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69B1 - 수위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69B1
KR102014369B1 KR1020180107875A KR20180107875A KR102014369B1 KR 102014369 B1 KR102014369 B1 KR 102014369B1 KR 1020180107875 A KR1020180107875 A KR 1020180107875A KR 20180107875 A KR20180107875 A KR 20180107875A KR 102014369 B1 KR102014369 B1 KR 10201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ter level
standing
contact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범준
김필식
권형중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명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명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8010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은, 강폭 방향을 따라 기초부 상에 설치되고 기립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부 - 상기 패널부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함 - ; 상기 패널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패널부의 기립의 정도가 구현되도록 하는 에어백부; 상기 패널부가 배치되기 위한 강폭을 규정하며, 콘크리트에 의해 구현되는 언체부; 및 상기 패널부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복수의 패널 중 상기 언체부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에 의한 상기 언체부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언체부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외측 패널은,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상류측의 수위 조절 가능 한계가 결정되도록 하는 수위결정부 및 상기 수위결정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노출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노출면과의 접촉에 의한 접촉 면적 증대로 인하여, 상기 상류측의 물이 상기 노출면 사이를 통해 상기 하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 조절 시스템{Water level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수위 조절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부의 기립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패널부와 언체부 사이로 상류측의 물이 하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위 조절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위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 조절 장치는 수위를 조절하여 특수 목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일종의 담수를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농공업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목적으로 수위 조절 장치의 일종인 고무댐이 이용되고 있다.
수위 조절 장치 중 하나인 고무댐은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저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댐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취수 및 담수용 보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고무댐은 고무튜브(에어백)의 팽창, 수축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있고, 또한 하상 콘크리트에 고무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등의 부가장치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고무댐은 단지 고무튜브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도복상태일 때는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 조절에 한계가 있어,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고무튜브가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의 유화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고무튜브가 찢어지거나 구멍 등 유실부분이 발생되어 제방용 둑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무튜브와 같은 에어백과 고강도의 패널을 이용하여 보를 형성한 다음 이를 공압으로 하여, 에어백의 팽창 또는 수축 정도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패널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하천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따른 고무튜브의 소손을 패널이 미리 차단시켜 보호해주는 공압식 가동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압식 가동보는 다수의 에어백과 다수의 패널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패널과 측벽의 경계 부분은 통상 기밀성을 갖는 수밀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종래의 공압식 가동보의 패널과 측벽의 경계 부분은 고무부재를 이용하여 수밀성을 보전하였으나, 고무부재 만으로는 수밀성을 완벽히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공압식 가동보와 같은 수위 조절 장치에 있어서, 패널과 측벽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위 조절 장치 본연의 기능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부의 기립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고 있는 경우, 패널부와 언체부 사이의 수밀성을 보장하여 수위 조절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위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은, 강폭 방향을 따라 기초부 상에 설치되고 기립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부 - 상기 패널부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함 - ; 상기 패널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패널부의 기립의 정도가 구현되도록 하는 에어백부; 상기 패널부가 배치되기 위한 강폭을 규정하며, 콘크리트에 의해 구현되는 언체부; 및 상기 패널부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복수의 패널 중 상기 언체부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에 의한 상기 언체부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언체부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외측 패널은,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상류측의 수위 조절 가능 한계가 결정되도록 하는 수위결정부 및 상기 수위결정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노출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노출면과의 접촉에 의한 접촉 면적 증대로 인하여, 상기 상류측의 물이 상기 노출면 사이를 통해 상기 하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언체부의 외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면이 상기 언체부의 외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상류측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하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접촉부에 의해 커버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패널부의 기립 시, 상기 기립을 가이드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최외측 패널은, 기립 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립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최외측 패널의 기립 시,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최외측 패널의 기립 시,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최외측 패널의 기립 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위결정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노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패널부의 기립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고 있는 경우, 패널부와 언체부 사이의 수밀성을 보장하여 수위 조절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제공되는 패널부가 도복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제공되는 최외각 패널, 언체부 및 플레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의 다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제공되는 플레이트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제공되는 패널부가 도복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100)은 상류측(US)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부(110), 상기 패널부(110)의 기립의 정도가 구현되도록 하는 에어백부(120), 상기 패널부(110)가 배치되기 위한 강폭을 규정하는 언체부(130) 및 상기 패널부(110)에 의한 상기 언체부(13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플레이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부(110)는 강폭 방향을 따라 기초부(15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립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상류측(US)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150)라는 용어는 단순히 하천 등의 바닥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천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상기 패널부(110)는 복수의 패널이 상기 강폭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의 수는 강폭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철판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철판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식 방지를 위한 다양한 강판, 합금 및/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백부(120)는 상기 패널부(110)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패널부(110)의 기립의 정도가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에어백부(120)는 상기 복수의 패널과 대응되는 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널부(110)가 기립이 되는 경우 상류측(US)의 물이 상기 패널부(110)에 의해 하류측(DS)으로의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되어, 상기 상류측(US)의 수위를 미리 설정된 수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부(110)가 도복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US)의 물이 상기 하류측(DS)으로 원활히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언체부(130)는 상기 패널부(110)가 배치되기 위한 강폭을 규정하며,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40)는 상기 패널부(110)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복수의 패널 중 상기 언체부(130)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에 의한 상기 언체부(13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언체부(130)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일종의 철판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40)는 상기 패널부(110)와 마찬가지로 부식 방지를 위한 다양한 강판, 합금 및/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부(140)와 상기 패널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 중 상기 언체부(130)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112)의 접촉에 의해, 패널부(110)와 언체부(130) 사이의 수밀성이 보장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제공되는 최외각 패널, 언체부 및 플레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패널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 중 언체부(130)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112)은, 패널부(110)가 기립되어 상류측(US)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류측(US)의 수위 조절 가능 한계가 결정되도록 상기 상류측(US)을 향하여 기립되는 수위결정부(112a) 및 상기 수위결정부(112a)로부터 플레이트부(140)의 노출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11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12b)는 상기 수위결정부(112a)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노출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12b)는 패널부(110)가 기립되어 상류측(US)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플레이트부(140)의 노출면과의 접촉에 의한 접촉 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상기 상류측(US)의 물이 상기 노출면 사이를 통해 하류측(DS)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과 같은 수위 조절 시스템에서 본연의 담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수밀성이라는 기능이다.
즉,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고 있는 경우, 상류측의 물이 패널과 패널 사이로 유출되거나 패널과 언체부 사이로 유출되는 경우 본연의 담수 기능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수위 조절 시스템은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나, 수밀성을 완벽히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수위 조절 시스템은 패널과 언체부 사이의 수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체부와 접촉되는 패널에 고무부재를 부착하고 있으나, 부착된 고무부재는 내구성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하여,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패널 중 언체부(130)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112)이 수위결정부(112a) 이외에 접촉부(112b)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에어백부(120)의 팽창에 의해 상기 패널부(110)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112b)는 상기 언체부(13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14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12b)와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접촉면은 상류측(US)의 물이 하류측(DS)으로 유출되는데 불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상류측(US)의 물이 하류측(DS)으로 유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상류측(US)의 물이 상기 접촉부(112b)와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접촉면 사이를 통과해야 하나, 상기 접촉면의 접촉 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부(110)가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부(110)와 언체부(13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140) 사이로 누수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되어, 수위 조절 시스템(100)의 본연의 기능은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적어도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체부(130)의 외면(S1)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접촉부(112b)와의 접촉면(S2)이 상기 언체부(130)의 외면(S1)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40)와 상기 접촉부(112b)의 접촉면(S2)이 상기 언체부(130)의 외면(S1)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함으로 인해, 상기 접촉부(112b)가 상류측(US)에서 내려오는 유화물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수밀성의 지속 시간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가 상기 언체부(130)의 외면(S1)으로 노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언체부(130)의 외면(S1)을 향하여 벤딩된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부가 내측을 향하여 벤딩되어 언체부(130)에 매립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형상은 측부가 언체부(130)의 외면(S1)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언체부(130)의 외면(S1) 상에 노출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100)에 제공되는 플레이트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10)의 기립 및 도복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상기 플레이트부(140)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패널 중 최외측 패널(112)은 기립 시 가이드부(142)에 삽입되어 상기 최외측 패널(112)의 기립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삽입부(112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12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최외측 패널(112)의 기립 시,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패널부(110)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패널부(110)이 회전 반경을 따라 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최외측 패널(112)의 기립 시,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42)는 상기 최외측 패널(112)의 회전 반경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부(142)는 기초부(150)로부터 에어백부(120)의 팽창에 의해 상기 패널부(110)가 기립될 수 있는 한계까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의 다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 중 최외측 패널(212)에 형성되는 삽입부(212c)는 상기 최외측 패널(212)의 기립 시, 가이드부(24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볼로 구현되는 상기 삽입부(212c)는 상기 최외측 패널(212)의 기립 및 도복 시 가이드부(24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최외측 패널(212)의 기립 및 도복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제공되는 플레이트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를 참조하면, 언체부(13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140)는 패널부(110)가 기립되어 상류측(US)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접촉부(112b)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상류측(US)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하류측(D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저장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4)는 상기 접촉부(112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부(110)가 기립되어 상류측(US)의 수위가 조절되고 있는 경우, 접촉부(112b)와 플레이트부(140)의 접촉 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그 사이로 상류측(US)의 물이 하류측(DS)으로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외부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접촉부(112b)와 상기 플레이트부(140) 사이로 상류측(US)의 물이 유입될지라도 상기 저장부(144)에 저장되어 상기 하류측(DS)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수위 조절 시스템
110: 패널부
120: 에어백부
130: 언체부
140: 플레이트부
150: 기초부
US: 상류측
DS: 하류측

Claims (8)

  1. 강폭 방향을 따라 기초부 상에 설치되고 기립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부 - 상기 패널부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함 - ;
    상기 패널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패널부의 기립의 정도가 구현되도록 하는 에어백부;
    상기 패널부가 배치되기 위한 강폭을 규정하며, 콘크리트에 의해 구현되는 언체부; 및
    상기 패널부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복수의 패널 중 상기 언체부에 가장 근접한 최외측 패널에 의한 상기 언체부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언체부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외측 패널은,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상류측의 수위 조절 가능 한계가 결정되도록 상기 상류측을 향하여 기립되는 수위결정부 및 상기 수위결정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노출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노출면과의 접촉에 의한 접촉 면적 증대로 인하여, 상기 상류측의 물이 상기 노출면 사이를 통해 상기 하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수위결정부의 단부로부터 판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언체부의 외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면이 상기 언체부의 외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상류측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하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접촉부에 의해 커버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패널부의 기립 시, 상기 기립을 가이드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최외측 패널은,
    기립 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립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최외측 패널의 기립 시,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최외측 패널의 기립 시,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최외측 패널의 기립 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위결정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노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KR1020180107875A 2018-09-10 2018-09-10 수위 조절 시스템 KR10201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75A KR102014369B1 (ko) 2018-09-10 2018-09-10 수위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75A KR102014369B1 (ko) 2018-09-10 2018-09-10 수위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369B1 true KR102014369B1 (ko) 2019-08-26

Family

ID=6780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75A KR102014369B1 (ko) 2018-09-10 2018-09-10 수위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312A (ja) * 1982-08-19 1984-02-24 Kurimoto Iron Works Ltd 転倒ゲ−トの水密保持装置
KR200395559Y1 (ko) * 2005-06-20 2005-09-13 한상관 이물차단구조를 구비한 전도식 자동보 수문
JP2013002250A (ja) * 2011-06-21 2013-01-07 Hitachi Zosen Corp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307701B1 (ko) * 2012-12-14 2013-09-11 주식회사 유일기연 유체 유동 차단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
KR20150130709A (ko) * 2014-05-14 2015-11-24 채승희 어도를 구비한 가동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312A (ja) * 1982-08-19 1984-02-24 Kurimoto Iron Works Ltd 転倒ゲ−トの水密保持装置
KR200395559Y1 (ko) * 2005-06-20 2005-09-13 한상관 이물차단구조를 구비한 전도식 자동보 수문
JP2013002250A (ja) * 2011-06-21 2013-01-07 Hitachi Zosen Corp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307701B1 (ko) * 2012-12-14 2013-09-11 주식회사 유일기연 유체 유동 차단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
KR20150130709A (ko) * 2014-05-14 2015-11-24 채승희 어도를 구비한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6262B2 (en) High water spillway for barrages and similar structures, comprising an integrated device for aerating the downstream body of water
KR100799359B1 (ko)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0158879B1 (ko) 댐과 보와 유사한 구조물을 위한 범람여수로
JP4679731B2 (ja) 氾濫水の誘導方法および誘導装置
KR102014369B1 (ko) 수위 조절 시스템
KR101306937B1 (ko) 접이식 월류 방지 구조물
JP3958170B2 (ja) 堤体及び構造物の保護設備
JPH02194207A (ja) ラバーダム
KR200333085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저류수 배출장치
JP6814318B1 (ja)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KR20060078727A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JP2004231169A (ja) レベル自動調整式浮体装置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JP2016211337A (ja) 河床に設置される魚道
KR20210006834A (ko) 상류측 수위가 조절된 상태에서 무동력으로 저류수를 배출하기 위한 수위 조절 시스템
KR102375488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KR20210113515A (ko) 개별 기립 및 도복이 가능한 수위 조절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JP3613619B2 (ja) 水位追従型フロート式魚道ゲート
PL216058B1 (pl) Ksztaltowa sekcja scianki szczelnej do brzegów oraz zespól sciankowy obejmujacy ksztaltowa sekcje scianki szczelnej i pal
KR200333084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스틸패널 체결장치
JP3917921B2 (ja) 河川治水用堤体
JP3988071B2 (ja) 逆台形水路の起伏ゲート
KR102103488B1 (ko)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102182723B1 (ko)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KR101728035B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