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49B1 -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49B1
KR102014449B1 KR1020170174278A KR20170174278A KR102014449B1 KR 102014449 B1 KR102014449 B1 KR 102014449B1 KR 1020170174278 A KR1020170174278 A KR 1020170174278A KR 20170174278 A KR20170174278 A KR 20170174278A KR 102014449 B1 KR102014449 B1 KR 10201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ing
acrylic
microcel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031A (ko
Inventor
신용훈
조강희
권익수
박민수
구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17017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수지, 발포제, 실리카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발포단계, 상기 발포단계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코팅된 발포물을 가열하는 열처리단계 및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경화된 발포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아크릴폼은 무용제형으로 친환경적이며,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셀이 형성되어 얇게 성형하더라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 CELL ACRYL FOAM HAVING EXCELLENT RESTORING FORCE}
개시된 내용은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용제형으로 친환경적이며,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셀이 형성되어 얇게 성형하더라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는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폼은 아크릴수지에 발포제 등을 혼합하여 발포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폼 자체로 완충효과를 요하는 부품으로 사용되거나, 자동차의 실링제와 차체사이에서 차체와 EPDM고무를 접착하거나, 엠블렘이나 사이드몰딩을 접착하는 테이프 등의 재료로 사용되고, 그 외에도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기기 등에 주로 적용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모양과 용도의 아크릴폼을 이용하기 위하여 정밀컷팅 가공과 취급의 용이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얇은 두께를 나타내더라도 우수한 완충효과를 나타내는 아크릴폼을 제조하기 위해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아크릴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용제형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용제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제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인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조과정에서 발포제에 의한 화학적 발포가 주로 이루어져 셀 구조물의 크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아크릴폼은 화학적 발포로 인해 형성되는 셀이 크기가 크기 때문에, 아크릴폼을 얇은 두께로 성형할 수 없었으며, 제조되는 폼의 복원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셀이 형성되어 얇은 두께로 성형하더라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는 아크릴폼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123368호(2015.11.04) 한국특허등록 제10-1598658호(2016.02.23)
개시된 내용은 무용제형으로 친환경적이며,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셀이 형성되어 얇게 성형하더라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는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아크릴수지, 발포제, 실리카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발포단계, 상기 발포단계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코팅된 발포물을 가열하는 열처리단계 및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경화된 발포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아크릴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5 중량부, 실리카분말 1.5 내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 2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발포단계는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1000 내지 3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5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열처리단계는 60℃에서 150℃까지 45초에 30℃도씩 승온시킨 후에 15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초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숙성공정은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은 무용제형으로 친환경적이며,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셀이 형성되어 얇게 성형하더라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는 아크릴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3은 개시된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크릴폼의 단면을 SEM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은 아크릴수지, 발포제, 실리카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1),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발포단계(S103), 상기 발포단계(S103)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단계(S105), 상기 코팅단계(S105)를 통해 코팅된 발포물을 가열하는 열처리단계(S107) 및 상기 열처리단계(S107)를 통해 경화된 발포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는 아크릴수지, 발포제, 실리카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아크릴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5 중량부, 실리카분말 1.5 내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 2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수지는 무용제형으로, 수분산 또는 수성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하이드로카본계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펜텐이나 이소펜텐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발포단계(S103)에서 혼합물의 발포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혼합물의 발포배율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제조되는 아크릴폼의 기계적 물성과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분말 혼합물의 점도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실리카분말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실리카분말의 함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고 혼합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상기 발포단계에서의 발포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멜라민 및 이지리딘 등과 같은 열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코팅된 발포물의 건조와 경화를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에 나열된 성분들과 같은 열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되는 아크릴폼의 경도가 지나치게 향상되어 폼이 갖는 탄성이나 복원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발포단계(S103)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에 투입하고 35 내지 45℃의 온도로 승온시킨 후에 1000 내지 3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50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온도와 교반속도로 교반과정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진동과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발포제에 의해 혼합물의 발포가 진행되면서 무수히 많은 마이크로셀이 형성되는데, 발포제만을 사용하여 발포를 진행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마이크로셀의 생성비율이나 셀의 고르기가 월등하게 향상된다.
상기 코팅단계(S105)는 상기 발포단계(S103)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필름에 코팅하는 단계로, 상기 발포단계(S103)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콤마코팅(Comma coating)방식으로 이형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필름에 100 내지 1000㎛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이형 필름에 발포물을 코팅하게 되면 무기재형 아크릴폼이 제조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기재형 아크릴폼이 제조된다.
상기 열처리단계(S107)는 상기 코팅단계(S105)를 통해 코팅된 발포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코팅단계(S105)를 통해 필름에 코팅된 발포물을 60℃에서 150℃까지 45초에 30℃도씩 승온시킨 후에 15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초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처리단계(S107)를 통해 필름에 코팅된 발포물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됨과 동시에 상기 발포물에 함유되어 있는 경화제로 인해 경화가 진행되는데, 상기와 같이 열처리단계에서의 승온조건을 적용하는 이유는 발포물을 고온에서 직접 노출하게 되면, 건조와 경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발포물의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숙성단계(S109)는 상기 열처리단계(S107)를 통해 경화된 발포물을 숙성하는 단계로, 상기 열처리단계(S107)를 통해 경화된 발포물을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다.
상기의 온도와 시간 동안 숙성된 발포물은 형태안정성이 향상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이나 뒤틀림 현상이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아크릴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아크릴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하이드로카본) 3.5 중량부, 실리카분말 2 중량부 및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3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기계식 교반기에 투입하고 40℃의 온도에서 2000rpm의 속도로 40분 동안 발포한 후에, 발포된 발포물을 이형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단면에 실리콘 조성물이 도포된 것)에 콤마코팅방식으로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고, 발포물이 도포된 이형필름을 60℃에서 150℃까지 45초에 30℃도씩 승온시킨 후에 150℃의 온도에서 45초 동안 가열하고, 6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2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3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4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5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6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8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콤마코팅방식으로 10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여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단면을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촬영하여 아래 도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2 내지 3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크릴폼은 100㎛ 미만의 오픈셀이 균일한 크기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복원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복원력은 ((초기두께-복원두께)/초기두께)×100으로 복원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17125939337-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 1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아크릴폼은 마이크로셀이 균일한 크기로 분포하며,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코팅두께가 6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은 무용제형으로 친환경적이며,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셀이 형성되어 얇게 성형하더라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는 아크릴폼을 제공한다.
S101 ; 원료혼합단계
S103 ; 발포단계
S105 ; 코팅단계
S107 ; 열처리단계
S109 ; 숙성단계

Claims (5)

  1. 아크릴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5 중량부, 실리카분말 1.5 내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 2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발포단계;
    상기 발포단계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코팅된 발포물을 가열하는 열처리단계; 및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경화된 발포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단계는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1000 내지 3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5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60℃에서 150℃까지 45초에 30℃도씩 승온시킨 후에 15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초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성공정은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KR1020170174278A 2017-12-18 2017-12-18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KR10201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78A KR102014449B1 (ko) 2017-12-18 2017-12-18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78A KR102014449B1 (ko) 2017-12-18 2017-12-18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31A KR20190073031A (ko) 2019-06-26
KR102014449B1 true KR102014449B1 (ko) 2019-08-27

Family

ID=6710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278A KR102014449B1 (ko) 2017-12-18 2017-12-18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3755A (zh) * 2022-03-30 2022-07-22 新纶电子材料(常州)有限公司 一种亚克力泡棉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1312A (ja)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粘着性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969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피엘코리아 실링성 및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아크릴 넌 겔 폼의 조성물및 제조방법
KR20130117909A (ko) * 2012-04-16 2013-10-29 박진섭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열전도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98658B1 (ko) 2013-02-18 2016-02-29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적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KR101820562B1 (ko) 2014-04-24 2018-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적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KR101925922B1 (ko) * 2014-12-24 2018-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 시트, 의료용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1312A (ja)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粘着性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31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6296B (zh) Sheet mol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of
CN108431107B (zh) 有机硅发泡片材及其制造方法
CN107722634B (zh) 一种低密度硅橡胶及其制备方法
CN111164134B (zh) 预浸纤维增强复合材料以及通过成型和完全固化所述预浸纤维增强复合材料获得的制造制品
JP2011530426A (ja) 導電性ポリマー発泡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物品
JP6508226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フィルム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電子装置
KR102014449B1 (ko) 복원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셀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KR20170129168A (ko) 복합 필러 구조물
KR20180037017A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필름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전자 장치
TW201930476A (zh) 溶劑型硬化性有機聚矽氧組成物、剝離性片及其製造方法
TW201937044A (zh) 合成皮革用工程紙及合成皮革的製造方法
CN109196070A (zh) 粘着剂组合物和粘着带
KR102178153B1 (ko) 오픈셀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KR102178155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아크릴폼의 제조방법
CN105585997B (zh) 一种有机硅披覆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428034B2 (ja) 発泡ポリイミド構造体およびその製法
JP5919185B2 (ja) ポリエーテルイミド多孔質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1728B2 (ja) スピーカー用振動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18483B1 (ko) 코팅 발포용 조성물, 코팅 발포체 및 코팅 발포체의 제조방법
Figueiredo et al. Use of fluoropolymer permanent release coatings for molded polyurethane foam production
KR102119900B1 (ko)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JP5919184B2 (ja) ポリエーテルイミド多孔質体及びその製造方法
RU2655805C1 (ru) Эпоксидное связующее, препрег на его основе и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го
KR101673868B1 (ko)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CN111574678A (zh) 一种防静电聚氨酯泡棉基材及其制备方法、及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