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723B1 -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 Google Patents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723B1
KR102182723B1 KR1020200019787A KR20200019787A KR102182723B1 KR 102182723 B1 KR102182723 B1 KR 102182723B1 KR 1020200019787 A KR1020200019787 A KR 1020200019787A KR 20200019787 A KR20200019787 A KR 20200019787A KR 102182723 B1 KR102182723 B1 KR 10218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rainage
discharge
drainage chann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외진
정은영
박일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미래기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미래기획(주)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0001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관한 것으로서, 성토사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성토사면의 상단에 흐르는 물이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유입배수로와, 상기 성토사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배수로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성토사면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배수로와, 상기 성토사면의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배수로와 상기 배출배수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유입배수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측면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연결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Prefabricated drainage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work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이 되지 않은 성토사면에 설치하여 상부에 흐르는 우수를 하부로 배출시켜 우수에 의한 성토사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공사를 하는 경우 흙을 쌓는 성토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토 측면에는 지면과 높이차이가 발생되며 이를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시켜 성토사면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성토사면은 흙이 쌓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빗물에 의해 흙이 유실되는 점을 막기 위해 도로공사 현장에서는 임시로 배수하기 위한 가배수로가 설치되고 있다.
대부분의 가배수로는 성토사면의 일부를 파내어 물이 흐를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준 뒤 비닐 또는 천막을 덮어 도로에서 흐르는 물이 비닐 또는 천막의 상부면으로 흘러 성토사면이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태풍이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하절기의 경우에는 비닐이나 천막으로 이루어진 가배수로가 유실되고, 성토사면이 유실되게 되어 성토사면과 가배수로를 다시 시공하여야 했었다.
이러한 가배수로의 유실 및 가배수로의 유실로 인한 성토사면의 유실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어 작업진척에 많은 지장을 주며, 성토사면을 파내어 형성하기 때문에 가배수로에 흙이 유입되어 배수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의 가배수로는 성토의 높이가 변화되면 새로 시공해야 하고 성토사면을 균일하게 파내지 못하므로 가배수로에 물과 함께 유입된 흙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5110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토사면을 파내지 않고 표면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가배수로를 형성하여 성토사면의 상단에 흐르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이 배수될 때 성토사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성토사면의 흙이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하고 성토사면의 형태에 맞게 가조립 후 설치가 가능한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는 성토사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성토사면의 상단에 흐르는 물이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유입배수로와, 상기 성토사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배수로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성토사면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배수로와, 상기 성토사면의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배수로와 상기 배출배수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유입배수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측면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연결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유입배수로, 상기 연결배수로 및 상기 배출배수로는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성토사면에 설치 전 가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유입배수로의 일단은 상기 연결배수로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배수로의 일단은 상기 배출배수로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흐르는 물이 연결 부위의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유입배수로, 상기 연결배수로 및 상기 배출배수로는 물이 설정된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이격되어 외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가이드는 일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의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결배수로가 상기 성토사면의 상단 지면에 형성된 유입배수로 또는 하단 지면에 형성된 배출배수로와 연결될 때 상기 성토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유입배수로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1고정홀이 형성되는 유입지지부와,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가로로 돌출되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성토사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입가이드와,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배수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연결배수로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고정홀이 형성되는 연결지지부와,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세로로 돌출되며 상기 유입배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부 방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연결가이드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배수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상기 배출배수로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3고정홀이 형성되는 배출지지부와,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세로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배수로를 통해 흐르는 물을 상기 성토사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의하면, 성토사면을 파내지 않고 표면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가배수로를 형성하여 성토사면의 상단에 흐르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의하면, 물이 배수될 때 성토사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성토사면의 흙이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의하면,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하고 성토사면의 형태에 맞게 가조립 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의하면,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성토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성토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유입배수로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유입배수로의 하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연결배수로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연결배수로의 하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배출배수로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다단식 경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다단식 경사면에 설치된 후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이 되지 않은 성토사면에 설치하여 상부에 흐르는 우수를 하부로 배출시켜 우수에 의한 성토사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성토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성토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는 성토사면(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성토사면(10)의 상단에 흐르는 물이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유입배수로(100)와, 성토사면(10)의 하단에 형성되고 유입배수로(1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성토사면(10)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배수로(300)와, 성토사면(10)의 중단에 형성되어 유입배수로(100)와 배출배수로(300) 사이를 연결하고 유입배수로(100)로부터 유입된 물이 측면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연결배수로(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및 배출배수로(300)는 물이 설정된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이격되어 외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는 서로 조립되어 성토사면(10)에 형성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각 배수로에는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는 유입배수로(100)에 형성된 유입가이드(120), 연결배수로(200)에 형성된 연결가이드(220), 배출배수로(300)에 형성된 배출가이드(320)를 통합하여 지칭하며, 가이드는 각 배수로의 일측과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중앙에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가지게 된다.
유입배수로(100)는 성토사면(10)의 상단에 형성된 평평한 지면에 형성되어 지면에 있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연결배수로(200) 및 배출배수로(300)를 통해 성토사면(10) 하단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성토사면(10)의 상단의 평평한 지면 가장자리에는 지면에 흐르거나 고여 있는 물이 성토사면(10)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모래주머니를 쌓아 턱을 형성하게 되는데, 배수를 원하는 구간에 유입배수로(100)를 턱 사이에 배치시켜 턱에 의해 지면에 고여 있는 물을 성토사면(10) 하단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유입배수로(100)는 유입지지부(110)와 유입가이드(120)를 포함하고 있는데, 유입지지부(110)는 지면에 밀착된 후 일부는 지면에 매립되도록 하여 지면에 흐르는 물이 유입지지부(110) 상부방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유입가이드(120)는 유입지지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데 가로로 형성되어 있어 성토사면(10) 상단의 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턱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가이드(120) 주변에 물이 흐르면 유입가이드(120) 사이로 물이 흐르면서 연결배수로(200)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연결배수로(200)는 성토사면(10)의 중단에 형성되며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성토사면(10)의 길이에 맞춰 조립된 상태로 유입배수로(100)와 연결되어 유입배수로(100)로부터 유입된 물을 성토사면(10) 하단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결배수로(200)는 연결지지부(210)와 연결가이드(220)를 포함하고 있는데, 연결지지부(210)는 성토사면(1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연결지지부(210)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세로로 돌출되는 연결가이드(220)가 형성되어 유입배수로(100)를 통해 흐르는 물이 연결가이드(220) 사이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배출배수로(300)는 성토사면(10)의 하단에 형성되거나 하단의 평평한 지면에 형성되어 연결배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을 성토사면(10) 및 주변이 침식되지 않는 곳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출배수로(300)는 배출지지부(310)와 배출가이드(320)를 포함하고 있는데, 배출지지부(310)의 일단은 성토사면(10)에 매립되거나 성토사면(10) 하단의 평평한 지면에 매립되어 배출되는 물이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배출가이드(320)는 연결가이드(220)와 동일하게 배출지지부(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로로 돌출되어 있으며 연결배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을 설정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가 성토사면(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성토사면(10)에서 유실된 흙이 가이드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배수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유입지지부(110), 연결지지부(210), 배출지지부(310)를 통합하여 지지부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지지부 및 가이드의 재질은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휴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에 젖지 않도록 방수가 가능하고 찢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타포린과 같이 가볍고 유연하면서 질긴 방수소재를 이용하여 지지부 및 가이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지지부의 표면에 고주파 처리로 접착되게 되는데 고주파 처리 외에 접착제, 바느질 방식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가이드는 연결배수로(200)가 성토사면(10)의 상단 지면에 형성된 유입배수로(100) 또는 하단 지면에 형성된 배출배수로(300)와 연결될 때 성토사면(10)의 경사각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 및 가이드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토사면(10)의 형상 및 각도에 따라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연결배수로(200)는 평평한 지면에 형성되는 유입배수로(100) 및 배출배수로(300)와 연결될 때 연결되는 부위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각도를 꺾을 수 있게 되므로 성토사면(10)의 경사면에 관계없이 연결배수로(200)가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는 일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삽입되어 가이드의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재와, 수용부에 형성되어 지지부재가 삽입되면 수용부를 밀폐시켜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 및 가이드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가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면이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에는 가이드의 형상을 설정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설정된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재가 삽입 또는 충진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설정된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부재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가이드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외력을 받더라도 구겨지거나 모양이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가 수용부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부에 형성되어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마감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부재는 밸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용부 외면에 부착되어 지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는 설정된 각도로 꺾인 상태로 제조되어 수용부에 삽입함으로써 가이드가 설정된 각도로 꺾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꺾긴 부위에 맞춰 지지부재를 절개하여 각도를 맞출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는 우레탄폼과 같은 충진재를 이용하여 수용부 내부를 충진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수용부에 충진재를 충진 함으로써 꺾인 상태로 가이드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설명한 수용부, 지지부재, 마감부재는 도 3 내지 도 8에 기재된 제1수용부(121), 제2수용부(221), 제3수용부(321), 제1지지부재(122), 제2지지부재(222), 제3지지부재(322), 제1마감부재(123), 제2마감부재(223), 제3마감부재(323)를 통합하여 지칭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 도면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는 유입배수로(100)의 일단은 연결배수로(200)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연결배수로(200)의 일단은 배출배수로(300)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흐르는 물이 연결 부위의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및 배출배수로(300)는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있어 성토사면(10)에 설치 전 가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배수로(100)의 일단은 연결배수로(200)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연결배수로(200)의 일단은 배출배수로(300)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 물이 흐를 때 각 배수로의 연결부(230)위의 틈새로 물이 새지 않도록 방지하여 성토사면(10)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유입배수로(100)의 일단 하부면과 연결배수로(200)의 타단 상부면, 연결배수로(200)의 일단 하부면과 배출배수로(300)의 타단 상부면에는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탈착부재(400)에 의해 각각의 배수로가 서로 가조립될 수 있게 된다.
탈착부재(400)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져 각 배수로를 서로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배수로(100)의 일단에는 연결배수로(200)의 연결가이드(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유입배수로(100)가 연결배수로(200)와 틈새 없이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결배수로(200)의 일단에는 배출배수로(300)의 배출가이드(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연결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배수로(200)가 배출배수로(300)와 틈새 없이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토사면(10)의 길이에 따라 연결배수로(20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연결배수로(200)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결배수로(200)에 형성된 연결부(230)는 다른 연결배수로(200)의 연결가이드(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유입배수로(100)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전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유입배수로(100)의 하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유입배수로(100)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1고정홀(111)이 형성되는 유입지지부(110)와, 유입지지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가로로 돌출되며 유입되는 물이 성토사면(10)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입가이드(120)와, 유입지지부(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연결배수로(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결합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가이드(120)는 일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1수용부(121)와, 제1수용부(121)에 삽입되어 유입가이드(120)의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제1지지부재(122)와, 제1수용부(121)에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122)가 삽입되면 제1수용부(121)를 밀폐시켜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마감부재(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지지부(110)는 방수 원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제1고정홀(111)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제1고정홀(111)에 삽입되면 유입지지부(110)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유입가이드(120)는 유입지지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고여 있는 물이 도 3의 연결배수로(200)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유입지지부(110)와 동일한 방수원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어 일면이 개구된 제1수용부(121)를 통해 제1지지부재(122)를 삽입하여 유입가이드(1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수용부(121)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122)의 형상이나 길이에 따라 유입가이드(120)의 형상 또는 길이가 결정되게 된다.
제1지지부재(122)가 삽입되면 제1지지부재(1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1수용부(121) 상단에 형성된 제1마감부재(123)를 접어 제1수용부(121)를 밀폐시키게 되며, 제1마감부재(123)에는 밸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제1수용홈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지지부(110) 일단 하부면에는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있어 유입지지부(110)의 일단이 도 3의 연결지지부(210) 타단 상부에 형성된 탈착부재(400)와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유입지지부(110)의 일단에는 도 3의 연결가이드(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130)에 의해 유입지지부(110)의 일단이 도 3의 연결지지부(210)의 타단 상부에 포개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130)의 상부에는 지주나 핀을 박을 수 있는 결합홀(131)이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부(130)에 도 3의 연결가이드(220)가 삽입되면 지주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연결가이드(220) 및 지면을 관통하도록 박아 유입지지부(110)와 연결지지부(210)를 서로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고정홀(111) 및 결합홀(131)은 가장자리에 금속링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연결배수로(200)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전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연결배수로(200)의 하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연결배수로(200)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고정홀(211)이 형성되는 연결지지부(210)와, 연결지지부(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세로로 돌출되며 유입배수로(100)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부 방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연결가이드(220)와, 연결지지부(210)의 일단에 형성되며 배출배수로(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연결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가이드(220)는 일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2수용부(221)와, 제2수용부(221)에 삽입되어 연결가이드(220)의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제2지지부재(222)와, 제2수용부(221)에 형성되어 제2지지부재(222)가 삽입되면 제2수용부(221)를 밀폐시켜 제2지지부재(222)를 고정시키는 제2마감부재(2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지지부(210)는 방수 원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성토사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제2고정홀(211)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제2고정홀(211)에 삽입되면 연결지지부(210)가 성토사면(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연결가이드(220)는 도 3의 유입배수로(100)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를 때 측면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것으로 연결지지부(210)와 동일한 방수원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어 일면이 개구된 제2수용부(221)를 통해 제2지지부재(222)를 삽입하여 연결가이드(2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수용부(221)에 삽입되는 제2지지부재(222)의 형상, 길이, 각도에 따라 연결가이드(220)의 형상, 길이, 각도가 결정되게 된다.
제2지지부재(222)가 삽입되면 제2지지부재(2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2수용부(221) 하단에 형성된 제2마감부재(223)를 접어 제2수용부(221)를 밀폐시키게 되며, 제2마감부재(223)에는 밸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제2수용홈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지지부(210)의 타단 상부에는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있어 도 3의 연결지지부(210)의 일단 하부면에 형성된 탈착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연결지지부(210) 일단 하부면에도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지지부(210)의 일단이 도 3의 배출지지부(310) 타단 상부면에 형성된 탈착부재(400)와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지지부(210)의 일단에는 도 3의 배출가이드(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연결부(230)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지지부(210)의 일단이 도 3의 배출지지부(310)의 타단 상부에 포개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230)의 상부에는 지주나 핀을 박을 수 있는 연결홀(2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부(230)에 도 3의 배출가이드(320)가 삽입되면 지주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배출가이드(320) 및 지면을 관통하도록 박아 연결지지부(210)와 배출지지부(310)를 서로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배수로(200)는 성토사면(10)의 길이에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상단에 위치된 연결배수로(200)는 도 3의 유입배수로(100)와 연결되고, 최하단에 위치된 연결배수로(200)는 도 3의 배출배수로(300)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제2고정홀(211) 및 연결홀(231)은 가장자리에 금속링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배출배수로(300)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전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의 배출배수로(300)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3고정홀(311)이 형성되는 배출지지부(310)와, 배출지지부(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세로로 돌출되며 연결배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을 성토사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가이드(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가이드(320)는 일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3수용부(321)와, 제3수용부(321)에 삽입되어 배출가이드(320)의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제3지지부재(322)와, 제3수용부(321)에 형성되어 제3지지부재(322)가 삽입되면 제3수용부(321)를 밀폐시켜 제3지지부재(322)를 고정시키는 제3마감부재(3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지지부(310)는 방수 원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제3고정홀(311)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제3고정홀(311)에 삽입되면 유입지지부(110)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배출가이드(320)는 배출지지부(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며 도 3의 연결배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을 성토사면(10) 하단의 지면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지지부(310)와 동일한 방수원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어 일면이 개구된 제3수용부(321)를 통해 제3지지부재(322)를 삽입하여 배출가이드(3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수용부(321)에 삽입되는 제3지지부재(322)의 형상이나 길이에 따라 배출가이드(320)의 형상 또는 길이가 결정되게 된다.
제3지지부재(322)가 삽입되면 제3지지부재(3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3수용부(321) 하단에 형성된 제3마감부재(323)를 접어 제3수용부(321)를 밀폐시키게 되며, 제3마감부재(323)에는 밸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제3수용홈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지지부(310) 타단 상부면에는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있어 도 3의 연결지지부(210)의 일단 하부면에 형성된 탈착부재(400)와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유입지지부(110)의 일단은 지면에 일부가 매립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고정홀(311)은 가장자리에 금속링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다단식 경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가 다단식 경사면에 설치된 후 커버(50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는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및 배출배수로(30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이 상부 방면으로 누출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는 모두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도 8 및 도 9와 같이 성토사면이 다단식으로 경사면과 수평면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에 흐르는 물은 경사면에서 수평면으로 진입될 때 물이 수평면에 부딪히면서 사방으로 튀면서 성토사면으로 누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과 수평면이 형성된 부위는 상부면으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500)가 형성되게 되며, 커버(500)는 물에 젖지 않도록 방수가 가능하고 찢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타포린과 같이 가볍고 유연하면서 질긴 방수소재를 이용하여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되며, 지주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수단에 의해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탈착부재(400)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500)를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에 탈부착되어 임시로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
커버(500)는 물이 튈 수 있는 위치면 어느 곳이나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500)는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의 전체를 연속적으로 덮어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500)는 유입배수로(100),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 중 어느 하나를 뒤집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커버(5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배수로를 뒤집어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버(500)가 유입배수로(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유입배수로(100)와 동일한 형태로 된 유입배수로(100)를 준비한 후 이를 뒤집어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연결배수로(200), 배출배수로(300)도 동일한 방법으로 뒤집어서 커버(500)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로의 상부에 또 다른 배수로가 적층되기 때문에 가이드가 2배로 높아져 배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더라도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에 의하면, 성토사면을 파내지 않고 표면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가배수로를 형성하여 성토사면의 상단에 흐르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물이 배수될 때 성토사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성토사면의 흙이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하고 성토사면의 형태에 맞게 가조립 후 설치가 가능하고,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성토사면 100 : 유입배수로
110 : 유입지지부 111 : 제1고정홀
120 : 유입가이드 121 : 제1수용부
122 : 제1지지부재 123 : 제1마감부재
130 : 결합부 131 : 결합홀
200 : 연결배수로 210 : 연결지지부
211 : 제2고정홀 220 : 연결가이드
221 : 제2수용부 222 : 제2지지부재
223 : 제2마감부재 230 : 연결부
231 : 연결홀 300 : 배출배수로
310 : 배출지지부 311 : 제3고정홀
320 : 배출가이드 321 : 제3수용부
322 : 제3지지부재 323 : 제3마감부재
400 : 탈착부재 500 : 커버

Claims (10)

  1. 성토사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성토사면의 상단에 흐르는 물이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유입배수로와;
    상기 성토사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배수로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성토사면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배수로와;
    상기 성토사면의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배수로와 상기 배출배수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유입배수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측면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연결배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배수로의 일단은 상기 연결배수로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배수로의 일단은 상기 배출배수로의 타단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흐르는 물이 연결 부위의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되며,
    상기 유입배수로, 상기 연결배수로 및 상기 배출배수로는 물이 설정된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이격되어 외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일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의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을 유지하도록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각도가 꺾인 상태로 제조되어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현장의 꺾인 부위에 맞춰 상기 지지부재를 절개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유입배수로, 상기 연결배수로 및 상기 배출배수로는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재는 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 각각의 배수로를 서로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배수로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1고정홀이 형성되는 유입지지부와;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가로로 돌출되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성토사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입가이드와;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배수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배수로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고정홀이 형성되는 연결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세로로 돌출되며 상기 유입배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부 방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연결가이드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배수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배수로는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3고정홀이 형성되는 배출지지부와;
    상기 배출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어 세로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배수로를 통해 흐르는 물을 상기 성토사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가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배수로, 상기 연결배수로 및 상기 배출배수로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이 상부 방면으로 누출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타포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를 상기 유입배수로, 상기 연결배수로, 상기 배출배수로에 탈부착하여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배수로의 상기 연결가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유입지지부의 일단이 상기 연결지지부의 타단 상부에 포개어져 상기 연결배수로와 틈새없이 밀착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출배수로의 상기 배출가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연결지지부의 일단이 상기 배출지지부의 타단 상부에 포개어져 상기 배출배수로와 틈새없이 밀착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는 지주나 핀을 박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연결가이드가 삽입되면 지주 또는 핀이 상기 결합홀을 통해 상기 연결가이드 및 지면을 관통하도록 박아 상기 유입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를 서로 고정시켜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지주나 핀을 박을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배출가이드가 삽입되면 지주 또는 핀이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배출가이드 및 지면을 관통하도록 박아 상기 연결지지부와 상기 배출지지부를 서로 고정시켜 연결하며,
    상기 결합홀 및 상기 연결홀의 가장자리에는 금속링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 또는 핀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9787A 2020-02-18 2020-02-18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KR10218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87A KR102182723B1 (ko) 2020-02-18 2020-02-18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87A KR102182723B1 (ko) 2020-02-18 2020-02-18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723B1 true KR102182723B1 (ko) 2020-11-24

Family

ID=7367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787A KR102182723B1 (ko) 2020-02-18 2020-02-18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7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70Y1 (ko) * 2003-08-22 2003-11-12 주식회사 씨엠 산마루측구배수로
KR20100046933A (ko) * 2008-10-28 2010-05-07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KR20130051105A (ko) 2011-11-09 2013-05-20 ㈜송림원 시공성 및 배수효율이 양호한 조립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200472881Y1 (ko) * 2014-02-25 2014-05-29 김기한 성토부 집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70Y1 (ko) * 2003-08-22 2003-11-12 주식회사 씨엠 산마루측구배수로
KR20100046933A (ko) * 2008-10-28 2010-05-07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KR20130051105A (ko) 2011-11-09 2013-05-20 ㈜송림원 시공성 및 배수효율이 양호한 조립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200472881Y1 (ko) * 2014-02-25 2014-05-29 김기한 성토부 집수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362A (en) Pressure secured liquid damming protective bank device and method
RU2283916C2 (ru) Переносная секция барьера для защиты от затопления и барьер для защиты от затопления
AU706164B2 (en) Underwater construction of impermeable protective sheathings for hydraulic structures.
US20070237585A1 (en) Water barrier device
EP1880058B1 (en) Flood barrier
EP3704331B1 (en) Flood barrier ground sealing arrangement
US4887627A (en) Shelter with releasable ballast members
JP6304678B2 (ja) 貯水槽及びユニットパネル
KR102182723B1 (ko)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RU2246580C2 (ru) Загражд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от паводка (варианты)
JP2006144294A (ja) フロート提体シート
JPH0786242B2 (ja) 地下室浮上防止装置及び同装置用遮水袋
KR102108823B1 (ko)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3167039B (zh) 用于临时液体拦阻保护屏障的保护屏障段和包括这种保护屏障段的保护屏障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101050541B1 (ko) 유수에 의한 토사 유출 방지용 배수 유도장치
JPH07197751A (ja) 防潮装置
US20230323618A1 (en) Piles for self-closing flood barrier
JPS63147071A (ja) 流水遮断用基材
GB2452530A (en) Flood protection device for openings, automatically deployed by floatation
KR200372619Y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1626912B1 (ko) 고무댐
JPH0931947A (ja) 膨張堤体式貯水装置
CA30202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water away from a concrete slab sitting on a footing
JP2000273873A (ja) 防水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