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117Y1 -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117Y1
KR200165117Y1 KR2019970007432U KR19970007432U KR200165117Y1 KR 200165117 Y1 KR200165117 Y1 KR 200165117Y1 KR 2019970007432 U KR2019970007432 U KR 2019970007432U KR 19970007432 U KR19970007432 U KR 19970007432U KR 200165117 Y1 KR200165117 Y1 KR 200165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horn
holder
fixing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003U (ko
Inventor
박진기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07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11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경음기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규격화된 홀더(3)에 의한 경음기의 장착 방법은 엔진룸 내부부품간의 장착위치 간섭상황에 따른 장착위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경음기를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경음기본체(1)에 너트(4)로 고정된 홀더(3)에 고정브라켓트(5)를 신설하여 이 고정브라켓트(5)에 의해 경음기가 엔진룸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바, 상기 고정브라켓트(5)는 차량측에 체결되는 제1평면(a)과 홀더(3)에 체결되는 제2평면(b)이 서로 다른 평면을 이루도록 일측으로 굽힘(벤딩)되고, 각각의 평면(a,b)에는 체결공(51,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평면(a)의 체결공(51)에는 너트(6)가 부착되고, 상기 제2평면(b)은 대략 “ㄴ자형”평면으로 형성되어 끝단은 상기 제1평면(a)의 반대방향으로 굽힙된 고정돌기(55)로 형성되며, 제2평면(b) 상에 응력집중에 대한 보강을 위해 리브(53,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경음기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경음기는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어 주행중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경보음(경적)을 발생시켜 주위를 환기시킴으로써 보행자와의 접촉사고등 돌발적인 사고를 미연해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에 장착된 후 주행상태에서 음압 측정시 93데시벨(DB)이상의 음압이 발생해야 경음기로써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차량 검사시 상기 규정에 의해 음압규격을 통과해야만이 출하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음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음기본체(1)와, 이 경음기본체(1)에 부설되는 전기흐름 통로인 콘넥터(2)와, 상기 경음기본체(1)에 너트(4)로 고정된 홀더(3)로 구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3)가 체결구(도시안됨)에 의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고정되므로써 장착되었다.
여기서, 상기 홀더(3)는 길이가 긴 직사각의 판형으로 되어 이 홀더(3)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체결공(31,32)이 형성되고, 일측 체결공(31)에는 경음기본체(1)가 너트(4)로 고정되어 체결되며, 다른 일측 체결공(32)은 체결구(도시안됨)에 의해 엔진룸 내부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홀더(3)의 길이가 대체적으로 규격화되어 엔진룸 내부에 경음기를 장착하는데 공간적인 제한을 받게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최근의 차량은 엔진룸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복잡하게 꽉 들어차 있어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바, 공간 확보가 조금 더 용이한 엔진룸 뒤쪽에 경음기를 장착하게 되면, 경음기 앞쪽으로 많은 부품들이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음기에서 발생한 경보음이 상기 많은 부품들에 부딪혀 음압이 떨어지게 되어 경보음이 멀리 전달되지 못하고 또한 음압규격(93데시벨 이상)에도 불합격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통상 차량 테스트시 음압규격에 합격하기 용이하도록 경음기를 엔진룸 앞쪽에 장착하게 되는 바, 엔진룸 앞쪽에는 라디에이터등 많은 부품들이 몰려 있어 장착시 부품간에 장착위치 간섭이 심하게 된다.
특히, 경음기 장착시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3)의 길이가 통상 규격화되어 있어 장착위치 공간에 따른 부품간 간섭이 심하게 발생하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홀더(3)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정하여 길게할 경우에는 홀더(3)가 차량 진동을 크게 받게 되고, 이에 홀더(3)에 체결된 경음기가 많은 진동을 받게 되어 경음기의 음색 및 음압이 떨어짐은 물론 경음기 자체의 수명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홀더(3)에 의한 경음기의 장착 방법은 엔진룸 내부 부품간의 장착위치 간섭상황에 따른 장착위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경음기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브라켓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고정브라켓트는 엔진룸 내부 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 성형되어 종래의 홀더에 볼트 및 너트 고정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홀더가 경음기본체에 너트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트의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트가 홀더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 방향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음기본체 2 : 콘넥터
3 : 홀더 4,6 : 너트
5 : 고정브라켓트 7 : 볼트
31,32,51,52 : 체결공 53,54 : 리브
55 : 고정돌기 a : 제1평면
b : 제2평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트의 예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트가 홀더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3도의 A방향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음기본체(1)에 홀더(3)가 체결되어 홀더(3)에 의해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홀더(3)에 고정브라켓트(5)를 신설하여 홀더(3)가 아닌 고정브라켓트(5)를 차량측에 체결고정함으로써 경음기가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고정브라켓트(5)는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간의 장착위치 간섭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가 가능한 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측에 체결되는 제1평면(a)과 홀더(3)에 체결되는 제2평면(b)이 서로 다른 평면을 이루도록 일측으로 일정길이로 굽힘(벤딩)되고, 상기 각각의 평면(a)(b)에는 체결공(51,5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브라켓트(5)의 차량측에 체결되는 평면을 제1평면(a), 홀더(3)에 체결되는 평면을 제2평면(b)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제1평면(a)의 체결공(51)에는 차량 부착시 부착이 용이하도록 너트(8)가 체결공(51)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평면(b)은 홀더(3)의 부착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타부품과의 간섭을 피할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곡선을 주어 대략 “ㄴ자형”평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끝단이 상기 제1평면(a)의 반대방향으로 굽힘되어 고정돌기(55)가 형성되고, 차량의 진동 및 응력집중에 대한 보강을 위해 리브(53,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제1평면(a)과 제2평면(b)의 굽힘정도(굽힘각)은 엔진룸 내부의 부품간 간섭상황에 따라 고정브라켓트(5) 성형시에 조정 가능하고, 제2평면(b)에 주어지는 곡선 또한 엔진룸 내부 상황에 따라 성형시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음기를 엔진룸 내부에 장착하고자 할 때, 우선 홀더(3)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31)에 경음기본체(1)를 너트(4)로 고정하고, 그런 다음 홀더(3)의 다른 일측 체결공(32)과 제2평면(b)의 체결공(52)을 일치시켜 볼트(7) 및 너트(6)로 고정하여 고정브라켓트(5)를 홀더(3)에 신설한 후 고정브라켓트(5) 제1평면(a)의 체결공(51) 및 미리 부착된 너트(8)에 체결구(도시안됨)를 체결하여 차량측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평면(b)과 홀더(3) 고정시에 홀더(3)가 제2평면(b)에 형성된 응력집중보강 리브(54)와 고정돌기(55)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7) 및 너트(6)로 고정됨으로써 좌우로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엔진룸 내부 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되는 고정브라켓트가 홀더에 신설되므로써, 엔진룸 내부의 부품간 간섭을 피해 경음기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부착방향 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차량용 경음기를 고정브라켓트(5)에 의해 차량의 엔진룸 내 차체에 고정설치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내의 차체 일측에 체결되는 제1평면(a)과, 홀더(3)에 체결되는 제2평면(b)이 서로 다른 평면을 이루도록 일측으로 절곡형성하고 상기 각 평면(a)(b)에는 체결공(51)(52)을 형성하며 상기 제2평면(b)은 ㄴ자형 평면으로 형성하고 이의 내측면상에 응력집중 보강리브(53)(54)를 형성하며 상기 제2평면(b)의 끝단이 상기 제1평면(a)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돌기(55)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브라켓트(5)를 구성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a)의 체결공(51) 일측에는 너트(8)를 부착시키고 이에 차체측에 설치되는 체결구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브라켓트(5)를 설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KR2019970007432U 1997-04-10 1997-04-10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KR200165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432U KR200165117Y1 (ko) 1997-04-10 1997-04-10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432U KR200165117Y1 (ko) 1997-04-10 1997-04-10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03U KR19980063003U (ko) 1998-11-16
KR200165117Y1 true KR200165117Y1 (ko) 2000-03-02

Family

ID=1949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432U KR200165117Y1 (ko) 1997-04-10 1997-04-10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740A (zh) * 2016-03-15 2016-08-03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行人喇叭及安装支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753B1 (ko) * 2017-12-29 2019-04-17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740A (zh) * 2016-03-15 2016-08-03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行人喇叭及安装支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03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5117Y1 (ko)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JP3666070B2 (ja) フレーム付車両の車体構造
JPH0921366A (ja) レゾネータの取付構造
KR100568718B1 (ko) 헤드램프의 마운팅 구조
KR200145384Y1 (ko) 포그램프 취부구조
KR200153911Y1 (ko) 버스용 에어 인테이크 그릴
KR20020049399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970002552Y1 (ko) 자동차의 뒤범퍼고정용 브라켓
JPH02204150A (ja) バンパ構造
KR100271882B1 (ko) 자동차의 엠블렘 일체화 본네트 스트라이커
KR100323917B1 (ko) 윈드 실드 글라스의 진동 방지판
KR19980030602U (ko) 자동차의 혼 장착구조
KR200154039Y1 (ko) 차량의 에어탱크 마운팅 구조
KR19980055495A (ko) 자동차의 범퍼 페이서 고정구
KR970008663B1 (ko) 화물차량의 에어덕트 취부구조
KR19980060255U (ko) 자동차용 엔진의 엔진 브라켓
KR960009999Y1 (ko) 자동차 뒷범퍼와 사이드 패널의 취부구조
KR960006314Y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유동방지 브라켓
KR19980052808A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KR20030083093A (ko) 버스용 스포일러
KR19980035909A (ko) 자동차의 러버 마운팅 조립구조
JPH09290770A (ja) 車両のホーンブラケット構造
KR19990018019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구조
JPH03273957A (ja) 自動車用バンパ
KR20050081254A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코듈의 라디에이터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