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216B1 -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216B1
KR102012216B1 KR1020180066963A KR20180066963A KR102012216B1 KR 102012216 B1 KR102012216 B1 KR 102012216B1 KR 1020180066963 A KR1020180066963 A KR 1020180066963A KR 20180066963 A KR20180066963 A KR 20180066963A KR 102012216 B1 KR102012216 B1 KR 10201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insulation
hood insulation
clip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6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를 거치대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에 사용하던 클립 사용을 최소화하고 거치대 장착을 위한 삽입 구멍의 형성으로 후드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거치대 다른 한쪽으로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거치대로 후드 인슐레이션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전체에 대해 거치대만으로 고정 지지하거나 거치대와 클립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클립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과 중량 절감 효과를 높이면서도 후드 인슐레이션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STRUCTURE FOR FIXING HOOD INSULATION ONTO THE HOOD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후드에 끼워서 고정한 거치대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클립으로 고정하던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원가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중량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엔진룸은, [도 1]과 같이 후드(10)를 통해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고, 이 후드(10)에는 엔진룸에서 발생한 소음이 후드를 통해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후드 인슐레이션(20)을 장착한다. 이때, 후드 인슐레이션(20)은 엔진과 마주하는 후드(10) 면에 장착해야 하므로, 중력을 받아 엔진 위로 후드 인슐레이션(20)이 떨어지지 않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클립을 자주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 제20-1997-0042084호
자동차의 엔진 후드 및 트렁크 리드의 저면에 면접되어 설치되는 인슐레이션의 결속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속클립의 머리부 저면에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십자형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저면부에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따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인슐레이션을 결속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진 후드 및 트렁크 리드용 인슐례이션의 결속클립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원형의 머리부, 이 머리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단부에서 십자향으로 갈라져 저면에 걸림 돌기가 다수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 및 민자형으로 된 한 쌍의 보조걸림부가 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0173610호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쉽고 고정상태 시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후드가 흔들려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자동차의 후드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후드의 고정시에도 후드의 일단부가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드 고정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자동차의 후드 고정 클립에서, 소정크기를 갖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소정 크기의 평판 형상을 가진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상면에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진 고정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스냅돌기와; 상기 받침판부와 고정부 내부에 각각 내장되는 복수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0402114호
자동차의 엔진 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에 관한 것으로, 후드 인너패널과 인슐레이션 패드의 체결 홀에 끼워지도록 그 상측에는 화살촉 형상을 가진 탄성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양측 하부 끝단에는 상기 후드 인너패널의 체결 홀에 록킹되도록 걸림 턱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심 하부 끝단에는 걸림 턱의 록킹을 유지하도록 탄성의 지지 편이 연장 형성된 자동차의 엔진 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의 직하방에는 상기 걸림 턱의 록킹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록킹 해제홀이 형성된다.
하지만, 기존 클립을 이용하여 후드 인슐레이션을 장착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하나의 후드 인슐레이션에는 여러 개의 클립으로 고정해야 하는 데, 클립으로 고정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조립에 따른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2) 즉, 클립은 후드 인슐레이션에 끼운 상태에 고정한 상태에서 후드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억지로 끼워서 장착해야 하는데, 후드 인슐레이션에는 [도 2]에서 붉은 원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많은 개수의 클립을 후드 인슐레이션을 통과하게 한 다음 후드에 고정해야 한다.
(3) 특히, 클립은 하나씩 그 끝을 후드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맞춘 상태에서 강제로 끼워서 장착 고정해야 하므로, 소정의 힘 이상으로 클립을 눌러야 후드에 후드 인슐레이션을 장착할 수 있다.
(4) 이에, 차량의 크기에 따라 후드 인슐레이션의 크기가 넓을수록 더 많은 개수의 클립을 이용해야 하므로, 그 넓이에 비례하여 후드 인슐레이션을 장착하는 시간도 더 길어져서 조립 효율을 떨어뜨리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5) 이때, 클립은 후드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맞춰서 조립해야 하므로, 장착 구멍에 클립을 맞추는 데 어려움이 있고, 장착 구멍에 클립이 맞지 않으면 후드 장착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1997-0042084호 (공개일 : 1997.07.29) 한국등록특허 제0173610호 (공개일 : 1998.10.30) 한국등록특허 제0402114호 (공개일 : 2003.10.0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부분을 거치대를 이용하여 쉽게 후드 인슐레이션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에 사용하던 고가의 클립 사용을 최소화하고 거치대 장착을 위한 삽입 구멍의 형성으로 후드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비를 개선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거치대 한쪽을 후드에 끼워서 고정하고 다른 한쪽으로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거치대를 이용하여 후드 인슐레이션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를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전체에 여러 개를 구성하거나, 일부 구간 또는 거치대와 기존 클립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클립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과 중량 절감 효과를 높이면서도 후드 인슐레이션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는,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후드(100)에 밀착하게 장착하되,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후드(100) 둘레에는 여러 개의 삽입 구멍(110)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구멍(110)에는 거치대(200)의 한쪽을 끼워서 고정하되, 거치대(200)의 다른 한쪽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고정 지지하거나 일체로 부착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은, 가장자리 전체를 여러 개의 거치대(200)로 고정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은, 가장자리 전체를 거치대(200)와 클립으로 고정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거치대(200)는,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지지하는 한쪽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에 부착하거나 강제로 압착하게 하여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거치대로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를 거치하여 고정 지지하게 하므로, 쉽고 신속하게 후드 인슐레이션을 후드에 장착할 수 있다.
(2) 특히, 기존 후드 인슐레이션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클립과 비교하여 가벼우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거치대를 이용하므로, 연비를 향상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또한, 낱개로 하나씩 장착 구멍에 끼워 맞춰서 강제로 고정해야 하는 기존 클립과 비교하여 거치대로 쉽고 편리하게 후드 인슐레이션을 후드에 장착할 수 있다.
(4) 이때, 거치대는 후드에 형성한 삽입 구멍에 끼워서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구성하므로, 후드에 거치대를 쉽게 고정하여 쉽고 편리하게 후드 인슐레이션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5) 한편, 이러한 거치대는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지지 고정하게 할 수도 있고, 기존 클립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후드 인슐레이션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은 거치대로 지지하게 하고, 하중이 무거운 부분은 클립으로 지지 고정하게 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6) 또한, 후드에 삽입 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그 크기만큼 후드 중량을 줄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후드 인슐레이션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클립으로 후드에 후드 인슐레이션을 고정하는 종래 클립의 장착 위치를 붉은 원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후드 인슐레이션을 거치대로 후드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후드 인슐레이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로 후드에 고정하여 후드 인슐레이션을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3]의 "A-A"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로 후드에 후드 인슐레이션을 고정한 상태를 붉은 격자 형태로 표시하여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후드(100)에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밀착하게 장착하되, 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 부분은 거치대(200)를 이용하여 후드(100)에 거치할 수 있게 장착한 것이다.
특히, 상기 거치대(200)는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 전체를 거치하게 하거나, 기존 클립과 함께 사용하여 거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거치대(200)로 쉽게 거치하여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고정 지지하면서도 후드 인슐레이션(120)이 엔진 위로 떨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는 한쪽을 후드(100)에 형성한 삽입 구멍(110)에 끼워서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지지 고정하거나 일체로 부착 구성하므로, 거치대(200)를 쉽게 후드(100)에 고정하면서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드>
후드(1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룸을 덮어서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특히, 상기 후드(10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엔진과 마주하는 면에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밀착하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은 중간 부분을 후드(100)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클립으로 고정하여 때에 따라 쉽게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드(10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밀착하게 장착한 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 주변에 여러 개의 삽입 구멍(110)을 관통 성형한다. 삽입 구멍(110)은 후술할 거치대(200)의 한쪽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구멍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치대(200)의 한쪽 끝을 강제로 끼워서 빠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후드(100)는 삽입 구멍(110)을 형성하는 만큼 중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엔진과 마주하는 후드(100) 면에 밀착하게 장착하여, 엔진룸에서 발생한 소음이 후드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소음이 엔진룸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인슐레이션을 사용한다.
이러한 후드 인슐레이션은 흡음과 차음과 같은 소음 성능과 더불어 엔진에서 발생한 열기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
거치대(2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삽입 구멍(110)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삽입 부분(210)을 구성한다. 이때, 거치대(200)는 이 삽입 부분(210)을 삽입 구멍(110)에 끼워서 상술한 후드 인슐레이션(120)이 엔진 쪽으로 처지는 힘을 통해 삽입 구멍(1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거치대(200)는 삽입 부분(210)이 상술한 삽입 구멍(110)에 강제로 삽입 고정하여 빠지지 않게 구성하므로, 자동차가 주행할 때 전해지는 진동에도 삽입 구멍(110)에서 거치대(200)가 빠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는 다른 한쪽에, [도 4]와 같이, 가압 부분(220)을 돌출 형성한다. 가압 부분(220)은 후드(100)에 밀착하게 설치한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를 후드(100)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후드(100)에서 후드 인슐레이션(120)이 바깥쪽으로 밀려나거나 거치대(2000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부분(220)은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에 부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후드(100)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삽입 부분(210)을 삽입 구멍(110)에 강제로 끼워넣으면 쉽고 신속하게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후드(100)에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200)는, [도 3]과 같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를 지지 고정할 수 있게 여러 개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사용한다. 이때, 거치대(200)는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배치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종래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고정하는 클립과 함께 사용하여 후드(100)에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지지 고정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후드에 거치대(붉은 격자로 표시)로 후드 인슐레이션을 지지 고정하게 하고,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중간에 클립으로 고정한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클립은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에서 거치대 사이에 작은 원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거치대 한쪽을 후드에 끼워서 고정하고 다른 한쪽으로 후드 인슐레이션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 클립을 대신하여 후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부분을 거치대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거치대를 사용하는 만큼 클립 사용을 줄일 수 있어 중량 감소와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거치대를 고정하는 삽입 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그만큼 중량 감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 후드
110 : 삽입 구멍
120 : 후드 인슐레이션
200 : 거치대
210 : 삽입 부분
220 : 가압 부분

Claims (4)

  1.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후드(100)에 밀착하게 장착하되,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후드(100) 둘레에는 여러 개의 삽입 구멍(110)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구멍(110)에는 거치대(200)의 한쪽을 끼워서 고정하되, 거치대(200)의 다른 한쪽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고정 지지하거나 일체로 부착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은,
    가장자리 전체를 여러 개의 거치대(200)로 고정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후드 인슐레이션(120)은,
    가장자리 전체를 거치대(200)와 클립으로 고정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거치대(200)는,
    후드 인슐레이션(120)을 지지하는 한쪽이 후드 인슐레이션(120)에 부착하거나 강제로 압착하게 하여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KR1020180066963A 2018-06-11 2018-06-11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KR10201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63A KR102012216B1 (ko) 2018-06-11 2018-06-11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63A KR102012216B1 (ko) 2018-06-11 2018-06-11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216B1 true KR102012216B1 (ko) 2019-08-20

Family

ID=6780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63A KR102012216B1 (ko) 2018-06-11 2018-06-11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09B1 (ko) 2020-07-21 2021-10-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KR102317508B1 (ko) 2020-07-21 2021-10-2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544Y1 (ko) * 1994-09-06 1997-03-14 엘지산전 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의 급속체결장치
KR970042084U (ko) 1995-12-13 1997-07-29 자동차 엔진후드 및 트렁크리드용 인슐레이션의 결속클립
KR0173610B1 (ko) 1995-12-29 1999-05-01 김태구 자동차의 후드 고정 클립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KR20120018551A (ko) * 2010-08-23 2012-03-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
JP2013001299A (ja) * 2011-06-20 2013-01-07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のフードへのインシュレータ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544Y1 (ko) * 1994-09-06 1997-03-14 엘지산전 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의 급속체결장치
KR970042084U (ko) 1995-12-13 1997-07-29 자동차 엔진후드 및 트렁크리드용 인슐레이션의 결속클립
KR0173610B1 (ko) 1995-12-29 1999-05-01 김태구 자동차의 후드 고정 클립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KR20120018551A (ko) * 2010-08-23 2012-03-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
JP2013001299A (ja) * 2011-06-20 2013-01-07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のフードへのインシュレータ取付け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09B1 (ko) 2020-07-21 2021-10-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KR102317508B1 (ko) 2020-07-21 2021-10-2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216B1 (ko)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US6926237B2 (en) Vibration damping clip
US20110260025A1 (en) Carpet clamp
US20040188571A1 (en) Retaining clip for fixing at least one line to a support
US20070057538A1 (en) Visor attachment member
CN103381760A (zh) 紧固夹
CN101320893A (zh) 线束保护结构
US20050098374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JPH1189665A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US20070216180A1 (en) Front cowl trim for headlights
KR102144756B1 (ko)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JP3595956B2 (ja) 自動車のルームランプ装置
JPS6030571B2 (ja) 自動車用グリル取付構造
CN103162243B (zh) 灯具防震器及含有该灯具防震器的灯具
JPH0716494U (ja) スピーカの取付構造
KR20230172881A (ko)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터 마운팅 부재
KR20010061250A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CN114056241B (zh) 一种固定件及具有其的手套箱
CN210083104U (zh) 一种汽车格栅密封条
JP5564698B2 (ja) 自動車用牽引フック格納構造
KR102347748B1 (ko) 자동차용 튜브 홀딩 장치
KR100191773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19980050871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JPH08318866A (ja) リザーバタンクの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