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65B1 -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65B1
KR102014365B1 KR1020170168300A KR20170168300A KR102014365B1 KR 102014365 B1 KR102014365 B1 KR 102014365B1 KR 1020170168300 A KR1020170168300 A KR 1020170168300A KR 20170168300 A KR20170168300 A KR 20170168300A KR 102014365 B1 KR102014365 B1 KR 10201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talyst
precursor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173A (ko
Inventor
김홍대
정보라
예보라
이민우
김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01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01D53/8628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B01J23/22Van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30Tungsten
    • B01J3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19Catalysts containing par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바나듐과 텅스텐의 담지량에도 불구하고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처리된 가스가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내마모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장기간 운전에도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여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SCR Catalyst Added Carbon Supported Active Catalytic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바나듐 담지량에도 불구하고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공장, 발전소, 보일러, 쓰레기소각장 등과 같은 고정원과 자동차, 선박 등의 이동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은 황산화물(SOX), 분진, 다이옥신, 중금속,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과 함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질소산화물은 주로 고온의 연소설비에서 과잉공기의 존재하에 질소 및 산소의 반응으로 생성되는데, 일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 일산화이질소(N2O), 삼산화이질소(N2O3), 사산화이질소(N2O4), 오산화이질소(N2O5) 등으로 구분되고, 이들 중 일산화질소는 인체에 매우 유해한 발암성 물질로 심각한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황산화물과 함께 산성비와 스모그(smog) 생성의 원인이 되어 지구환경을 파괴하는 오염원들이므로, 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저산소 연소, 배기가스 순환 등 연소조건개선에 대한 발생억제기술과 함께 이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개발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질소산화물은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고온의 연소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또한 매우 안정한 화합물질이기 때문에 연소기술의 개선만으로는 충분히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배기가스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하는 후처리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후처리 기술에는 크게 수용액의 사용 여부에 따라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나눌 수 있고, 이 중에서도 건식법인 제거효율 및 경제성 면에서 우수한 선택적 촉매 환원(SCR :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공정이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선택적 촉매 환원 공정은 NOX 제거를 위해 NH3, urea, hydrocarbon 등과 같은 환원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촉매 상에서 상기 환원제를 이용하여 NOx를 인체에 무해한 N2나 H2O와 같은 기체로 환원시키게 된다. 환원제 중 암모니아를 사용한 경우 암모니아의 악취 및 유독성 외에도 배기가스 내 성분 중 SO2가 산화되어 SO3가 되면서 배기가스 내 미반응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은 설비를 부식시켜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촉매를 제조할 때 SOX 전환율이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상용화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V2O5-WO3-TiO2계 촉매는 반응활성이 높고 현장 적응력이 강하기 때문에 발전소와 소각로 등의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NOX 처리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촉매이다. 이 중 촉매 활성 성분인 V2O5 WO3는 redox cycle에 의해 NOX를 N2로 전환시키는 촉매작용을 함으로써 촉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이 첨가될 경우에는 고온영역에서 NH3를 N2O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일으키고, SOx 전환율이 높은 값을 가지며 중금속으로 환경 중에 방출되면 인체나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촉매에 함유되는 V2O5 WO3의 함량을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지속적인 수요 및 가격 증가로 V2O5 WO3 가격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바나듐과 텅스텐 사용량의 절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434936호에는 균질한 세륨-지르코늄 혼합 옥사이드를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수용액에 함침시켜 산화세륨이 10 ~ 90 중량% 함유된 세륨-지르코늄 혼합 옥사이드를 활성화한 바나듐 비함유 촉매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바나듐 비함유 촉매는 바나듐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환경에 무해하며 열수 조건하에서 노화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고온에서 운전해야 하므로 운전비용이 높고 과잉의 산소 존재하에서는 낮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비활성화 현상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65982호에서는 바나듐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은 양의 바나듐을 그래핀 위에 분산 담지시킨 바나듐 담지체에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텅스텐을 혼합시킨 SCR 촉매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그래핀 지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물질이 바나듐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바나듐과 더불어 고가인 텅스텐의 담지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바나듐 담지 과정을 거친 물질들을 이산화티타늄에 재담지하는 공정을 더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434936호(공개일: 2009.07.29) 한국등록특허 제1565982호(공개일: 2015.08.26)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은 바나듐과 텅스텐의 담지량에도 불구하고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처리된 가스가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내마모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장기간 운전에도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여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a)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 텅스텐 전구체 수용액 및 티타늄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함침시켜 함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함침물을 건조시킨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a) 단계의 금속 전구체 수용액은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나듐 전구체 0.1 중량부 ~ 3 중량부 및 텅스텐 전구체 1 중량부 ~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b)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함량은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촉매 지지체인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촉매 활성물질인 바나듐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티타늄 산화물이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티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나듐 산화물 0.1 중량부 ~ 3 중량부 및 텅스텐 산화물 1.0 중량부 ~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티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5 중량부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촉매 지지체에 담지되는 바나듐 및 텅스텐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우수하며, 처리된 가스가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내마모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장기간 운전에도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여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반응 온도에 따른 질소산화물의 제거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TEM 이미지로,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TEM 이미지이고, (b)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TEM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온도에 대한 암모니아 승온탈착(NH3-TPD)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그래핀(graphene)"은 복수개의 탄소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를 의미하며, 상기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탄소원자들은 기본 반복단위로서 6원환을 형성하나, 5원환 및/또는 7원환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그래핀은 서로 공유결합된 탄소원자들(통상 sp2 결합)의 단일층으로서 보이게 된다. 상기 그래핀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그래핀 내에 포함될 수 있는 5원환 및/또는 7원환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 텅스텐 전구체 수용액 및 티타늄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함침시켜 함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함침물을 건조시킨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은 고가이면서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나듐 및 텅스텐의 원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촉매 지지체로 그래핀을 사용하였으며, 함침법을 이용하여 그래핀 촉매 지지체에 응집 없이 촉매 활성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우수하며, 장기간 운전에도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 텅스텐 전구체 수용액 및 티타늄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은 탈염수에 바나듐 전구체, 텅스텐 전구체 및 티타늄 전구체가 각각 용해되어 있는,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 텅스텐 전구체 수용액 및 티타늄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수득된다. 이때, 탈염수의 함량은 각각의 전구체들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는 함량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탈염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전구체 5 중량부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바나듐 전구체는 촉매 활성물질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 촉매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NH4VO3), 바나듐옥시트리클로라이드(VOCl3), 바나듐 옥사이드(V2O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NH4VO3)이다. 상기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NH4VO3)는 타 종류의 촉매에 비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열분해되면 오산화바나듐(V2O5)이 되는데, 오산화바나듐은 배기가스에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는 촉매작용뿐만 아니라, 황산화물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면서 이산화황(SO2)을 삼산화황(SO3)으로 산화시키는 촉매역할을 하여 삼산화황이 배기가스 중의 수증기와 결합하여 황산(H2SO4)으로 전환되므로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황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바나듐 전구체로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의 용해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 수용액에 옥살산(oxalic acid)를 조금씩 저어가며 혼합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바나듐 전구체는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중량부 ~ 2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바나듐 전구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질소산화물 제거 효과가 미흡할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높은 함량에 의해 분말의 응집 현상이 생기고, 함량 증가 대비 효율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으며, 경제적인 면과 환경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텅스텐 전구체는 촉매 활성물질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암모늄메타텅스테이트[(NH4)6W12O39·XH2O], 암모늄파라텅스테이트[(NH4)10W12O41], 암모늄텅스테이트(H8N2O4W), 암모늄황화텅스테이트(H8N2S4W), 산화텅스텐(W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텅스텐 전구체의 함량은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 8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텅스텐 전구체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티타늄 산화물의 구조적인 안정화나 넓은 온도범위의 온도, 특히 고온에서의 촉매 효율이 미흡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높은 함량에 의해 분말이 응집 현상이 발생되고, 함량 증가 대비 효율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으며, 경제적인 면과 환경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바나듐 전구체의 바나듐과 텅스텐 전구체의 텅스텐은 전이금속으로, 내부의 전자궤도를 차지하는 전자의 수가 불완전하여 전자를 쉽게 잃어서 양이온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후술되는 티타늄 전구체와 화합물을 형성하여 탈질촉매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의 활성화와 더불어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산소와 쉽게 반응하여 산화물 부동화 보호 피막을 만들기 때문에 잘 산화되지 않고 알칼리, 황산, 염산 등에 대해서 안정하다.
상기 티타늄 전구체는 이산화티타늄(TiO2), 비결정상의 티타닌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주촉매와 조촉매로 사용되는 바나듐과 텅스텐의 지지체로서 작용하고, 탈질촉매의 물리적인 강도를 높이거나, 내열성을 향상시켜 촉매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b) 단계는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함침시켜 함침물을 수득한다.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GO)는 일반적으로 흑연 결정의 산화와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분쇄를 통해 제조할 수 있고,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는 그래핀 옥사이드를 하이드라진(hydrazine) 등의 환원제를 이용해 그래핀으로 환원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상용화된 그래핀 옥사이드 및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는 금속 전구체 수용액에 혼합시켜 함침하거나, 또는 탈염수에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를 용해시킨 다음, 그래핀 옥사이드 수용액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수용액으로 금속 전구체 수용액에 혼합하여 함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염수의 함량은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가 충분히 용해될 수 있는 함량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탈염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1 중량부 ~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는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중량부 ~ 12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높은 함량의 활성물질로 인해 그래핀 표면에 골고루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응집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상에 촉매 활성물질의 담지량이 적어 촉매 활성 물질의 지지체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는 전술된 금속 전구체 수용액에 교반하에 함침시켜 금속 전구체들의 금속이 그래핀 상에 담지되도록 한다. 상기 함침은 30 ℃ ~ 70 ℃에서 1시간 ~ 1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함침이 30 ℃ 또는 1시간 미만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율이 저하될 수 있고, 70 ℃ 또는 15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바나듐의 입성장으로 인해 전구체들이 응집되고 고른 분산을 방해하여 촉매의 활성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c) 단계는 상기 함침물을 건조시킨 후, 소성하여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제조한다.
상기 함침 단계 후, 수득된 함침물의 수분은 회전 진공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 다음, 함침물 내 미세기공에 포함된 잔여 수분은 건조기 등으로 충분히 건조하여 제조한다.
상기 건조는 건조온도가 너무 낮거나 건조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완전히 건조되지 않아 촉매 미세 기공내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활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며, 건조온도가 너무 높거나 건조시간이 너무 길어질 경우에는 소결현상으로 인한 주촉매 물질인 바나듐의 입성장으로 인해 촉매의 활성 저하가 발생될 수 있어, 상기 함침물의 건조는 40 ℃ ~ 5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건조물은 열처리를 통한 활성 성분의 크기 및 분산도를 제어하기 위해 소성 과정을 거쳐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제조한다. 상기 소성은 촉매의 선택적 촉매 환원 능력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분위기하에 400 ℃ ~ 800 ℃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소성하는 동안 불활성 분위기를 유지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촉매 지지체 물질인 그래핀이 산화로 인해 공공(vacancy) 등과 같은 촉매의 결함이 발생되어 촉매 활성물질을 지지하지 못하거나 고른 분산을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질소, 아르콘, 헬륨 등을 소성 과정 동안 주입 및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소성 조건이 400 ℃ 미만 또는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전구체로 사용된 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고,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입자 및 기공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질소산화물의 제거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800 ℃ 또는 3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촉매활성물질 및 촉매 지지체로 사용된 물질의 물성 변화로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질소산화물의 제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성 공정은 튜브(tube)형 로, 컨벡션(convection)형 로, 화격자형 로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촉매 지지체 물질인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촉매 활성물질인 바나듐, 텅스텐 및 티타늄이 담지되어 있어 SCR 공정에서 배가스 내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활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촉매 지지체인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촉매 활성물질인 바나듐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티타늄 산화물이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티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5 중량부 ~ 15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가 전술된 함량비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촉매 활성물질의 담지량이 적어 촉매 활성물질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거나, 또는 높은 함량에 의해 활성물질이 촉매 지지체 표면에 골고루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응집현상이 생기게 되며, 과량의 활성물질로 인한 산화력 증대로 이어져 환원제인 암모니아를 산화시켜 질소산화물 제거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고, SO2를 SO3로 산화시켜 황산암모늄염(NH4HSO4)과 같은 부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티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나듐 산화물 0.1 중량부 ~ 3 중량부 및 텅스텐 산화물 1.0 중량부 ~ 10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조성비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적은 바나듐과 텅스텐의 담지량에도 불구하고,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처리된 가스가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내마모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고온 운전에 의한 촉매의 활성 저하와 수명단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금속판, 금속섬유, 세라믹 필터, 허니컴(honeycomb)과 같은 구조체나 공기정화기, 실내장식물, 내외장재, 벽지 등에 코팅하여 사용되거나, 소량의 바인더와 함께 입자형 또는 모노리스(monolith) 형태로 압출 가공되거나, 슬레이트, 플레이트, 펠릿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AMV) 0.1 g, 암모늄메타텅스테이트(AMT) 0.6 g 및 이산화티탄 10.0 g을 증류수 200 g에 각각 혼합하여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 텅스텐 전구체 수용액 및 티타늄 전구체 수용액을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RGO) 1.0 g을 증류수 100 g에 분산시킨 다음, 상기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수용액에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60 ℃에서 7 시간 동안 교반하여 함침시켰다. 함침 완료 후, 수득된 함침물은 회전감압증발장치를 이용하여 함침물의 수분을 제거하고, 60 ℃의 오븐에서 건조시킨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500 ℃로 2 시간 동안 소성하여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예 1에 대한 함량 조건을 표 1로 나타내었으며, 각 조건을 제외한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제조하였다.
구분 증류수 함량
(g)
AMV 함량
(g)
AMT 함량
(g)
이산화티탄
함량 (g)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함량 (g)
실시예 1 700.00 0.10 0.60 10.00 1.00
실시예 2 700.00 0.05 0.60 10.00 1.00
실시예 3 700.00 0.10 0.30 10.00 1.00
실시예 4 700.00 0.05 0.30 10.00 1.00
비교예 1 200.00 0.10 0.60 10.00 -
[ 실험예 1]: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성분 측정
XRF(X-ray fluorescence, Zetium, PAN’alytical)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성분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촉매 활성물질(wt%)
TiO2 WO3 V2O5 기타
실시예 1 93.741 5.092 1.018 0.149
실시예 2 94.518 4.922 0.499 0.061
실시예 3 96.221 2.608 0.983 0.188
실시예 4 96.657 2.665 0.491 0.187
비교예 1 93.697 5.228 1.019 0.056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합성시 각기 다른 첨가한 함량에 맞는 분석 결과를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기타물질은 Al2O3, SiO2 등으로, 전구체로 사용된 물질 또는 측정장비에 존재하는 잔여물인 것으로 파악된다.
[ 실험예 2]: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탈질성능 측정
NOx 전환반응 실험 장비는 촉매가 장착되고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 반응부, 촉매 반응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Heater, 주입 가스를 예열하는 Pre-Heater, 온도와 주입가스 양을 조절하는 온도 control 판넬과 MFC(Mass Flow Controller), Water Pump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기의 온도는 250 ℃ ~ 500 ℃의 범위로 조절하였고, 분석할 촉매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파우더 타입의 0.3g을 준비하였다. 2005년부터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서 탈질 촉매성능평가의 기준에 의하여 계산된 공간 속도(SV, Surface Velocity) 60,000 ml gcat -1h- 1를 산정하였으며, 반응기에 공급되는 전체 가스 양을 300 sccm으로 흘려주었다. NO gas(1% mol/mol)는 300 ppm (v/v)을 정량적으로 흘려주었으며, NH3 gas는 360ppm (v/v)로 흘려주었다. O2(1% mol/mol)의 농도는 5 % (v/v), N2(고순도 액화질소)로 총 유량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정확한 활성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반응조건에서 일정 시간동안 안정화를 수행한 후 반응실험을 수행하였고, O2를 제외한 반응가스의 분석은 CLD analyzer (Chemi-luminescence detector, T200H, Teledyn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O2 가스는 O2 분석기(OXITEC-5000, ENOTEC)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장비를 통해 가스 inlet과 촉매 반응부를 지나온 가스 outlet의 NOx 농도 변화를 통해 측정한 후, 하기 식을 통해 NOx 제거 효율을 계산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식]
NOx conversion (%) = 100 × ((inlet-outlet NOx concentration)/inlet NOx concentration)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촉매는 비교예 1의 촉매에 비해 탈질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1의 촉매가 다른 촉매에 비해 탈질 성능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4의 촉매 경우에는 비교예 1의 촉매 대비 바나듐과 텅스텐의 절반의 담지량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1의 촉매와 유사한 탈질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비표면적 측정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비표면적(SBET), 평균 기공크기(average pore size) 및 기공부피(pore volume)을 ASAP 2010(Micrometritics Co., USA)를 통해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SBET(m2g-1) pore volume(cm3g-1) average pore size(nm)
실시예 1 74.29 0.33 16.33
실시예 2 75.92 0.34 15.94
실시예 3 77.31 0.29 13.70
실시예 4 78.96 0.31 13.95
비교예 1 50.13 0.31 22.38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촉매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촉매가 비표면적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표면적이 넓은 그래핀을 촉매 활성물질의 지지체로 적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 실험예 4]: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TEM 측정
제조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M-2100F, JEOL)을 통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도 3(b)]에서 제조된 촉매의 경우, 응집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실시예 1[도 3(a)]에서 제조된 촉매의 경우에는 그래핀 표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촉매는 주로 표면 반응으로 반응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며 화학반응에서 반응속도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에서도, 촉매 표면에 존재하는 활성 성분에 의해 반응속도가 제어되므로 높은 비표면적 특성 및 촉매 활성물질의 분산성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과 분산성의 특성으로 그래핀에 활성물질이 담지된 촉매의 향상된 활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 실험예 5]: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암모니아 승온탈착법 활성 산점 측정
NH 3 -TPD (NH 3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반응기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촉매를 각각 장입하고, 상온에서 한 시간 동안 NH3 가스를 주입하여 촉매의 표면에 NH3를 흡착시킨 후 촉매를 퍼지(purge)하여 온도에 따른 NH3 탈착량을 Mass 분석기(AutochemⅡ 2920, Micromeritics)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석 온도 전 구간에서 실시예 1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가 비교예 1의 촉매보다 NH3의 탈착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비교예 1의 촉매보다 실시예 2의 촉매에 산점이 증가하여 NH3가 더 많이 흡착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NH3의 흡착량 증가는 결과적으로 탈질율 향상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a)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 텅스텐 전구체 수용액 및 티타늄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함침시켜 함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함침물을 건조시킨 후, 소성하여 탈질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나듐 전구체는 암모늄메타바나데이트이고, 상기 텅스텐 전구체는 암모늄메타텅스테이트이고, 상기 티타늄 전구체는 이산화티타늄이고,
    상기 (a) 단계의 금속 전구체 수용액은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나듐 전구체 0.1 중량부 ~ 3 중량부 및 텅스텐 전구체 1 중량부 ~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b)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함량은 티타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 15 중량부이고,
    상기 탈질촉매는 촉매 지지체인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에 촉매 활성물질인 바나듐 산화물(V2O5), 텅스텐 산화물(WO3) 및 티타늄 산화물(TiO2)이 담지되어 있는 것인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티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나듐 산화물 0.1 중량부 ~ 3 중량부 및 텅스텐 산화물 1.0 중량부 ~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는 티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5 중량부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의 제조방법.
KR1020170168300A 2017-12-08 2017-12-08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00A KR102014365B1 (ko) 2017-12-08 2017-12-08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00A KR102014365B1 (ko) 2017-12-08 2017-12-08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73A KR20190068173A (ko) 2019-06-18
KR102014365B1 true KR102014365B1 (ko) 2019-08-26

Family

ID=6710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00A KR102014365B1 (ko) 2017-12-08 2017-12-08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28B1 (ko) * 2019-12-02 2021-10-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활성물질이 담지된 질소 도핑 그래핀을 포함하는 선택적 환원 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2241948B1 (ko) * 2019-12-19 2021-04-2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황성이 개선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저온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2438438B1 (ko) * 2020-11-25 2022-09-0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배출원의 배기가스 처리 저온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2600502B1 (ko) * 2021-11-25 2023-11-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cr 효율 향상을 위해 n-gqd가 표면에 코팅된 촉매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6550C (en) 2006-10-23 2014-07-15 Umicore Ag & Co. Kg Vanadium-free catalyst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101565982B1 (ko) * 2014-02-18 2015-11-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나듐 담지 탄소재료가 포함된 scr 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1565976B1 (ko) * 2014-02-18 2015-11-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탄소재료에 바나듐을 담지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7 한국세라믹학회 춘계학술대회
대기정화용 그래핀 나노복합체 합성 및 탈질촉매 제조기술개발 연구 과제 보고서(2016.05.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73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365B1 (ko)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0686381B1 (ko) 넓은 활성온도 대역에서 질소산화물 및 다이옥신을제거하기 위한 천연망간광석을 포함하는 바나듐/티타니아계촉매 및 이의 사용방법
CA2662593C (en) Catalyst for oxidation of metal mercury
KR100549778B1 (ko) 저온 탈질 특성을 갖는 바나듐/티타니아계 질소산화물제거용 촉매, 이의 사용방법 및 이의 탈질방법
KR101121184B1 (ko) 배기 가스 촉매
WO2015099024A1 (ja) アンモニア分解触媒
JP2583911B2 (ja) 窒素酸化物除去用触媒
KR102033967B1 (ko) 탄소 재료에 촉매 활성물질이 담지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저온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1629483B1 (ko) 바나듐계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2183166B1 (ko) 철 이온이 교환된 이산화티타늄 지지체에 담지된 오산화바나듐-삼산화텅스텐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방법
KR101102714B1 (ko) 건식 볼 밀링을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용 촉매의 제조 방법
CN105771961B (zh) 一种CeO2纳米管担载的脱硝催化剂及其制备方法
JP2018527168A (ja) 窒素酸化物除去用scr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6601B1 (ko) 이산화황 내구성이 높은 탈질촉매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US11371406B2 (en) Low-temperature de-NOx catalyst for treatment of exhaust gas from stationary sour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90112564A (ko) 안티몬/티타니아 담체 및 그 제조방법, 상기 담체를 이용한 가스상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303B1 (ko)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저온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694B1 (ko) 탈질촉매 압출성형용 티타니아 제조방법
KR102558168B1 (ko) 암모니아 산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9828B1 (ko) 암모니아 제거용 텅스텐/티타니아 촉매와 그 제조방법
JP7146890B2 (ja) 窒素酸化物還元用希土類金属バナジウム酸塩触媒
KR100549777B1 (ko) 넓은 활성온도 대역을 갖는 질소산화물 및/또는 다이옥신제거용 삼산화 바나듐을 포함한 바나듐/티타니아계 촉매
KR101367023B1 (ko) 질소산화물 제거용 망간/티타니아 촉매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US11458465B2 (en) Low-temperature DeNOx catalyst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having improved sulfur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60039411A (ko) 저온에서의 질소산화물 제거용 망간-세리아-텅스텐-티타니아 촉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