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933A -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 Google Patents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6933A KR20100046933A KR1020080105981A KR20080105981A KR20100046933A KR 20100046933 A KR20100046933 A KR 20100046933A KR 1020080105981 A KR1020080105981 A KR 1020080105981A KR 20080105981 A KR20080105981 A KR 20080105981A KR 20100046933 A KR20100046933 A KR 201000469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way
- fill
- construction
- slop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시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성토사면 위에 올려져서 우수 안내를 위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부; 상기 성토사면 위에 올려진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가도수로의 시공이 용이하고, 가도수로의 붕괴 및 성토의 유실,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성토, 성토사면, 가도수로, 우수, 배수, 수로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시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지반 등을 구축하기 위한 토목공사를 위해 성토(盛土)를 하는 경우, 우수(W)로 인한 성토 유실 및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성토를 하는 동안 우수(W)를 배수하기 위해 성토사면(10)에 임시 배수로인 가도수로(20)를 만들고 있다.
현 실정에서는 가도수로(20)를 만들기 위해, 성토사면(10)에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배수를 유도하기 위한 배수홈(22)을 파고, 배수홈(22) 유지를 위해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홈(22)을 비닐이나 천막(24) 등으로 덮고, 그 비닐이나 천막(24) 등을 모래주머니나 돌(26) 등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 1의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가도수로(20)의 측부로부터도 우수(W)가 모여들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우수량이 급증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여러 요인에 의해 가도수로(20)에 압력이 작용하여 가도수로(20)가 허물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수홈(22)을 파서 가도수로(20)를 만들기 때문에 가도수로(20) 측 성토부분이 취약하다. 따라서, 이 결과 성토 유실 및 나아가 성토 붕괴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사례가 빈번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성토층을 높이기 위해 성토할 때마다 가도수로(20)를 재시공해야 해야되고, 이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어, 이 또한 시급히 해결해야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성토의 유실 및 붕괴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고, 가도수로 시공으로 인한 성토공사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성토사면 위에 올려져서 우수 안내를 위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부; 상기 성토사면 위에 올려진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제시한다.
상기 수로부는 팽창하여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튜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부는 길이를 따라 구간별로 부분팽창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부는 상기 수로의 길이가 적어도 최종 성토사면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부가 상기 성토사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부는 적어도 길이를 따라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수로부는 길이를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셀(cell); 상기 수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셀들을 이음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은 상기 성토사면에 밀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수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의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된 한쌍의 측벽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로부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 상기 수로부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둘러싸인 수로부와 결속되고,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성토 윗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성토 윗면의 우수를 상기 수로부의 수로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수로부와 결합되고, 상기 성토 윗면에 펼쳐질 수 있는 유도막; 상기 유도막을 상기 성토 윗면에 고정시키는 유도막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의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1차 성토 후, 1차 성토한 성토사면의 상부까지 수로부 를 끌어올려서 수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성토한 성토사면에 올려진 상기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 추가 성토할 때마다, 상기 수로부를 자유롭게 풀어 놓은 후 추가 성토한 성토사면의 상부까지 상기 수로부를 끌어올려서 수로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로 연장 형성 후, 상기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성토사면에 올려지지 않은 상기 수로부의 잔여분은, 상기 수로부의 사용분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성토사면 밑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의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성토 또는 추가 성토 후, 상기 수로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성토사면 위에 끌어올리는 단계; 상기 성토사면에 올려진 상기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로부의 성토사면에 올려진 부분은 상기 수로를 형성하도록 팽창시키고, 그 잔여분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성토 후, 수로부를 성토사면 위에 끌어올려서 고정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가도수로 시공이 용이하고, 성토사면을 그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가도수로가 견실하게 시공되므로 가도수로의 붕괴를 비롯하여, 성토의 유실,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도수로의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성토공사가 가도수로 시공으로 인해 지연되지 않고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가도수로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도수로 시공을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200)는, 성토사면(100) 위에 올려져서 우수(W) 안내를 위한 수로(211)를 형성하는 수로부(210)와, 성토사면(100) 위에 올려진 수로부(210)를 성토사면(100)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성토층은 여러 번의 성토단계에 의해 단계적으로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각 단계의 성토 후, 단지 수로부(210)를 현 단계의 성토사면(100)의 상부까지 끌어올려 고정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우수(W)를 배수하기 위한 가도수로(200)가 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가도수로(200) 시공을 위해 배수홈을 파고 배수홈 유지를 위한 공사를 하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도수로(200)를 성토사면(100)에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이 짧아서 성토 공사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가도수로(200) 시공을 위해 배수홈을 팠기 때문에 이로 인해 성토사면(100)의 취약부분이 생겼는데 반해, 본 발명에 의한 가도수로(200) 자체가 견실하게 시공될 뿐만 아니라 배수홈 등에 의한 성토사면(100)의 취약부분이 없기 때문에 가도수로(200) 붕괴는 물론, 성토 유실 및 성토 붕괴가 방지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도수로(200)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가도수로(200) 시공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가도수로(200)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로부(210)는 성토사면(100)에 수로(211)를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식으로 구성되든 무방하나, 다만 수로(211)의 길이가 적어도 최종 성토사면(100)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토가 추가될 때마다 수로(211)를 연장하기 위해 복잡하게 수로부(210)를 추가 구축함과 아울러 기 구축된 수로부(210)와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기 구축된 수로부(210)를 추가 성토된 부분까지 위로 더 끌어올리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성이 보다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로부(210)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힘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로부(210)는 수로(211) 특성상 폭에 비해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적어도 길이를 따라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로부(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접힘 가능토록, 길이를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셀(212)(cell)과, 셀(212)들을 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이음하는 이음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셀(212)은 성토사면(100)에 밀착되는 바닥면(212A)과, 수로(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바닥면(212A)의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된 한쌍의 측벽(212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우수(W)가 셀(212)의 바닥면(212A)과 한쌍의 측벽(212B)으로 이루어진 수로(211)를 따라 배수되기 때문에, 배수되어야 할 우수(W)가 성토에 흡수되어 성토의 함수비를 증가시킬 염려가 없어, 성토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 외 실시 예로써 수로부(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접힘 가능토록 자바라처럼 길이를 따라 신축 가능토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수로부(210)는 팽창하여 수로(211)를 형성하는 튜브로 구성됨으로써, 성토사면(100)에 구축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팽창하여 견실하게 구축되고, 이 외에는 수축상태로 접힘되어 보관 및 이동될 수 있고, 시공시에도 수축상태로 성토사면(100)에 고정된 후 팽창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로부(210)는 공압, 유압, 팽창제 등 어떠한 방법으로든 팽창될 수 있으며, 그 팽창방법은 비용, 설계성 등을 고려하는 선택적인 사항이다.
특히, 수로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성토할 때마다 일부분만 사용되는 경우, 성토사면(100)에 구축되지 않은 잔여분(210')은 굳이 팽창되어 공간을 차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길이를 따라 구간별로 부분팽창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수로부(210)의 셀(212) 하나하나씩 부분팽창되거나, 서로 인접한 여러 셀(212)이 하나의 세트로 묶여 한 세트씩 부분팽창될 수 있다.
또한, 수로부(210)는 성토사면(100)에 밀착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를 위해 수로부(210)를 성토사면(100)에 올려놓은 후, 수로부(210)의 바닥면(212A) 위에 여러 개의 돌이나 모래 주머니 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으나, 이는 돌이나 모래 주머니 등을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돌이나 모래 주머니가 굴러 내려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로부(210)를 성토사면(100)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수로부(210)가 성토사면(1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로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질량체(216)는 수로부(210)의 전 길이를 따라 구성될 수도 있지만, 수로부(210)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구성되어도 충분하며 수로부(210)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다수 개로 구성되어 수로부(210)에 군데군데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220)는 어떠한 방법으로 수로부(210)를 고정하든 상관없으나, 수로부(210)를 비롯하여 고정부(220)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써 고정부(220)는 수로부(210)와 결속되고, 성토사면(100)에 박아져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222)은 수로부(210)의 좌우 양쪽에 모두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로부(210)에는 고정핀(222)과의 결속이 용이하도록 고정핀(222)이 관통되는 관통홀(H)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귀(212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부(220)는 수로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틀(224)을 포함함으로써, 고정틀(224)에 의해 수로부(210)의 들뜸을 방지하고, 수로 부(210)가 비뚤어지지 않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틀(224)은 고정핀(222)에 의해 수로부(210)와 함께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틀(224)은 수로부(210)의 형태를 지지해주기만 하면 되므로, 제작비가 적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경량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220)는 수로부(210)가 성토사면(100)에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선에서 최소 구성될 수 있도록, 수로부(210)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220A)와, 수로부(21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220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로부(210)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하는 경우 등에, 필요에 따라 수로부(210)의 중간부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고정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성토 윗면(110)의 우수(W)가 보다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수로부(210)의 상부로부터 성토 윗면(110)으로 연장 형성되어 성토 윗면(110)의 우수(W)를 수로부(210)의 수로(211)로 유도하는 유도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부(230)는 성토 윗면(110)의 우수(W)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수로부(210)와 결합되고 성토 윗면(110)에 펼쳐질 수 있는 유도막(2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도막(232)이 흩날리지 않도록 유도막(232)을 성토 윗면(110)에 고정시키는 유도막 고정체(23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막(232)으로는 비닐이나 천막이 적합하고, 유도막 고정체(234)로는 앵커나 핀 등이 적합하다.
상기한 가도수로(200)를 이용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200) 공법은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성토 후, 1차 성토한 성토사면(100)의 상부까지 수로부(210)를 끌어올려서 수로(211)를 형성하도록 펼친다. 이때, 수로부(210)를 성토사면(100)에 쉽게 끌어올리기 위해 수로부(210)는 수축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1차 성토한 성토사면(100)에 올려진 수로부(2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상부 고정부(220A)와 하부 고정부(220B)에 의해 성토사면(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수로부(210)를 성토사면(100)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전에 성토사면(100)에 고정되는 수로부(210)의 사용분을 부분팽창하거나, 수로부(210)를 성토사면(100)에 고정한 후 수로부(210)의 사용분을 팽창하거나, 수로부(210)의 상부를 성토사면(100)에 고정한 후 수로부(210)의 하부를 성토사면(100)에 고정하기 전에 수로부(210)의 사용분을 팽창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로부(210)의 잔여분(210')은, 수로부(210)의 사용분과 연결된 상태로 성토사면(100) 밑에 놓아둔다. 물론, 수로부(210)의 잔여분(210')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수로부(210)의 잔여분(210')은 접혀진 상태로 둘 수도 있지만, 원활한 배수를 위해 펼쳐 놓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성토할 때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부(210)를 자유롭게 풀어 놓은 후 추가 성토한 성토사면(100)의 상부까지 수로부(210)를 끌어올려서 수로(211)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와, 도 12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수로(211) 연장 형성 후, 수로부(210)를 상기 성토사면(100)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반복 실시하고, 이때 수로부(210)의 잔여분(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축상태로 놓아둔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2는 종래기술에 의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성토층 공사시 가도수로를 적용한 모식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성토층 공사시 가도수로를 적용한 모식도.
도 5는 도 4의 C-C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E-E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가도수로 전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공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는 성토공사 중간단계 모식도.
도 10은 추가 성토공사단계 모식도.
도 11은 가도수로 연장중간단계 모식도.
도 12는 가도수로 연장완료단계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성토사면 200; 가도수로
210; 수로부 211; 수로
212; 셀 214; 이음부
216; 질량체 220; 고정부
222; 고정핀 224; 고정틀
230; 유도부 232; 유도막
Claims (15)
- 성토사면 위에 올려져서 우수 안내를 위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부;상기 성토사면 위에 올려진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로부는 팽창하여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수로부는 길이를 따라 구간별로 부분팽창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로부는 상기 수로의 길이가 적어도 최종 성토사면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로부가 상기 성토사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로부는 적어도 길이를 따라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로부는 길이를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셀(cell);상기 수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셀들을 이음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셀은 상기 성토사면에 밀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수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의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된 한쌍의 측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로부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상기 수로부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틀;상기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둘러싸인 수로부와 결속되고,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로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성토 윗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성토 윗면의 우수를 상기 수로부의 수로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유도부는상기 수로부와 결합되고, 상기 성토 윗면에 펼쳐질 수 있는 유도막;상기 유도막을 상기 성토 윗면에 고정시키는 유도막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이 용한 공법으로서,1차 성토 후, 1차 성토한 성토사면의 상부까지 수로부를 끌어올려서 수로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1차 성토한 성토사면에 올려진 상기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이후 추가 성토할 때마다, 상기 수로부를 자유롭게 풀어 놓은 후 추가 성토한 성토사면의 상부까지 상기 수로부를 끌어올려서 수로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상기 수로 연장 형성 후, 상기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공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성토사면에 올려지지 않은 상기 수로부의 잔여분은, 상기 수로부의 사용분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성토사면 밑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공법.
- 청구항 3의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를 이용한 공법으로서,성토 또는 추가 성토 후, 상기 수로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성토사면 위에 끌어올리는 단계;상기 성토사면에 올려진 상기 수로부를, 상기 성토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수로부의 사용분은 상기 수로를 형성하도록 팽창시키고, 그 잔여분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981A KR101145763B1 (ko) | 2008-10-28 | 2008-10-28 |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981A KR101145763B1 (ko) | 2008-10-28 | 2008-10-28 |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6933A true KR20100046933A (ko) | 2010-05-07 |
KR101145763B1 KR101145763B1 (ko) | 2012-05-16 |
Family
ID=4227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5981A KR101145763B1 (ko) | 2008-10-28 | 2008-10-28 |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57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2723B1 (ko) * | 2020-02-18 | 2020-11-24 | 한국도로공사 |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4614A (ko) | 2022-06-21 | 2023-12-28 | 노진덕 | 파형 도수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52741B2 (ja) * | 1992-12-28 | 2002-12-03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通水路開閉装置 |
JPH07286357A (ja) * | 1994-04-19 | 1995-10-31 | Fujita Corp | 竪排水溝 |
KR200283005Y1 (ko) | 2002-04-18 | 2002-07-24 |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
KR200450426Y1 (ko) * | 2008-04-07 | 2010-10-01 | 김흔락 | 번개수로 |
-
2008
- 2008-10-28 KR KR1020080105981A patent/KR1011457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2723B1 (ko) * | 2020-02-18 | 2020-11-24 | 한국도로공사 |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5763B1 (ko) | 2012-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94488T3 (es) | Método para construir una cimentación de pilotes | |
KR101027963B1 (ko) | 건설공사용 말뚝 및 인장부재를 위한 천공 확대부 콘크리트 시공방법 | |
CN113614315A (zh) | 建造结构的方法 | |
KR101640449B1 (ko) |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 |
KR20120001856A (ko) | 지오신세틱스와 개수로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보강공법 | |
KR101655217B1 (ko) |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 |
KR101145763B1 (ko) | 성토 공사를 위한 가도수로 및 그 공법 | |
KR101415694B1 (ko) | 부력방지 앵커가 설치된 기존 구조물의 하부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 |
KR100546868B1 (ko) | 약제 주입식 하수관로 비굴착 보수공법 | |
KR101678950B1 (ko) | 말뚝을 활용한 구조물 보강복원방법 | |
JP2006132219A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地下構造物、並びにそのため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側壁又は中間壁/柱 | |
KR101859259B1 (ko) | 매입 중공파일의 주면 마찰력 증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CN108411904B (zh) | 大型岩溶地层局部充填用钢筋混凝土布袋桩结构及工艺 | |
KR101874464B1 (ko) | 전면 배수관을 구비한 상향식 지반보강 앵커 | |
KR101763274B1 (ko) | 콘크리트 교량의 확장 공법 및 확장형 콘크리트 교량 | |
KR20230084676A (ko) | 성토의 유실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가도수로 공법 | |
JP2000008623A (ja) | 構造物の復旧工法 | |
JPH11141140A (ja) | 建造物の建て替え方法 | |
CN114718048A (zh) | 一种高烈度区抗砂土液化透水桩以及取土植桩施工方法 | |
JPH07103563B2 (ja) | 杭圧入機 | |
JP2004124368A (ja) |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方法 | |
CA2577847A1 (en) | Methods for providing piled foundations for constructions, piled foundations and a balloon for providing an enlarged footing | |
KR200431272Y1 (ko) | 정착지지체로 이루어진 지반정착앵커구조체 | |
US1877351A (en) | Trench bracing | |
KR100749052B1 (ko) | 링 팽창지수제 스리브를 구비한 옹벽용 배수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