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19B1 - 센서 장착 구조 및 센서용 장착구 - Google Patents
센서 장착 구조 및 센서용 장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719B1 KR102013719B1 KR1020180016583A KR20180016583A KR102013719B1 KR 102013719 B1 KR102013719 B1 KR 102013719B1 KR 1020180016583 A KR1020180016583 A KR 1020180016583A KR 20180016583 A KR20180016583 A KR 20180016583A KR 102013719 B1 KR102013719 B1 KR 102013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body
- sensor
- contact surface
- seal member
- side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30 cut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2—Detachable connec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4—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threa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6—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flat surface; the rod or tubular part extending through the flat surfa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Gasket Seal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센서용 장착구(1A)는,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된 케이스체(30)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걸어맞춤하는 캡체(50)와, 케이스체(30)와 캡체(50)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부재(43)와, 케이스체(30)를 피장착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센서(100)의 일부는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센서(100)의 나머지 부분은 캡체(50)의 개구부(52a)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시일 부재(43)는, 센서(100)를 둘러싸도록 케이스체(30)의 후단 측에 배치된다. 캡체(50)가 케이스체(30)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시일 부재(43)가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시일 부재(43)가 케이스체(30)와 센서(100)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센서(100)의 일부와 케이스체(30) 사이의 간극이 시일 부재(43)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센서용 장착구(1A)는,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된 케이스체(30)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걸어맞춤하는 캡체(50)와, 케이스체(30)와 캡체(50)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부재(43)와, 케이스체(30)를 피장착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센서(100)의 일부는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센서(100)의 나머지 부분은 캡체(50)의 개구부(52a)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시일 부재(43)는, 센서(100)를 둘러싸도록 케이스체(30)의 후단 측에 배치된다. 캡체(50)가 케이스체(30)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시일 부재(43)가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시일 부재(43)가 케이스체(30)와 센서(100)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센서(100)의 일부와 케이스체(30) 사이의 간극이 시일 부재(43)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를 보유지지하는 센서용 장착구를 통해 센서가 피장착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센서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이하, 단순히 '장착구'라고도 부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설비 등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는, 그 센서를 보유지지하는 센서용 장착구를 통해 피장착부로서의 생산 설비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자계를 이용하여 검지 대상물로서의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워크의 유무 또는 위치를 검지하는 근접 센서에 있어서는, 그 근접 센서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센서용 장착구가 워크가 반송되는 생산 라인의 워크 반송로 등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그 센서용 장착구에 의해 근접 센서가 보유지지됨으로써 워크의 유무 또는 위치가 검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센서용 장착구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2004-144655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센서용 장착구는, 근접 센서의 설치에 이용되는 것으로, 근접 센서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짐과 아울러, 삽입공에 삽입된 근접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된 장착구 본체와, 그 장착구 본체를 보유지지함과 아울러 피장착부에 대해 고정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장착구 본체는 축방향의 양단이 개방된 대략 통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장착구 본체의 전단에는 근접 센서의 위치 결정용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근접 센서를 일단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경우나, 근접 센서를 신품으로 교환하는 경우 등의 유지보수시에, 센서용 장착구를 피장착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근접 센서만을 센서용 장착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새로 근접 센서를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센서용 장착구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근접 센서가 설치되는 주위 환경이 상대적으로 심한 환경인 경우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워크에 대해 절삭 가공이 실시되는 생산 라인에서는, 절삭유 등의 유분이나 절삭분 등의 이물이 근접 센서와 상술한 장착구 본체의 사이에 침입할 우려가 있고, 이들 유분이나 이물의 침입에 의해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유분이나 이물의 침입에 의해 장착구 본체로부터 근접 센서가 용이하게는 빠지지 않게 되거나, 장착구 본체에 부착된 유분이나 이물에 의해 근접 센서의 장착구 본체에의 삽입이 저해되거나, 혹은 삽입이 가능하였다고 해도 그 유분이나 이물에 의해 근접 센서의 위치 결정을 올바르게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그 문제는, 근접 센서에서만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라 다른 각종 센서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서, 그 해결이 요구되고 있는 바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 장착 구조 및 센서용 장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는, 센서를 보유지지하는 센서용 장착구를 통해 상기 센서가 피장착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센서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향하여 인출된어진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용 장착구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통형의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에 걸어맞춤 가능함과 아울러 개구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캡체와,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케이스체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체를 상기 피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인출되어어져 있다.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캡체가 상기 케이스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시일 부재가 적어도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센서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과 상기 케이스체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전방측 보조 부재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이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케이스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센서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압압부와 상기 케이스체에 의해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부재의 둘레면에 후방측을 향하는 피압압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압압부가 상기 피압압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센서의 전면(前面)이 상기 케이스체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압압부와 상기 케이스체의 전단에 의해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부재 및 상기 케이스체가 모두 대략 긴 원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걸어맞춤이 나사 맞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가 근접 센서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는, 센서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센서를 피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체와 캡체와 고정부와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체는,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통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체는,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에 걸어맞춤 가능함과 아울러,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기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체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체를 피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측 위치에서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며, 상기 캡체가 상기 케이스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체와 센서에 밀착됨으로써,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과 상기 케이스체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는,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는,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는,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전방측 보조 부재와,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 경우에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이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케이스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는, 센서를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센서를 끼워넣어 보유지지하기 위한 압압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체가 대략 긴 원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걸어맞춤이 나사 맞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한 센서용 장착구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근접 센서용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 장착 구조 및 센서용 장착구로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5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5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근접 센서용 장착구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하거나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IIIA-III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영역 IIIB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의 분해도이다. 우선, 이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는, 근접 센서(100)를 보유지지하는 센서용 장착구(1A)를 통해 근접 센서(100)가 피장착부(200)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100)는 대략 긴 원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으며, 검출부로서의 검지 코일(132)(도 3의 (A) 참조)과, 검지 코일(132)을 수용하는 수용부재로서의 하우징(110), 클램프(120) 및 코일 케이스(130)와, 수용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향하여 인출된 외부 접속부로서의 케이블(150)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0)은, 축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대략 긴 원통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축방향으로 전단 및 후단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10)의 전단에는 코일 케이스(130)가 조립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후단에는 클램프(120)가 조립되어 있다.
클램프(12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120)는, 그 일부분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이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110)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120)는, 그 내부에 케이블(150)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그 케이블(150)을 보유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10)의 후단에 마련된 개구는, 클램프(120) 및 그 클램프(120)에 의해 보유지지된 케이블(15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코일 케이스(130)는,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형의 절연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코일 케이스(130)는, 그 바닥부가 하우징(110)의 전단에 배치되게 되도록 하우징(110)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10)의 전단에 마련된 개구는 코일 케이스(13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코어(131)와 상술한 검지 코일(132)이 주로 수용되어 있다. 코어(131)는 자성 재료로 구성된 대략 짧은 원기둥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전단면이 코일 케이스(130)의 바닥부에 접촉하고 있다. 검지 코일(132)은, 예를 들어 리드선을 감아 돌림으로써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어(131)의 전단면에 마련된 환형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다.
코어(131)의 후방측이면서 수용부재의 내부 공간에는, 하우징(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선 기판(140)이 배치되어 있다. 배선 기판(140)에는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이에 의해 후술하는 각종 처리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검지 코일(132)은, 상기 배선 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배선 기판(140)에 실장된 각종 전자 부품 중에서, 배선 기판(140)의 후단부에 실장된 전자 부품(141)은 통전됨으로써 발광하는 발광 소자이다. 그 발광 소자는, 근접 센서(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배선 기판(140), 각종 전자 부품 및 검지 코일(132) 등에 의해 구성되는 처리 회로로서는, 검지 코일(132)을 공진 회로 요소로 하는 발진 회로나, 발진 회로의 발진 진폭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2치화하는 변별 회로, 변별 회로의 출력을 소정 사양의 전압 출력 또는 전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출력 회로,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전력을 소정의 전원 사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회로, 상술한 발광 소자로서의 전자 부품(141)의 구동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등이 포함된다.
케이블(150)은, 각각이 내부에 도전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심선(151)과, 그 복수의 심선(151)을 덮는 실드재 및 시스로 이루어지는 복합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150)은, 클램프(120)에 의해 보유지지된 상태로 하우징(110)의 후단측 개구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해 케이블(150)의 선단(즉, 복수의 심선(151) 각각이 포함하는 도전선의 선단)이 상술한 배선 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150)의 시스의 전단 위치에는 마개(152)가 마련되어 있다. 마개(152)는, 케이블(150)과 클램프(120)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그 마개(152)을 통해 케이블(150)이 클램프(120)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마개(152)의 전단으로부터는, 상술한 복수의 심선(151)이 전방으로 향하여 인출되어 있다.
상술한 배선 기판(140) 등이 배치된 수용부재의 내부 공간은, 제1 수지 봉지부(161) 및 제2 수지 봉지부(162)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제1 수지 봉지부(161)는, 코일 케이스(130)에 수용된 코어(131), 검지 코일(132) 및 배선 기판(140)의 전단부를 주로 봉지하고 있다. 제2 수지 봉지부(162)는, 배선 기판(140)의 상술한 전단부를 제외한 부분 및 케이블(150)의 마개(152)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주로 봉지하고 있다. 이들 제1 수지 봉지부(161) 및 제2 수지 봉지부(162)는,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각종 구성 부품을 보호함과 아울러, 이들 구성 부품을 외부로부터 기밀 및 액밀하게 봉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클램프(120) 및 제2 수지 봉지부(162)가 모두 투광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발광 소자로서의 전자 부품(14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제2 수지 봉지부(162) 및 클램프(120)를 통해 외부로 투광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둘레면의 소정 위치에는, 후방측을 향하는 경사 형상의 피압압면(111)이 마련되어 있다. 그 피압압면(111)은, 근접 센서(100)의 위치 결정에 이용되는 부위인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110)의 둘레면 중 전단 근처 부분에는, 수나사가 마련되어 있다. 그 수나사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센서용 장착구(1A)를 이용하지 않고 근접 센서(100)를 설치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부위로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는 그 수나사는 이용되지 않는다.
또,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마련된 수나사는, 상술한 피압압면(111)보다 하우징(110)의 전단측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그 피압압면(111)보다 하우징(110)의 후단측의 둘레면은 수나사 등이 마련되지 않은 원기둥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용 장착구(1A)는 복수의 부품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브라켓(10)과, 볼트(13) 및 너트(14)와, 전방측 너트(21)와, 후방측 너트(22)와, 케이스체(30)와, 전방 링(41)과, 후방 링(42)과, O링(43)과, 캡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브라켓(10), 볼트(13), 너트(14),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가, 케이스체(30)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케이스체(30)를 피장착부(2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에 해당하고, O링(43)이 케이스체(30)와 캡체(50)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부재에 해당한다.
또한, 이 중에서 전방 링(41)이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체(30)와 시일 부재로서의 O링(43)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방측 보조 부재에 해당하고, 후방 링(42)이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시일 부재로서의 O링(43)과 캡체(50)의 사이에 개재되는 후방측 보조 부재에 해당한다.
브라켓(10)은, 예를 들어 금속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피장착부(200)에 꼭 대어지는 바닥판부(11)와, 그 바닥판부(11)로부터 세워 설치된 입벽부(12)를 포함하고 있다. 바닥판부(11)에는 볼트(13)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11a)(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고, 입벽부(12)에는 케이스체(30)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삽입통과공(12a)(도 3의 (A) 및 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13) 및 너트(14)는, 브라켓(10)을 피장착부(200)에 고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13)가 피장착부(200)에 마련된 관통공과 브라켓(10)에 마련된 관통공(1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볼트(13)에 너트(14)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볼트(13) 및 너트(14)가 조여짐으로써, 브라켓(10) 및 피장착부(200)가 이들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 협지되고, 이에 의해 브라켓(10)이 피장착부(200)에 고정되어 있다. 또, 브라켓(10)의 피장착부(200)에의 고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는, 브라켓(10)과 케이스체(30)를 고정하는 것이다. 전방측 너트(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1a)(도 3의 (A) 및 도 4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측 너트(2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2a)(도 3의 (A) 및 도 4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체(30)는,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대략 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체(30)는, 경질의 수지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케이스체(30)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등이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케이스체(30)는, 전단 측에 위치하는 전방 통부(31)와, 후단 측에 위치하는 후방 통부(32)와, 이들 전방 통부(31) 및 후방 통부(32)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3)와, 전방 통부(31)의 전단을 폐색하는 폐색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체(30)는, 그 내부에 전방 통부(31), 후방 통부(32) 및 플랜지부(33)에 걸치도록 중공 형상의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전방 통부(3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1a)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 통부(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2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전방 통부(31)의 내주면, 후방 통부(32)의 내주면 및 플랜지부(33)의 내주면은, 일부에 단차 형상의 부위를 가지지만 모두 암나사 등이 마련되지 않은 원기둥면으로서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통부(31)는, 브라켓(10)의 입벽부(12)에 마련된 삽입통과공(12a)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그 전방 통부(31)에 장착된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에 의해 케이스체(30)가 브라켓(10)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의 내주면에 마련된 암나사(21a, 22a)는, 각각 전방 통부(31)의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31a)에 나사 맞춤되어 있고, 이들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를 조임으로써 브라켓(10)의 입벽부(12)가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에 의해 협지되고, 이에 의해 케이스체(30)가 브라켓(10)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체(30)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에는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근접 센서(100)의 수용부재의 거의 모든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도록, 근접 센서(100)가 케이스체(30)의 후단 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해 검지 코일(132)을 포함한 근접 센서(100)의 전단이 케이스체(30)의 폐색부(34)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체(30)의 내부에 수용된 부분의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에는,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지름 방향을 따라 근접 센서(100)와 케이스체(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은, 케이스체(30)에 그 전방 측으로부터 전방 링(41), O링(43), 후방 링(42)의 순으로 하우징(110)에 외부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 링(41)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체(30)와 O링(43)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 링(41)과 후방 링(4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후방 링(42)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O링(43)과 캡체(5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중에서 후방 링(42) 및 O링(43)은, 모두 하우징(110) 중의 상술한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위치보다 후방 측에서 하우징(110)을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있고, 전방 링(41)에 대해서도, 그 대부분이 하우징(110) 중의 상술한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위치보다 후방 측에서 하우징(110)을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은 모두 케이스체(30)의 후단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링(41)은, 대략 원통형의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방향의 일부에 슬릿 형상의 불연속부(41a)(도 4 참조)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후방 링(42)은, 대략 평판 환형의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방향의 일부에 슬릿 형상의 불연속부(42a)(도 4 참조)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전방 링(41) 및 후방 링(42)으로서는, 경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방 링(41) 및 후방 링(4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수지 등이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링(41) 및 후방 링(42)(특히 후방 링(42))을 투광성 부재로 구성하기로 하면, 근접 센서(100)에 마련된 발광 소자로서의 전자 부품(14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고 이를 외부에 대해 투광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링(41)은, 그 내주면에 케이스체(30)의 전단측을 향하는 경사 형상의 압압면(41b)을 가지고 있다. 이 압압면(41b)은, 근접 센서(100)를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부에 해당한다. 압압면(41b)은, 상술한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된 피압압면(111)과 더불어 근접 센서(100)의 위치 결정에 이용되는 부위인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O링(43)은,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제 환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O링(43)은,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된 장착 상태에서,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기밀 및 액밀하게 봉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 각각의 내경은, 근접 센서(100)의 상술한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부분보다 전단측의 하우징(110)의 외경보다 작고, 이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부분보다 후단측의 하우징(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체(5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통부(51)와, 그 통부(51)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후벽부(52)를 포함하고 있다. 통부(5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51a)가 마련되어 있고, 후벽부(52)에는 개구부(52a)가 마련되어 있다.
캡체(50)는 경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캡체(50)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수지 등이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캡체(50)를 투광성 부재로 구성하기로 하면, 근접 센서(100)에 마련된 발광 소자로서의 전자 부품(14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고 이를 외부에 대해 투광할 수 있다.
캡체(50)는, 후벽부(52)에 마련된 개구부(52a)에 근접 센서(100)가 삽입 통과된 상태로 케이스체(30)의 후단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체(50)의 통부(51)는, 케이스체(30)의 후방 통부(32)를 둘러싸도록 그 후방 통부(3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통부(51)의 내주면에 마련된 암나사(51a)와 후방 통부(32)의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32a)가 나사 맞춤함으로써, 캡체(50)가 케이스체(30)의 후단을 덮도록 케이스체(30)에 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근접 센서(100)의 상술한 전단 근처 부분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캡체(50)의 개구부(52a)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 센서(100)의 수용부재 중의 클램프(120)의 후단 근처 부분과, 그 클램프(120)로부터 인출된 부분의 케이블(150)이 센서용 장착구(1A)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여기서, 캡체(50)의 후벽부(52)의 내면은 후방 링(42)의 후단면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단 측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 링(41) 및 후방 링(42)에 의해 끼워넣어짐으로써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근접 센서(100)와 케이스체(30) 양쪽에 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43)은 그 전단(P1)이 전방 링(41)의 후단면으로 구성되는 접촉면(41c)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후단(P2)이 후방 링(42)의 전단면으로 구성되는 접촉면(42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43)은 그 내측 단부(P3)가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외측 단부(P4)가 캡체(50)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체(50)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나사 맞춤에 의해 걸어맞춤될 때에, 캡체(50)는 그 비틀어 넣음에 의해 상대적으로 케이스체(30) 측(즉, 전방측)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에 따라, 전방 링(41), O링(43) 및 후방 링(42)은 모두 캡체(50)에 의해 압압되어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후술하는 근접 센서(100)의 위치 결정 기능이 발휘됨으로써, 소정의 시점에서 전방 링(41)의 이동은 정지한다.
이 전방 링(41)의 이동 정지 후에도 캡체(50)를 케이스체(30)에 더욱 비틀어 넣음으로써, O링(43)은 전방 링(41)과 후방 링(42)에 의해 끼워넣어져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O링(43)이 전방 링(41)과 후방 링(42)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O링(43)의 전단(P1) 및 후단(P2)에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검은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전후 방향으로 눌려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O링(43)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흰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지름 방향으로 눌려 벌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더욱 변형된다. 그 결과, O링(43)의 내측 단부(P3) 및 외측 단부(P4)는, 각각 하우징(110)의 외주면 및 케이스체(30)의 내주면에 눌려 붙여져 이들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는, 캡체(50)가 케이스체(30)에 걸어맞춤함으로써, O링(43)이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O링(43)이 케이스체(30)와 근접 센서(100)에 밀착된다. 그 때문에,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과 케이스체(30)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O링(43)에 의해 확실히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100)가 설치되는 주위 환경이 워크에 대해 절삭 가공이 실시되는 생산 라인 등의 상대적으로 심한 주위 환경인 경우에도, 유지보수시에 각종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즉,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과 케이스체(30)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O링(43)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됨으로써, 그 간극에 절삭유 등의 유분이나 절삭분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근접 센서(100)를 일단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경우나, 근접 센서(100)를 신품으로 교환하는 경우 등에 그 작업이 대폭으로 용이화하게 된다.
또, O링(43)의 하우징(110) 및 케이스체(30)에 대한 밀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캡체(50)의 케이스체(30)에 대한 비틀어 넣음량을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그 조정은, 예를 들어 캡체(50)를 케이스체(30)에 닿아 멈추게 함으로써 상기 비틀어 넣음량을 규제하거나 캡체(50)를 비틀어 넣을 때의 토크를 관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근접 센서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9의 (A)는 도 7의 (B)에서 영역 IXA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7의 (C)에서 영역 IXB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다음에, 이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100)의 장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장착 순서를 각각 (A) 내지 (D) 또는 (A) 내지 (C)의 순으로 시계열로 나타내고 있다.
처음에,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를 참조하여 케이스체(30)의 브라켓(10)에의 고정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브라켓(10)은, 미리 피장착부(200)에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너트(22)가 케이스체(30)의 전방 통부(31)에 조립된다. 그 때, 후방측 너트(22)는 케이스체(30)의 전단에 마련된 폐색부(34)보다 충분히 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너트(22)가 조립된 케이스체(30)가 브라켓(10)의 입벽부(12)에 마련된 삽입통과공(12a)에 삽입된다. 그 때, 케이스체(30)의 전방 통부(31)의 전단이 브라켓(10)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너트(21)가 케이스체(30)의 전방 통부(31)에 조립된다. 그 때, 브라켓(10)의 입벽부(12)가 전방측 너트(21)와 후방측 너트(22)에 의해 끼워넣어지도록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를 조여 넣는다.
이상에 의해,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체(30)가 브라켓(10)에 고정된다.
이어서,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를 참조하여 전방 링(41), 후방 링(42), O링(43) 및 캡체(50)의 근접 센서(100)에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체(50)가 근접 센서(100)에 전방 측으로부터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캡체(50)에 마련된 개구부(52a)에 근접 센서(100)가 삽입되도록, 근접 센서(100)가 캡체(50)에 조립된다. 또, 조립된 캡체(50)는 근접 센서(100)에 헐겁게 끼워지고, 그 캡체(50)는 그 후의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케이블(150)을 둘러싸는 위치까지 끼워진다.
다음에,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링(42), O링(43) 및 전방 링(41)이 캡체(50)가 조립된 근접 센서(100)에 전방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조립된다. 그 때, 후방 링(42), O링(43) 및 전방 링(41)은, 모두 근접 센서(100)의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부분보다 후단측의 하우징(110)에 대응한 위치에 끼워 붙여진다.
여기서, 후방 링(42)에 대해서는,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42a)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외형이 확대되도록 열린 상태(도 6의 (B1) 참조)가 되고, O링(43)에 대해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이기 때문에, 이것이 직경 확대된 상태가 되며, 전방 링(41)에 대해서는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41a)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외형이 확대되도록 열린 상태(도 6의 (B2) 참조)가 되고, 각각이 그 상태를 유지한 상태가 되어 근접 센서(100)가 이들 후방 링(42), O링(43) 및 전방 링(4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링(42), O링(43) 및 전방 링(41) 각각의 내경이 근접 센서(100)의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부분보다 전단측의 하우징(110)의 외경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후방 링(42), O링(43) 및 전방 링(41)을 근접 센서(100)의 상기 피압압면(111)이 마련된 부분보다 후단측의 하우징(110)에 대응한 위치에 끼워 붙일 수 있다. 또, 후방 링(42), O링(43) 및 전방 링(41)은, 근접 센서(100)에의 끼워 붙임 후에 각각 자신이 갖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근접 센서(100)의 수용부재에 맞추어진 상태가 된다.
이상에 의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41), 후방 링(42), O링(43) 및 캡체(50)가 근접 센서(100)에 조립된다.
이어서, 도 7의 (A) 내지 도 7의 (D) 및 도 8을 참조하여 근접 센서(100)의 케이스체(30)에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의 (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에 고정된 케이스체(30)(즉, 도 5의 (D)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브라켓(10))에 대해, 전방 링(41), 후방 링(42), O링(43) 및 캡체(50)가 조립된 근접 센서(100)(즉, 도 6의 (C)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근접 센서(100))의 후방으로부터의 삽입이 개시된다.
그 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어느 정도 케이스체(30)의 내부에 삽입된 시점에서, 근접 센서(100)에 끼워 붙여진 전방 링(41)이 케이스체(30)의 후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조절한다.
이 때,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41)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AR1) 방향(즉, 전방측)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그 전방 링(41)에 마련된 압압면(41b)은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된 피압압면(111)에 아직 접촉되어 있지 않고, 이들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생긴 상태가 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100)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 있는 캡체(50)의 케이스체(30)의 후단에의 걸어맞춤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캡체(50)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대어짐과 아울러, 캡체(50)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대해 비틀어 넣어진다.
이 때, 캡체(50)의 전방을 향한 이동에 따라, 전방 링(41)은 후방 링(42) 및 O링(43)을 통해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41)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AR1) 방향(즉, 전방측)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방 링(41)에 마련된 압압면(41b)이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된 피압압면(111)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캡체(50)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대해 더욱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전방 링(41)뿐만 아니라 근접 센서(100)도 후방 링(42) 및 O링(43)을 통해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고, 이들 전방 링(41) 및 근접 센서(100)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AR2) 방향(즉, 전방측)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O링(43) 및 후방 링(42)도 캡체(50)에 의해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됨으로써 이동하고, 순차적으로 케이스체(30)의 후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된다.
캡체(50)가 케이스체(30)의 후단에 대해 더욱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100)의 전단이 케이스체(30)의 전단에 위치하는 폐색부(34)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근접 센서(100)는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 링(41)에 마련된 압압면(41b)과 케이스체(30)의 폐색부(34)에 의해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캡체(50)의 비틀어 넣음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는, 캡체(50)의 케이스체(30)에 대한 비틀어 넣음이 완료된 시점에서, 근접 센서(100)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 링(41)에 마련된 압압면(41b)과 케이스체(30)의 폐색부(34)에 의해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근접 센서(100)가 위치 결정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근접 센서(100)를 일단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경우나, 근접 센서(100)를 신품으로 교환하는 경우 등의 유지보수시에, 케이스체(30)의 브라켓(10)에의 고정을 해제하지 않고(즉, 센서용 장착구(1A) 중의 브라켓(10), 볼트(13), 너트(14), 전방측 너트(21) 및 후방측 너트(22)를 분리하지 않고) 케이스체(30)에 대한 캡체(50)의 고정을 해제함(즉, 근접 센서(100) 및 이에 조립된 캡체(50), 전방 링(41), 후방 링(42) 및 O링(43)만을 분리함)으로써, 새로 근접 센서를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함으로써,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시에 편리성이 우수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한 경우에는, 근접 센서(100)의 전단이 케이스체(30)에 의해 완전히 덮인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워크가 근접 센서(100)에 직접 접촉하는(충돌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근접 센서(100)의 오작동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도 10의 (A)는 실시형태 2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서 영역 XB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와 비교한 경우에 센서용 장착구(1B)의 구성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용 장착구(1B)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가 구비하였던 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후방 링(42)을 구비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용 장착구(1B)는, 브라켓(10)과, 볼트(13) 및 너트(14)(도 10의 (A)에서는 도시생략)와, 전방측 너트(21)와, 후방측 너트(22)와, 케이스체(30)와, 전방 링(41)과, O링(43)과, 캡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캡체(50)를 제외한 부품에 대해서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에서의 이들 부품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캡체(50)는 통부(51) 및 후벽부(52)를 포함하고, 이 중 후벽부(52)에 환형 벽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환형 벽부(52b)는, 후벽부(52)에 마련된 개구부(52a)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환형 벽부(52b)는, O링(43)을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부위이다.
여기서, 캡체(50)에 마련된 환형 벽부(52b)의 전단면은 O링(43)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방 링(41) 및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단측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 링(41) 및 캡체(50)의 환형 벽부(52b)에 의해 끼워넣어짐으로써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근접 센서(100)와 케이스체(30) 양쪽에 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43)은 그 전단(P1)이 전방 링(41)의 후단면으로 구성된 접촉면(41c)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후단(P2)이 캡체(50)의 환형 벽부(52b)의 전단면으로 구성된 접촉면(52c)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43)은 그 내측 단부(P3)가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외측 단부(P4)가 캡체(50)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O링(43)이 전방 링(41)과 캡체(5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O링(43)의 전단(P1) 및 후단(P2)에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검은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전후 방향으로 눌려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O링(43)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흰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지름 방향으로 눌려 벌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더욱 변형된다. 그 결과, O링(43)의 내측 단부(P3) 및 외측 단부(P4)는, 각각 하우징(110)의 외주면 및 케이스체(30)의 내주면에 눌려 붙여져 이들에 밀착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과 케이스체(30)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O링(43)에 의해 확실히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1의 (A)는 실시형태 3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서 영역 XIB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와 비교한 경우에 센서용 장착구(1C)의 구성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용 장착구(1C)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가 구비하였던 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전방 링(41)을 구비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용 장착구(1C)는, 브라켓(10)과, 볼트(13) 및 너트(14)(도 11의 (A)에서는 도시생략)와, 전방측 너트(21)와, 후방측 너트(22)와, 케이스체(30)와, 후방 링(42)과, O링(43)과, 캡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케이스체(30) 및 후방 링(42)을 제외한 부품에 대해서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에서의 이들 부품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체(30)는 전방 통부(31), 후방 통부(32), 플랜지부(33) 및 폐색부(34)를 포함하고, 내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경사 형상의 접촉면(30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30a)은 케이스체(30)의 후단측을 향하며, O링(43)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접촉면(30a)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O링(4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케이스체(30)의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후방 링(42)은, 전단에 경사 형상의 접촉면(42b)을 가지고 있다. 그 접촉면(42b)은 케이스체(30)의 전단측을 향하며, O링(43)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접촉면(42b)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O링(4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케이스체(30)의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여기서, 캡체(50)의 후벽부(52)의 내면은 후방 링(42)의 후단면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후방 링(42) 및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단 측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체(30) 및 후방 링(42)에 의해 끼워넣어짐으로써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근접 센서(100)와 케이스체(30) 양쪽에 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43)은 그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이 케이스체(30)의 접촉면(30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후단(P2)이 후방 링(42)의 접촉면(42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43)은 그 내측 단부(P3)가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O링(43)이 케이스체(30)와 후방 링(42)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O링(43)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 및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후단(P2)에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검은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주로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눌려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O링(43)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흰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주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눌려 벌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더욱 변형된다. 그 결과, O링(43)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 및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후단(P2)은 각각 케이스체(30)의 접촉면(30a) 및 후방 링(42)의 접촉면(42b)에 밀착되고, O링(43)의 내측 단부(P3)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눌려 붙여져 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과 케이스체(30)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O링(43)에 의해 확실히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용 장착구(1C)가 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전방 링(41)을 구비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케이스체(30)에 대한 위치 결정은, 시일 부재로서의 O링(43)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O링(43)은 케이스체(30)에 캡체(50)를 비틀어 넣을 때에 후방 링(42)을 통해 캡체(50)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미리 상기 O링(43)을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의 후단 근처의 원기둥형의 외주면 상에 배치해 둠으로써, 상기 이동에 따라 O링(43)은 하우징(110)에 마련된 수나사의 후단부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캡체(50)가 더욱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후방 링(42) 및 O링(43) 뿐만 아니라 근접 센서(100)도 캡체(50)에 의해 압압되어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근접 센서(100)의 전단이 케이스체(30)의 전단에 위치하는 폐색부(34)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근접 센서(100)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근접 센서(100)의 전단이 케이스체(30)의 전단에 위치하는 폐색부(34)에 접촉 고정됨으로써 근접 센서(100)의 위치 결정을 확실히 행할 수 있게 되고, 유지보수시에 케이스체(30)의 브라켓(10)에의 고정을 해제하지 않고 케이스체(30)에 대한 캡체(50)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새로 근접 센서를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4)
도 12의 (A)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서 영역 XIIB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와 비교한 경우에 센서용 장착구(1D)의 구성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용 장착구(1D)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가 구비하였던 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전방 링(41) 및 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후방 링(42)을 구비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용 장착구(1D)는, 브라켓(10)과, 볼트(13) 및 너트(14)(도 12의 (A)에서는 도시생략)와, 전방측 너트(21)와, 후방측 너트(22)와, 케이스체(30)와, O링(43)과, 캡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케이스체(30) 및 캡체(50)를 제외한 부품에 대해서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에서의 이들 부품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체(30)는 전방 통부(31), 후방 통부(32), 플랜지부(33) 및 폐색부(34)를 포함하고, 내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경사 형상의 접촉면(30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30a)은 케이스체(30)의 후단측을 향하며, O링(43)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이 접촉면(30a)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O링(4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케이스체(30)의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캡체(50)는 통부(51) 및 후벽부(52)를 포함하고, 이 중 후벽부(52)에 환형 벽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환형 벽부(52b)는, 후벽부(52)에 마련된 개구부(52a)의 주연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그 전단에 경사 형상의 접촉면(52c)을 가지고 있다. 이 접촉면(52c)은 O링(43)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O링(4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케이스체(30)의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여기서, 캡체(50)에 마련된 접촉면(52c)은 O링(43)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단 측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O링(43)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체(30) 및 캡체(50)에 의해 끼워넣어짐으로써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근접 센서(100)와 케이스체(30) 양쪽에 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43)은 그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이 케이스체(30)의 접촉면(30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후단(P2)이 캡체(50)의 접촉면(52c)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43)은 그 내측 단부(P3)가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O링(43)이 케이스체(30)와 캡체(5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O링(43)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 및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후단(P2)에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검은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주로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눌려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O링(43)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흰 화살표 방향(즉, O링(43)이 주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눌려 벌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더욱 변형된다. 그 결과, O링(43)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 및 후단(P2)은 각각 케이스체(30)의 접촉면(30a) 및 캡체(50)의 접촉면(52c)에 밀착되고, O링(43)의 내측 단부(P3)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눌려 붙여져 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과 케이스체(30)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O링(43)에 의해 확실히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용 장착구(1D)가 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전방 링(41)을 구비하지 않았지만, 이 센서용 장착구(1D)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형태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스체(30)에 대한 근접 센서(100)의 위치 결정을 주로 시일 부재로서의 O링(43)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3의 (A)는 실시형태 5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영역 XIIIB로서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 1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와 비교한 경우에 센서용 장착구(1E)의 구성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용 장착구(1E)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가 구비하였던 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전방 링(41) 및 후방측 보조 부재로서의 후방 링(42)을 구비하지 않고, 시일 부재로서 O링(43) 대신에 시일 와셔(44)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용 장착구(1E)는, 브라켓(10)과, 볼트(13) 및 너트(14)(도 13의 (A)에서는 도시생략)와, 전방측 너트(21)와, 후방측 너트(22)와, 케이스체(30)와, 시일 와셔(44)와, 캡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케이스체(30) 및 시일 와셔(44)를 제외한 부품에 대해서는, 상술한 센서용 장착구(1A)에서의 이들 부품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체(30)는 전방 통부(31), 후방 통부(32), 플랜지부(33) 및 폐색부(34)를 포함하고, 후단면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경사 형상의 접촉면(30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30a)은 케이스체(30)의 후단측을 향하며, 시일 와셔(44)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접촉면(30a)은,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시일 와셔(4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케이스체(30)의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시일 와셔(44)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대략 환형판 형상의 베이스부(44a)와, 이 베이스부(44a)의 전방측을 주로 덮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고무제 시일부(44b)를 포함한다. 시일 와셔(44)는, 케이스체(30)의 내부에 수용된 부분의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체(30)와 캡체(5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캡체(50)의 후벽부(52)의 내면은 시일 와셔(44)의 베이스부(44a)의 후단면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시일 와셔(44)는 케이스체(30)의 전단 측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일 와셔(44)는 케이스체(30)의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체(30) 및 캡체(50)에 의해 끼워넣어짐으로써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시일 와셔(44)의 시일부(44b)가 근접 센서(100)와 케이스체(30) 양쪽에 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와셔(44)의 시일부(44b)는 그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이 케이스체(30)의 접촉면(30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내측 단부(P3)가 근접 센서(100)의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일 와셔(44)의 시일부(44b)가 케이스체(30)와 캡체(5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시일부(44b)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에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검은 화살표 방향(즉, 시일부(44b)가 주로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눌려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시일부(44b)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흰 화살표 방향(즉, 시일부(44b)가 주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눌려 벌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더욱 변형된다. 그 결과, 시일부(44b)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전단(P1)은 케이스체(30)의 접촉면(30a)에 밀착되고, 시일부(44b)의 내측 단부(P3)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눌려 붙여져 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이 케이스체(3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근접 센서(100)의 전단 근처 부분과 케이스체(30)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시일 와셔(44)에 의해 확실히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유지보수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기타 형태 등)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센서용 장착구의 시일 부재를 근접 센서의 수용부재 중의 하우징에 밀착시키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 시일 부재를 클램프에 밀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센서용 장착구의 시일 부재가 근접 센서의 하우징 중의 원기둥형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 시일 부재가 하우징 중의 수나사가 마련된 부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시일 부재에 하우징의 수나사가 파고들어감으로써 밀폐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센서용 장착구의 시일 부재가 주로 케이스체의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변형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 시일 부재가 주로 케이스체의 지름 방향에서 압축되어 변형되고, 게다가 케이스체의 축방향에서 더욱 압축되어 변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스체와 센서의 수용부재 사이의 간극을 시일 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하여 케이스체에 대한 캡체의 걸어맞춤시에 시일 부재가 지름 방향으로 압축되어 변형됨으로써 상기 간극에 들어가도록 하고, 게다가 상기 간극에 들어간 시일 부재를 케이스체의 축방향에서 더욱 압축시켜 변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시일 부재의 지름 방향에서의 부서짐률을 8% 이상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센서용 장착구의 케이스체와 캡체의 걸어맞춤을 나사 맞춤으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 걸어맞춤을 스냅 피트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긴 원기둥형의 외형을 갖는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센서용 장착구의 각 부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각 기둥형의 외형을 갖는 센서나 짧은 형상의 외형을 갖는 센서 등 각종 외형을 갖는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근접 센서용 장착구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전 센서나 온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의 장착 구조 및 이에 이용되는 센서용 장착구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파이버형 광전 센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스체를 투광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검출광이 케이스체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 나타낸 특징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 3 내지 5에서는, 센서용 장착구의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센서용 장착구의 접촉면 전부 또는 일부를 경사면으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를 경사면으로 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비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번에 개시된 상기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청구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1A~1E 센서용 장착구, 10 브라켓, 11 바닥판부, 11a 관통공, 12 입벽부, 12a 삽입통과공, 13 볼트, 14 너트, 21 전방측 너트, 21a 암나사, 22 후방측 너트, 22a 암나사, 30 케이스체, 30a 접촉면, 31 전방 통부, 31a 수나사, 32 후방 통부, 32a 수나사, 33 플랜지부, 34 폐색부, 41 전방 링, 41a 불연속부, 41b 압압면, 41c 접촉면, 42 후방 링, 42a 불연속부, 42b 접촉면, 43 O링, 44 시일 와셔, 44a 베이스부, 44b 시일부, 50 캡체, 51 통부, 51a 암나사, 52 후벽부, 52a 개구부, 52b 환형 벽부, 52c 접촉면, 100 근접 센서, 110 하우징, 111 피압압면, 120 클램프, 130 코일 케이스, 131 코어, 132 검지 코일, 140 배선 기판, 141 전자 부품, 150 케이블, 151 심선, 152 마개, 161 제1 수지 봉지부, 162 제2 수지 봉지부, 200 피장착부.
Claims (27)
- 센서를 보유지지하는 센서용 장착구를 통해 상기 센서가 피장착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센서 장착 구조로서,
상기 센서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향하여 인출된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용 장착구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통형의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에 걸어맞춤 가능함과 아울러 개구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캡체와,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케이스체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체를 상기 피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 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캡체가 상기 케이스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시일 부재가 적어도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센서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과 상기 케이스체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압압부와 상기 케이스체에 의해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되어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전방측 보조 부재와, 상기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되어 압축되어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이,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케이스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의 둘레면에 후방측을 향하는 피압압면이 마련되고,
상기 압압부가 상기 피압압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센서의 전면이 상기 케이스체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압압부와 상기 케이스체의 전단에 의해 끼워넣어져 보유지지되어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 및 상기 케이스체가 모두 대략 긴 원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는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걸어맞춤이 나사 맞춤인 센서 장착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근접 센서인 센서 장착 구조. - 센서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센서를 피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한 센서용 장착구로서,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전단이 폐색되고 후단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통형의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에 걸어맞춤 가능함과 아울러,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캡체와,
상기 케이스체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체를 피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체의 후단측 위치에서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며, 상기 캡체가 상기 케이스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압축되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체와 센서에 밀착됨으로써,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센서의 전단 근처 부분과 상기 케이스체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봉지하기 위한 시일 부재와,
센서를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센서를 끼워넣고 보유지지하기 위한 압압부를 구비한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캡체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캡체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가,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시일 부재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전방측 보조 부재와, 센서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하게 구성된 후방측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에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의 상기 접촉면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보조 부재 및 상기 후방측 보조 부재 각각이, 둘레방향의 일부에 불연속부를 가짐으로써 확대/축소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케이스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을 갖고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삭제
-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가 대략 긴 원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는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캡체의 걸어맞춤이 나사 맞춤인 센서용 장착구. -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용 장착구가 근접 센서용의 것인 센서용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10358A JP6822322B2 (ja) | 2017-06-02 | 2017-06-02 | センサ取付構造およびセンサ用取付具 |
JPJP-P-2017-110358 | 2017-06-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2507A KR20180132507A (ko) | 2018-12-12 |
KR102013719B1 true KR102013719B1 (ko) | 2019-08-23 |
Family
ID=6427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583A KR102013719B1 (ko) | 2017-06-02 | 2018-02-09 | 센서 장착 구조 및 센서용 장착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346691B2 (ko) |
JP (1) | JP6822322B2 (ko) |
KR (1) | KR102013719B1 (ko) |
CN (1) | CN108981776B (ko) |
DE (1) | DE1020181029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94413B2 (en) * | 2018-12-04 | 2020-10-06 |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 Connection assembly |
DE102019126381A1 (de) * | 2019-09-30 | 2021-04-01 | Endress+Hauser SE+Co. KG | Hygienegerechter Adapter für Feldgerät |
DE202019004415U1 (de) * | 2019-10-28 | 2019-11-06 | K.W.H. Ciclosport Vertriebs GmbH | Sensorvorrichtung |
KR102424874B1 (ko) * | 2020-07-28 | 2022-07-22 | 방현식 | 수위감지용 전극봉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스팀발생기 |
DE102022120530B8 (de) | 2022-08-15 | 2024-06-06 | Ifm Electronic Gmbh | Testverfahren zur Überprüfung von berührungslos arbeitenden Sensoren |
DE202022105508U1 (de) * | 2022-09-29 | 2022-10-11 | elobau GmbH & Co.KG | Sensoreinhei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9633A (ja) * | 1999-03-12 | 2000-11-30 | Denso Corp | 圧力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875876B1 (ko) * | 2007-08-30 | 2008-12-26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센서용 커버유닛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7649U (ko) * | 1973-06-14 | 1975-02-26 | ||
JPS5029321U (ko) * | 1973-07-11 | 1975-04-03 | ||
JPH0666600A (ja) * | 1992-08-19 | 1994-03-08 | Kawasaki Steel Corp | センサ保護具 |
GB2312043B (en) * | 1996-04-12 | 2000-07-05 | Beta Instr Co | Thickness measuring device |
JP2004144655A (ja) * | 2002-10-25 | 2004-05-20 | Iwata Seisakusho:Kk | センサ用取付具 |
CN1514217A (zh) | 2003-08-04 | 2004-07-21 | 陆致中 | 高精度钢弦式应变(应力)传感器 |
JP5034776B2 (ja) * | 2007-08-21 | 2012-09-26 | オムロン株式会社 | 近接センサ |
CN202188893U (zh) | 2011-06-22 | 2012-04-11 | 无锡市耐特机电一体化技术有限公司 | 接近开关安装结构 |
CN103017808A (zh) | 2012-12-03 | 2013-04-03 | 大连博控科技股份有限公司 | 安装传感器的筒座 |
CN204459485U (zh) | 2015-02-25 | 2015-07-08 | 武汉理工大学 | 传感器导线密封装置 |
JP2017030074A (ja) * | 2015-07-30 | 2017-02-09 | 株式会社スグロ鉄工 | Oリング取付治具およびoリング取付方法 |
FR3055963B1 (fr) * | 2016-09-12 | 2018-08-24 | Pierre Payraud | Dispositif de fixation pour la tenue d'un capteur |
-
2017
- 2017-06-02 JP JP2017110358A patent/JP6822322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2-08 US US15/891,371 patent/US11346691B2/en active Active
- 2018-02-09 KR KR1020180016583A patent/KR1020137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2-09 DE DE102018102905.5A patent/DE102018102905A1/de active Pending
- 2018-02-11 CN CN201810143662.2A patent/CN10898177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9633A (ja) * | 1999-03-12 | 2000-11-30 | Denso Corp | 圧力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875876B1 (ko) * | 2007-08-30 | 2008-12-26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센서용 커버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205096A (ja) | 2018-12-27 |
KR20180132507A (ko) | 2018-12-12 |
US11346691B2 (en) | 2022-05-31 |
JP6822322B2 (ja) | 2021-01-27 |
CN108981776B (zh) | 2021-06-18 |
US20180348022A1 (en) | 2018-12-06 |
DE102018102905A1 (de) | 2018-12-06 |
CN108981776A (zh) | 2018-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3719B1 (ko) | 센서 장착 구조 및 센서용 장착구 | |
US9735561B2 (en) | Explosion-proof cable connecting assembly | |
US20130017719A1 (en) | Connector | |
CN109315082B (zh) | 电动压缩机的电线导入部构造、具备其的屏蔽电线以及电动压缩机 | |
CN109428233B (zh) | 直接安装于装置的屏蔽连接器 | |
CN110603470A (zh) | 透镜单元 | |
WO2017082008A1 (ja) | シールカバー | |
JP5999448B2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US10701825B2 (en) | Plastic electrical housing | |
US11296453B2 (en) |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 |
JP2007044767A (ja) | 産業用ロボット | |
CN109841996B (zh) | 屏蔽的圆形插拔连接器 | |
JP2010140873A (ja) | 機器用コネクタの防水構造 | |
US11223164B2 (en) | Plug-in module for a sensor and method of installing a plug-in module for a sensor | |
US9048562B2 (en) | Contacting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cable and a sensor | |
US20210320463A1 (en) | Connection device | |
CN113207320B (zh) | 连接器嵌合体 | |
KR101919477B1 (ko) | 봉지 부재 부착 차폐 케이블 | |
CN111684668A (zh) | 连接器嵌合体 | |
AU726013B2 (en) | Apparatus for securing electrical cables | |
JP2016062674A (ja) | 防水コネクタ | |
CN112350237B (zh) | 线缆安装装置和摄像机 | |
WO2016006017A1 (ja) | ケーブルグランド | |
JP2017045635A (ja) | シール付きリテーナ | |
JP2021521599A (ja) | シールドスリーブを具備するコネクタ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