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653B1 -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653B1
KR102009653B1 KR1020180023996A KR20180023996A KR102009653B1 KR 102009653 B1 KR102009653 B1 KR 102009653B1 KR 1020180023996 A KR1020180023996 A KR 1020180023996A KR 20180023996 A KR20180023996 A KR 20180023996A KR 102009653 B1 KR102009653 B1 KR 10200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pulling
escape
pull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오재진
권혁구
임채성
홍경표
박수진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피니언 기어부 쪽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체가 작동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이동체가 이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일단과 상기 작동공간의 한쪽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일단이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수단을 당기면, 상기 이동체가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의 전도, 전복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탈출구 확보가 어려울 때 승객이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강화유리를 신속하게 깨고 탈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TEMPERED GLASS BREAKER FOR ESCAPE}
본 발명은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버스의 전도, 전복, 화재 등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탈출구 확보가 어려울 때 승객이 강화유리를 신속하게 깨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전철, 기차 등)이나 버스의 창문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화유리는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로서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나 지하철의 사고로 인하여 전도, 전복 또는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 탈출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버스 또는 전철)에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할 목적으로 유리창 파괴용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망치의 위치를 숙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한 유리창 파괴용 망치를 신속하게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분실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3989호(공고일 : 2017.11.07)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클립은, 작동부(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해머(210)가 전진하면서 유리(10)를 파쇄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강화유리 파쇄클립은, 사고 발생시 작동부를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버스나 지하철 등이 전복되거나 전도되었을 때 그 설치위치를 찾기 어려웠으며, 높은 곳에 위치함으로써 탈출자의 용이한 접근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3989호(공고일 : 2017.11.07)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차량의 전도, 전복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탈출구 확보가 어려울 때 승객이 강화유리를 신속하게 깨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차량의 전도시 반대편 창문의 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깨고 탈출할 수 있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피니언 기어부 쪽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체가 작동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이동체가 이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일단과 상기 작동공간의 한쪽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일단이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수단을 당기면, 상기 이동체가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공간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로울러가 각각 축으로 설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회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상기 작동공간에서 각 상기 안내 로울러에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중간부는 접혀지거나 감긴상태로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부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수단을 당기면, 각 상기 로울러에 안내되고 지지되는 상기 당김줄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공간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로울러가 각각 축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타격부재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회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로울러에 지지되고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중간부는 접혀지거나 감긴 상태로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각 상기 로울러에 안내되고 지지되는 상기 당김줄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당김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구형, 또는 다각형 또는 고리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당김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당김구는, 상기 하부체의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부체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당김구가 상기 하부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줄의 일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차량의 천정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서로 모아진 상태에서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천정에 고정되는 양쪽의 고정단; 및 각 상기 고정단이 모아짐에 따라 상기 당김줄을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폐쇄된 도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파단리브에 의해 연결된 파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줄이 당겨지면 상기 파단부가 파단되면서 상기 당김줄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당김구를 당길 때 상기 당김줄이 인출되는 상기 당김줄 수용부의 출구에는, 상기 당김줄의 인출시 마찰 저항을 줄이도록 상기 당김줄을 지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안내 로울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당김구가 상기 하부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구는 차량이 전복 또는 전도될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상기 당김줄이 인출되도록 중량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의 전도, 전복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탈출구 확보가 어려울 때 승객이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강화유리를 신속하게 깨고 탈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당김줄의 단부에 구비되는 당김구가 차량의 천정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전복 및 전도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당김구를 취부하여 당길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전복이나 전도시에도 어린이, 부상자 등이 지면 등에 막히지 않은 방향의 강화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클립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이용한 강화유리 파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강화유리 파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버스 또는 지하철과 같이 창문이 대형 강화유리(GL)로 이루어진 차량의 창문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복이나 전도로 인하여 강화유리(GL)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해야 하는 경우에 탈출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강화유리(GL)를 파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차량의 사고로 강화유리(GL)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당김수단, 즉 당김구(82)을 당기면, 이동체(62)가 탄성부재(64)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이동하여 타격부재(50)를 회동시켜 뾰족학 형성된 타격부(52)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당김구(82)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타격부재(50)가 탄성부재(64)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5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부(54)가 형성되는 타격부재(50)를 포함한다. 상단 한쪽에 타격부재(50)의 피니언 기어부(54) 쪽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니언 기어부(54)와 맞물리는 랙기어(62A)가 형성된 이동체(62)가 작동공간(6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이동체(62)가 이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이동체(62)의 일단과 작동공간(63)의 한쪽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64)를 구비한 상부체(60)를 포함한다.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72)가 형성되어 상부체(60)에 결합되고, 강화유리(GL)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40)에 설치되는 하부체(70)를 포함한다. 일단이 작동공간(63)의 내부에서 이동체(62)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당김줄 수용부(72)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80)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타격부재(50)는, 당김줄(80)이 당겨질 때 회동하여 타격부(52)로 강화유리(GL)를 타격하여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에 "ㄱ"자로 절곡되고 끝단이 뾰족한 타격부(52)가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피니언 기어부(5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타격부(52)의 첨단에는 강화유리(GL)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인조 다이아몬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타격부재(50)의 피니언 기어부(54) 쪽은 축에 의해 상부체(60)의 상단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체(60)는, 내부에 이동체(62)와 탄성부재(64)가 수용되는 작동공간(63)이 형성된 것으로, 이동체(62)의 상면에는 피니언 기어부(54)와 맞물리는 랙기어(62A)가 형성된다. 이동체(62)는 랙기어(62A)가 상향으로 개구된 작동공간(63)의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작동공간(63)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부재(64)는 이동체(62)의 일단과 작동공간(63)의 한쪽 내벽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공간(63)의 한쪽 내벽에는 당김줄(80)이 통과하기 위한 출구(63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체(60)의 상단 한쪽(랙기어가 노출되는 영역)에는 피니언 기어부(54)의 중심부(타격부재의 타단)가 축으로 설치되기 위한 한쌍의 지지단(61)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부재(50)의 타단은 양쪽의 지지단(61)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단(61)에 결합되며 피니언 기어부(54)는 랙기어(62A)에 맞물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부체(60)는 프레임(40)에 고정되는 하부체(70)의 상면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부재(64)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체(62)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면서 복원탄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나 구조, 예를 들면 고무재 등의 탄성체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작동공간(63)의 출구(63A) 쪽에는 당김구(82)를 당길 때 당김줄(80)의 인출시 마찰 저항을 줄이도록 당김줄(80)을 회전 지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안내 로울러(63B)가 설치된다. 이 안내 로울러(63B)는 출구(63A)의 아래쪽과 상부쪽에 각각 설치되며, 필요한 경우에 좌,우 양쪽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안내 로울러(63B)들이 출구(63A)에 설치됨으로써 당김줄(80)의 인출시 또는 인입시 저항없이 원활하게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하부체(70)는, 당김줄(80)을 수용하고 상부체(60)를 프레임(4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72)가 형성되어 상부체(60)와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체(70)는 강화유리(GL)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40)에 설치된다.
당김줄(80)은, 사용자가 당김수단(80)을 당겼을 때 이동체(62)가 이동하면서 타격부재(50)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작동공간(63)의 내부에서 이동체(62)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당김줄 수용부(72)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결합되어 마련된다. 당김수단은, 당김줄(80)의 타단에 결합되어 탈출자가 취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구형, 또는 다각형 또는 고리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당김구(82)로 이루어진다.
한편, 당김구(82)는, 차량이 전복 또는 전도될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당김줄(80)이 당김줄 수용부(72)로부터 인출되도록 중량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당김구(82)는 하부체(70)의 당김줄 수용부(72) 외측에 위치한다. 즉, 소정 무게의 중량물로 이루어진 당김구(82)가 당김줄 수용부(72)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이 전도되면 그 충격으로 당김구(82)가 중력방향으로 낙하면서 당김줄(80)을 당김줄 수용부(72)에서 인출시킴으로써 탈출자가 용이하게 당김줄(80) 또는 당김구(82)를 취부하여 당길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차량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 당김구(82)가 하부체(70)로부터 이탈 또는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격방지부재(90)가 당김줄 수용부(72)의 입구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방지부재(90)는 설정된 당기는 힘(하중)이 발생할 때에만 당김줄(80)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력이 높은 연질의 실리콘관 또는 고무재관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연질의 실리콘관 또는 고무재관의 내부에 다수의돌기(92) 들이 형성되어 당김줄(80)의 일부를 감싼 상태로 당김줄 수용부(72)의 입구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마찰력으로 당김줄(80)의 이동을 고정하고 차량의 전도로 인하여 충격이 발생하여 당김구(82)가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면 당김구(82)가 낙하하면서 당김줄(80)을 당기는 힘에 의해 당김줄(80)을 임시 고정하던 힘이 해제되므로 당김줄(8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창문 프레임(40)에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복 또는 전도되는 경우에 탈출자는 지면에 의해 막히지 않은 방향의 강화유리(GL)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해야 한다. 이 경우에 탈출자는 당김구(82)를 취부하여 당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출자가 당김구(82)를 취부하여 당김줄(80)을 당길 때 당김줄(80)은 작동공간(63)의 출구(63A) 쪽에 설치된 각 안내 로울러(63B)에 안내되므로 인출작동이 마찰없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당김구(82)가 당겨지면, 당김줄(80)이 이동체(62)를 탄성부재(64)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탄성부재(64)를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체(6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랙기어(62A)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부(54)가 회전하게 되므로 타격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타격부(52)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하게 된다. 이 과정으로 강화유리(GL)를 파쇄된다. 이때, 당김줄(80)을 1회 당기는 것만으로 강화유리(GL)가 파쇄되지 않는 경우에 탈출자는 재차 당김줄(80)을 당겨 강화유리(GL)를 파쇄한다.
이와 같이 강화유리(GL)의 파쇄 실패시 당김줄(80)을 다시 당겨 타격부재(50)를 다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은 탄성부재(64)가 복원탄성으로 이동체(62)를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타격부재(50)를 최초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당김줄(80)을 당기게 되면 이동체(62)가 탄성부재(64)를 압축시키면서 이동하여 타격부재(50)를 회동시키게 되고, 당겼던 당김줄(80)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64)가 이동체(62)를 원위치로 이동(후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이동체(62)가 최초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니언 기어부(5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타격부재(50)는 최초 상태, 즉 타격동작 전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다시 당김줄(80)을 당김에 따라 타격부(52)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하여 파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탈출자가 당김줄(80)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타격부재(50)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하여 파쇄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강화유리(GL)를 타격하여 파쇄할 수 있고, 따라서 탈출로 확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이용한 강화유리 파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버스)가 전도된 상태에서 전도의 충격으로 중량물로 된 당김구(82)가 중력방향으로 낙하 되면, 당김줄(80)이 당김줄 수용부(72)에서 인출되어 당김구(82)가 탈출자가 위치한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탈출자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당김구(82)를 취부하여 당김줄(80)를 당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당김줄(80)을 당기게 되면 이동체(62)가 이동하면서 타격부재(50)를 회동시키게 되므로 타격부(52)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하여 강화유리(GL)를 파쇄한다.
이 과정으로 전도된 차량의 내부에서 탈출자가 상부 쪽에 위치한 강화유리(GL)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강화유리(GL)를 파쇄할 수 있음으로써 탈출로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강화유리 파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구(82)가 하부체(70)의 외측, 즉 당김줄 수용부(7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천정(42) 쪽에 위치하는 당김줄(80)은 당김구(82)과 연결된 상태로 복수개의 고정부재(84)에 의해 차량의 천정(42)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당김줄 수용부(72)에는 이격방지부재(90)가 구비되지 않는다. 그리고 당김줄(80)이 당김줄 수용부(72)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z
여기서 고정부재(84)는 관통공(84A)을 구비하여 서로 모아진 상태에서 체결나사에 의해 천정(72)에 고정되는 양쪽의 고정단(84B)과, 각 고정단(84B)이 모아짐에 따라 당김줄(80)을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폐쇄된 도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파단리브(84C)에 의해 연결된 파단부(84D)가 형성되며, 당김줄(80)이 당겨지면 파단부(84D)가 파단되면서 당김줄(8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지지부(84E)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전도 사고가 발생되면, 탈출자는 높이가 낮아진 천정(42)에 고정된 당김구(82)를 취부하여 당긴다. 당김구(82)를 당기게 되면, 고정부재(84)의 파단부(84D)가 파단되면서 당김줄(80)을 당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당김줄(80)이 고정부재(84)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당김줄(80)의 당김은 가능하나 마찰력이 발생되어 당김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고정부재(84)는 파단되면서 당김줄(8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천정(42)에 고정되었던 당김줄(8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당김구(82)를 더욱 당기게 되면, 당김줄(80)이 이동체(62)를 이동시켜 타격부재(50)를 회동시킨다. 이 과정으로 타격부재(50)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타격부(52)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하게 되므로 강화유리(GL)를 파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도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탈출자가 당김구(82)를 용이하게 취부하여 강화유리(GL)를 파쇄할 수 있음으로써 탈출로 확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타격부재(550)가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52)를 구비하여 상부체(60)의 상단(61) 한쪽에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과, 상부체(60)의 작동공간(63) 내부에 다수개의 로울러(65)가 각각 축으로 설치된 구성과, 비틀림 스프링(토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64A)의 한쪽 끝부분이 타격부재(5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단(61)에 고정되어 타격부재(50)가 회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당김줄(80)을 당김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는 타격부재(50)의 회전 작동 구조가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다수개의 안내 로울러(65)들과 탄성부재(64A)가 토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이때, 당김줄(80)의 일단부는 타격부재(50)의 타단,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공간(63)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영역에서 축과 이격된 위치(타격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는 당김줄(80)이 당겨질 때 타격부재(50)가 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강화유리(GL) 쪽으로 회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당김줄(80)을 당기는 힘을 줄이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3개의 안내 로울러(65)들 중에서 1개 또는 2개의 안내 로울러(65)가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체(60)에 안내 로울러 안내장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당김줄(80)을 당길 때 어느 하나 또는 두개의 안내 로울러(65)가 이동하게 되면 유동 도르래의 원리에 의하여 당김줄(80)을 당기는 힘이 줄어들게 되므로 탈출자의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탈출자가 당김구(82)를 당기게 되면 각 안내 로울러(65)들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는 당김줄(80)이 타격부재(50)를 회동시키게 되므로 타격부(52)에 의해 강화유리(GL)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타격부재(50)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복귀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4B)가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타격부재(50)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체(60)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같다. 이때, 타격부재(50)의 중간부와 상부체(60)의 외측에는 탄성부재(64B)의 각 단부가 걸리기 위한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쇄장치는, 탈출자가 당김구(82)를 이용하여 당김줄(80)을 당기게 되면 타격부재(80)가 탄성부재(64B)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타격부(52)가 강화유리(GL)를 타격한다. 이 과정으로 강화유리(GL)는 파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타격부재(50)를 회전 작동시키는 수단이 당김줄(80)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전도 사고 발생시 탈출자가 당김구(82)를 용이하게 확보하여 강화유리(GL)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40 : 프레임 42 : 천정
50 : 타격부재 60 : 상부체
62 : 이동체 64,64A,64B : 탄성부재
70 : 하부체 80 : 당김줄
82 : 당김구 90 : 이격방지부재

Claims (10)

  1.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피니언 기어부 쪽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체가 작동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이동체가 이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일단과 상기 작동공간의 한쪽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일단이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수단을 당기면, 상기 이동체가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2.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공간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로울러가 각각 축으로 설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회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상기 작동공간에서 각 상기 로울러에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중간부는 접혀지거나 감긴상태로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부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수단을 당기면, 각 상기 로울러에 안내되고 지지되는 상기 당김줄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3. 일단에 "ㄱ"자로 절곡된 타격부가 형성되는 타격부재;
    상단 한쪽에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공간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로울러가 각각 축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타격부재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회동될 때 복귀탄성이 발생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한 상부체;
    내부에 당김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고, 강화유리에 접한 차량의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체; 및
    상기 작동공간에서 각 상기 로울러에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접혀지거나 감긴 상태로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며, 타단에는 당김수단이 마련되는 당김줄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사고로 상기 강화유리를 파쇄하여 탈출로를 확보하는 경우에, 각 상기 로울러에 안내되고 지지되는 상기 당김줄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상기 강화유리를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수단을 당겼던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구형, 또는 다각형 또는 고리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당김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구는,
    상기 하부체의 상기 당김줄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부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구가 상기 하부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줄의 일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차량의 천정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서로 모아진 상태에서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천정에 고정되는 양쪽의 고정단; 및
    각 상기 고정단이 모아짐에 따라 상기 당김줄을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폐쇄된 도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파단리브에 의해 연결된 파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줄이 당겨지면 상기 파단부가 파단되면서 상기 당김줄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구를 당길 때 상기 당김줄이 인출되는 상기 당김줄 수용부의 출구에는, 상기 당김줄의 인출시 마찰 저항을 줄이도록 상기 당김줄을 지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안내 로울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구가 상기 하부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당김구는 차량이 전복 또는 전도될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상기 당김줄이 인출되도록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KR1020180023996A 2018-02-27 2018-02-27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KR10200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96A KR102009653B1 (ko) 2018-02-27 2018-02-27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96A KR102009653B1 (ko) 2018-02-27 2018-02-27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653B1 true KR102009653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96A KR102009653B1 (ko) 2018-02-27 2018-02-27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6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5329A (zh) * 2019-11-14 2020-05-01 齐淏 一种具有防护功能的玻璃粉碎机进料装置
CN112546469A (zh) * 2019-09-10 2021-03-26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拉动式破窗装置
CN113713281A (zh) * 2021-09-03 2021-11-30 刘少华 掌击尖锤
KR20220109971A (ko) * 2021-01-29 2022-08-05 최현덕 강화유리 파괴 장치
KR102650237B1 (ko) * 2023-10-10 2024-03-25 대한민국 차량 유리 파쇄 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444B1 (ko) * 1995-12-19 1999-02-18 김태구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도어유리 파괴장치
KR20120068629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충격식 해머 장치
WO2013085475A2 (en) * 2011-12-05 2013-06-13 Akpinar Muhammet Yahya Improved emergency hammer having automatic mechanism
KR101793989B1 (ko) 2017-08-24 2017-11-07 이영근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444B1 (ko) * 1995-12-19 1999-02-18 김태구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도어유리 파괴장치
KR20120068629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충격식 해머 장치
WO2013085475A2 (en) * 2011-12-05 2013-06-13 Akpinar Muhammet Yahya Improved emergency hammer having automatic mechanism
KR101793989B1 (ko) 2017-08-24 2017-11-07 이영근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클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6469A (zh) * 2019-09-10 2021-03-26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拉动式破窗装置
CN112546469B (zh) * 2019-09-10 2022-02-01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拉动式破窗装置
CN111085329A (zh) * 2019-11-14 2020-05-01 齐淏 一种具有防护功能的玻璃粉碎机进料装置
KR20220109971A (ko) * 2021-01-29 2022-08-05 최현덕 강화유리 파괴 장치
KR102477957B1 (ko) 2021-01-29 2022-12-14 최현덕 강화유리 파괴 장치
CN113713281A (zh) * 2021-09-03 2021-11-30 刘少华 掌击尖锤
KR102650237B1 (ko) * 2023-10-10 2024-03-25 대한민국 차량 유리 파쇄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653B1 (ko)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KR101743188B1 (ko)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장치
KR101770650B1 (ko) 짚라인 안전시스템
KR100999552B1 (ko) 비상탈출장치
EP1097897A1 (de) In einer Aufzugskabine angeordnete Sicherheitseinrichtung zum Schutze der Passagiere vor Verletzungen
CN203681468U (zh) 弹射式固定破窗器
KR102113841B1 (ko) 자동차 비상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JP6254541B2 (ja) 車両脱出用のガラス破砕具
KR102154992B1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DE102007013910B4 (de) Erste Hilfe Einsatzausrüstung
JP6949815B2 (ja) 車両脱出用のガラス破砕具
KR200316376Y1 (ko) 차량의 비상탈출용 망치
CN105644484A (zh) 一种车窗破碎装置
CN207776469U (zh) 防护网组合结构
KR100371007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CN103770738A (zh) 弹射式固定破窗器
CN108283765A (zh) 一种逃生装置及使用该逃生装置的客车
KR20180096975A (ko) 사다리 겸용 해머와 이의 사용 방법
CN216374459U (zh) 一种带有转臂的拉绳爆玻器
CN206566368U (zh) 一种逃生装置及使用该装置的客车
CN206587292U (zh) 逃生装置及使用该逃生装置的客车
JPH11188660A (ja) 窓ガラス破壊装置
KR100211513B1 (ko) 비상시 차량의 창문 파괴장치
CN220447832U (zh) 一种落水破窗逃生装置
CN217292217U (zh) 一种消防工程日常训练用电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