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549B1 -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549B1
KR102013549B1 KR1020190067125A KR20190067125A KR102013549B1 KR 102013549 B1 KR102013549 B1 KR 102013549B1 KR 1020190067125 A KR1020190067125 A KR 1020190067125A KR 20190067125 A KR20190067125 A KR 20190067125A KR 102013549 B1 KR102013549 B1 KR 10201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pore
string
spore string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석
Original Assignee
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석 filed Critical 한우석
Priority to KR102019006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자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포자끈의 결속 누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매듭이 있는 로프를 투입하여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판(110) 위에 전후방향으로 로프 투입부(200)와 로프 인출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 투입부(200)와 로프 인출부(300) 사이에 로프 벌림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벌림부(40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포자끈 투입부(500)와 포자끈 인출부(6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 투입부(200)는 로프(R)의 매듭 부분이 지날 때 들리고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지는 매듭 감지판(230) 및 상기 매듭 감지판(230)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40)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 벌림부(400)는 1쌍의 로프 그리퍼(410,420)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로프 그리퍼(410)는 상판(110) 위에 위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로프 그리퍼(420)는 에어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고정된 로프 그리퍼(410) 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양측의 로프 그리퍼(410,420)가 로프를 문 상태에서 근접되게 되면 꼬여져 밀착되어 있던 로프 가닥이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A DEVICE FOR BINDING SEAWEED SEED STRING)}
본 발명은 김이나 미역 등의 각종 해초류를 양식하기 위하여 길다란 로프에일정 간격마다 해초 포자가 배양된 포자끈을 끼워 넣으면서 절단하기 위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프에 결속되는 포자끈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포자끈의 결속 누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매듭이 있는 로프를 투입하여 포자끈을 결속하는 작업도 가능하도록 하여 로프의 구입비용 절감 및 로프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초류 포자끈을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결속시켜 양식하기 위한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를 비롯하여 특허문헌 3과 4를 들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특허문헌 1 내지 4는 로프에 결속되는 포자끈의 절단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포자끈 투입부와 포자끈 인출부의 구조가 포자끈을 완벽하게 지지하지 못하거나 포자끈을 확실하게 인출해내지 못하여 로프에 일정간격으로 결속해주어야 하는 포자끈의 결속 누락이 발생함으로써 수작업으로 누락된 부분을 채워주거나 그대로 바다에 양식을 하게 되므로 해초류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로프 투입부와 로프 벌림부의 구조가 신품의 로프만 통과가 가능하고 짧은 로프를 이어붙이거나 로프 자체에 매듭이 있는 경우에는 투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로프의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있는 로프를 한 번 밖에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5409호(2013.08.05.) 한국등록특허 제10-1824849호(2018.01.26.) 한국등록특허 제10-1840171호(2018.03.13.) 한국등록특허 제10-1862565호(2018.05.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로프에 매듭이 있더라도 포자끈의 결속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포자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로프에 결속되는 포자끈의 절단길이를 필요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포자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포자끈의 결속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포자끈 투입부와 포자끈 인출부를 갖는 포자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포자끈의 결속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포자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상판 위에 전후방향으로 로프 투입부와 로프 인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 투입부와 로프 인출부 사이에 로프 벌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벌림부의 좌우측에 각각 포자끈 투입부와 포자끈 인출부가 설치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로;
상기 로프 투입부는 1쌍의 투입 가이드와, 상기 투입 가이드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투입 롤러와, 상기 투입 롤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로프의 매듭 부분이 지날 때 들리고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지는 매듭 감지판과, 상기 매듭 감지판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로프 인출부 1쌍의 배출 가이드와, 상기 배출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배출 롤러 및 모터와, 상기 배출롤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핀치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로프 벌림부는 1쌍의 로프 그리퍼로 이루어지되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된 로프 그리퍼 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자끈 투입부는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세워진 고정 브라켓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통과한 포자끈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1쌍의 고정판과 누름대 및 커팅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자끈 인출부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하부 슬라이더의 상부에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슬라이더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그리퍼가 안착되어 선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구성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상부 슬라이더는 스트로크 조절나사에 의해 후방으로 후진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포자끈의 결속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프 벌림부의 하부에는 로프 받침대가 승강작동하도록 되어 로프가 수축되면서 가닥 사이가 벌어질 때 로프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출 롤러의 축에는 로프의 인출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평기어 형태의 감지 디스크가 축결합되고, 회전각 센서가 배출 가이드의 측부에 설치되어 로프의 인출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포자끈의 결속 간격을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포자끈 투입부 측에는 포자끈의 선단부를 집어주기 위한 고정집게가 설치되되 튜브 선단의 하부에 튜브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누름대와 커팅날에 의해 포자끈의 선단이 눌리고 절단되게 되면 포자끈의 선단을 물어서 포자끈의 선단부가 튜브의 선단에서 고정집게 쪽으로 늘어져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포자끈 인출부의 그리퍼가 놓치지 않고 물어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자끈 결속장치는 매듭이 있는 로프의 경우에도 포자끈을 결속시킬 수 있고, 포자끈의 결속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자끈의 절단길이도 조절할 수 있으며, 포자끈 투입부와 인출부의 구조가 개선되어 포자끈의 투입과 인출동작이 확실히 이루어져 포자끈이 누락되지 않고 로프에 일정간격마다 결속될 수 있는 향상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로프 벌림부를 형성하는 로프 그리퍼의 구조 및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포자끈 투입부과 인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베이스 프레임(100), 로프 투입부(200), 로프 인출부(300), 로프 벌림부(400), 포자끈 투입부(500), 포자끈 인출부(600) 및 제어기(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한 번에 2줄의 로프에 포자끈을 결혹할 수 있도록 좌우 대칭형의 2조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과 단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00)은 내부에 제어기(700)가 내장되어 있고, 상판(110)은 일반적인 작업대의 높이를 이루며, 상판(110) 위에 로프 투입부(200), 로프 인출부(300), 로프 벌림부(400), 포자끈 투입 및 인출부(500,6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하부에 캐스터(120)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부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로프 투입부(200)와 로프 인출부(300)는 상판(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포자끈 투입부(500)와 포자끈 인출부(600)는 상판(110)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상기 로프 투입 및 인출부(200,30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로프 벌림부(400)는 로프 투입부(200)와 로프 인출부(300) 사이의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포자끈 삽입부(500)와 포자끈 인출부(600)가 로프 벌림부(400)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프 투입부(200)는 정상적인 로프는 물론, 사용과정에서 매듭이 만들어진 로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로프 인출부(300)도 마찬가지이며, 로프 벌림부(400)도 로프가 지나가는 경로가 매듭이 있는 로프도 지나갈 수 있도록 대구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로프 투입부(200)는 상판(110)의 전방측에 세워진 1쌍의 투입 가이드(210)와, 상기 투입 가이드(2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로프(R)가 얹혀지는 투입 롤러(220)와, 상기 투입 롤러(2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R)의 매듭 부분이 지날 때 들리고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지는 매듭 감지판(230)과, 상기 매듭 감지판(230)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로프 투입부(200)에 로프(R)가 투입되어 지나가게 될 때 매듭이 없는 로프가 지날 경우에는 다른 구성부 즉, 로프 벌림부(400)·포자끈 투입 및 인출부(500,6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지만, 매듭 부분이 통과하게 되면 매듭 감지판(230)이 매듭에 의해 들리게 되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240)가 온(on) 동작하게 되는데, 이 신호에 의해 로프 벌림부(40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포자끈 투입 및 인출부(500,600)는 동작을 중지하며, 로프 인출부(300)만이 동작하여 매듭 부분이 일정 구간, 예를 들면 로프 투입부(200)에서 매듭이 감지되면 매듭의 전,후로 20~30cm정도는 포자끈의 결속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미 사용한 적이 있는 로프나 짧은 로프를 길게 연결하여 포자끈 결속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로프의 재사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로프 인출부(300)는 상판(110)의 후방측에 세워진 1쌍의 배출 가이드(310)와, 상기 배출 가이드(3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톱니형의 배출 롤러(320) 및 이 배출롤러(320)를 구동시키는 모터(330)와, 상기 배출롤러(32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핀치롤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핀치롤러(340)는 스프링(350)에 의해 상기 배출롤러(320)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배출롤러(320)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로프(R)를 끼워준 상태에서 구동시키면 로프를 연속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롤러(320)와 핀치롤러(340)는 일종의 평기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로프(R)가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며, 매듭이 지나갈 경우에는 상부의 핀치롤러(340)가 스프링(350)의 장력을 이기면서 들려 벌어진 상태로 통과하게 되므로 매듭의 유무에 상관없이 로프(R)의 인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 롤러(320)의 축에는 로프(R)의 인출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평기어 형태의 감지 디스크(360)가 축결합되어 있고, 이 감지 디스크(360)의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회전각 센서(370)가 측부에 설치되어 있어 포자끈(S)의 결속 간격을 세팅할 수 있는데, 이는 제어기(700)에서 상기 회전각 센서(370)가 감지하는 배출 롤러(320)의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서 모터(330)의 작동을 간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된다.
도면 중 부호 380은 로프 인출부(300)의 전방 측에 설치된 처짐 방지용 가이드 롤러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프 벌림부(400)는 1쌍의 로프 그리퍼(410,420)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나의 로프 그리퍼(410)는 상판(110) 위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로프 그리퍼(420)는 에어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고정된 로프 그리퍼(410) 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양측의 로프 그리퍼(410,420)가 로프(R)를 문 상태에서 근접되게 되면 꼬여져 밀착되어 있던 로프 가닥이 벌어지면서 포자끈(S)의 결속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로프 벌림부(400)에서 로프(R)를 형성하는 가닥을 벌리는 원리는 3가닥으로 꼬여있는 로프(R)의 양측을 잡고 내측으로 수축시키게 되면 가닥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것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특허문헌 1, 2 등에서 적용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로프 그리퍼(410)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1쌍의 로프 그리퍼(410,42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정된 로프 그리퍼(41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 그리퍼(410)는 매듭이 있는 로프도 통과가 가능하도록 내경이 큰 링(412)의 내측에 1쌍의 원호형 가동 죠오(413,414)와 하나의 원호형 고정 죠오(415)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실린더(416)에 의해 고정 죠오(415)는 진퇴작동함과 동시에 1쌍의 가동 죠오(413,414)는 도 5의 (a)와 같이 벌어지는 동작과 도 5의 (b)와 같이 오므라지는 동작이 이루어져 링(412)의 중심부에서 로프(R)를 물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17은 가동 죠오(413,414)가 회동되는 회동축으로 상기 링(41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부호 418은 상기 고정 죠오(41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으로 상기 회동축(417)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죠오(415)가 진퇴작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프 벌림부(400)의 하부에는 로프 받침대(440)가 에어실린더(450)에 의해 승강되도록 되어 있어 로프 벌림부(400)의 동작에 의해 로프(R)가 수축되면서 가닥 사이가 벌어질 때 로프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포자끈 인출부(600)의 그리퍼(610)가 로프(R)의 벌어진 가닥 사이로 관통하여 포자끈을 인출하는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자끈 투입부(500)와 포자끈 인출부(600)는 도 6의 정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포자끈 투입부(500)는 상판(110)에 에어실린더(510)에 의해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세워진 고정 브라켓(512)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가느다란 포자끈(S)이 투입되는 튜브(514)와, 상기 튜브(514)를 통과한 포자끈(S)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1쌍의 고정판(516)과 누름대(518) 및 상기 고정판(516)과 누름대(518) 사이에에 눌린 상태에서 포자끈(S)을 커팅하기 위한 커팅날(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누름대(518)와 커팅날(520)은 에어실린더(522)에 의해 1차로 하강하여 포자끈(S)을 누르고 2차로 포자끈의 선단을 커팅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자끈 투입부(500) 측에는 포자끈의 커팅이 완료된 후 포자끈 인출부(600)의 그리퍼(610)가 로프(R)의 가닥 사이를 통과하여 접근했을 때 포자끈(S)이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포자끈(S)의 선단부를 집어주기 위한 고정집게(530)가 에어실린더(532)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514)의 상측에도 튜브(514)를 관통하여 포자끈(S)의 후방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포자끈 후방 고정구(540)가 에어실린더(542)에 의해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집게(530)는 튜브(514) 선단의 하부에 튜브(514)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누름대(518)와 커팅날(520)에 의해 포자끈의 선단이 눌리고 절단되게 되면 포자끈(S)의 선단을 물어서 포자끈의 선단부가 상하로 즉, 튜브(514)의 선단에서 고정집게(530)쪽으로 늘어져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포자끈 인출부(600)의 그리퍼(610)가 진입하여 놓치지 않고 포자끈(S)을 물어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도면 중 부호 502는 상판(110) 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이다.
또, 포자끈 인출부(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에 에어실린더(620)에 의해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하부 슬라이더(622)의 상부에 또 다른 에어실린더(630)에 의해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슬라이더(6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부 슬라이더(632)에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그리퍼(610)가 안착되어 있고, 이 그리퍼(610)은 또 다른 에어실린더(612)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리퍼(610)는 후단으로 후퇴된 상태, 하부 슬라이더에 의해 1차 전진된 상태 및 상부 슬라이더에 의해 2차 전진된 상태로 슬라이드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로프(R)의 통과와 벌림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간섭이 없도록 후단으로 후퇴한 상태를 이루고, 로프(R)가 벌어지면 1차 전진을 한 후, 2차로 그리퍼(610)가 오므라진 상태로 로프(R)의 벌어진 가닥 사이를 관통하도록 전진을 하게 되며, 포자끈 투입부(500)가 전진하게 되면 그리퍼(610)가 오므라지면서 포자끈(S)의 선단을 물고 다시 후퇴를 하여 포자끈(S)이 로프(S)에 결속되도록 동작하게 됨과 동시에 포자끈 투입부(500) 측에서는 커팅날(520)이 하강하여 포자끈(S')의 후단을 커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슬라이더(632)는 스트로크 조절나사(640)에 의해 후방으로 후진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로프(R)를 관통한 상태의 그리퍼(610)가 포자끈(S)을 물고 후퇴하는 거리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포자끈(S')의 길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리퍼(610)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는 한쪽은 뾰죽하되 내측에 미늘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미늘이 없으며, 다른 한 쪽은 상기 한쪽의 미늘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벌려진 로프(R) 사이를 진입할 때 그리퍼(610)가 다물어진(오므려진) 상태로 걸림이 없이 진입이 되고 로프(R)를 통과한 후 벌어지게 되면 그 사이로 포자끈 투입부(500)가 전진하게 되어 포자끈(S)이 벌어진 그리퍼(6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진하게 되면 그리퍼(610)가 오므라져 포자끈(S)을 문 상태에서 후퇴하면서 로프(R) 사이로 포자끈(S)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며, 포자끈(S)이 로프(R)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포자끈(S)의 후단은 커팅날(520)에 의해 커팅되게 되어 커팅된 포자끈(S')이 로프(R)에 일정 간격으로 결속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기(700)는 운전속도조절용 다이얼(710), 포자끈의 결속간격 조절용 다이얼(720) 및 전원스위치(730)와 부저(7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동/자동 전환스위치(75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포자끈 결속장치는 개선된 로프 투입 및 인출부(200,300)와 로프 벌림부(400)의 구조에 의해 매듭이 있는 로프나 없는 로프에 상관없이 투입이 가능하므로 짧은 로프를 이어서 사용하거나 재사용하더라도 장력에 문제가 없는 사용되었던 로프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로프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프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로프 인출부에 설치된 회전각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기를 세팅함으로써 포자끈의 결속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포자끈 인출부에 구비된 스트로크 조절나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포자끈 그리퍼의 전후진 거리를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어 포자끈의 절단길이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포자끈 투입부에서 절단된 포자끈의 선단을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붙잡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자끈 인출부의 그리퍼가 진입하여 이를 놓치지 않고 물어서 로프를 관통하여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포자끈의 누락이 없이 로프에 일정간격으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해초류 양식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1 : 포자끈 결속장치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상판
120 : 캐스터
200 : 로프 투입부
210 : 투입 가이드
220 : 투입 롤러
230 : 매듭 감지판
240 : 리미트 스위치
300 : 로프 인출부
310 : 배출 가이드
320 : 배출 롤러
330 : 모터
340 : 핀치롤러
350 : 스프링
360 : 감지 디스크
370 : 회전각 센서
380 : 가이드 롤러
400 : 로프 벌림부
410 : 로프 그리퍼
412 : 링
413,414 : 가동 죠오
415 : 고정 죠오
416 : 에어실린더
417 : 회동축
418 : 슬릿
420 : 로프 그리퍼
430 : 에어실린더
440 : 로프 받침대
450 : 에어실린더
500 : 포자끈 투입부
502 : 가이드 레일
510 : 에어실린더
512 : 고정 브라켓
514 : 튜브
516 : 고정판
518 : 누름대
20 : 커팅날
522 : 에어실린더
530 : 고정집게
532 : 에어실린더
540 : 포자끈 후방 고정구
542 : 에어실린더
600 : 포자끈 인출부
610 : 그리퍼
612 : 에어실린더
620 : 에어실린더
622 : 하부 슬라이더
630: 에어실린더
632 : 상부 슬라이더
640 : 스트로크 조절나사
700 : 제어기
710 : 운전속도 조절용 다이어
720 : 결속간격 조절용 다이얼
730 : 전원스위치
740 : 부저
750 : 수동/자동 전환스위치
R : 로프
S : 포자끈(커팅 전)
S' : 포자끈(커팅 후 로프에 결속된)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판(110) 위에 전후방향으로 로프 투입부(200)와 로프 인출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 투입부(200)와 로프 인출부(300) 사이에 로프 벌림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벌림부(400)의 좌우측에 각각 포자끈 투입부(500)와 포자끈 인출부(600)가 설치된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로;
    상기 로프 투입부(200)는 상판(110)의 전방측에 세워진 1쌍의 투입 가이드(210)와, 상기 투입 가이드(2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로프가 얹혀지는 투입 롤러(220)와, 상기 투입 롤러(2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의 매듭 부분이 지날 때 들리고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지는 매듭 감지판(230)과, 상기 매듭 감지판(230)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40)로 구성되고,
    상기 로프 인출부(300)는 상판(110)의 후방측에 세워진 1쌍의 배출 가이드(310)와, 상기 배출 가이드(3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톱니형의 배출 롤러(320) 및 상기 배출롤러(320)를 구동시키는 모터(330)와, 상기 배출롤러(32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핀치롤러(340)로 구성되며,
    상기 로프 벌림부(400)는 1쌍의 로프 그리퍼(410,420)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로프 그리퍼(410)는 상판(110) 위에 위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로프 그리퍼(420)는 에어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고정된 로프 그리퍼(410) 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양측의 로프 그리퍼(410,420)가 로프를 문 상태에서 근접되게 되면 꼬여져 밀착되어 있던 로프 가닥이 벌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자끈 투입부(500)는 상판(110)에 에어실린더(510)에 의해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세워진 고정 브라켓(512)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가느다란 포자끈(S)이 투입되는 튜브(514)와, 상기 튜브(514)를 통과한 포자끈(S)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1쌍의 고정판(516)과 누름대(518) 및 상기 고정판(516)과 누름대(518) 사이에에 눌린 상태에서 포자끈(S)을 커팅하기 위한 커팅날(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자끈 인출부(600)는 상판(110)에 에어실린더(620)에 의해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하부 슬라이더(622)의 상부에 또 다른 에어실린더(630)에 의해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슬라이더(63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632)에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그리퍼(610)가 안착되며, 상기 그리퍼(610)는 또 다른 에어실린더(612)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632)는 스트로크 조절나사(640)에 의해 후방으로 후진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포자끈의 결속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 벌림부(400)의 하부에는 로프 받침대(440)가 에어실린더(450)에 의해 승강되도록 되어 있어 로프 벌림부(400)의 동작에 의해 로프(R)가 수축되면서 가닥 사이가 벌어질 때 로프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320)의 축에는 로프(R)의 인출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평기어 형태의 감지 디스크(360)가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감지 디스크(360)의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회전각 센서(370)가 배출 가이드(310)의 측부에 설치되어 로프(R)의 인출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포자끈(S)의 결속 간격을 세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자끈 투입부(500) 측에는 포자끈(S)의 선단부를 집어주기 위한 고정집게(530)가 에어실린더(532)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되 상기 고정집게(530)는 튜브(514) 선단의 하부에 튜브(514)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누름대(518)와 커팅날(520)에 의해 포자끈(S)의 선단이 눌리고 절단되게 되면 포자끈(S)의 선단을 물어서 포자끈(S)의 선단부가 튜브(514)의 선단에서 고정집게(530)쪽으로 늘어져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KR1020190067125A 2019-06-07 2019-06-07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KR10201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25A KR102013549B1 (ko) 2019-06-07 2019-06-07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25A KR102013549B1 (ko) 2019-06-07 2019-06-07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549B1 true KR102013549B1 (ko) 2019-08-22

Family

ID=6776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25A KR102013549B1 (ko) 2019-06-07 2019-06-07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580A (zh) * 2019-09-27 2019-12-03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海带夹苗机
CN111587824A (zh) * 2020-06-16 2020-08-28 浙江海富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贝类自动包苗机
KR102203174B1 (ko) * 2019-11-20 2021-01-13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322A (ko) * 2012-09-14 2012-10-11 공재수 미역/다시마의 종균 수동 삽입장치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24849B1 (ko) 2017-11-14 2018-02-01 한우석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40171B1 (ko) 2017-09-27 2018-03-19 김장균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62565B1 (ko) 2016-09-13 2018-05-30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322A (ko) * 2012-09-14 2012-10-11 공재수 미역/다시마의 종균 수동 삽입장치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62565B1 (ko) 2016-09-13 2018-05-30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101840171B1 (ko) 2017-09-27 2018-03-19 김장균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24849B1 (ko) 2017-11-14 2018-02-01 한우석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580A (zh) * 2019-09-27 2019-12-03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海带夹苗机
KR102203174B1 (ko) * 2019-11-20 2021-01-13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N111587824A (zh) * 2020-06-16 2020-08-28 浙江海富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贝类自动包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549B1 (ko)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
KR101295409B1 (ko)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CN104746249B (zh) 缝纫装置
KR101862565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DE1604617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Herstellen von Schnurzugbeuteln
KR101824849B1 (ko)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JPS61502476A (ja) タオルの整列、切断、および縁縫い装置
US5572940A (en) Folding and sewing apparatus
CN109440310B (zh) 一种自动罗纹机
EP2336420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Wäschestücks zu einer Mangel oder dergleichen
CN109457406B (zh) 一种自动罗纹机的翻卷装置
CN105366087A (zh) 管型材套袋机套袋方法
CN105200676B (zh) 一种输送毛巾带的全自动送料装置
DE3737484A1 (de) Steuereinrichtung an einer verpackungsmaschine fuer eine einzel- und mehrfachverpackung von haengenden bekleidungsstuecken
CN107385687B (zh) 松紧带成圈装置和全自动松紧带缝纫机
CN207973879U (zh) 一种缝纫装置的张力机构
CN206150621U (zh) 拉链穿头机及其链牙顶配装置
CN217390089U (zh) 一种穿绳扣机的拉绳装置及穿绳扣机
CN209684064U (zh) 一种穿线、拉线及接线一体化装置
CN204944946U (zh) 一种拉链疲劳试验装置的拉头驱动结构
DE2636360C3 (de) Vorrichtung zum Wiedereinführen eines Fadenendes in das Abzugsrohr einer Offenendspinnmaschine
CN207158180U (zh) 一种钢材用牵引装置
CN208930740U (zh) 篷布生产线
CN109183289B (zh) 一种自动化的皮条对折缝合机
DE1785236A1 (de) Verfahren zum Andrehen oder Ansetzen des gerissenen Fadens in Spinnmaschinen und Vorrichtung zur Ausuebung dieses Verfahr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