄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품질 불량이 감소되고 불량 발생시 소모되는 인쇄 불량 단위 골판지의 양이 최소화되고, 온습도에 따른 점도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이를 점도 기준 테이블에 반영함으로써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한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만,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가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컨베어 유닛
300 : 잉크 저장 유닛
400 : 인쇄 유닛
500 : 프레스유닛
600 : 접착 유닛

Claims (15)

  1. 인쇄를 하기위한 잉크가 구비되며, 일측에 단위 골판지가 투입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타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인쇄작업이 이루어지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타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절단 및 절곡선 형성이 이루어지는 제3영역과, 상기 제3영역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절곡 및 접착이 이루어지는 제4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서부터 제4영역까지 형성되며, 상기 투입되는 단위 골판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서부터 제4영역까지 이송시키는 컨베어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 형성되되 내부에 잉크가 수용되며 상기 내부에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이 장착되는 잉크 저장 유닛;
    상기 제1영역의 잉크 저장 유닛에 구비되는 잉크로 상기 제2영역에서 단위 골판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사이를 왕복하며, 인쇄되는 잉크의 번짐 정도를 감지하는 비전 모듈을 갖는 인쇄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컨베어 유닛에 의해 이송된 단위 골판지가 박스 전개도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형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프레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4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컨베어 유닛에 의해 이송된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저장 유닛은 내부의 잉크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점도 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온습도계 및 온습도에 따른 기준 점도 테이블 정보를 가지며, 최초 인쇄작업 시작 전 상기 온습도계로부터 감지되는 온습도와 상기 온습도에 따른 기준 점도 테이블 정보를 맵핑하여 기준 점도를 산정한 후 상기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상기 점도 측정기의 값을 기준 점도에 도달시킨 후 인쇄작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최초 인쇄작업 후 상기 비전 모듈을 통해 잉크의 번짐 정도를 감지하며, 번짐 정도가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잉크 원액 또는 희석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상기 점도 측정기에 측정되는 점도 값을 조절한 후 두 번째 인쇄작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인쇄작업 후에 번짐 정도가 설정값을 벗어난 경우에 상기 잉크 점도 조절 모듈은 상기 번짐 정도가 설정값 이내로 들어올 때까지 점도 값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조절된 점도값이 상기 설정값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상기 조절된 점도값을 상기 온습도에 따른 기준 점도 테이블 정보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평이동유닛과, 상기 수평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제1영역에서 승강되어 잉크를 충전하고 제2영역에서 승강되어 인쇄를 수행하는 수직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결합되며 일체로 이동되는 수평이동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타이밍 풀리와, 페루프를 이루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각 타이밍 풀리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수평이동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유닛은 상기 수평이동유닛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수직이동프레임과, 상기 수직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며 일면에 인쇄을 위해 양각으로 형태가 형성되는 양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는 일면에 상기 단위 골판지가 박스 전개도의 형태를 갖도록 외형을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부와, 상기 단위 골판지에 절곡선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곡선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프레스 가압시 상기 절단부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단위 골판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닛은 상기 단위 골판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닛은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가압시 상기 절곡선 형성부가 상기 절단부보다 먼저 단위 골판지에 접촉되고, 상기 프레스의 상승시 상기 절단부보다 나중에 단위 골판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선 형성부의 상단은 탄성유닛으로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절단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유닛은 단위 골판지가 상기 컨베어 유닛에 의해 이송시 일단 및 타단이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3영역에서 제4영역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제4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절곡가이드와, 상기 절곡가이드에 의해 접혀지는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15.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판지 박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단된 상태의 단위 골판지가 베이스 프레임의 제1영역에 투입되는 단계;
    최초 인쇄작업 전 잉크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
    인쇄유닛이 상기 투입된 단위 골판지를 가압하여 최초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최초 인쇄 상태 확인 및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점도가 조절된 잉크가 묻혀진 인쇄유닛으로 투입되는 단위 골판지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쇄된 단위 골판지가 접혀지는 경우 박스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형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곡을 위한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단위 골판지의 일단 및 타단을 절곡하여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골판지 박스 유닛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KR1020190065177A 2019-06-03 2019-06-03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KR10201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77A KR102015258B1 (ko) 2019-06-03 2019-06-03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77A KR102015258B1 (ko) 2019-06-03 2019-06-03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258B1 true KR102015258B1 (ko) 2019-08-28

Family

ID=6777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77A KR102015258B1 (ko) 2019-06-03 2019-06-03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2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343A (zh) * 2020-12-10 2021-04-09 昆山沃福辰智能科技有限公司 包装盒面纸冲切设备
CN114603985A (zh) * 2022-04-01 2022-06-10 陈会银 一种铁罐印刷设备
CN114953592A (zh) * 2022-07-04 2022-08-30 乐亭县金正印刷包装制作有限公司 气动压平张合机
CN117189773A (zh) * 2023-09-18 2023-12-08 宜兴市环宇轴瓦制造有限公司 具有阻尼特性的低功耗高速重载可倾瓦轴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397A (ja) * 1998-12-22 2001-03-21 Rengo Co Ltd 段ボール箱の形成装置
KR200324856Y1 (ko) * 2003-06-11 2003-08-27 주식회사 대영테크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
KR20060022351A (ko) * 2004-09-0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잉크 번짐 방지 방법
KR101383485B1 (ko) * 2013-04-17 2014-04-08 김승희 박스 접이 자동화 장치
KR101431481B1 (ko) * 2014-03-10 2014-08-21 주식회사 엠에스프린텍 점도측정기와 희석제 공급장치를 갖는 패드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희석제 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397A (ja) * 1998-12-22 2001-03-21 Rengo Co Ltd 段ボール箱の形成装置
KR200324856Y1 (ko) * 2003-06-11 2003-08-27 주식회사 대영테크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
KR20060022351A (ko) * 2004-09-0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잉크 번짐 방지 방법
KR101383485B1 (ko) * 2013-04-17 2014-04-08 김승희 박스 접이 자동화 장치
KR101431481B1 (ko) * 2014-03-10 2014-08-21 주식회사 엠에스프린텍 점도측정기와 희석제 공급장치를 갖는 패드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희석제 공급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343A (zh) * 2020-12-10 2021-04-09 昆山沃福辰智能科技有限公司 包装盒面纸冲切设备
CN114603985A (zh) * 2022-04-01 2022-06-10 陈会银 一种铁罐印刷设备
CN114953592A (zh) * 2022-07-04 2022-08-30 乐亭县金正印刷包装制作有限公司 气动压平张合机
CN117189773A (zh) * 2023-09-18 2023-12-08 宜兴市环宇轴瓦制造有限公司 具有阻尼特性的低功耗高速重载可倾瓦轴承
CN117189773B (zh) * 2023-09-18 2024-02-27 宜兴市环宇轴瓦制造有限公司 具有阻尼特性的低功耗高速重载可倾瓦轴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58B1 (ko)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골판지 박스 유닛 제조 방법
EP1905693A1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294167B (zh) 一种纸箱折叠、自动装箱及封箱生产线
JP7264702B2 (ja) 寸法可変の箱ブランク製造装置、寸法可変の箱ブランク製造方法、箱ブランク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寸法可変の自動包装ライン
WO2022267920A1 (zh) 一种双层瓦楞纸板纠偏走纸装置
JP7317098B2 (ja) 板材自動包装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433014B (zh) 瓦楞纸箱的分割装置及瓦楞纸箱的制造装置
CN106938556B (zh) 精品内盒自动粘合成型设备
WO2001081198A1 (fr) Matiere de rembourrage pour emballage et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e ladite matiere
CN112810232A (zh) 一种多层瓦楞纸箱加工装置及其生产工艺
KR102067143B1 (ko) 포장박스용 골판지의 정렬장치
CN211222254U (zh) 纸张对折装置
CN114801480A (zh) 一种喷码裱盒机
TWM629113U (zh) 矯正運輸裝置
CN109703111B (zh) 纸张拼接滚痕工艺
EP2095937A1 (en) Workpiece hold-down structure for corrugated board making machine
JP2000313406A (ja) 包装箱の製函装置および包装箱の製函方法
JP7133967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切断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
CN215283920U (zh) 一种重型瓦楞纸板表面印刷装置
CN215904029U (zh) 一种双片糊箱机
JPWO2005075185A1 (ja) 紙箱製造装置
CN218906452U (zh) 一种盒体外包装压合成型机构
CN219486730U (zh) 一种全自动智能化粘钉一体机
JPH0977324A (ja) 板紙の集積排出装置
CN110884212B (zh) 一种包装盒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