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889B1 -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889B1
KR102012889B1 KR1020150120882A KR20150120882A KR102012889B1 KR 102012889 B1 KR102012889 B1 KR 102012889B1 KR 1020150120882 A KR1020150120882 A KR 1020150120882A KR 20150120882 A KR20150120882 A KR 20150120882A KR 102012889 B1 KR102012889 B1 KR 10201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tor
connector housing
circuit board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485A (ko
Inventor
신지 야마다
유스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6002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케이블과 모터 측의 회로 기판과의 접속 시에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수를 삭감 가능케 한 모터 및 그 모터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모터(1)는 스테이터의 코일에 접속된 회로 기판(10)과, 회로 기판(10)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20)와 회로 기판(10)을 수용하는 케이스(30)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접속부(20)는 케이스(30)에 형성된 개구(34)에서 외부로 노출됨과 함께, 수형 접속부(20)에는 케이블(C)에 접속되는 암형 커넥터(50)가 감합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MOTOR AND FEMALE TYPE CONNECTOR FOR IT}
본 발명은 모터 및 그 모터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작 기계 등에서는 구동원으로서 서보 모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 서보 모터로서는 이너 로터형 모터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이너 로터형 모터로서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모터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로터와, 로터의 외측에 배치된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스테이터 코어를 덮는 인슐레이터 및 스테이터 코어의 복수의 티스(teeth)에 감겨진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의 코일은 인슐레이터 상에 실장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 상에는 외부 전력 공급용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력 공급용 커넥터에는 외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의 전력 급전용 케이블에 접속된 케이블 커넥터가 감합하고, 해당 외부 전력 공급용 커넥터를 통해 모터에 전력이 급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개 2011-16705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모터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력급전용 케이블과 모터 측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기 위해 케이블 커넥터와 모터 측의 외부 전력 공급용 커넥터를 필요로 하여 부품 수가 많았다. 또한 부품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모터 측의 외부 전력 공급용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것이 필요해 조립 공정수도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과 모터 측의 회로 기판과의 접속 시에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모터 및 그 모터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의 코일에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와,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서 외부로 노출됨과 함께, 상기 수형 접속부에는 케이블에 접속되는 암형 커넥터가 감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커넥터는 전술한 모터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이며, 상기 케이블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수형 접속부와 감합하는 암형 콘택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및 해당 모터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에 의하면, 회로 기판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를 구비하고, 수형 접속부는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서 외부로 노출됨과 함께, 수형 접속부에는 케이블에 접속되는 암형 커넥터가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과 모터 측의 회로 기판과의 접속 시에 암형 커넥터를 회로 기판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에 감합하면 되며, 모터 측의 회로 기판에 커넥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커넥터를 모터 측의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수형 접속부에 암형 커넥터가 감합하고, 해당 모터에 암형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모터와 암형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모터와 암형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모터와 암형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모터 및 암형 커넥터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모터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를 저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13-1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모터(1)의 수형 접속부(20;도 2 참조)에 암형 커넥터(50)가 감합하고, 모터(1)에 암형 커넥터(50)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모터(1)는 이너 로터형 모터이며,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터, 도시하지 않은 로터, 스테이터에서 도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및 스테이터의 코일에 접속된 회로 기판(10)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 로터, 코일 및 회로 기판(10)은 케이스(3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30)는 전면(30a), 후면(30b), 우측면(30c), 좌측면(30d), 상면(30e) 및 저면(30f)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금속 부재이다.
케이스(30)에는 전면(30a)부터 후면(30b)에 걸쳐 관통하는 관통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30)의 관통 구멍(31) 내에 스테이터, 로터, 코일 및 회로 기판(10)이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30)의 상면(30e)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장착부(32)가 상면(30e)에서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32)는 케이스(30)의 상면(30e)에서 융기시키지 않아도 좋다.
장착부(32)의 4 코너에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50)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33)가 4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2)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수나사(95)에 의해 암형 커넥터(50)가 장착된다. 또한 암나사부(33) 및 수나사(95)의 숫자는 2개, 6개 등이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2)의 상방에서 보아 중앙부에는 도 2, 도 3, 도 5 내지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32)의 상면에서 케이스(30)의 관통 구멍(31)에 걸쳐 관통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34)는 볼록형 등의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회로 기판(10)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스테이터의 단면에 장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의 표면이 케이스(30)의 전면(30a) 측을 향하고, 회로 기판(10)의 이면이 케이스(30)의 후면(30b) 측을 향하도록 회로 기판(10)이 케이스(3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테이터의 코일은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로 이루어진다. 그들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 각각의 단부가 회로 기판(10)에 설치된 복수의 도체부(미도시)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10) 외주의 일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로 기판(10) 외주의 상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접속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접속부(20)는 회로 기판(10) 외주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회로 기판(10)과 일체로 회로 기판(10)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형 접속부(20)는 회로 기판(10)의 외주에서 돌출하지 않아도 좋다.
수형 접속부(20)는 표면측(케이스(30)의 전면(30a)측)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판부이다.
상기 수형 접속부(20)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6개)의 도전 패드(20a)가 수형 접속부(20)의 표면 및 이면에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 패드(20a) 각각은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 각각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회로 기판(10)에 설치된 복수의 도체부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 패드(20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용의 3개 외에 브레이크용 2개와 접지용 1개이다.
여기서 수형 접속부(20)는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0)에 형성된 개구(3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회로 기판(10)은 수형 접속부(20)의 상단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32)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하방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스테이터의 단면에 장착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50)는 도 5 및 도 8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접속부(20)와 감합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6개)의 암형 콘택트(60)와, 이들 암형 콘택트(60)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70)과, 커넥터 하우징(70)을 수용하는 후드(8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암형 콘택트(60)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도 5, 도 9,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70)에 고정되는 고정부(6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61)는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61)의 하벽(도 5에 있어서의 우벽)에는 콘택트 랜스(6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암형 콘택트(60)는 커넥터 하우징(70)에 형성된 후술하는 각 콘택트 수용실(71) 내에 수용된다. 이 때 콘택트 랜스(64)가 커넥터 하우징(70)에 설치된 걸림부(73)에 걸림으로써 각 암형 콘택트(60)가 커넥터 하우징(70)에 고정된다.
또한 각 암형 콘택트(60)는 고정부(61)의 상벽 및 하벽 각각의 전단(도 5에 있어서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을 구비하고 있다.
각 암형 콘택트(60)가 수형 접속부(20)와 감합하는 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 사이에 수형 접속부(20)가 수용된다. 그 때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의 각각은 탄성 변형하여 수형 접속부(20)의 표면 및 이면에 노출되는 도전 패드(20a)에 접촉한다.
더욱이 각 암형 콘택트(60)는 고정부(61) 하벽의 후단(도 5에 있어서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심선 배럴(62)및 절연 배럴(63)을 구비하고 있다.
각 암형 콘택트(60)의 심선 배럴(62)은 전력급전용 케이블(C;도 5 참조)의 각 전선(미도시)의 심선을 압착 접속하고, 또한 절연 배럴(63)은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각 전선의 피복을 압착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70)은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고, 절연성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70)은 도 5, 도 9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암형 콘택트(60)의 각각을 수용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6개)의 콘택트 수용실(71)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 수용실(71)은 커넥터 하우징(7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형성된다. 각 콘택트 수용실(71)은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단면(도 5에 있어서의 상단면)에 개구하고, 커넥터 하우징(70)의 전방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70)의 하벽(도 5에 있어서의 우벽)의 각 콘택트 수용실(7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각 콘택트 수용실(71)에 수용된 각 암형 콘택트(6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7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70)의 전단면에는 도 5, 도 8,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접속부(20)를 수용이 가능한 치수로 설정된 직사각형 모양의 안내 개구(72)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개구(72)는 커넥터 하우징(70)의 전단면에서 각 콘택트 수용실(71)을 향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개구(72)의 전단 입구의 상측 둘레(도 5에 있어서의 좌측 둘레) 및 하측 둘레에는 도 5,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안내면(75c, 75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개구(72)의 전단 입구의 긴 쪽 방향의 좌단(도 11에 있어서의 좌단) 및 우단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 안내면(75a, 7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커넥터 하우징(70)의 긴 쪽 방향의 좌측면(도 11에 있어서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 돌기(74a, 74b)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 돌기(74a, 74b)는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각각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후드(80)의 각 걸림돌기부(82a, 82b)에 걸리게 되어 있다.
좌측의 걸림 돌기(74a)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74aa), 외측면(74ab) 및 전단면(74ac)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74aa)은 커넥터 하우징(70)의 좌측면에서 외측 방향, 나아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외측면(74ab)은 경사면(74aa)의 외측단에서 전방을 향해 해당 좌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전단면(74ac)은 외측면(74ab)의 전단에서 좌측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연장되고, 후드(80)의 걸림 돌기부(82a) 후면에 걸려 커넥터 하우징(70)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걸림 돌기(74b)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74ba), 외측면(74bb), 전단면(74bc)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74ba)은 커넥터 하우징(70)의 우측면에서 외측 방향, 나아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외측면(74bb)은 경사면(74ba)의 외측단에서 전방을 향해 해당 우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전단면(74bc)은 외측면(74bb)의 전단에서 우측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연장되어 후드(80)의 걸림 돌기부(82b) 후면에 걸려 커넥터 하우징(70)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70)을 수용하는 후드(80)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고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드(80)에는 도 5,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70)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8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수용 공간(81)은 후드(80)의 전면(도 5에 있어서의 하면)에 개구하고, 후드(8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후드(80)의 좌우 측벽(도 12에 있어서의 좌우 측벽)의 각각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측벽부(80a), 제2측벽부(80b) 및 제3측벽부(80c)로 구성되어 있다.
제1측벽부(80a)는 후드(80)의 후벽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제2측벽부(80b)는 제1측벽부(80a)의 전단에서 좌우 방향 나아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제3측벽부(80c)는 제2측벽부(80b)의 전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 수용 공간(81)은 좌우 방향이 제1측벽부(80a), 제2측벽부(80b) 및 제3측벽부(80c)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제3측벽부(80c)에는 커넥터 하우징(70)의 걸림 돌기(74a)가 걸리는 걸림 돌기부(82a)가 제3측벽부(80c)에서 좌우 방향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제3측벽부(80c)에는 커넥터 하우징(70)의 걸림 돌기(74b)가 걸리는 걸림 돌기부(82b)가 제3측벽부(80c)에서 좌우 방향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좌우 양측의 제1측벽부(80a)에는 하우징 수용 공간(81) 내에 수용된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단부(80f)가 좌우 방향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측벽부(80b)의 외면은 제3측벽부(80c)의 외면으로부터 그대로 직선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여 하우징 수용 공간(81)에 커넥터 하우징(70)이 정상 상태로 수용된 경우에 있어, 하우징 수용 공간(81) 및 커넥터 하우징(70)의 좌우 폭방향 치수에 대해 고찰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70)의 좌측 걸림 돌기(74a)의 외측면(74ab)과 후드(80)의 제3측벽부(80c)의 내측면(80d)과의 사이에 틈새(δ1)가 형성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반대로 커넥터 하우징(70)의 우측 걸림 돌기(74b)의 외측면(74bb)과 후드(80)의 제3측벽부(80c)의 내측면(80d)과의 사이에 틈새(δ1)가 형성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70)의 좌측면과 후드(80)의 제1측벽부(80a)의 내측면(80e)과의 사이에 틈새(δ1)가 형성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반대로 커넥터 하우징(70)의 우측면과 후드(80)의 제1측벽부(80a)의 내측면(80e)과의 사이에 틈새(δ1)가 형성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70)과 후드(80)의 좌우 측벽과의 사이에 총 2δ1의 좌우 폭방향의 틈새가 생기도록 커넥터 하우징(70) 및 하우징 수용 공간(81)의 치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하우징 수용 공간(81)에 커넥터 하우징(70)이 정상 상태로 수용된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 수용 공간(81) 및 커넥터 하우징(70)의 상하 방향 치수에 대해 고찰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70)의 상면(70a)과 후드(80) 상벽(80g)의 내측면(80h)과의 사이에 틈새(δ2)가 형성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반대로 커넥터 하우징(70)의 하면(70b)과 후드(80)의 하우징 수용 공간(81)의 내측면(80i)과의 사이에 틈새(δ2)가 형성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70)과 후드(80)의 내측면(80h) 및 내측면(80i)과의 사이에 총 2δ2의 상하 방향의 틈새가 생기도록 커넥터 하우징(70) 및 하우징 수용 공간(81)의 치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70)과 후드(80)의 좌우 측벽과의 사이에 총 2δ1의 좌우 폭방향의 틈새가 생기도록 커넥터 하우징(70) 및 하우징 수용 공간(81)의 치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70)과 후드(80)의 내측면(80h) 및 내측면(80i)과의 사이에 총 2δ2의 상하 방향의 틈새가 생기도록 커넥터 하우징(70) 및 하우징 수용 공간(81)의 치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70)은 좌우 폭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드(80)에 유지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70)의 좌우 폭방향 및 상하 방향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 측의 수형 접속부(20)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70)은 수형 접속부(20)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드(80)에 유지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후드(80)의 상벽(80g) 및 하벽의 각각에는 해당 상벽(80g) 및 하벽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플랜지(8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장착플랜지(83)의 긴 쪽 방향 양 코너부에는 총 4개의 장착나사용 관통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80)의 하벽에는 도 5, 도 6,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급전용 케이블(C)을 도입하기 위한 케이블용 개구(85a)가 형성된다. 더욱이 후드(80)의 하벽에는 해당 케이블용 개구(85a)를 둘러싸는 원통부(85)가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부(85)의 외주에는 나사부(86)가 형성됨과 동시에 원통부(85)의 선단에는 복수의 핀부(87;fin)가 원주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부(87)는 없어도 좋다. 그리고 도 5, 도 6, 도 9,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85)의 내주측에는 원통형의 방수 고무(89)가 삽입된다.
원통부(85)의 외주측 나사부(86)에는 방수 고무 조임 부재(90)의 나사부(91)가 나사 결합하게 되어 있다.
방수 고무(89)의 내경은 도 5, 도 6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용 개구(85a)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이 되어 있다.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설치 시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선단을 방수 고무(89)의 내측 관통 구멍을 통해 케이블용 개구(85a)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방수 고무 조임 부재(90)의 원통부(85)에 대한 나사 결합을 진행시킴으로써 방수 고무(89)가 전력급전용 케이블(C)을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외주측에서부터 조인다. 이에 의해 방수 고무(89)와 전력급전용 케이블(C)과의 사이가 씰 링된다.
또한 후드(80)의 전단면에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수용 공간(81)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환상의 요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부(88)에는 환상의 방수 씰 부재(94)가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암형 커넥터(50)의 조립 방법 및 조립된 암형 커넥터(50)의 모터(1)로의 장착 방법에 대해 도 5,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선단을 방수 고무 조임 부재(90) 및 방수 고무(89)의 내측 관통 구멍을 통해 후드(80)의 케이블용 개구(85a) 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각 전선을 각 암형 콘택트(60)의 심선 배럴(62) 및 절연 배럴(63)에 압착 접속한다.
그 후 각 암형 콘택트(60)를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방측부터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을 선두로 하여 각 콘택트 수용실(71) 내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각 암형 콘택트(60)의 콘택트 랜스(64)가 커넥터 하우징(70)의 각 걸림부(73)에 걸린다. 이에 의해 각 암형 콘택트(60)가 커넥터 하우징(70)에 고정된다.
이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70)을 후드(80)의 전방측부터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단측을 선두로 하여 하우징 수용 공간(81) 내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70)의 각 걸림 돌기(74a, 74b)가 후드(80)의 각 걸림돌기부(82a, 82b)를 타고 넘어 커넥터 하우징(70)이 후드(80)에 걸린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단면이 후드(80)의 스토퍼 단부(80f)에 닿음으로 인해 저지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7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커넥터 하우징(70)의 각 걸림 돌기(74a, 74b)의 전단면(74ac, 74bc)이 후드(80)의 각 걸림돌기부(82a, 82b)의 후면에 닿음으로 인해 저지된다.
그 후 방수 고무 조임 부재(90)의 원통부(95)에 대한 나사 결합을 진행시킴으로써 방수 고무(89)가 전력급전용 케이블(C)을 전력급전용 케이블(C)의 외주측에서부터 조인다. 이에 의해 방수 고무(89)와 전력급전용 케이블(C)과의 사이를 씰링 한 상태로 전력급전용 케이블(C)이 암형 커넥터(50)에 장착된다.
그리고 후드(80)의 요부(88)에 방수 씰 부재(94)를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암형 커넥터(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암형 커넥터(5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80)의 전단면 및 커넥터 하우징(70)의 전단면이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50)를 하강시켜 커넥터 하우징(70)의 선단을 모터(1)의 케이스(30)에 형성된 개구(34) 내에 넣는다.
이에 의해 모터(1) 측의 수형 접속부(20)가 커넥터 하우징(70)의 안내 개구(72)를 통과하여 암형 콘택트(60)의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 사이에 수용 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의 각각이 탄성 변형하고, 수형 접속부(20)의 표면 및 이면에 노출하는 도전 패드(20a)를 끼우게 하여 도전 패드(20a)에 접촉한다.
그 결과 모터(1) 측의 회로 기판(10)과 전력 공급용 케이블(C)이 수형 접속부(20) 및 암형 콘택트(60)을 통해 접속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이 수형 접속부(20)의 표면 및 이면에 노출하는 도전 패드(20a)에 접촉하므로 일방의 접촉 아암만이 도전 패드(20a)에 접촉하는 경우보다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모터(1) 및 암형 커넥터(50)에 의하면, 회로 기판(10)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20)을 구비하고, 수형 접속부(20)는 모터(1) 측의 케이스(30)에 형성된 개구(34)에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그리고 수형 접속부(20)에는 전력급전용 케이블(C)에 접속되는 암형 커넥터(50)가 감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력급전용 케이블(C)과 모터(1) 측 회로 기판(10)과의 접속 시에 암형 커넥터(50)를 회로 기판(10)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20)에 감합하면, 모터(1) 측 회로 기판(10)에 커넥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커넥터를 모터(1)측 회로 기판(10)에 실장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50)를 모터(1) 측 수형 접속부(20)에 감합하면, 그 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장착 나사(95)를 오링(96)과 함께 후드(80)의 장착 나사용 관통 구멍(84)에 삽입하고, 모터(1) 측 암나사부(33)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암형 커넥터(50)의 후드(80)가 모터(1)에 고정된다. 이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50) 측의 방수 씰 부재(94)가 모터(1) 측 장착부(32) 상에 안착한다. 이에 의해 암형 커넥터(50)의 후드(80)와 모터(1)의 케이스(30)의 장착부(32)와의 사이가 씰링된다. 그리고 오링(96)은 없어도 좋다.
또한 모터(1) 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10)을 케이스(30)의 관통 구멍(31) 내에 수용하는 때에는 회로 기판(10) 및 수형 접속부(20)의 위치가 암형 커넥터(50)의 수형 접속부(20)에 대한 감합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5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70)은 수형 접속부(20)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후드(80)에 보호 및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형 접속부(20)의 위치가 감합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커넥터 하우징(70)의 선단을 개구(34) 내에 넣을 때에 커넥터 하우징(70)이 수형 접속부(20)를 추종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수형 접속부(20)의 위치가 감합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수형 접속부(20)가 커넥터 하우징(70)의 안내 개구(72)를 통과하여 암형 콘택트(60)의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 사이에 적절히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70)의 안내 개구(72)의 전단 입구 상측 둘레(도 5에 있어서의 좌측 둘레) 및 하측 둘레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안내면(75c, 75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개구(72)의 전단 입구의 긴 쪽 방향 좌단(도 11에 있어서의 좌단) 및 우단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 안내면(75a, 7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70)의 안내 개구(72)의 입구에는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둘레에 경사 안내면(75a, 75b) 및 경사 안내면(75c, 75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형 접속부(20)의 위치가 감합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수형 접속부(20)의 선단이 안내 개구(72)의 한 쌍의 경사안내면(75c, 75d) 혹은 한 쌍의 경사 안내면(75a, 75b)의 어느 쪽인가에 닿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70)이 수형 접속부(20)에 용이하게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및 개량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급전용 케이블(C)이 암형 커넥터(50)에 장착된 것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암형 커넥터(50)으로서 복수의 암형 콘택트(60)를 수용한 커넥터 하우징(70)을 후드(80)에 보호 및 유지한 것을 거래처에 출하하고 해당 거래처에서 전력급전용 케이블(C)을 암형 콘택트(60)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수형 접속부(20)는 회로 기판(10) 외주의 일부에 형성되어 케이스(30)에 형성된 개구(34)로부터 노출하게 되어 있으면 좋고, 반드시 회로 기판(10)의 외주 상단부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회로 기판(10)은 환상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암형 콘택트(60)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 아암(61a, 61b)이 도전 패드(20a)에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접촉 아암을 하나로 하여 상기 접촉 아암이 도전 패드(20a)의 한쪽 면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커넥터 하우징(70)의 걸림 돌기는 외팔보 형상의 하우징 랜스의 형태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는 모터로의 전력 공급뿐만 아니라 엔코더 회로로의 신호 전달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전력급전용 케이블이 아니라 신호 전달용 케이블을 이용한다.
1: 모터 10: 회로 기판
20: 수형 접속부 30: 케이스
34: 개구 50: 암형 커넥터
60: 암형 콘택트 70: 커넥터 하우징
80: 후드 C: 전력급전용 케이블(케이블)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스테이터의 코일에 접속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수형 접속부;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서 외부로 노출됨과 함께,
    상기 수형 접속부에는 케이블에 접속되는 암형 커넥터가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터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수형 접속부와 감합하는 암형 콘택트;
    상기 암형 콘택트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함과 함께, 상기 모터의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후드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형 접속부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드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KR1020150120882A 2014-08-27 2015-08-27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KR102012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2767 2014-08-27
JP2014172767A JP6325945B2 (ja) 2014-08-27 2014-08-27 モータに用いられる雌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85A KR20160025485A (ko) 2016-03-08
KR102012889B1 true KR102012889B1 (ko) 2019-08-22

Family

ID=5531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82A KR102012889B1 (ko) 2014-08-27 2015-08-27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0086B2 (ko)
JP (1) JP6325945B2 (ko)
KR (1) KR102012889B1 (ko)
CN (1) CN105391231B (ko)
DE (1) DE102015114160A1 (ko)
TW (1) TWI6747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9054B (zh) * 2014-05-22 2018-05-08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马达的定子座及其连接器防水结构
CN110323606B (zh) * 2018-03-30 2021-06-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的接触件安装结构及接触件
JP7172635B2 (ja) * 2019-01-18 2022-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JP6827098B1 (ja) * 2019-12-26 2021-02-10 山洋電気株式会社 回転電動機及び一般電気機器
CN212811453U (zh) * 2020-07-16 2021-03-2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机装置
TW202226714A (zh) * 2020-09-17 2022-07-01 日商太谷電子日本合同公司 接地用構件
JP2022162669A (ja) 2021-04-13 2022-10-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696A (ja) * 2001-06-08 200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2967B2 (en) * 1980-03-03 1983-10-20 Amp Incorporated Zero force electrical connector
JPS62145461A (ja) 1985-12-20 1987-06-29 Pasotetsuku Kk 中国語用ワ−ドプロセツサ
JPS62145461U (ko) * 1986-03-06 1987-09-14
CN1067495C (zh) * 1996-03-07 2001-06-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动机及其制造方法
JPH09289751A (ja) * 1996-04-19 1997-11-04 Yaskawa Electric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H09327165A (ja) * 1996-06-05 1997-12-16 Janome Sewing Mach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における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JPH10127031A (ja) * 1996-10-18 1998-05-15 Sankyo Seiki Mf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GB9715338D0 (en) * 1997-07-21 1997-09-24 Amp Holland A unit for controlling electrical motors
JP4425316B2 (ja) * 2007-06-29 2010-03-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5239413B2 (ja) * 2008-03-13 2013-07-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0226853A (ja) * 2009-03-23 2010-10-07 Kayaba Ind Co Ltd モータ
JP5630650B2 (ja) * 2010-01-12 2014-11-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FR2967846B1 (fr) * 2010-11-23 2012-11-30 Valeo Equip Electr Moteur Procede d'interconnexion de modules electroniques de puissanc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assemblage de modules de puissance interconnectes obtenu par ce procede
JP5345164B2 (ja) * 2011-02-16 2013-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回転電機
JP5764459B2 (ja) * 2011-10-19 2015-08-19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TR201718720T3 (tr) * 2011-12-29 2017-12-21 Arcelik As Termik içeren elektrik motoru.
JP5912738B2 (ja) 2012-03-27 2016-04-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ポンプ装置
JP6039976B2 (ja) * 2012-09-12 2016-12-07 ミネベア株式会社 多相コイル端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CN107846127A (zh) * 2013-03-22 2018-03-27 株式会社美姿把 电机及电机装置
US9376198B2 (en) * 2014-08-21 2016-06-28 Caterpillar Inc. Serviceable marine pod steering brak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696A (ja) * 2001-06-08 200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10086B2 (en) 2018-10-23
TWI674735B (zh) 2019-10-11
TW201613232A (en) 2016-04-01
CN105391231B (zh) 2019-06-07
CN105391231A (zh) 2016-03-09
DE102015114160A1 (de) 2016-03-03
KR20160025485A (ko) 2016-03-08
JP2016048981A (ja) 2016-04-07
JP6325945B2 (ja) 2018-05-16
US20160065031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889B1 (ko)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EP2874245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US953113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US20150145359A1 (en) Connector For Motor and Connector Assembly For Motor
JP6280618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9016575A (ja) コネクタ
JP6064808B2 (ja) コネクタ
JP6592475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13247046A (ja) 端子保護カバーおよび電気接続箱
JP2007258105A (ja) 電気接続構造
JP6238874B2 (ja) 電気接続箱
JP584017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US2018007732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Harness-Side Connector
JP2010225371A (ja) コネクタ
CN108988613B (zh) 电源转换器及其电连接器模块
US20100015841A1 (en) Electric plug connector having a guiding
WO2018221176A1 (ja) 基板用コネクタ装置
US20180131126A1 (en) Cable connector
JP7098678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02282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JP2015032442A (ja) 電気接続具
US20200091666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junction box
US10320170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JP4317483B2 (ja) 機器用コネクタ
JP6311937B2 (ja) 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シェ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