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56B1 -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56B1
KR102144756B1 KR1020190050261A KR20190050261A KR102144756B1 KR 102144756 B1 KR102144756 B1 KR 102144756B1 KR 1020190050261 A KR1020190050261 A KR 1020190050261A KR 20190050261 A KR20190050261 A KR 20190050261A KR 102144756 B1 KR102144756 B1 KR 10214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insulation
panel
insula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5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2013/0807Arrangements of fasteners or clip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드에 미리 자석을 갖춘 브래킷을 조립하므로, 브래킷을 패널에 형성한 장착 돌기에 끼우면 자력으로 브래킷이 패널에 밀착하여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마주하게 한 다음 서로 누르면 쉽게 브래킷을 조립하고 이 브래킷을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드를 자력으로 패널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INSUL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슐레이션 패드에 미리 자석을 갖춘 브래킷을 장착하고, 이 브래킷을 패널에 형성한 장착 돌기에 끼움에 따라 자력을 이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흡차음 성능과 더불어 이음을 줄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인슐레이션을 장착한다. 예를 들어, 엔진 후드, 플로어 패널, 트렁크 내부, 대시 패널 등 자동차의 엔진룸이나 자동차 하부 그리고 자동차 주변에서 자동차 실내로 소음과 이음의 유입을 차단하고, 자동차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서 발생한 소음 등이 새어나오지 않게 다양한 인슐레이션을 사용한다. 이러한 인슐레이션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패널 등에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402114호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에 관한 것으로, 후드 인너패널과 인슐레이션 패드의 체결 홀에 끼워지도록 그 상측에는 화살촉 형상을 한 탄성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양측 하부 끝단에는 상기 후드 인너 패널의 체결 홀에 록킹되도록 걸림 턱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심 하부 끝단에는 걸림 턱의 록킹을 유지하도록 탄성의 지지 편이 연장 형성된 자동차의 엔진 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에서, 상기 걸림 턱의 직하방에는 상기 걸림 턱의 록킹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록킹 해제 홀이 형성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186981호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펜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구조에서, 상기 펜더 인슐레이터가 상기 펜더 패널에 결합하도록, 상기 펜더 인슐레이터의 일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펜더 패널에 형성된 결합 홀에 끼움 결합이 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와,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53576호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에 형성된 거치 구멍에 마운팅 클립을 장착하고, 이 마운팅 클립 중앙에 대시 패널에 장착된 볼트가 위치하도록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이 처지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용 마운팅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처럼 볼트가 마운팅 클립의 중앙 위치에 끼워져서 결과적으로 거치 구멍의 중심 부분에 놓이게 구성함으로써,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가 거치 구멍의 주변을 골고루 가압할 수 있게 하여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에 골고루 분산 가압하여 체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용 마운팅 클립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볼트에 끼워지는 나사 부분을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에 고정해 주기 위해 체결되는 너트 부분을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 플랜지에 절개 면을 형성함으로써, 나사 부분이 너트 부분에 쉽게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어느 정도 이상 체결이 되면 안정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마운팅 클립이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용 마운팅 클립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처럼 기존 인슐레이션을 패널 등에 장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패널 등에 인슐레이션을 대고 나사 체결 방식이나 클립을 맞대고 눌러서 조립해야 한다. 이에, 작업자가 클립을 손으로 누르거나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2) 이에, 작업자는 같은 작업을 계속해서 반복해야 하므로, 손목에 무리가 올뿐만 아니라 작업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조립에도 어려움이 있다.
(3) 특히, 인슐레이션이 다층으로 구성하거나 조금 딱딱하게 제작하여 손으로 누르기 어려울 때는 하나의 클립이나 고정수단을 조립하는 데도 더 긴 시간이 걸린다.
(4) 한편, 하나의 인슐레이션은 여러 개의 클립이나 고정수단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이처럼 반복적인 작업으로 피로도가 높아지고 이에 정해진 위치에 클립이나 고정수단을 제대로 조립하지 못해 조립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5) 또한, 클립이나 고정수단을 조립하더라도 제대로 조립하지 않으면 진동이나 다른 작업을 위해 이송하는 동안 또는 출고 후 주행할 때 발생한 진동 등에 의해 클립이나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고정이 해제되어 품질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402114호 (등록일 : 2003.10.02) 한국등록특허 제1186981호 (등록일 : 2012.09.24) 한국등록특허 제1653576호 (등록일 : 2016.08.2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인슐레이션 패드에 미리 자석을 갖춘 브래킷을 조립하므로, 브래킷을 패널에 형성한 장착 돌기에 끼우면 자력으로 브래킷이 패널에 밀착하여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마주하게 한 다음 서로 누르면 쉽게 브래킷을 조립하고 이 브래킷을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드를 자력으로 패널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는, 패널(100)에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장착하는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에서, 인슐레이션 패드(200)에 형성한 여러 개의 장착 구멍(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패널(100)에 각각 장착 돌기(11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장착 구멍(210)에는 양쪽에 각각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이 서로 마주하여 맞물리게 하여 서로 고정하게 하고, 어느 하나의 제1 브래킷(220')에는 자석(221)을 갖추되, 상기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장착 돌기(110)에 끼움에 따라 상기 자석(221)이 패널(100)에 자력으로 부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브래킷(2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장착 돌기(110)를 끼울 수 있게 실린더 형상으로 제1장착 부분(222)을 돌출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 끼운 자석(221)을 수납하여 장착할 수 있게 플랜지(224)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는 밖으로 돌출한 선단 부분의 내부 가장자리에 제1 턱(223)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2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장착 돌기(110)를 끼울 수 있게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 끼워지게 제2장착 부분(225)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2장착 부분(225)의 돌출한 선단에는 외주에 상기 제1 턱(223)에 걸려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제2 턱(226)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인슐레이션 패드(200)에 맞닿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27)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장착 부분(225)은, 밖으로 돌출 형성한 선단 부분의 내부가 바깥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인슐레이션 패드에 장착한 브래킷에 갖춘 자석을 이용하여 자석으로 인슐레이션 패드를 장착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인슐레이션 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2) 특히, 인슐레이션 패드에 장착한 브래킷을 장착 돌기에 끼우면 자력으로 브래킷이 패드에 부착하여 인슐레이션 패드를 장착하게 하므로,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면서도 숙련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인슐레이션 패드를 조립할 수 있다.
(3) 하나의 인슐레이션 패드에는 장착하는 위치와 그 중량 등에 따라 여러 개의 브래킷으로 장착하더라도 브래킷을 장착 돌기에 끼우는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4) 한편, 좁은 공간에서 공구를 사용할 수 없거나 장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 조립할 때도 브래킷만 장착 돌기에 끼울 수만 있으면 바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효율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5) 두께가 두껍거나 중량이 많이 나가는 인슐레이션 패드를 조립할 때도 조립에 시간이 걸리지 않으므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인슐레이션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로 인슐레이션 패드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장착 구조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인슐레이션 패드에 제1 및 제2 브래킷을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인슐레이션 패드에 제1 및 제2 브래킷을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로, (a)는 인슐레이션에 조립하기 전 상태를, (b)는 조립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한 브래킷을 이용하여 인슐레이션을 패널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한 브래킷을 이용하여 인슐레이션을 패널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인슐레이션 패드(200)에 형성한 장착 구멍(210) 양쪽에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마주하여 조립하고, 조립한 브래킷을 상기 장착 구멍(210)과 마주하도록 패널(100)에 형성한 장착 돌기(110)에 끼워서 자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 브래킷(220')에는 자석(221)을 갖춤으로써, 조립할 때 이 자석(221)이 패널(100)에 자력으로 부착하게 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패널
패널(100)은, [도 1]·[도 2] 및 [도 8]과 같이, 후술할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장착하기 위한 패널이다.
이때, 상기 패널(100)은 통상적으로 자동차를 구성하는 프레임처럼 금속과 같이 자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한다.
한편, 상기 패널(100)에는, [도 1]·[도 2] 및 [도 8]과 같이,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고정할 수 있게 여러 개의 장착 돌기(110)를 형성한다. 이때, 장착 도기(210)는 인슐레이션 패드(200)의 가장자리에 여러 개를 구성하거나 가장자리와 중앙 부분 등 패널(100)에 장착한 인슐레이션 패드(200)가 중력을 받아 아래로 처지지 않으면서도 정해진 형태로 패널(100)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가 되게 여러 개의 장착 돌기(110)를 돌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돌기(110)는 금속과 같이 자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자력으로 조립할 때 패널(100)이 금속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패널(100)을 금속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이 장착 돌기(110)에 부착하여 고정하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패널(100)에는, [도 1]·[도 2] 및 [도 8]과 같이, 후술할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장착한다.
나. 인슐레이션 패드
인슐레이션 패드(200)는, [도 1]·[도 2]·[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장착 돌기(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 구멍(2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인슐레이션 패드(20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흡음과 차음 그리고 이음 등을 줄일 수 있도록 자동차에 장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착 구멍(220)에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장착 돌기(110)에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쪽에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장착한다.
1. 제1 브래킷
제1 브래킷(220')은, [도 2]·[도 3]·[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장착 구멍(210)의 한쪽 면에 장착한다. 도면에서, 상기 제1 브래킷(220')은 패널(100)과 마주하는 장착 구멍(210) 면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보여준다.
특히, 상기 제1 브래킷(220')은 [도 3]·[도 5]·[도 6] 및 [도 8]과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한쪽 면에는 상술한 장착 돌기(110)를 끼울 수 있도록 제1장착 부분(222)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1장착 부분(222)은 실린더 형상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내부에는 상기 장착 돌기(110)를, 외부에는 자석(221)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는, [도 3]·[도 6] 및 [도 8]과 같이, 바깥으로 돌출한 선단 내주에 제1 턱(223)을 돌출 형성한다. 제1 턱(223)은 후술할 제2 턱(226)이 걸리게 하여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하나로 조립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래킷(220')은 [도 3]·[도 5]·[도 6] 및 [도 8]과 같이,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24)를 돌출 형성한다. 플랜지(224)는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 끼워서 설치하는 자석(221)의 외주를 감싸서 빠지지 않게 고정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자석(221)은, [도 2]·[도 6] 및 [도 8]과 같이, 상술한 제1장착 부분(222)과 플랜지(224) 사이에 장착하게 되는 데, 이때 자석(221)은 이들 제1장착 부분(222)과 플랜지(224) 사이에 강제로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장착하거나, 턱 등을 형성하여 턱에 걸려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장착한다. 이러한 자석(221)은 상기 제1 브래킷(220')이 패널(100)에 밀착하여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자력으로 고정했을 때 이 인슐레이션 패드(200)가 장착 돌기(110)에서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을 정도의 자력을 가진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2. 제2 브래킷
제2 브래킷(220")은, [도 2]·[도 4]·[도 7] 및 [도 8]과 같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제2장착 부분(225)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2장착 부분(225)은 내부에 상기 장착 돌기(110)가 끼워지게 하고 외부가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 끼워지게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제2장착 부분(225)은, [도 2] 및 [도 8]과 같이, 밖으로 돌출한 선단 외주에 제2 턱(226)을 돌출 형성한다. 제2 턱(226)은 제2장착 부분(225)을 제1장착 부분(222)에 끼움에 따라 제1 턱(223)에 걸려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일체로 결합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장착 부분(225)은, [도 4(c)] 및 [도 8]과 같이, 밖으로 돌출한 선단은 장착 돌기(110)가 끼워지는 내부가 바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착 돌기(110)에 브래킷을 끼울 때 장착 돌기(110)가 쉽게 제2장착 부분(225)으로 유도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브래킷(220')에는, [도 4] 및 [도 8]과 같이, 상기 인슐레이션 패드(200)에 맞닿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27)를 돌출 형성한다. 가압 돌기(227)는 장착 구멍(210)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조립함에 따라 이 가압 돌기(227)가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가압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압 돌기(227)는 폭 단면이 쐐기 형태로 하고 전체적으로 링 형상이 되게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드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조립할 때 어느 하나에 자석을 끼워서 일체로 조립하므로,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브래킷을 패널에 형성한 장착 돌기에 끼우면 자석이 패널에 자력을 이용하여 달라붙게 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100 : 패널
110 : 장착 돌기
200 : 인슐레이션 패드
210 : 장착 구멍
220': 제1 브래킷
220" : 제2 브래킷
221 : 자석
222 : 제1장착 부분
223 : 제1 턱
224 : 플랜지
225 : 제2장착 부분
226 : 제2 턱

Claims (4)

  1. 삭제
  2. 패널(100)에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장착하는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에서,
    인슐레이션 패드(200)에 형성한 여러 개의 장착 구멍(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패널(100)에 각각 장착 돌기(11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장착 구멍(210)에는 양쪽에 각각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이 서로 마주하여 맞물리게 하여 서로 고정하게 하고, 어느 하나의 제1 브래킷(220')에는 자석(221)을 갖추되, 상기 제1 브래킷(220')과 제2 브래킷(220")을 장착 돌기(110)에 끼움에 따라 상기 자석(221)이 패널(100)에 자력으로 부착하게 하며,
    상기 제1 브래킷(2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장착 돌기(110)를 끼울 수 있게 실린더 형상으로 제1장착 부분(222)을 돌출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 끼운 자석(221)을 수납하여 장착할 수 있게 플랜지(224)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는 밖으로 돌출한 선단 부분의 내부 가장자리에 제1 턱(223)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제2 브래킷(2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장착 돌기(110)를 끼울 수 있게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장착 부분(222)에 끼워지게 제2장착 부분(225)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2장착 부분(225)의 돌출한 선단에는 외주에 상기 제1 턱(223)에 걸려 인슐레이션 패드(200)를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제2 턱(226)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인슐레이션 패드(200)에 맞닿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27)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제2장착 부분(225)은,
    밖으로 돌출 형성한 선단 부분의 내부가 바깥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KR1020190050261A 2019-04-30 2019-04-30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KR10214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61A KR102144756B1 (ko) 2019-04-30 2019-04-30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61A KR102144756B1 (ko) 2019-04-30 2019-04-30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756B1 true KR102144756B1 (ko) 2020-08-18

Family

ID=7229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61A KR102144756B1 (ko) 2019-04-30 2019-04-30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03B1 (ko) * 2021-11-29 2023-05-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대시 인슐레이션용 장착 클립
KR20230172881A (ko) 2022-06-16 2023-12-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터 마운팅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JP2011158071A (ja) * 2010-02-03 2011-08-1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部材取付構造
KR101186981B1 (ko) 2010-08-23 2012-09-2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
KR101653576B1 (ko) 2015-08-12 2016-09-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용 마운팅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JP2011158071A (ja) * 2010-02-03 2011-08-1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部材取付構造
KR101186981B1 (ko) 2010-08-23 2012-09-2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
KR101653576B1 (ko) 2015-08-12 2016-09-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대시 패널 인슐레이션용 마운팅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03B1 (ko) * 2021-11-29 2023-05-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대시 인슐레이션용 장착 클립
KR20230172881A (ko) 2022-06-16 2023-12-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터 마운팅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756B1 (ko)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US794094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loudspeaker
US7810598B2 (en) Engine cover
KR20070102957A (ko) 배관 고정 구조
US2288172A (en) Sound deadening connection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KR102496191B1 (ko) 자동차용 변속기 마운트
KR101887387B1 (ko) 절곡된 고정용 돌기를 가지는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US20080116700A1 (en) Crowned Striker Mounting Plate
KR1009027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JP2005036762A (ja) ポンプの取付部材および取付構造
JPH02309028A (ja) 2部材の結合構造
CN111663875A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KR102247758B1 (ko) 자동차용 대쉬 아우터의 조립 구조
KR20190054291A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와이어링을 장착하는 구조
JPH0629134Y2 (ja) ラジエータグリル取付構造
JPH041330Y2 (ko)
JPH0921366A (ja) レゾネータの取付構造
KR100334271B1 (ko) 다이내믹 댐퍼와 리프스프링의 취부구조
JPH10159727A (ja) 車輌用電動圧縮機
KR200165117Y1 (ko)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KR100528009B1 (ko)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KR100456946B1 (ko) 버스용 내부덮개 구조
JP2004029513A (ja) 吸音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20090077474A (ko) 자동차의 댐퍼 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