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370B1 - 진정제 - Google Patents

진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370B1
KR102008370B1 KR1020170114592A KR20170114592A KR102008370B1 KR 102008370 B1 KR102008370 B1 KR 102008370B1 KR 1020170114592 A KR1020170114592 A KR 1020170114592A KR 20170114592 A KR20170114592 A KR 20170114592A KR 102008370 B1 KR102008370 B1 KR 10200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lag
sedative
sodium carbonate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605A (ko
Inventor
서성모
박현서
신동엽
최재복
유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1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3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진정시키는 진정제로서, 폐펄프를 함유하는 제 1 원료 및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함유하는 제 2 원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정제에 의하면, 나트륨 성분에 의해 슬래그의 용융점 및 점도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가 진정되어, 슬래그가 밖으로 넘처 흐르는 슬로핑이 억제된다. 그리고, 슬래그에 홀 또는 채널이 다량 형성되고, 기포가 다량의 홀 또는 채널을 통해 급속 배출되어,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가 진정되어 슬로핑 억제 또는 방지된다.

Description

진정제{FLUX}
본 발명은 진정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래그 포밍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진정제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은 일반적으로 예비 정련 공정에서 탈린 및 탈황 처리를 한후, 전로에 고철과 함께 장입된다. 그리고 전로에서는 C, Si, P, Mn 등을 제거하기 위해, 랜스를 이용하여 전로 내 용선으로 산소를 취입하는 취련이 실시되며, 슬래그 재화를 위해 생석회(CaO)를 투입한다.
전로 내 용선으로 산소가 취입되면, 용선 중 산소 친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규소(Si) 및 인(P)이 먼저 산소와 반응한다. 이때, 규소(Si)는 산소와 반응하여 SiO2를 생성하고, 인(P)는 P2O5를 생성한다. 생성된 SiO2 및 P2O5는 용선 탕면에 있는 슬래그로 이동되어 흡수된다. 여기서, SiO2는 취련 초기에 투입된 생석회(CaO)와 반응하며, 이에 따라 슬래그의 점성이 높아진다.
1차 취련이 종료되면, 전로를 경동시켜, 슬래그를 포트로 배재하며(1차 배재), 이에 따라 용선의 탈규 및 탈린이 종료된다.
한편, 전로 정련 동안에, 슬래그 중 주요 성분인 FeO가 용강 중 탄소와의 계면 반응을 하며,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CO 가스 즉, CO 기포(bubble)가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취련 중 전로 내 슬래그의 높이는 CO 기포의 생성 속도와 소멸 속도에 의해 좌우되는데, 생성 속도가 빠르고, 슬래그 점도가 높을 경우, 체적이 증가하면서, 전로 밖으로 넘쳐 흐르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런데, 취련 초기에 슬래그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다량의 CO 기포가 슬래그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여 슬래그 포밍 현상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러한 슬래그 포밍 현상이 급격하게 일어날 경우, 슬래그 배재시에 슬래그 포트 외부로 슬래그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포트에서 슬래그가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슬래그를 포트로 배재시에 포트 내 슬래그로 진정제를 투입한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진정제는 폐펄프와 카본계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진정제가 슬래그로 투입되면, 슬래그 내 홀을 형성되고, 상기 홀로 CO 가스가 대기로 배출된다. 이후 슬래그로 물과 질소를 고속으로 분사해주면, 슬래그 표면이 냉각되어, 표면적 또는 부피를 축소시키는 원리로 슬래그 포밍을 진정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진정제는 슬래그를 진정시키는데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KR1206952B1
본 발명은 슬래그를 진정시킬 수 있는 진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그 배재시에 포트로부터 슬래그가 넘쳐흐르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진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진정시키는 진정제로서, 폐펄프를 함유하는 제 1 원료; 및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함유하는 제 2 원료;를 포함한다.
상기 진정제는 탄산화나트륨(NaHCO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원료는 염화나트륨(Na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정제 100 중량%에 대해, 상기 제 1 원료가 50 중량% 내지 90 중량%, 상기 제 2 원료가 1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상기 탄산나트륨(Na2CO3)의 함량과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의 함량이 같거나, 상기 탄산나트륨(Na2CO3)의 함량에 비해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나트륨(Na2CO3) 및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의 함량이 상기 염화나트륨(NaCl)의 함량에 비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원료는 카본계 원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원료는 소결광 제조 중 발생된 배가스의 탈황시에 발생된 탈황 더스트로부터 획득된다.
본 발명은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진정시키는 진정제 제조 방법으로서, 폐펄프를 포함하는 제 1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함유하는 제 2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원료와 제 2 원료를 혼합하고, 이를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원료는 염화나트륨(NaCl)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결광 제조 중 발생된 배가스의 탈황시에 발생된 탈황 더스트로부터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정제에 의하면, 나트륨 성분에 의해 슬래그의 용융점 및 점도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가 진정되어, 슬래그 포밍이 억제된다.
그리고, 실시형태에 따른 진정제를 슬래그로 투입하면, 슬래그에 홀 또는 채널이 다량 형성된다. 그리고, 기포가 다량의 홀 또는 채널을 통해 급속 배출되어,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가 진정되어 슬래그 포밍이 억제 또는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에 의하면, 종래의 진정제 즉, 폐펄프에 의한 가스 외에, 탄산나트륨(Na2CO3)에 의한 가스가 더 생성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기포가 배출될 수 있는 홀 또는 채널의 더 많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슬래그 내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슬래그 포밍을 억제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탈황 더스트의 성분을 나타내는 XRF(X-Ray Flourescence Spectrometry)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 투입에 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슬래그의 포밍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진정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슬래그가 넘쳐흐르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진정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는 전로 내 슬래그를 포트로 배재할 때, 포트 내 슬래그로 투입하는 진정제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 및 진정제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탈황 더스트의 성분을 나타내는 XRF(X-Ray Flourescence Spectrometry)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 투입에 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는 나트륨을 제 1 원료 및 제 2 원료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원료는 폐펄프를 포함하며, 폐펄프는 슬러지 형태일 수 있다. 폐펄프는 수분 함량이 높은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 1 원료는 폐펄프 외에 카본계 원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원료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포함한다. 이때, 탄산나트륨(Na2CO3)의 함량과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의 함량이 같거나, 상기 탄산나트륨(Na2CO3)의 함량에 비해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원료 전체 100 중량%에 대해, 탄산나트륨(Na2CO3)이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 황산나트륨(Na2SO4)이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포함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원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원료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와 같이, 염화나트륨(Na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산나트륨(Na2CO3), 황산나트륨(Na2SO4) 및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며, 탄산나트륨(Na2CO3) 및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의 함량이 상기 염화나트륨(NaCl)의 함량에 비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에 다른 제 2 원료는 탄산나트륨(Na2CO3), 황산나트륨(Na2SO4) 및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한다. 이때, 탄산나트륨(Na2CO3)이 10 중량% 이상, 45 중량% 이하, 황산나트륨(Na2SO4)이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염화나트륨(NaCl)이 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원료 즉, 탄산나트륨(Na2CO3), 황산나트륨(Na2SO4) 및 염화나트륨(NaCl)은 소결광 제조 공정 중 발생된 배가스의 탈황시 발생된 부산물을 회수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다른 말로하면, 제 2 원료는 소결광 제조 공정 중 발생된 배가스를 탈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부산물을 진정제의 원료로 재활용한다.
이하, 소결광 배가스를 탈황시키는 과정 및 부산물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배합원료를 대차에 장입시키면, 대차는 소결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결이 진행된다. 이때, 대차의 하측의 윈드박스에서는 흡인력이 발생 되며, 대차 내에서 소결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는 윈드박스를 거쳐, 상기 윈드박스에 연결된 덕트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한편, 대차로부터 배출된 배가스에는 환경에 유해한 SO2, SO3 등과 같은 SOx(황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가스를 그대로 외부로 방출할 수 없다. 따라서, 덕트 내에 S(황)을 포집 또는 배가스로부터 S(황)을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탈황제를 투입하며, 일반적으로 탈황제는 탄산화나트륨(NaHCO3)를 포함한다.
그리고, 탄산화나트륨(NaHCO3)을 포함하는 탈황제와 배가스 간의 반응에 의해 탈황이 진행되면, 탈황 부산물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이 포함되어 있으며, 염화나트륨(NaCl)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탈황 더스트 100 중량%에는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의 탄산나트륨(Na2CO3)과,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의 황산나트륨(Na2SO4)이 함유되거나, 탈황 더스트 100%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상, 45 중량% 이하의 탄산나트륨(Na2CO3),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의 황산나트륨(Na2SO4), 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염화나트륨(NaCl)이 함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발생된 탈황 더스트를 제 2 원료로 활용한다.
종래에는 탈황 더스트를 폐기하는데, 본 발명과 같이 탈황 더스트를 진정제의 원료로 활용할 경우, 산업 부산물 또는 폐기물을 재활용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진정제를 마련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제 2 원료는 탈황 더스트를 재활용하는데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탄산나트륨(Na2CO3), 황산나트륨(Na2SO4), 염화나트륨(NaCl) 준비하고, 이를 상술한 중량%로 혼합하여 제 2 원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원료 사용시에, 진정제 내 황산나트륨에 의한 포트 내 슬래그의 S(황) 농도는 포트 내 슬래그 양에 비해 분사량이 적어, 최대 0.1%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향후 슬래그 재활용시에도 환경적으로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제 2 원료에 포함된 탄산나트륨(Na2CO3)은 물과 만나면,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형태로 합성된다. 그런데, 제 1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폐펄프는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제 1 원료와 제 2 원료가 혼합되면, 제 2 원료의 탄산나트륨(Na2CO3)이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진정제가 슬래그로 투입되면, 탄산수소나트륨(NaHCO3)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 고온의 슬래그와 만나 가스를 예컨대 CO 가스를 발생시켜 슬래그에 홀 또는 채널을 다량 만들어 주게 된다. 그리고, 기포 예컨대 CO 기포가 홀 또는 채널을 통해 급속 배출된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는 용융점이 650℃ 내지 900℃의 저융점 물질로, 슬래그로 투입되면, 계면에서 저융점화가 되어 기포의 배출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포 배출에 따라,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를 진정된다. 즉, 슬래그 내부의 미세한 기포가 슬래그 밖으로 방출되지 못하면,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여, 슬래그가 밖으로 넘쳐흐르는 슬로핑 문제가 발생되는데,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에 의해 슬래그 내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슬래그 포밍을 억제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원료의 나트륨 성분은 슬래그 내로 투입시에, 슬래그의 용융점 및 점도를 낮추어, 슬래그 포밍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폐펄프를 함유하는 제 1 원료와, 탄산나트륨(Na2CO3), 황산나트륨(Na2SO4) 및 염화나트륨(NaCl)를 함유하는 제 2 원료를 마련한다(S110, S120). 여기서 제 1 원료에는 폐펄프 외에 카본계 원료가 더 함유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원료와 제 2 원료를 혼합하여(S200), 브리켓 형태로 괴상화 한다(S300). 이때, 진정제 100 중량%에 대해, 제 1 원료가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제 2 원료가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 포함되도록 혼합한다.
한편, 제 2 원료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 슬래그 포밍 억제 효과가 종래와 유사한 수준으로, 보다 효과적인 슬래그 진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원료가 10 중량% 이상 포함되도록 한다. 반대로, 제 2 원료가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슬래그 포밍 억제 효과는 종래의 진정제에 비해 우수하지만, 진정제 투입 후 나트륨 성분에 의한 슬래그의 끓음 현상이 심하여, 조업 안정성 확보가 어렵다. 그리고, 제 1 원료와 제 2 원료를 혼합한 후, 이를 괴상화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제 2 원료가 50 중량% 이하 포함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원료와 제 2 원료를 혼합하여 괴상화하면, 제 2 원료에 포함된 탄산나트륨(Na2CO3)이 폐펄프의 수분과 만나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변환된다.
제 1 원료와 제 2 원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괴상화 하는데 있어서, 그 입도가 1mm 내지 200mm가 되도록 괴상화 한다.
예컨대, 진정제가 1mm 미만인 경우, 진정제를 슬래그로 투입시에 화염이 발생할 수 있고, 화염 및 그 열기로 인해 슬래그에 효과적으로 투입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슬래그 진정 효과가 미비하다. 반대로 진정제가 200mm를 초과하는 경우, 슬래그로 투입되어도 상기 슬래그와 반응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길어, 진정 효과가 감소된다.
이에, 실시예에서는 진정제가 1mm 내지 200mm의 입도를 가지도록 괴상화한다.
그리고, 진정제가 슬래그로 투입되면, 탄산수소나트륨(NaHCO3)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 고온의 슬래그와 만나 가스를 발생시켜 슬래그에 홀 또는 채널을 다량 만들어 주게 된다. 그리고, 기포 예컨대 CO 기포가 홀 또는 채널을 통해 급속 배출된다. 이러한 기포 배출에 따라,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가 진정된다. 즉, 슬래그 내부의 미세한 기포가 슬래그 밖으로 방출되지 못하면,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여, 슬래그가 밖으로 넘쳐흐르는데,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에 의해 슬래그 내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슬래그 포밍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를 이용한 용선 정련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탈황 및 탈린 중 적어도 하나의 예비 정련이 실시된 용선과 고철을 전로에 장입한다.
그리고, 랜스를 이용하여 전로 내에 산소를 취입하고(1차 취입), 슬래그 재화를 위해 생석회(CaO)를 투입한다. 전로 내 용선으로 산소가 취입되면, 용선 중 산소 친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규소(Si) 및 인(P)이 먼저 산소와 반응한다. 이때, 규소(Si)는 산소와 반응하여 SiO2를 생성하고, 인(P)은 P2O5를 생성한다. 생성된 SiO2 및 P2O5는 용선 탕면에 있는 슬래그로 이동되어 흡수된다. 여기서, SiO2는 취련 초기에 투입된 생석회(CaO)와 반응하며, 이에 따라 슬래그의 점성이 높아진다.
취련이 종료되면, 전로를 경동시켜, 슬래그를 포트로 배재한다.
한편, 전로 정련 동안에, 슬래그 중 주요 성분인 FeO가 용강 중 탄소와의 계면 반응을 하며,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CO 가스 즉, CO 기포(bubble)가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런데, 특히 취련 초기에 슬래그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다량의 CO 기포가 슬래그층을 통과하지 못하면,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여 슬래그 포밍 현상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러한 슬래그 포밍 현상이 급격하게 일어날 경우, 슬래그 배재시에 슬래그 포트 외부로 슬래그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슬래그를 포트에 배재시에, 포트 내 슬래그로 플럭스를 투입한다. 이때, 슬래그 톤(ton) 당 5kg 내지 20 kg의 양으로 진정제를 투입한다. 이때 진정제는 l회 또는 복수회로 분할하여 투입할 수 있다.
진정제가 슬래그가 투입되면, 제 2 원료의 탄산나트륨(Na2CO3)과 제 1 원료의 폐펄프에 함유된 수분과 만나, 형성된 탄산수소나트륨(NaHCO3)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 고온의 슬래그와 만나 CO 가스를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슬래그에 홀 또는 채널이 다량 형성된다. 그리고, 기포가 다량의 홀 또는 채널을 통해 급속 배출되어, 슬래그의 체적 또는 부피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슬래그가 진정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제에 의하면, 종래의 진정제 즉, 폐펄프에 의한 가스 외에, 제 2 원료의 탄산나트륨(Na2CO3)에 의한 가스가 더 생성됨에 따라, 종래에 폐펄프와 카본계 물질로 이루어진 진정제를 투입할(도 5a 참조)에 비해 기포가 배출될 수 있는 홀 또는 채널의 더 많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슬래그 내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슬래그 포밍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도 5b 참조).
S110 : 제 1 원료 마련 S120: 제 2 원료 마련
S200: 제 1 원료와 제 2 원료 혼합
S300: 성형

Claims (11)

  1.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진정시키는 진정제로서,
    폐펄프를 함유하는 제 1 원료; 및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함유하는 제 2 원료;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료는 소결광 제조 중 발생된 배가스를 탄산화나트륨(NaHCO3)을 이용하여 탈황시켜 발생된 탈황 더스트로부터 획득하여 마련되어, 상기 제 2 원료는 상기 제 2 원료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상기 탄산나트륨(Na2CO3)이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이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포함되고,
    상기 진정제 100 중량%에 대해, 상기 제 1 원료가 50 중량% 내지 90 중량%, 상기 제 2 원료가 1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된 진정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정제는 탄산화나트륨(NaHCO3)을 포함하는 진정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료는 염화나트륨(NaCl)을 더 포함하는 진정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산나트륨(Na2CO3) 및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의 함량이 상기 염화나트륨(NaCl)의 함량에 비해 많은 진정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료는 카본계 원료를 더 포함하는 진정제.
  8. 삭제
  9.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진정시키는 진정제 제조 방법으로서,
    폐펄프를 포함하는 제 1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
    탄산나트륨(Na2CO3) 및 황산나트륨(Na2SO4)을 함유하는 제 2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원료와 제 2 원료를 혼합하고, 이를 성형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결광 제조 중 발생된 배가스를 탄산화나트륨(NaHCO3)을 이용하여 탈황시켜 발생된 탈황 더스트로부터 획득하여 마련하여, 상기 탄산나트륨(Na2CO3)이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 상기 황산나트륨(Na2SO4)이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포함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 원료와 제 2 원료를 혼합하는데 있어서, 상기 진정제 100 중량%에 대해, 상기 제 1 원료가 50 중량% 내지 90 중량%, 상기 제 2 원료가 1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하는 진정제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료는 염화나트륨(NaCl)을 더 포함하는 진정제 제조 방법.
  11. 삭제
KR1020170114592A 2017-09-07 2017-09-07 진정제 KR10200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92A KR102008370B1 (ko) 2017-09-07 2017-09-07 진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92A KR102008370B1 (ko) 2017-09-07 2017-09-07 진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05A KR20190027605A (ko) 2019-03-15
KR102008370B1 true KR102008370B1 (ko) 2019-08-07

Family

ID=6576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92A KR102008370B1 (ko) 2017-09-07 2017-09-07 진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41B1 (ko) * 2019-07-04 2021-06-16 주식회사 아이에스원 고로 슬래그의 용융 온도 강하제
KR102271526B1 (ko) * 2021-01-08 2021-07-02 김홍균 폐 중조를 포함하는 전로용 슬래그 진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진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007A (ja) * 1999-07-22 2001-02-06 Riken:Kk 鉄鋼スラグのフォーミング現象鎮静剤
KR101419258B1 (ko) * 2013-07-03 2014-07-15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탈황 더스트를 이용한 고로 조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87B1 (ko) * 2009-12-08 2012-06-18 한국세라믹기술원 제철제강용 알카리 칼슘페라이트 플럭스의 제조방법
KR101206952B1 (ko) * 2010-09-06 2012-11-30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포밍 진정제 및 이의 투입 방법
KR101485033B1 (ko) * 2012-11-20 2015-01-21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진정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007A (ja) * 1999-07-22 2001-02-06 Riken:Kk 鉄鋼スラグのフォーミング現象鎮静剤
KR101419258B1 (ko) * 2013-07-03 2014-07-15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탈황 더스트를 이용한 고로 조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05A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8048T3 (es) Briqueta compuesta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carga de horno de fabricación de acero
CN105039701B (zh) 一种复杂富锌含铅物料处理方法
KR102008370B1 (ko) 진정제
KR102042845B1 (ko) Fe 함유 슬래그 중 Fe의 회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환원제
KR101366304B1 (ko) 용선 탈황제
KR102144906B1 (ko) 용선 탈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371B1 (ko)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KR101084579B1 (ko) 페로-바나듐 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플럭스
KR102142081B1 (ko) 용선 예비 처리 방법
KR101321849B1 (ko) 매용제 및 이를 이용한 생석회의 재화 촉진 방법
JP5434205B2 (ja) 転炉スラグの再利用方法
JP4329724B2 (ja) 転炉スクラップ増配方法
KR102261427B1 (ko) 저융점 슬래그 조재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4992549B2 (ja) 竪型スクラップ溶解炉を用いた溶銑製造方法
KR101637032B1 (ko) 복합 탈산제
KR100388039B1 (ko) 전로매용제 및 이를 이용한 전로정련방법
KR101606986B1 (ko) 전로 취련 방법
KR101863916B1 (ko) 마그네슘 제련공정 부산물과 알루미늄 제련공정 폐부산물을 이용한 탈황 및 탈산용 제강플럭스 조성물
KR20240045560A (ko) 폐산슬러지를 활용한 전로 공정
JP4816119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100916094B1 (ko) 용선 예비처리 방법
KR100896641B1 (ko)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CN1110990A (zh) 冶炼添加剂及其在冶炼工艺中的应用
JP4415690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20010045989A (ko) 전로 슬로핑 진정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