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120B1 -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 Google Patents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120B1
KR102010120B1 KR1020160059410A KR20160059410A KR102010120B1 KR 102010120 B1 KR102010120 B1 KR 102010120B1 KR 1020160059410 A KR1020160059410 A KR 1020160059410A KR 20160059410 A KR20160059410 A KR 20160059410A KR 102010120 B1 KR102010120 B1 KR 10201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rming
shape
storage hole
li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848A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102016005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1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 면에 있어서
면의 단면적 형태가 가운데에는 저장공을 형성하고 면의 길이방향으로 라인홈을 형성하되 상기 라인홈과 저장공은 상통하게 형성함으로써
조리시 상기 라인홈을 통해 외부의 소스, 스프 등 외부 가미 요소가 면 내부의 저장공의 침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자 형상의 과
상기 면을 제조하기 위한 기기로써
가압스크류 앞 단에 성형 파이프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압출 파이프를 구성하되 성형파이프에는 저장공성형대와 라인홈 성형대를 구비하고
국지가열을 하여 면(1)의 저장공 표면과 라인홈 표면을 국지적으로 반숙 내지 완숙하여
c자형으로 성형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자 형상의 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C Typed-noodle and Manufactur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당면, 면, 쌀 면, 떡볶이면 등 C자형 면과 그 제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의 면 길이 방향으로 일방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저장공(貯藏 空)을 형성하되 조리 시 저장공 내부로 소스 및 스프 등이 인입되게끔 일 면의 길이 방향으로 통로를 형성하여 통로로 인입되는 소스 및 스프 등이 면의 내부에 저장되어 미감과 식감을 가일층 증대시키는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죽하여 뽑아낸 면의 수분을 14-15%로 건조시키면 건면, 반죽한 것을 냉동시키면 생면, 상기 생면을 증숙하거나 기름에 튀기거나 열풍에 가공한 것은 석면, 냉 동후 건조 하는 당면 등은 공지되어 있으며,
쌀면은 오리제닌(oryzenin)이 주성분으로 소화가 잘되고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식생활에 거부감이 없이 섬유질이 풍부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이를 재료로 면을 만들 시 점성으로 인해 조직이 당면처럼 단단해진다. 떡볶이 면도 이에 해당된다.
또한,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는 면은 주성분이 글루텐 분자들로써 결합하면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는 반죽이 이루어진다.
당면은 주로 고구마 분으로 제조되는데 면으로 제조 시 점성이 강해 면이 매우 강해진다.
또한, 면으로 제조 시 상기와 같은 점성이나 강도가 없으면 면 자체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으므로 면 제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쌀면, 면, 당면 등 모든 면은 그 표면조직이 견고하므로 육수, 양념, 스프, 소스 등이 스며들지 않아 면 맛 따로 육수 맛 따로 취식하게된다.
즉, 면만을 취식할 때에는 스프나 소스 맛 등 외부 가미 요소의 미감을 취할 수 없어 별도로 국물을 취식한다.
또한, o자형의 면은 면의 국수 등 형태 특성이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다.
종래 o자형은 국수의 길이가 약 3- 5CM 정도 길이를 벗어나면 외부 가미 요소 즉 스프, 소스 등이 면 내부로 인입되지 않아 일반 면 대비 미감이 증대되지 않는 문젯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면의 조리 방법을 보면 냉면, 소면 등은 끓는 물에 면을 익히고 멸치, 다시마 국물 등 별도의 국물을 조리한 다음 여기에 면 등을 넣어 완숙하게 된다.
따라서 면 맛과 육수 등 스프의 맛이 별도로 유리된다.
또한 당면, 소면 등 비빔면 등은 스프, 소스, 각종 양념을 다양하게 조리하여 비벼먹게 되나 그 맛이 면 내부까지 배여 있는 것은 아니어서 그만큼 미감과 식감이 저하된다.
특히 떡볶이와 같은 경우 소재의 굵기와 부피가 커서 소스 등의 분량비율이 적어지므로 자주 소스에 찍어 먹어야 미감이 지속된다.
이와 같이 면의 맛은 고정되지만 육수, 소스, 스프의 맛은 재료 조리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다.
도 2의 (a)와 같이, 한국특허출원 제1995-024004호는, 소스 내장형 면의 제조 방법 및 장치는 반죽상태의 소재에 양념 등 소스를 삽입 내장되어 제조된 것으로서 제조 단계에서 소스가 특정되어 삽입되므로 조리사가 특정된 소스에 한정된 요리만 할 수 있으며 조리방법과 유통방법에 제한과 다양한 미감을 위한 조리에 사용되지 못하는 단순히 속심이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국수 면에 관한 것이다.
도 2의 (b)와 같이, 한국특허출원 제10-2001-0088466호의 열쇠 구명 형상의 단면구조의 면 제조 방법은 그 형태가 내부에 소스나 스프를 함유할 수 없는 구조로서 외형적 특징만 갖는 국수 면으로 스프나 소스를 면 내부에 함유 저장할 수가 없다.
도 2의 (a)와 같이,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0921호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 장치로 면 속에 야채, 고기 등의 아질 물질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요리할 때마다 그때그때 조리 방법에 따라 다양한 미감의 소스나 스프가 함유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속심에 야채, 고기 등을 채워넣은 방식이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118692호는, 쌀 생면과 그 제조방법은 쌀을 주원료로 하여 단순 생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불과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2-000921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1-0000177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8466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18692
도 2의 (a)와 같은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27845호와 같이 속심을 갖는 면 제조 장치는 국수면 내부에 고기, 야채 등 이형물질을 속심으로 하여 제조하는 장치일 뿐, 비빔면 등 외부에서 수시로 변경되는, 소스 면을 자유롭게 면 내부로 함 침 되는 구조는 아니다.
한국특허출원 제1991-0000177호는 면 제조시 함유된 수분을 초음파 등으로 파쇄하여 면을 부드럽게 할 뿐 육수 맛 소스 맛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스며들지 못한다.
도 2의 (b)와 같이 한국특허출원 제10-2001-008466호의 열쇠 구멍형상의 단면 구조는 원통형 상부와 평판 형상부 두 가지 형상을 두께를 달리하여 결합 구성한 형태 일뿐 소스나 육수가 내부로 함침되는 구조가 아니다.
또한 쌀가루, 밀가루, 전분 등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여 면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조리 과정에서 면의 길이 전체 내부로 육수, 소스 등이 함유되는 면 제조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
이건 출원인이 발명한 한국특허출원 제1991-0000177호의 고점도 면의 제조 방법은 면 내부의 수분을 액체 질소로 냉각한 후 이를 초음파로 해동하는 방법으로서 면을 부드럽게 할 뿐 스프나 소스의 함유에는 대단히 미흡하다.
도 2의 (a)와 같이 한국특허출원 제1995-024004호의 소스 내장형 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는 반죽 상태의 소재 내부에 양념 등의 소스를 제조시에 제공하여 동시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제조방법은 제조자가 제조시 면 내부에 삽입되어 제공하는 양념, 소스로 제한되고 조리사가 임의대로 다양한 맛, 다양한 미감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없다.
또한, 국수 면에 대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조리사의 다양한 레시피와 다양한 조리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맛을 갖는 스프, 소스 등이 면과 함께 미감과 식감을 증대하는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별도의 이형물을 면 제조 시 일률적으로 동시에 내장하는 종래 제조방법에서 탈피하여 조리사의 다양한 레시피와 다양한 조리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맛을 갖는 스프, 소스등이 조리시 면 외부에서 내부로 침습하여 면 내부 가운데에 저장하게 함으로서 조리사가 의도하는 미감과 식감을 증대하는 면의 형태 및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면의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저장공(1a)과, 상기 저장공(1a)과 상통하도록 상기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된 라인홈(1b)으로 이루어진 C자형 면(1)을 제조하는 제조기기는, 면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11)로 투입된 면 반죽을 가압 및 이송하는 가압스크류(6a)와, 상기 가압스크류(6a)로부터 이송된 면 반죽을 C자형 면으로 성형하는 성형파이프(5) 및 압출 파이프(3)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파이프(5)는, 중공부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성형파이프(5) 내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라인홈 성형대(5b)와, 복수의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돌출된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저장공 성형대(5a)를 포함하되,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두께는 상기 C형 면의 라인홈(1b)의 간격과 같고,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C형 면의 저장공(1a)의 형상 및 크기와 같으며, 상기 압출 파이프(3)는, 상기 성형파이프(5)의 중공부에 정합하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압출 파이프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3a)과, 복수의 상기 삽입홈(3a)의 파여진 내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더 연장하여 파여진 복수의 압출구(3b)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3a)의 형상은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형상과 같고, 상기 압출구(3b)의 형상은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과 같되, 상기 압출구(3b)의 내경은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성형파이프(5) 내부에 압출 파이프(3)가 장착되되, 상기 성형파이프(5)의 라인홈 성형대(5b)는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삽입홈(3a)에 삽입되며, 상기 성형파이프(5)의 저장공 성형대(5a)는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압출구(3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C자형 면 제조기기는, 상기 성형파이프(5)의 외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열대(5d)를 더 마련하되, 상기 가열대(5d)는, 상기 성형파이프(5)를 통해 상기 C자형 면(1)의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이 형성된 면(1d)을 가열하여, 상기 C자형 면(1)을 C자형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C자형 면 제조기기는,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외경은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외경과 상기 성형파이프(5) 내경의 차이에 따른 간격에 의하여, 상기 압출 파이프(3) 외면과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5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C자형 면은, 상기 C자형 면 제조기기에 의해 제조되는 C자형 면으로서, 면의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저장공(1a)과, 상기 저장공(1a)과 상통하도록 상기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된 라인홈(1b)으로 이루어지되, 면의 저장공(1a)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1b)이 형성된 면(1d)이 열에 의해 익혀져 C자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C자형 면은 국수가 갖는 면의 길이가 길어도 면 길이 방향으로 조리시 면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라인 홈으로 외부로부터 스프 또는 소스, 육수 등 가미 요소가 침습하여 충분한 소스와 스프량이 면 내부로 침습 저장 하게 함으로서 섭취 시 미감과 식감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C자형 면은, 면의 라인홈 표면과 저장공 표면을 면의 외면과 분리 가열하여 형이 고정될 정도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는 단계로 익힘으로서 C자형 형태로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완숙시 완숙되지 않은 면의 C자형 외형 면의 부드러운 미감과 반숙 내지 완숙된 C자형 내면의 라인홈 표면과 저장공 표면의 쫄깃한 미감과 식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면이 제공된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C형 면의 구성 단면 설명도
도 2의 (a),(b)는 종래 면 구조의 설명도
도 3의 (a)는 면 제조 공정 설명 단면도
도 3의 (b)는 면 제조 기기 외형도
도 4는 압출 파이프와 배출구와 성형파이프의 구성설명도
도 5의 (a)는 도 4의 구성이 조립된 구조의 단면 설명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부분확대 설명도
도 5의 (c)는 C자 면의 성형과정 및 익숙 과정 설명도
도 5의 (d)는 상기 도 5의 (a),(b),(c) 공정에 의해 제조된 면의 형태 설명도
본 발명은 상기 면, 건면, 생면, 석면, 당면, 메밀면 등 이에 한정하지 않고 쌀분, 밀가루, 고구마 분, 모밀, 감자분 등 다양한 재료를 선택 또는 혼합 이용하되 면의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고 면 길이 방향으로 횡면라인을 형성하되 면 중앙공간과 횡면 라인은 상호 소통하게 형성한 C자 형태의 국수 면을 제조하는 방법과 C자형 면에 관한 것이다.
도 3의(a),(b)와 같이 면의 제조방법은 호퍼(11)에 면 재료를 투입하고 동력연결뿌레(7)를 연결하고 회전축(6) 및 회전모터(7)의 회전에 의해 가압 스쿠류(6a)를 회전 하고 압출하여 배출구(4a)로 면을 생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쌀 면을 제조시 분말화 한 중량비 40-50부량 소맥분 30-45부량, 소맥전분10-15부량 소금 1부 양을 혼합한 곡물 가루에 20-30부 양의 40-60°의 물을 가하여 반죽하여 쌀면을 제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쌀면 반죽을 도 3의 (a)와 같이 호퍼(11)에 넣고 가압 스크류(6a)를 구동, 배출구(4)로 배출하게 하는 것 까지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도 4 또는 도 5의 (a)(b)(c)(d)와 같이 면(1) 내부 중앙에 저장공(1a)을 형성되고 동 저장공(1a)이 외부와 소통하게끔 면(1)의 길이 방향으로 라인홈(1b)을 형성하여 면 전체의 형태를 단면기준으로 C자형으로 성형하고 고정 또는 유지하는 데에는 별도의 제조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즉, 이러한 C자형의 면(1)을 소면으로 생산할 시 통상 밀가루 분 또는 쌀가루 분, 감자분 등을 혼합하여 가수한 반죽은 자체 고정하는 힘이 없으므로 C자형으로 성형하였다하더라도 그 형태 유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C자형으로 면(1)을 성형하는 방법과 상기 성형 된 C자형의 면(1)의 형태로 고정적으로 유지하여 소면, 생면, 라면 등 여러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C자형 면 제조 방법은 성형시 일측부는 원통 터널 형상으로 통과하되 원형터널 내부에는 C 자형의 내부 형상을 갖게끔 원형과 원형을 지지하는 지지대 형상의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하되 C자형 내면과 C자형 입구 면에 국지 열을 가하여 C자형의 면 성형이 가능하게 한다.
도 3의 (a)와 같이 가압스쿠류(6a)에 의해 가압 이동하는 면 반죽은 도 3의 (a)와 같이 성형대(5) 내부에 장착하여 면 반죽을 C자형의 면(1)으로 성형하기 위한 제면기의 구성은 도 3의 (a),(b), 및 도 4, 도 5의 (a)(b)(c)(d)와 같다.
즉, C자형의 면(1) 형태는 도 1의 (a), (b), 도 4의 (d)와 같이 면(1)의 구조는 단면 기준으로 설명하면 면(1) 중심 부위는 원형의 저장공(1a)으로 형성하고 면(1)의 봉 길이면 일단에 봉 길이에 따라 라인홈(1b)을 형성한다.
가래떡 또한 굵기가 다를 뿐 상기와 같이 중심 부분에 저장공(1a)을 형성하고 라인홈(1b)을 통해 소스 등이 스며들어 저장하게 함으로써 일일이 소스에 찍어 먹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미감과 식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C자형의 면(1)을 성형하는 성형부의 구성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를 가지는 관 형상의 성형파이프(5)와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부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압출 파이프(3)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파이프(5)의 재질은 열전도가 좋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 필요에 따라 스테인리스로 구성하여도 열 전도가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부면에는, 상기 성형파이프(5) 내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라인홈 성형대(5b)와, 복수의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돌출된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저장공 성형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두께는, 상기 C형 면의 라인홈(1b)의 간격과 같고,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C형 면의 저장공(1a)의 형상 및 크기와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에 의하여 상기 C형 면의 라인홈(1b)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에 의하여 상기 C형 면의 저장공(1a)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파이프(5)의 외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열선 또는 스팀에 의한 복수의 가열대(5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부면에는,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부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상기 압출 파이프(3)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홈(5c)이 상기 성형파이프(5) 내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 파이프(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파이프(5)의 중공부에 정합하는 기둥형상으로, 상기 압출 파이프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3a)과, 복수의 상기 삽입홈(3a)의 파여진 내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더 연장하여 파여진 복수의 압출구(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삽입홈(3a)의 형상은 상기 성형파이프(5)의 라인홈 성형대(5b)의 형상과 같고,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압출구(3b)의 형상은 상기 성형파이프(5)의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과 같되, 상기 압출구(3b)의 내경은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출 파이프(3)의 표면에는, 상기 성형파이프(5)의 복수의 고정홈(5c)과 정합하고, 상기 압출 파이프(3) 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고정대(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부에 상기 압출 파이프(3)를 삽입하여 장착할 때,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삽입홈(3a)에 성형파이프(5)의 라인홈 성형대(5b)가 삽입되고,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압출구(3b)에 상기 성형파이프(5)의 저장공 성형대(5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압출 파이프(3)의 고정대(3c)가 성형파이프(5)의 고정 홈(5c)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압출 파이프(3)와 상기 성형파이프(5)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압출구(3b)의 내경은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압출구(3b)의 내경과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외경의 차이는, 상기 C자형 면의 두께만큼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압출구(3b)의 내경과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외경의 차이에 의한 간격으로, 반죽이 압출되면서 C자형 면(1)의 굵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가열대(5d)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위치가 압출구(3b) 중심축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삭제
또한, 상기 압출 파이프(3)는, 상기 성형파이프(5)의 중공부에 정합하는 기둥형상으로,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외경은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압출 파이프(3) 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3c)는, 상기 압출 파이프(3)를 성형 파이프(5)의 내부 중심에 고정한다.
즉, 이와 같이 상기 압출 파이프(3)를 상기 성형 파이프(5) 내부 중심에 고정함으로써,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외경과 상기 성형파이프(5) 내경의 차이에 따른 간격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출 파이프(3) 외면과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5e)이 형성된다.
이러한 압출 파이프(3)의 재료는 단열성이 좋은 알루미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로 구성하여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부에 상기 압출 파이프(3)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성형파이프(5)의 전면에 복수의 배출공(4a)이 형성된 을 배출구(4)를 장착한 후 복수의 고정핀(12a, 12b,12c))으로 상기 성형파이프(5)와 배출구(4)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4)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4a)은 상기 압출 파이프(3)에 형성된 복수의 압출구(3b)와 연통되도록 위를 일치시킨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가압 스쿠류(6a)에 의해 면 반죽은 도 4와 도 5의 (a),(b),(c),(d)와 같이 압출구(3b)와 저장공 성형대(5a)와 라인홈 성형대(5b) 사이로 압출되면서 C자형의 면(1)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 된 C자형 면(1)은 가수 된 반죽이 성형 된 것이므로 그 형상이 고정되지 못한다. 따라서 면(1)을 C자형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예를 들면 25부 량의 약 40-60°C의 물을 가수한 공지된 비율의 쌀가루와 가루분 감자분을 혼합하고 동 혼합된 반죽을 압출 파이프(3)로 이동할 시 성형파이프(5) 자체를 외부 전열기 또는 스팀 파이프로 구성한 가열대(5d)를 통해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성형파이프(5)의 열은 그 내부의 다수의 저장공 성형대(5a)와 라인 홈 성형대(5b)에만 한정하여 전도된다.
즉, 가열된 성형파이프(5)의 열은 도 5의 (b)와 같이 고정대(3C) 깊이 대비 그 길이가 긴 고정홈(5c) 높이로 이루어지는 단열공간(5e)에 의해 압출 파이프(3) 외부 면과 와 성형 파이프(5)의 내면이 상호 이격되어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단열공간(5e)에 의해 성형파이프(5)에 가해지는 가열대(5d)의 열은 압출 파이프(3)로는 전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된 성형파이프(5)의 열은 도 5의 (c)와 같이 면(1)의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이 형성된 면(1d)에 열이 가해져 열에 의해 익혀지므로 C자형이 성형되고 고정된다.
이렇게 C자형이 성형 되고 고정된 면은 통상적으로 면 자체 즉 면봉의 전체 굵기는 한정하지는 않지만 직경은 1mm Ø 에서 5mm Ø가 적당하고 이 경우 면(1) 전체의 직경 기준으로 하여 내면의 저장공(1a)이 갖는 직경은 1/2, 라인홈(1b)의 폭은 1/3이 적정하나 한정하지 않고 가감하여 제조한다.
떡볶이 면의 경우는 면의 전체 굵기는 5mmØ-25mm Ø가 적정하고 내면의 저장공(1a)이 갖는 직경은 1/2, 라인홈(1b)의 폭은 1/3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면(1)의 면적대비 저장공(1a)에 함침되는 스프 또는 소스의 침장량은 25% 이상이 된다. 이는 조리 목적에 따라가변하여 제조한다.
또한, 내부 저장공(1a)의 부피만큼 외형 직경을 확대하여 생산할 수 있다.
이렇게 면(1)의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이 형성된 면(1d)이 부분 증숙된 면은, 그 형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건조시키면 C형 소면 또는 C형 건면이 되고 기름에 유탕 처리하면 C형 라면이 가능하게 된다.
면(1)을 성형 고정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성형파이프(5)를 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죽 면을 압출하여 C형 면 형태의 면(1)으로 성형 압출한 다음 이를 증숙대(10)에서 증숙한 다음 5°C에서 -40°C 범위 내에서 급냉시켜 생면 상태로 냉장 보관을 통해 공급한다.
따라서 이렇게 제조된 C형 면은 가압성형 과정에서 면(1)의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이 형성된 면(1d)을 선택적으로 완숙, 또는 반숙하여 C형으로 성형 고정함으로써 면(1)을 육수에 넣고 고열로 조리하더라도 C형 형태가 유지된다.
면(1)의 맛은 일률적이다. 조리사는 육수, 스프, 소스 등을 다양하게 조리하여 다양한 미감을 제공한다.
또한, 국수 등과 같은 면은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러한 C형 면은 면(1)의 길이대로 라인 홈(1b)을 형성 면의 길이 전체대로 라인 홈(1b)을 통해서 스프, 소스 등이 스며들므로 면의 특성상 그 길이가 긴 면의 가운데
저장공(1a)에 고이게 되므로 소스 또는 스프의 미감과 면의 미감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이러한 C자형의 면은 육수 등, 스프에 조리하여 사용 시는 라인홈(1b)을 통해 저장공(1a)에 저장되므로 육수, 스프 맛과 면의 맛을 동시에 상미할 수 있다.
당면, 비빔면 등 주로 소스 농도가 높은 스프에 비벼 섭취하는 비빔면은 라인홈(1b)을 거쳐 면(1)의 저장공(1a)에 소스 등이 저장되므로 그만큼 깊은맛을 얻을 수 있다.
떡볶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저장공(1a)의 형태 또한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에 따라 원형, 사각, 육각면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면(5a)의 외형도, 압출 구(3b)의 형태 구성에 따라 원형, 사각, 육각면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논리로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과, 압출구(3b)의 형태 구성에 따라 저장공(1a)형태 및 라인홈(1b)형태가 ㄷ 자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인홈(1b)의 입구면은 내면보다 그 너비를 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외형은 사각, 원형 여러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나 면의 중심은 저장공(1a) 기능은 라인홈(1b)을 통해 외부로부터 스프 및 소스 등 외부 가미 요소가 침습하게 하는 원리는 같다.
이러한 압출 파이프(3)와 성형파이프(5)의 구조는 파이프와 같은 봉 형태로 길게 구성함으로써 압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길이를 길게 동일한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금형에 의한 인발, 가압 압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C자형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된 금형의 구조 또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성형파이프(3)의 구조 또한 상기와 같이 길이에 제한받지 않는 파이프 봉 형태로 압출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 성형대(5a)의 직경과 라인홈 성형대(5b)가 직경이 작은 구경이라 하더라도 길이에 제한 없이 견고성 있게 길게 형성 가능하므로 직경 1mm의 가는 면부터 20mm의 떡복이 면 까지 C자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c자 면을 생산하는 제조 기기는 공지된 수평 반죽 이동 방식이 아닌 수직 가압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공지된 수직 가압 방식 하단에 상기에서 설명한 압출파이프(3)구조와 성형 파이프(5)구조를 수직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C자형은 종래 0자 형 국수는 길이가 길 경우 국수면 내부에 소스나 스프가 침습하여 내장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 면의 길이가 길더라도 충분히 외부 가미요소가 침습 내부에 저장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 된 C자면은 끓는 물에 즉시 입수하는 제조방법으로 완숙함으로써 그 형태를 고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영하 5도에서 영하 40도 사이에서 급냉하여 성형된 C자형 면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조리 시 끓는 물에 의하여 면의 형태가 무너지므로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이 형성된 면(1d)을 익히되 반숙 내지 완숙해야 그 형태가 고정된다.
삭제
[관능평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C자형 3mm직경의 쌀 면을 면 발을 삶아서 물에 식힌 후 체에 걸러 물기를 뺀 면발을 별도 멸치 국물에 넣어 조리한 후 10명에게 취식하게하고,
동일한 성분의 3mm 직경의 쌀 면면을 동일한 조건으로 삶아서 물에 식힌 후 체에 걸러 물기를 뺀 면발을 동일한 멸치국물에 조리하여 취식하되 그 미감을 관능 평가하되 비교하여 점수를 100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다.
일반성인 10명씩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비교하게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씹는 맛
(쫄깃함)
육수, 소스 맛
(면만 건져 먹을 때)
전체 미감
(육수, 소스와 함께 취식)
C자형 면 92 80 92
일반 면 55 10 55
C자형 떡볶이 90 92 90
일반 떡볶이 50 55 60
(찍어 먹는 것 기준)
떡볶이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C자형 면 및 떡볶이 면은 일반 면, 일반 떡볶이 대비 씹는 맛(쫄깃함)과 면만 건져 먹을 때 육수 소스 맛 육수와 소스를 함께 취식할 때 전체 미감에서 월등한 미감과 식감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c자형 면은 그 맛과 식감이 종래 대비 월등하고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은 C자 형태의 면 내면과 외면을 분리 증숙 또는 냉각함으로써 C자 형태의 면 형태를 성형하고 고정하여 제조 할 수 있는 것이다.
1. 면 (면봉) 2. 본체 3. 압출 파이프 4. 배출구 5. 성형파이프
6. 회전축 7. 동력연결뿌레 8. 받침대 9. 고정대 10. 증숙대
11. 호퍼 12. 고정핀
1a. 저장공 1b. 라인홈 1c. 면 표면 1d. 라인홈이 형성된 면
1e.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
3a. 삽입홈 3b. 압출구 3c. 고정대
4a. 배출공
5a. 저장공 성형대 5b. 라인홈 성형대 5c. 고정홈 5d. 가열대 5e. 단열공간
6a. 가압스크류
12a. 12b. 12c. 고정대

Claims (5)

  1. 면의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저장공(1a)과, 상기 저장공(1a)과 상통하도록 상기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된 라인홈(1b)으로 이루어진 C자형 면(1)을 제조하는 제조기기로서,
    면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11)로 투입된 면 반죽을 가압 및 이송하는 가압스크류(6a)와,
    상기 가압스크류(6a)로부터 이송된 면 반죽을 C자형 면으로 성형하는 성형파이프(5) 및 압출 파이프(3)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파이프(5)는,
    중공부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성형파이프(5) 내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라인홈 성형대(5b)와, 복수의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돌출된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저장공 성형대(5a)를 포함하되,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두께는 상기 C형 면의 라인홈(1b)의 간격과 같고,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C형 면의 저장공(1a)의 형상 및 크기와 같으며,
    상기 압출 파이프(3)는,
    상기 성형파이프(5)의 중공부에 정합하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압출 파이프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3a)과, 복수의 상기 삽입홈(3a)의 파여진 내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더 연장하여 파여진 복수의 압출구(3b)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3a)의 형상은 상기 라인홈 성형대(5b)의 형상과 같고, 상기 압출구(3b)의 형상은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형상과 같되, 상기 압출구(3b)의 내경은 상기 저장공 성형대(5a)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성형파이프(5) 내부에 압출 파이프(3)가 장착되되,
    상기 성형파이프(5)의 라인홈 성형대(5b)는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삽입홈(3a)에 삽입되며,
    상기 성형파이프(5)의 저장공 성형대(5a)는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압출구(3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자형 면 제조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파이프(5)의 외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열대(5d)를 더 마련하되,
    상기 가열대(5d)는, 상기 성형파이프(5)를 통해 상기 C자형 면(1)의 저장공이 형성된 내부면(1e)과 라인홈이 형성된 면(1d)을 가열하여, 상기 C자형 면(1)을 C자형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자형 면 제조기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외경은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압출 파이프(3)의 외경과 상기 성형파이프(5) 내경의 차이에 따른 간격에 의하여, 상기 압출 파이프(3) 외면과 상기 성형파이프(5)의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5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자형 면 제조기기.
  5. 삭제
KR1020160059410A 2016-05-16 2016-05-16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KR10201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10A KR102010120B1 (ko) 2016-05-16 2016-05-16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10A KR102010120B1 (ko) 2016-05-16 2016-05-16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46A Division KR102116455B1 (ko) 2019-04-23 2019-04-23 C자형 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48A KR20170128848A (ko) 2017-11-24
KR102010120B1 true KR102010120B1 (ko) 2019-08-12

Family

ID=6081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410A KR102010120B1 (ko) 2016-05-16 2016-05-16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1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84Y1 (ko) * 2004-09-22 2005-01-21 종 완 김 국수가락
KR100989672B1 (ko) * 2008-04-29 2010-10-26 하용수 나선구조 국수 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77B1 (ko) 1988-01-13 1991-01-21 강대규 모터조합에 의한 정위치 이송장치
KR20000073524A (ko) * 1999-05-11 2000-12-05 박경진 국수
KR20010008466A (ko) 1999-07-01 2001-02-05 유지원 멀티미디어 사서함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90008041U (ko) * 2008-02-04 2009-08-07 김덕환 모세관 국수
KR101119286B1 (ko) * 2009-06-12 2012-03-15 최영춘 곡물성형체의 제조장치
JP5771390B2 (ja) * 2010-12-22 2015-08-26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押出し麺、並びに該押出し麺を用いた即席麺及び乾麺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84Y1 (ko) * 2004-09-22 2005-01-21 종 완 김 국수가락
KR100989672B1 (ko) * 2008-04-29 2010-10-26 하용수 나선구조 국수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48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2010B1 (en) Extruded legume snack food
CN102550972B (zh) 一种双管膨化食品的制备方法
KR101145618B1 (ko) 중공면의 제조방법
KR101070286B1 (ko) 보리 국수의 제조 방법
KR101402110B1 (ko) 누룽지용 재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AU2023270270A1 (en) Egg food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an egg food product
JPWO2010119813A1 (ja) 葉菜類の揉み込み方法及び揉み込み装置
KR102116455B1 (ko) C자형 면 및 그 제조방법
RU243641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вердых претцелей, эффективно абсорбирующих приправу в форме суспензии
KR102010120B1 (ko) C자형 면 및 그 제조기기
CN103347400A (zh) 挤制面以及挤制面用模件
CN102958392B (zh) 用于制备多层食品的方法及相应产品
KR102209751B1 (ko) C자형 면 및 그 제조방법
CN104244731A (zh) 用于制备挤出的零食食品产品的方法和配方以及由此获得的产品
US9655370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ies for pasta, the dies themselves, and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pasta
JPS5910175B2 (ja) こんにゃくの製造装置
KR100529823B1 (ko) 누룽지 제조방법
KR100974396B1 (ko) 양념이 잘 배이는 당면의 제조방법
CN107736553A (zh) 一种杂粮挂面及其生产方法
CN104994746B (zh) 冷冻焗烤食品的制造方法
KR101803754B1 (ko)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CN104115882B (zh) 低粘性食品面条机
KR101575936B1 (ko) 코아떡 및 코아떡 제조방법
KR101834840B1 (ko) 다양한 식감을 갖는 면을 제조하는 방법
CN109892574A (zh) 一种咸味型香芋猪肉挤压膨化食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