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24B1 -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 Google Patents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24B1
KR102014024B1 KR1020180037478A KR20180037478A KR102014024B1 KR 102014024 B1 KR102014024 B1 KR 102014024B1 KR 1020180037478 A KR1020180037478 A KR 1020180037478A KR 20180037478 A KR20180037478 A KR 20180037478A KR 102014024 B1 KR102014024 B1 KR 10201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support
plate portion
lifter uni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Priority to KR102018003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14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with means for agitating or moving the charge
    • F27B7/16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with means for agitating or moving the charge the means being fixed relatively to the drum, e.g. composit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 내에 투입된 장입물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열충격 및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프터 유닛은 로터리 킬른의 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리프터 유닛으로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서포트부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와; 상기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쉘의 내부공간을 상기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LIFTER UNIT AND ROTARY KIL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킬른 내에 투입된 장입물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열충격 및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킬른(rotary kiln)은 제철공업 및 시멘트공법 등에서 재료의 고온처리를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치로서, 재료의 건조, 소성 및 환원 등의 공정에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의 쉘에 설치된 리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은 장입물이 연속적이으로 이송되면서 열처리되는 원통형의 쉘(10)과, 상기 쉘(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장입물을 쉘(10)의 내부로 장입시키는 장입구(20)과, 상시 쉘(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열처리된 장입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0)를 포함한다.
이때 쉘(10)의 내부에는 장입된 장입물을 배출구(20)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장입물이 균일하게 열처리되도록 쉘(10)의 회전에 의해 장입물을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기 위한 리프터(11)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11)는 평판형으로 쉘(10)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로터리 킬른은 쉘(10)을 수평으로 두고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장입물을 열처리시켜 배출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쉘(10)의 회전 중심축 근처에 스쿠류식 이송기구를 설치한 형식의 것이나, 장입물의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해서 쉘(10)을 경사지게 배치시킨 형식의 것, 또는 건조시에는 쉘(10)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배출시에는 쉘(10)을 기울여 배출하는 형식의 것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에 사용되는 평판형 리프터(11)는 쉘(10) 내부에 장입된 장입물의 이동량이 적고, 쉘(10)의 회전시 쉘(10)의 최상부까지 장입물을 상승시키지 못하여 장입물과 열원의 접촉이 적어 열처리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의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입물과 열원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로터리 드라이어'(공개특허 제10-2014-0087192호; 특허문헌 1)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 제안한 다공성 리프터 유닛은 장입물을 쉘의 최상부까지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면서 장입물과 열원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다공성 리프터 유닛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틀(프레임)에 복수의 와이어를 그물망처럼 형성한 것으로서, 쉘 내부의 고온에 의한 열충격 및 장입물과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공개특허 10-2014-0087192 (2014. 07. 09)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 내에 투입된 장입물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열충격 및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프터 유닛은 로터리 킬른의 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리프터 유닛으로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서포트부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와; 상기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쉘의 내부공간을 상기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일단이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서포트본체와; 상기 서포트본체의 일면에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서포트보강체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보강체는 적어도 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포트본체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나머지 서포트보강체는 상기 서포트본체의 양단 사이를 등간격으로 구획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부는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부는 다공성 패널로 이루어지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본체에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제 1 연결날개와; 상기 제 1 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에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제 2 연결날개와; 상기 서포트보강체를 연장하도록 상기 제 1 본체의 일면에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날개는 적어도 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본체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나머지 보강날개는 제 1 본체의 양단 사이를 등간격으로 구획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플레이트부는 다공성 패널로 이루어지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양단에서 쉘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에 각각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한 쌍의 절곡날개와; 상기 제 2 본체에서 쉘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보강체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체는 상기 제 2 본체에서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일면에는 제 2 플레이트부 중 어느 하나의 제 2 플레이트부의 절곡날개가 면접되고,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타면에는 제 2 플레이트부 중 다른 제 2 플레이트부의 절곡날개가 면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은 장입물이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을 갖는 쉘과; 상기 쉘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리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유닛은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서포트부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와; 상기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쉘의 내부공간을 상기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부 및 제 2 플레이트부에 의해 쉘의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여 쉘 내부로 장입된 장입물이 쉘이 회전되는 동안 이동량을 증가시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타입의 제 1 플레이트부를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된 서포트부를 매개로 쉘에 고정시킴에 따라 제 1 플레이트부가 고온의 열충격 및 장입물과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 타입의 제 1 플레이트부 및 제 2 플레이트부에 보강날개 및 보강체를 구비함에 따라 제 1 플레이트부 및 제 2 플레이트부가 고온의 열충격 및 장입물과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의 쉘에 설치된 리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은 장입물이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을 갖는 쉘(100)과; 쉘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리프터 유닛(210, 220, 230)을 포함한다.
쉘(100)은 원통형의 환형관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리프터 유닛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로터리 킬른과 마찬가지로 쉘(100)의 일측에는 장입물을 쉘(100)의 내부로 장입시키는 장입구(미도시)가 설치되고, 상시 쉘(100)의 타측에는 열처리된 장입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래서 쉘(100)의 내부로 장입되는 장입물은 쉘(10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에 의해 끌어올림·낙하를 반복함에 따라 열처리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된다.
리프터 유닛은 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쉘(100)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서포트부(210)와; 일단이 서포트부(210)에 고정되어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220)와;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220)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플레이트부(220)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쉘(100)의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한다.
서포트부(210)는 제 1 플레이트부(220)를 보다 견고하게 쉘(100)의 내주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일단이 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쉘(100)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서포트본체(211)와; 서포트본체(211)의 일면에서 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서포트보강체(212)를 포함한다.
서포트본체(211)는 제 1 플레이트부(220)의 두께와 같거나 큰 두께를 갖는 판체 또는 블록으로서, 다수개가 구비되어 그 일단이 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쉘(100)의 내주면에 용접된다.
서포트보강체(212)는 서포트본체(211)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어도 쉘(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포트본체(21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나머지 서포트보강체(212)는 서포트본체(211)의 양단 사이를 등간격으로 구획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서포트부(210)는 단면이 대략적으로 'ㄷ'자 또는 'ㅌ'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서포트부(210)는 쉘(100)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기도 하지만, 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플레이트부(220)는 쉘(100)의 내부공간 중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수단으로서, 제 1 본체(221)와; 제 1 본체(22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서포터본체(211)에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제 1 연결날개(222a)와; 제 1 본체(22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부(230)에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제 2 연결날개(222b)와; 서포트보강체(212)를 연장하도록 제 1 본체(221)의 일면에서 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날개(223)를 포함한다.
제 1 본체(221)는 다공성 패널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다공성 패널'이라 함은 평탄형의 플레이트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그 홀을 통하여 장입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패널을 의미한다. 제 1 본체(221)에 형성되는 홀은 그 사이즈가 쉘(100)의 내부에 장입되는 장입물의 종류 및 사이즈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장입물의 종류가 광석일 경우에는 광석의 직경보다 조금 큰 사이즈의 직경을 갖도록 홀을 형성한다. 따라서 홀의 사이즈 및 형성 패턴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공성 패널은 평판형의 패널에 다수의 홀을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연결날개(222a)는 제 1 본체(221)를 서포터본체(21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영역으로서, 제 1 본체(221)의 일단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연결날개(222a)에는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장입물의 통과를 위한 홀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연결날개(222a)와 서포터본체(211)의 고정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볼트와 같은 물리적인 체결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연결날개(222b)는 제 1 본체(221)를 제 2 플레이트부(230)와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영역으로, 제 1 본체(221)의 타단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2 연결날개(222b)도 제 1 연결날개(222a)와 마찬가지로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장입물의 통과를 위한 홀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날개(223)는 제 1 본체(221)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강날개(223) 중 이때 적어도 쉘(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본체(22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나머지 보강날개(223)는 제 1 본체(221)의 양단 사이를 등간격으로 구획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강날개(223)는 서포트부(210)에 형성되는 서포트보강체(212)를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 본체(221)도 서포트부(21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적으로 'ㄷ'자 또는 'ㅌ'자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플레이트부(230)는 쉘(100)의 내부공간을 가장자리 영역과 중심영역으로 구획하는 수단으로서, 제 2 본체(231)와; 제 2 본체(231)의 양단에서 쉘(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220)의 타단에 각각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한 쌍의 절곡날개(232)와; 제 2 본체(231)에서 쉘(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보강체(233)를 포함한다.
제 2 본체(231)는 제 1 본체(221)와 마찬가지로 장입물이 통과되도록 다공성 패널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다공성 패널'이라 함은 제 1 본체(221)와 마찬가지로 평탄형의 플레이트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그 홀을 통하여 장입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패널을 의미한다. 제 2 본체(231)에 형성되는 홀은 그 사이즈가 쉘의 내부에 장입되는 장입물의 종류 및 사이즈에 의해서 결정된다.
절곡날개(232)는 제 2 본체(231)를 제 1 플레이트부(220)의 제 2 연결날개(222b)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영역으로서, 제 2 본체(23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절곡날개(232)에는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장입물의 통과를 위한 홀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 플레이트부(220)의 제 2 연결날개(222b)의 일면에는 제 2 플레이트부(230) 중 어느 하나의 제 2 플레이트부(230)의 절곡날개(232)가 면접되고, 제 1 플레이트부(220)의 제 2 연결날개(222b)의 타면에는 제 2 플레이트부(230) 중 다른 제 2 플레이트부(230)의 절곡날개(232)가 면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곡날개(232)와 제 2 연결날개(222b)의 고정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볼트와 같은 물리적인 체결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체(233)는 제 2 본체(231)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 2 본체(231)에서 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터 유닛은 쉘(100)의 내부에서 제 2 플레이트부(230)가 대략적으로 팔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꼭지점에서 방사상으로 제 1 플레이트부(220)가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대략적으로 허니콤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그래서, 리프터 유닛에 의해 쉘(100)의 내부공간을 중심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에 따라 쉘(100) 내부로 장입된 장입물은 쉘(100)의 회전되는 동안 제 1 플레이트부(220) 및 제 2 플레이트부(230)에 의해 상승 및 낙하 동작이 이루어지고, 장입물의 일부는 제 1 플레이트부(220) 및 제 2 플레이트부(23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기도 하면서 장입물이 여러 영역으로 분산되어 분포됨에 따라 열 접촉시간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열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쉘(shell) 210: 서포트부
211: 서포트본체 212: 서포트보강체
220: 제 1 플레이트부 221: 제 1 본체
222a : 제 1 연결날개 222b: 제 2 연결날개
223: 보강날개 230: 제 2 플레이트부
231: 제 2 본체 232: 절곡날개
233: 보강체

Claims (10)

  1. 로터리 킬른의 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리프터 유닛으로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서포트부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와;
    상기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쉘의 내부공간을 상기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일단이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서포트본체와; 상기 서포트본체의 일면에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서포트보강체를 포함하는 리프터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보강체는 적어도 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포트본체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나머지 서포트보강체는 상기 서포트본체의 양단 사이를 등간격으로 구획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는 다공성 패널로 이루어지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본체에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제 1 연결날개와; 상기 제 1 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에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제 2 연결날개와; 상기 서포트보강체를 연장하도록 상기 제 1 본체의 일면에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날개를 포함하는 리프터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날개는 적어도 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본체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나머지 보강날개는 제 1 본체의 양단 사이를 등간격으로 구획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부는 다공성 패널로 이루어지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양단에서 쉘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에 각각 면접되면서 고정되는 한 쌍의 절곡날개와; 상기 제 2 본체에서 쉘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보강체를 포함하는 리프터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제 2 본체에서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유닛.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일면에는 제 2 플레이트부 중 어느 하나의 제 2 플레이트부의 절곡날개가 면접되고,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타면에는 제 2 플레이트부 중 다른 제 2 플레이트부의 절곡날개가 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유닛.
  10. 장입물이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을 갖는 쉘과;
    상기 쉘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공간을 중심 영역과 다수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리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유닛은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서포트부와;
    일단이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와;
    상기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부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플레이트부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쉘의 내부공간을 상기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일단이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쉘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서포트본체와; 상기 서포트본체의 일면에서 쉘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서포트보강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KR1020180037478A 2018-03-30 2018-03-30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KR10201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78A KR102014024B1 (ko) 2018-03-30 2018-03-30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78A KR102014024B1 (ko) 2018-03-30 2018-03-30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24B1 true KR102014024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78A KR102014024B1 (ko) 2018-03-30 2018-03-30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0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981A (ja) * 1991-08-06 1993-02-19 Kyokuto Internatl Corp 回転乾燥機
JP2005351495A (ja) * 2004-06-08 2005-12-22 Taiheiyo Kinzoku Kk 回転式熱交換装置用リフター、それを装備した回転式熱交換装置、およびニッケル酸化鉱石の熱処理法
KR20140087192A (ko) 2012-12-28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로터리 드라이어
JP2014206344A (ja) * 2013-04-15 2014-10-30 株式会社日向製錬所 ロータリーキルン、乾燥方法及び混練方法
KR20160089826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로터리 킬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981A (ja) * 1991-08-06 1993-02-19 Kyokuto Internatl Corp 回転乾燥機
JP2005351495A (ja) * 2004-06-08 2005-12-22 Taiheiyo Kinzoku Kk 回転式熱交換装置用リフター、それを装備した回転式熱交換装置、およびニッケル酸化鉱石の熱処理法
KR20140087192A (ko) 2012-12-28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로터리 드라이어
JP2014206344A (ja) * 2013-04-15 2014-10-30 株式会社日向製錬所 ロータリーキルン、乾燥方法及び混練方法
KR20160089826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로터리 킬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3182A (en) Liner assembly for ball mills
KR102014024B1 (ko) 리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킬른
CZ152194A3 (en) Revolving furnace with a lining and a cross section of polygonal shape
CN105202931A (zh) 一种熟石膏冷却料筒及含有冷却料筒的冷却装置
US20160136597A1 (en) Anti-segregation mixer
JP6256291B2 (ja) ロータリーキルン、ロータリーキルン設備
US3169016A (en) Kiln
US1834304A (en) Heating furnace
RU2690322C1 (ru) Печь качающаяся для обжиг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0186277A (zh) 一种回转窑
CN107206401B (zh) 用于旋风分离器的潜管
US3227430A (en) Refractory structure for a rotary kiln
CN210892637U (zh) 一种转筒式烘干机的打料装置
JP7054692B2 (ja) 高炉用材料ホッパ
BRPI1005891A2 (pt) calha de forno
RU2383836C2 (ru) Внутреннее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ращающихся печей
CN206944718U (zh) 一种多膛炉浇注料炉衬结构
CN211651179U (zh) 一种回转炉炉体
US10870116B2 (en) Agitator ball mill with ceramic lining
JPH0727488A (ja) 軽量パネルヒータ
US20120201094A1 (en) Dispersion apparatus for rotating drum
CN218002216U (zh) 水泥窑用预热器内筒
WO2022049819A1 (ja) セラミックスローラー
KR200152982Y1 (ko) 코크스 버케트의 캐스트 플레이트 시공구조
CN101042279A (zh) 炉子的搅拌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