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685B1 -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685B1
KR102010685B1 KR1020177027543A KR20177027543A KR102010685B1 KR 102010685 B1 KR102010685 B1 KR 102010685B1 KR 1020177027543 A KR1020177027543 A KR 1020177027543A KR 20177027543 A KR20177027543 A KR 20177027543A KR 102010685 B1 KR102010685 B1 KR 10201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ard part
plate portion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805A (ko
Inventor
히로시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서, 케이스의 베이스는, 배판부와 횡판부와 종판부를 가지고 있다. 횡판부의 케이스 밖으로 면(面)하는 외면과, 종판부의 상하 방향의 횡판부측의 단면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배판부와 횡판부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은, 직선부와, 직선부의 종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 내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배판부에 대해서 횡판부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횡판부의 직선부에 면하는 면이, 배판부의 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操作盤), 또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승강장 조작반 등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중,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케이스가 엘리베이터 칸 실벽(돌출벽 또는 측면벽)에 매립되어 있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전면(前面) 이외의 부분이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 노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 실벽의 표면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고정하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케이스가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의장성이 낮다. 또, 엘리베이터 칸 실 벽이 의도하지 않게 변형한 경우, 케이스의 모서리부가 엘리베이터 칸 실 벽으로부터 들떠, 의복 또는 짐 등이 걸릴 가능성이 생긴다. 게다가, 케이스의 모서리부가 예리한 상태라면, 설치시에 엘리베이터 칸 실 벽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여, 작업성이 저하된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제어반 케이스에서는, 칸막이판의 측판부와 상판부와의 사이에 슬릿이 마련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1-217574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어반 케이스에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벽의 표면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고정하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면, 예리한 모서리부가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실벽이 의도하지 않게 변형된 경우에, 의복 또는 짐이 걸릴 가능성이 생긴다. 또, 설치시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예리한 모서리부의 노출을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베이스는, 벽에 고정되는 배판부(背板部)와, 배판부의 상하 방향의 단부로부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횡판부(橫板部)와, 배판부의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종판부(縱板部)를 가지고 있고, 배판부, 횡판부, 및 종판부는, 공통의 평판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고, 횡판부의 케이스 밖으로 면(面)하는 외면과, 종판부의 상하 방향의 횡판부측의 단면(端面)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고, 배판부와 횡판부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슬릿은, 횡판부의 폭방향의 종판부측의 단부로부터 횡판부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종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 내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배판부에 대해서 횡판부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횡판부의 직선부에 면하는 면이, 배판부의 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베이스는, 벽에 고정되는 배판부와, 배판부의 상하 방향의 단부로부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횡판부와, 배판부의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종판부를 가지고 있고, 배판부, 횡판부, 및 종판부는, 공통의 평판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고, 종판부의 케이스 밖으로 면(面)하는 외면과, 횡판부의 폭방향의 종판부측의 단면(端面)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고, 배판부와 종판부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슬릿은, 종판부의 상하 방향의 횡판부측의 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횡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 내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배판부에 대해서 종판부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종판부의 직선부에 면하는 면이, 배판부의 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L자형의 슬릿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절곡에 의해 생기는 구멍을 배판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예리한 모서리부의 노출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케이스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베이스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양측에는, 한 쌍의 돌출벽(3a, 3b)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벽(3a)에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이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은, 케이스(5)와, 케이스(5) 내에 조립된 복수의 조작반 기기를 가지고 있다.
조작반 기기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 6), 엘리베이터 칸 조작 버튼 장치(7), 및 제어 박스(도시하지 않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인디케이터(6)로서는, 예를 들면 LED 인디케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 버튼 장치(7)에는,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부터 조작되는 복수의 행선지 층지정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5)는, 폭치수(도 2의 좌우 방향의 치수) 보다도 높이 치수(도 2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크고, 두께 치수(도 3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폭치수 보다도 작은 세로로 긴 박형(薄型)의 외형(外形)을 가지고 있다.
또, 케이스(5)는, 돌출벽(3a)에 고정된 베이스(박스)(11)와, 베이스(11)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12)를 가지고 있다. 커버(12)는, 케이스(5) 내의 하부에서, 2개의 나사(13)에 의해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1)는, 돌출벽(3a)의 표면에 겹쳐져 고정되어 있는 배판부(111)와, 배판부(111)의 상단부로부터 커버(12)측(돌출벽(3a)과는 반대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베이스 상판부(112)와, 배판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커버(12)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베이스 하판부(113)와, 배판부(111)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커버(12)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4, 115)를 가지고 있다.
배판부(111), 베이스 상판부(112), 베이스 하판부(113), 제1 베이스 측판부(114),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5)는, 공통의 평판(平板)인 강판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판부(111)의 정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커버(12)는, 배판부(111)에 대향하는 정면부(121)와, 정면부(121)의 상단부로부터 베이스(11)측(돌출벽(3a)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커버 상판부(122)와, 정면부(121)의 하단부로부터 베이스(11)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커버 하판부(123)와, 정면부(121)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베이스(11)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커버 측판부(124, 125)를 가지고 있다.
커버 상판부(122)는, 베이스 상판부(112) 상에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제1 커버 측판부(124)는, 제1 베이스 측판부(114)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제2 커버 측판부(125)는,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커버 하판부(123)의 베이스(11)측의 단면(端面)은, 베이스 하판부(113)의 커버(12)측의 단면(端面)에 대향하고 있다. 케이스(5)의 하단부인 커버 하판부(123)에는, 나사(13)를 회전시키는 공구, 예를 들면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공구 삽입 구멍(123a)이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1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베이스 상판부(112)는, 케이스(5) 밖으로 면(面)하는 외면(外面)인 상판부 상면(112a)과, 케이스(5) 내에 면하는 내면(內面)인 상판부 하면(112b)과, 폭방향의 제1 단면(端面)(112c)과, 폭방향의 제2 단면(端面)(112d)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 하판부(113)는, 케이스(5) 밖으로 면하는 외면인 하판부 하면(113a)과, 케이스(5) 내에 면하는 내면인 하판부 상면(113b)과, 폭방향의 제1 단면(113c)과, 폭방향의 제2 단면(113d)을 가지고 있다.
하판부 상면(113b)은, 상판부 하면(112b)에 대향하고 있다. 상판부 상면(112a)은, 베이스 상판부(112)의 베이스 하판부(113)에 대향하는 면(상판부 하면(112b))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하판부 하면(113a)은, 베이스 하판부(113)의 베이스 상판부(112)에 대향하는 면(하판부 상면(113b))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제1 베이스 측판부(114)는, 케이스(5) 밖으로 면하는 외면인 제1 측판부 외면(114a)과, 케이스(5) 내에 면하는 내면인 제1 측판부 내면(114b)과, 상하 방향의 베이스 상판부(112)측의 단면(端面)인 제1 상단면(114c)과, 상하 방향의 베이스 하판부(113)측의 단면인 제1 하단면(114d)을 가지고 있다.
제2 베이스 측판부(115)는, 케이스(5) 밖으로 면하는 외면인 제2 측판부 외면(115a)과, 케이스(5) 내에 면하는 내면인 제2 측판부 내면(115b)과, 상하 방향의 베이스 상판부(112)측의 단면인 제2 상단면(115c)과, 상하 방향의 베이스 하판부(113)측의 단면인 제2 하단면(115d)을 가지고 있다.
제2 측판부 내면(115b)은, 제1 측판부 내면(114b)에 대향하고 있다. 제1 측판부 외면(114a)은, 제1 베이스 측판부(114)의 제2 베이스 측판부(115)에 대향하는 면(제1 측판부 내면(114b))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제2 측판부 외면(115a)은,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의 제1 베이스 측판부(114)에 대향하는 면(제2 측판부 내면(115b))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베이스 상판부(112)는, 제1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4, 115)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판부 상면(112a)과, 제1 상단면(114c)과, 제2 상단면(115c)은, 동일 수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상판부(112)의 제1 단면(112c)은, 제1 측판부 내면(114b)의 상단부에, 미소(微小)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베이스 상판부(112)의 제2 단면(112d)은, 제2 측판부 내면(115b)의 상단부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베이스 하판부(113)는, 제1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4, 115)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판부 하면(113a)과, 제1 하단면(114d)과, 제2 하단면(115d)은, 동일 수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하판부(113)의 제1 단면(113c)은, 제1 측판부 내면(114b)의 하단부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베이스 하판부(113)의 제2 단면(113d)은, 제2 측판부 내면(115b)의 하단부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의 횡판부는, 베이스 상판부(112) 및 베이스 하판부(113)이다. 실시 형태 1의 종판부는, 제1 베이스 측판부(114)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11)의 전개도, 도 7은 도 6의 V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5의 VI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부분의 배면도이다. 배판부(111)와 베이스 상판부(112)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제1 및 제2 슬릿(21, 22)이 마련되어 있다. 또, 배판부(111)와 베이스 하판부(113)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제3 및 제4 슬릿(23, 24)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슬릿(21, 22)은, 베이스(11)의 폭방향(도 6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슬릿(23, 24)은, 베이스(11)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슬릿(21)은, 베이스 상판부(112)의 폭방향(도 6의 좌우 방향)의 제1 베이스 측판부(114)측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상판부(112)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1 직선부(21a)와, 제1 직선부(21a)의 제1 베이스 측판부(114)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1 돌출부(21b)를 가지고 있다.
제2 슬릿(22)은, 베이스 상판부(112)의 폭방향의 제2 베이스 측판부(115)측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상판부(112)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2 직선부(22a)와, 제2 직선부(22a)의 제2 베이스 측판부(115)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2 돌출부(22b)를 가지고 있다.
제3 슬릿(23)은, 베이스 하판부(113)의 폭방향(도 6의 좌우 방향)의 제1 베이스 측판부(114)측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하판부(113)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3 직선부(23a)와, 제3 직선부(23a)의 제1 베이스 측판부(114)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3 돌출부(23b)를 가지고 있다.
제4 슬릿(24)은, 베이스 하판부(113)의 폭방향의 제2 베이스 측판부(115)측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하판부(113)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4 직선부(24a)와, 제4 직선부(24a)의 제2 베이스 측판부(115)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4 돌출부(24b)를 가지고 있다.
배판부(111)에 대해서 베이스 상판부(112) 및 베이스 하판부(113)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상판부(112)의 제1 및 제2 직선부(21a, 22a)에 면하는 면(面), 및 베이스 하판부(113)의 제3 및 제4 직선부(23a, 24a)에 면하는 면이, 배판부(111)의 돌출벽(3a)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다. 즉, 직선부(21a, 22a)의 베이스 상판부(112)측의 벽면과, 직선부(23a, 24a)의 베이스 하판부(113)측의 벽면은, 배판부(111)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직선부(21a, 22a, 23a, 24a)의 개방단(開放端)으로부터 돌출부(21b, 22b, 23b, 24b)까지의 길이(L1)(도 7)는, 판 두께의 3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23, 24)에 돌출부(23b, 24b)를 각각 마련한 것에 의해, 베이스 하판부(113)의 배판부(111)에 대한 절곡부의 중심선(C2)은, 제1 및 제2 하단면(114d, 115d) 보다도 W1만큼 상부로 어긋나 있다. 이것과 상하 대칭으로, 베이스 상판부(112)의 배판부(111)에 대한 절곡부의 중심선(C1)은, 제1 및 제2 상단면(114c, 115c) 보다도 W1만큼 하부로 어긋나 있다.
또, 제1 단면(112c, 113c) 및 제2 단면(112d, 113d)은, 제1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4, 115)의 배판부(111)에 대한 절곡부의 중심선(C3, C4)에 대해서, 베이스(11)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W2만큼 어긋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4)에서는, 배판부(111)와 베이스 상판부(112)와의 사이에 제1 및 제2 슬릿(21, 22)이 마련되어 있고, 배판부(111)와 베이스 하판부(113)와의 사이에 제3 및 제4 슬릿(23, 24)이 마련되어 있다. 또, 상판부 상면(112a)과, 제1 상단면(114c)과, 제2 상단면(115c)이, 동일 수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하판부 하면(113a)과, 제1 하단면(114d)과, 제2 하단면(115d)은, 동일 수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11)의 네 모퉁이의 모서리부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
또, 제1 내지 제4 슬릿(21, 22, 23, 24)의 형상을 L자형으로 했으므로, 베이스 상판부(112) 및 베이스 하판부(113)의 절곡에 의해 생기는 구멍, 즉 돌출부(21b, 22b, 23b, 24b)를 배판부(111)로 이동시킬 수 있어, 예리한 모서리부의 노출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11)를 1매의 강판으로부터 제작 가능하고, 재료 효율이 좋다.
게다가 또, 용접, 및 후가공에 의한 모서리 챔퍼링(chamfering) 마무리가 불필요하여, 가공이 적어진다.
또, 슬릿(21, 22, 23, 24)을 베이스 상판부(112) 및 베이스 하판부(113)와 배판부(111)와의 사이에 마련했으므로, 슬릿(21, 22, 23, 24)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어,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케이스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베이스의 전개도이다.
제1 베이스 측판부(114)는, 베이스 상판부(112)의 폭방향의 제1 단부와, 베이스 하판부(113)의 폭방향의 제1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판부 외면(114a)과 제1 단면(112c, 113c)은, 동일 수직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단면(114c)은, 상판부 하면(112b)의 폭방향의 제1 단부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제1 하단면(114d)은, 하판부 상면(113b)의 폭방향의 제1 단부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제2 베이스 측판부(115)는, 베이스 상판부(112)의 폭방향의 제2 단부와, 베이스 하판부(113)의 폭방향의 제2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판부 외면(115a)과 제2 단면(112d, 113d)은, 동일 수직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상단면(115c)은, 상판부 하면(112b)의 폭방향의 제2 단부,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제2 하단면(115d)은, 하판부 상면(113b)의 폭방향의 제2 단부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횡판부는, 베이스 상판부(112) 및 베이스 하판부(113)이다. 실시 형태 2의 종판부는, 제1 베이스 측판부(114)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이다.
배판부(111)와 제1 베이스 측판부(114)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제1 및 제2 슬릿(31, 32)이 마련되어 있다. 또, 배판부(111)와 제2 베이스 측판부(115)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제3 및 제4 슬릿(33, 34)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슬릿(31, 32)은, 베이스(11)의 상하 방향의 중심에 대해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슬릿(33, 34)은, 베이스(11)의 상하 방향의 중심에 대해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슬릿(31)은, 제1 베이스 측판부(114)의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1 직선부(31a)와, 제1 직선부(31a)의 베이스 상판부(112)와는 반대측의 단부(하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1 돌출부(31b)를 가지고 있다.
제2 슬릿(32)은, 제1 베이스 측판부(114)의 하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2 직선부(32a)와, 제2 직선부(32a)의 베이스 하판부(113)와는 반대측의 단부(상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2 돌출부(32b)를 가지고 있다.
제3 슬릿(33)은,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의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3 직선부(33a)와, 제3 직선부(33a)의 베이스 상판부(112)와는 반대측의 단부(하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3 돌출부(33b)를 가지고 있다.
제4 슬릿(34)은,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의 하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제4 직선부(34a)와, 제4 직선부(34a)의 베이스 하판부(113)와는 반대측의 단부(상단부)로부터 배판부(111)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제4 돌출부(34b)를 가지고 있다.
배판부(111)에 대해서 제1 및 제2 측판부(114, 115)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제1 베이스 측판부(114)의 제1 및 제2 직선부(31a, 32a)에 면하는 면,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5)의 제3 및 제4 직선부(33a, 34a)에 면하는 면이, 배판부(111)의 돌출벽(3a)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다. 즉, 직선부(31a, 32a)의 제1 베이스 측판부(114)측의 벽면과, 직선부(33a, 34a)의 제2 베이스 측판부(115)측의 벽면은, 배판부(111)에, 미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또는 접하고 있다.
슬릿(31, 32)에 돌출부(31b, 32b)를 각각 마련한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4, 115)의 배판부(111)에 대한 절곡부의 중심선(C3, C4)은, 제1 단면(112c, 113c) 및 제2 단면(112d, 113d)에 대해서, 베이스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W1(도 7) 만큼 어긋나 있다.
제1 및 제2 상단면(114c, 115c)은, 베이스 상판부(112)의 배판부(111)에 대한 절곡부의 중심선(C1)에 대해서 W2(도 7)만큼 하부로 어긋나 있다. 이것과 상하 대칭으로, 제1 및 제2 하단면(114d, 115d)은, 베이스 하판부(113)의 배판부(111)에 대한 절곡부의 중심선(C2)에 대해서, W2만큼 상부로 어긋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베이스(11)의 네 모퉁이의 모서리부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베이스 측판부(114, 115)의 절곡에 의해 생기는 구멍, 즉 돌출부(31b, 32b, 33b, 34b)를 배판부(111)로 이동시킬 수 있어, 예리한 모서리부의 노출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를 1매의 강판으로부터 제작 가능하여, 재료 효율이 좋다. 게다가 또, 용접, 및 후가공에 의한 챔버링 마무리가 불필요하여, 가공이 적게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슬릿을 베이스의 네 모퉁이에 배치했지만, 반드시 네 모퉁이 모두에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조작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벽에 고정되는 배판부(背板部)와, 상기 배판부의 상하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횡판부(橫板部)와, 상기 배판부의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종판부(縱板部)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배판부, 상기 횡판부, 및 상기 종판부는, 공통의 평판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횡판부의 상기 케이스 밖으로 면(面)하는 외면(外面)과, 상기 종판부의 상하 방향의 상기 횡판부측의 단면(端面)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판부와 상기 횡판부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횡판부의 폭방향의 상기 종판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횡판부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상기 종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판부 내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배판부에 대해서 상기 횡판부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상기 횡판부의 상기 직선부에 면하는 면이, 상기 배판부의 상기 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2.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벽에 고정되는 배판부와, 상기 배판부의 상하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횡판부와, 상기 배판부의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종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배판부, 상기 횡판부, 및 상기 종판부는, 공통의 평판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판부의 상기 케이스 밖으로 면(面)하는 외면과, 상기 횡판부의 폭방향의 상기 종판부측의 단면(端面)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판부와 상기 종판부와의 사이에는, L자형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종판부의 상하 방향의 상기 횡판부측의 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상기 횡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판부 내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배판부에 대해서 상기 종판부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상기 종판부의 상기 직선부에 면하는 면이, 상기 배판부의 상기 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1020177027543A 2015-03-13 2015-03-13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102010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447 WO2016147249A1 (ja) 2015-03-13 2015-03-13 エレベータの操作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805A KR20170122805A (ko) 2017-11-06
KR102010685B1 true KR102010685B1 (ko) 2019-08-13

Family

ID=5691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543A KR102010685B1 (ko) 2015-03-13 2015-03-13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19003B2 (ko)
JP (1) JP6377250B2 (ko)
KR (1) KR102010685B1 (ko)
CN (1) CN107406230B (ko)
DE (1) DE112015006308B4 (ko)
WO (1) WO2016147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6219B (zh) * 2015-03-03 2019-03-1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操作盘
KR102010685B1 (ko) * 2015-03-13 2019-08-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USD993061S1 (en) * 2020-04-06 2023-07-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6715A (ja) * 2011-09-07 2013-03-28 Toshiba Elevator Co Ltd 壁面収納箱
JP2014039952A (ja) * 2012-08-23 2014-03-06 Amada Co Ltd 金属板の折り曲げによる箱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金属板の折り曲げによる箱の切断データ作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786A (ja) * 1985-09-09 1987-03-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操作盤
JPH0217574A (ja) 1988-07-06 1990-01-22 Hitachi Ltd 対話図形処理システム
JPH021A (ja) 1989-05-09 1990-01-05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
CA2063889C (en) * 1991-07-26 1998-04-28 Edward Berdich Surface mounted indicating element for elevators
JP2643682B2 (ja) * 1991-09-30 1997-08-20 株式会社テック 折曲げ成形箱
EP0638508B1 (de) * 1993-08-12 1999-03-03 Inventio Ag Druckknopfelement
FR2722257B1 (fr) 1994-07-07 1996-08-23 Otis Elevator Co Systeme de fixation anti-vandales de composants electriques sur une paroi support
US5490581A (en) * 1994-09-23 1996-02-13 Inventio Ag Surface mounted modular fixture for elevators
US5780790A (en) * 1995-04-03 1998-07-14 Innovation Ind's Inc. Modular elevator switch control housing
US5829554A (en) * 1995-04-03 1998-11-03 Innovation Industries Inc. Hinged modular elevator control housing
HU222035B1 (hu) * 1997-03-06 2003-03-28 Inventio Ag. Kapcsolótábla felvonófülke részére
JP4046810B2 (ja) * 1997-08-27 2008-02-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US6227335B1 (en) * 1999-12-10 2001-05-08 Invento Ag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JP2001217574A (ja) 2000-01-31 2001-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筐体
JP2003086960A (ja) * 2001-09-11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用ケース
JP2006027841A (ja) 2004-07-16 200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操作盤
US20060196735A1 (en) * 2005-03-07 2006-09-07 Waupaca Elevator Company, Inc. Frameless elevator cab and methods
FI120645B (fi) * 2008-02-11 2010-01-15 Kone Corp Hissin kutsu- ja näyttölaitejärjestely
JP2009260024A (ja) 2008-04-16 2009-11-05 Toyota Industries Corp 電子機器の筐体
US7714244B1 (en) * 2009-03-31 2010-05-11 Marta Elena De Pedro Button panel for elevators, lifts, and similar machinery
KR102010685B1 (ko) * 2015-03-13 2019-08-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EP3299323B1 (en) * 2016-09-23 2020-04-01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car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ars
EP3406554B1 (en) * 2017-05-23 2021-04-21 Otis Elevator Company Interactive touch-based car operating panel systems for elevator cars
EP3518264A1 (en) * 2018-01-29 2019-07-31 KONE Corporation Push-button equipment, pressel therefor and push-button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6715A (ja) * 2011-09-07 2013-03-28 Toshiba Elevator Co Ltd 壁面収納箱
JP2014039952A (ja) * 2012-08-23 2014-03-06 Amada Co Ltd 金属板の折り曲げによる箱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金属板の折り曲げによる箱の切断データ作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6308B4 (de) 2021-12-02
CN107406230B (zh) 2019-10-11
US20170362053A1 (en) 2017-12-21
KR20170122805A (ko) 2017-11-06
US10519003B2 (en) 2019-12-31
JP6377250B2 (ja) 2018-08-22
JPWO2016147249A1 (ja) 2017-06-22
DE112015006308T5 (de) 2017-11-23
WO2016147249A1 (ja) 2016-09-22
CN107406230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685B1 (ko)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TWM583667U (zh) 伺服器機箱
JP2009286524A (ja) 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装置
EP2295362B1 (en) Operation panel device for elevator
JP532791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11114875A (ja) 制御盤
JP6861011B2 (ja) コーナーカバー
JP4306571B2 (ja) 電子機器、カバー及びケース
KR200476369Y1 (ko) 팔레트 박스
JP2018178553A (ja) 壁面パネル
US8896172B2 (en) Substrate support structure
JP2011165734A (ja) 電子制御装置
JP6830336B2 (ja) 排水弁駆動装置ユニット
JP7220481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および該ロック機構を備える網付きサッシ
JP2012132170A (ja) フロアパネル
JP2017197212A (ja) 運搬用容器
JP4950723B2 (ja) インナーコンセントの取付構造
JP5938566B2 (ja) 電子制御装置
JP6888187B2 (ja) ルームユニット
JP2006143362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枠
KR20220059808A (ko) 매립가능한 멀티탭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JP2014145169A (ja) 床見切り、床構造
JP2015190263A (ja) 建具
JP6115910B2 (ja) 二重床パネルの開口部用蓋
JP2020033827A (ja) 間仕切りにおけるパネル体の端縁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