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641B1 -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 Google Patents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641B1
KR100896641B1 KR1020010079455A KR20010079455A KR100896641B1 KR 100896641 B1 KR100896641 B1 KR 100896641B1 KR 1020010079455 A KR1020010079455 A KR 1020010079455A KR 20010079455 A KR20010079455 A KR 20010079455A KR 100896641 B1 KR100896641 B1 KR 10089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iron
slag
desorbent
bubbling
r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285A (ko
Inventor
김정식
서성모
심상철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6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21C1/02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200/00Recycling of was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300/00Process aspects
    • C21C2300/02Foam cre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용선을 탈류정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예비처리 탈류공정에 있어서 취입용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고, 동시에 전로슬래그를 용선 상부 나탕부에 적절히 투입하여 영구적인 탈류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탈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CaO계 및 CaC2계 탈류제를 사용하여 용선을 탈류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류처리전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여 용선나탕부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전로슬래그 입자를 용선 1톤에 대하여 1.0~2.5kg의 투입량으로 나탕부에 5분~12분간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이후 버블링이 완료된 후 즉시 상기 탈류제를 취입하는 용선의 탈류정련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Figure R1020010079455
용선, 예비처리, 탈류, 정련, 나탕부, 버블링, 용선나탕, 전로슬래그

Description

용선의 탈류정련방법{Method for Desulphurization-Refining Molten Pig Iron}
도 1은 통상적인 제강조업에 있어서 고로에서 연속주조까지의 공정도
도 2는 종래방법에 따라 탈류처리시 용선/슬래그 계면에서의 탈류반응 모식도
도 3은 본발명법에 따라 탈류처리시 용선/슬래그 계면에서의 탈류반응 모식도
도4. 종래방법및 본발명법에 의한 용선의 탈류정련시 처리시간에 따른 탈류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용선을 탈류정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CaO계 및 CaC2계 탈류제를 사용하여 용선을 정련할 때 용선내 탈류제 취입중에 전로슬래그 입자를 나탕부에 투입하여 탈류율을 향상시키는 용선의 탈류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조업은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을 이용, 전로장입하기 전에 예비정련(용선탈규소, 탈린, 탈류)을 실시하고, 전로, 2차정련공정을 거쳐 연속주조 공정을 통해 주편(슬래브, 브룸, 빌렛트)을 제조하고 있다.
여기서 용선예비처리라고 하는 것은 고로에서 토페도카로 출선된 용선을 전로 장입 전에 탈규소, 탈린 및 탈류등의 사전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선-제강-연속주조공정의 개념도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특히, 최근 철강재에 대한 수요가의 품질 요구가 엄격해짐에 따라 양호한 주편의 내부품질 및 고온에서 취성에 민감한 유황을 낮은 수준으로 요구하는 강종이 증가함에 따라 용선예비처리에서의 탈류정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용선중 탈류제의 분체취입에 의해의 탈류정련을 실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용선중 유황([S])과 탈류제인 산화칼슘(CaO) 및 칼슘카바이드(CaC2)와 화학반응에 의해 유화칼슘(CaS)의 생성에 의해 탈류가 진행된다.
한편, 분체형태의 탈류제를 용선내에 취입하여 탈류되는 것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분류된다. 즉, 용선중 취입된 분체 탈류제가 용선내에서 부상되는 과정에서 탈류되는 일시적인(Transitory)반응과 부상되어 용선상부에 잔류하여 용선과 탈류제 계면에서 일어나는 영구적인(Permanent) 반응이다.
이들 탈류반응은 화학반응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식(1) 및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 + [C] + CaO(탈류제) →CaS + CO(가스)
[S] + CaC2(탈류제) →CaS + 2[C]
이와 같은 탈류반응은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1)반응온도가 높을 것, 2)산소포텐샬(PO2, oxygen potential)이 낮을 것, 3)탈류제의 용선내 활동도가 높고 탈류능이 클 것, 4)용선과 탈류제와의 계면적이 클 것, 그리고 5)탈류제의 융점이 낮을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조업에서는 임의로 조건을 변동시킬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예를 들면, 단시간 처리에 의해 탈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고탈류능의 탈류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탈류제로써 칼슘카바이드계나 MgO계가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
반대로 저렴한 탈류제인 생석회계는 융점이 높고, 반응효율이 낮으므로 취입원단위가 높고 슬래그발생량이 많으며, 동시에 용선온도 강하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결국 어떤 탈류제를 사용하더라도 주어진 시간내에 높은 탈류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취입량에 관계없이 탈류제가 탈류반응에 이용되는 비율(탈류반응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분체취입에 의한 탈류조업은 토페도(Torpedo)로 출선된 용선에 랜스를 침지시킨 상태에서 랜스 홀(Hole)로 분체(Powder)인 용선탈류제(CaO, CaC2등)를 질소 가스와 같이 용선에 취입하여 용선중의 유황을 저감시키는 공정이다.
탈류반응은 크게 두가지로 일어나는데, 용선에 취입된 탈류제 계면에서 용선의 유황과 반응하는 일시적인(Transitory) 탈류반응과 용선 상부의 슬래그와 용선계면에서 일어나는 영구적인(Permanent) 탈류반응이 있다.
일시적인 탈류반응은 탈류제 취입시 용선상부로 부상하면서 일어나는 반면, 영구적 인 탈류반응은 탈류제가 용선상부로 부상후 슬래그와 용선 계면에서의 지속된다.
용선을 전로에 장입하기 전에 예비처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유황은 적정 염기도가 확보된 상태에서 산소포텐샬이 낮은 경우, 즉 환원반응(S0→S2-)에 의해 제거되며 산소취련을 실시하는 전로는 산소포텐샬이 높은 강산화성 분위기이므로 전로에서 탈류반응은 제한적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다.
결국, 전로 노내에서는 현저한 탈황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극저류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선예비처리 공정에서 전로에 장입되는 용선의 유황([S]) 성분을 낮추는 것이 선결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유황이 약 50ppm 이하의 극저류강 생산에 있어서 전로 출강후 이차정련에서의 공정부하를 저감하기 위하여 용선예비처리 공정에서 탈류조업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탈류제 반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제 1999-3962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제 1999-3489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제1997-7089호 및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990-46071호등을 들수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제 1999-39625호에는 탈류제에 별도의 탈류촉진효과가 있는 염화나트륨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제 1999-34897호에는 탈류반응 계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랜스노즐공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제1997-7089호에는 탈류제의 용강내 침입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중이 큰 탄화철입자등을 혼합하 여 취입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990-46071호에는 기계적 교반과 취입형 랜스를 병합한 형태의 기체취입병용 교반기를 이용하여 탈류제의 반응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33758호에는 용선예비처리시 CaO계 및 CaC2계 탈류제를 사용하여 탈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류제 투입전에 전로슬래그를 풍쇄처리 장치에 의거 1~4mm의 볼(Ball)형태로 제조한 풍쇄슬래그를 용선 1톤당1.0~2.0kg을 버블링 개시전에 저점도의 용선슬래그 상부에 투입한 다음, 버블링개시와 더불어 용선슬래그를 투입한 풍쇄슬래그 표면에 사전 코팅시켜줌에 의해 용선슬래그의 탈류반응에의 악영향을 해소함으로써 취입 탈류제의 반응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탈류처리전 용선슬래그의 잔류량에 따라 차별적으로 풍쇄슬래그의 투입량을 조정해야 하며, 탈류처리전 용선슬래그의 저점도 또는 액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처리전 용선슬래그가 많은 경우, 투입 풍쇄슬래그가 충분하지 못하면 본래의 목적인 용선슬래그의 무해화 효과도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처리전 반응용기내의 용선슬래그를 일정량 이하로 배재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예비처리 탈류공정에 있어서 취입용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고, 동시에 전로슬래그를 용선 상부 나탕부에 적절히 투입하여 영구적인 탈류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탈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CaO계 및 CaC2계 탈류제를 사용하여 용선을 탈류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류처리전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여 용선나탕부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전로슬래그 입자를 용선 1톤에 대하여 1.0~2.5kg의 투입량으로 나탕부에 5분~12분간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이후 버블링이 완료된 후 즉시 상기 탈류제를 취입하는 용선의 탈류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용선예비처리 공정에서의 극저류 용선을 제조하기 위해서 또는 고로로부터 출선된 용선의 탈류효율을 향상 시키는 방법으로 탈류제 취입 전 슬래그 배재를 실시하였다.
슬래그를 배재하는 이유는 고로출선시 동반되어 나오는 유황 함유량이 높고 저염기도의 고로슬래그를 탈류전에 제거함으로써 슬래그층으로 취입하여 부상된 탈류제와 용선의 탈류반응효율 즉, 영구적인 탈류 반응을 높히기 위해서이다.
고로에서 출선시 유출된 슬래그의 염기도, 즉, 탈류처리전 고로슬래그 염기도 (CaO/SiO2)는 평균 1.05수준으로 낮으므로 슬래그의 유황 포집능력(Sulfide Capacity)이 낮을 뿐만 아니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류전 잔류 고로슬래그와 희석되어 부상된 탈류제와 단순 물리적 혼합된 상태이거나 액체 상태의 고로슬래그에 의해 코팅되어 탈류제의 지속적인 탈류반응을 저하시킨다.
또한, 부상된 탈류제를 조대화시켜 반응 계면적을 감소 시킴으로써 슬래그중 탈류제의 탈류 반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취입 탈류제 원단위 증가, 탈류처리시간 증대등 탈류처리시 부하가 증가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써, 용선예비처리 탈류공정에 있어서 취입용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여 용선나탕부를 만들고, 동시에 전로슬래그를 용선 상부 나탕부에 지속적으로 5~12분간 투입하고, 그리고 버블링 처리종료 후 즉시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류제를 연속적으로 취입하므로써, 영구적인 탈류반응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용선나탕부는 취입용 랜스를 하강하면서 30초 정도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로 슬래그의 일례로는 전로에서 취련 및 출강후 노내에 남아 있던 용융 전로 슬래그를 포트(pot)에 받아 슬래그야드(slag yard)에 버린 후 냉각시킨 다음, 파쇄하여 적정 크기의 입자로 만들어 진 것을 들수 있다.
상기 전로슬래그로는 FeO: 15~35중량%, CaO: 35~50중량%, SiO2: 5~18중량%, 및 MgO: 5~12중량%를 함유하는 전로슬래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로 슬래그의 입도가 1mm 미만인 경우에는 열류 및 집진설비로 인해 투입에 어려움이 따르고,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로슬래그 자체의 표면적 감소에 따른 탈류효율 향상효과가 저하하므로, 상기 전로 슬래그의 입도는 1-10mm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로슬래그의 투입량이 2.5kg/t-stee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선 슬래그의 염기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보다 오히려 온도를 하락시켜 탈류반응효율이 저하되고, 전로슬래그가 1.0kg/t-steel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에는 나탕근방의 고로슬래그의 영향도를 줄이는 효과가 미미하여 탈류반응에의 기여율이 낮게 되므로, 상기 전로슬래그의 투입량은 1.0-2.5kg/t-steel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전로슬래그의 투입방법은 한번에 일괄투입하는 경우에는 전로슬래그가 한쪽으로 편중되어 고로슬래그의 희석효과가 미흡하며, 탈류제 취입시간동안에 지속적으로 투입하게 되면 상기한 투입량 대비 전로슬래그의 탈류효율 향상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로슬래그의 투입시간은 5-12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투입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짧은 시간동안 다량의 전로슬래그 투입으로 인하여 용선 및 슬래그 계면의 순간적인 온도 강하가 크기 때문에 탈류반응의 지체현상을 동반하고, 12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2분 이후에 투입된 전로슬래그가 충분히 탈류에 기여할 시간이 부족하며, 동시에 취입탈류제의 혼합층내 탈류제 점유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탈류제 취입에 앞서 랜스를 하강하면서 약 30초간 버블링을 실시하여 용선상부 나탕부를 만든 후 상기 나탕부에 전로 슬래그를 투입하여 탈류제 취입전에 용선 나탕부 근방에 상존하는 고로슬래그와의 교반을 통해 미리 고로슬래그에 의한 탈류제의 영구적인 탈류반응의 저해요인을 해소시킨 다음, 랜스를 통해 탈류제를 취입함으로써 용선 나탕부의 근방의 슬래그층은 탈류제, 전로슬래그와의 혼합층을 형성하여 탈류제가 본래의 탈류반응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전로슬래그 입자는 용선과 접촉하여 입자표면은 CaO가 리치(rich)한 층을 형성하여 탈류능을 갖도록 유도됨으로써 탈류반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3과 같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탈류제를 취입하기 전에 버블링을 실시하여 용선상부에 나탕부를 형성시킨 후[도 3의 (a)], 전로슬래그를 투입하기 시작[도 3의 (b)]하고 버블링 개시 30초이후부터 탈류제를 취입하면 초반에는 도 3의 (c)와 같이 나탕부 상부에 전로슬래그와 취입에 의해 부상된 탈류제의 혼합층이 형성되어 전로슬래그가 많게 되지만, 탈류제 취입 후반이 되면 도 3의(d)에서와 같이 전로슬래그와 탈류제 혼합층에는 탈류제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취입개시부터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로슬래그와 탈류제 혼합층의 면적은 확대되어 탈류반응 면적이 증가하여 탈류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탈류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특성을 갖는 전로슬래그를 이용하고,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하기 표 2의 용선에 대하여 탈류정련을 행한 후, 탈류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의 종래방법의 경우에는 토페도카가 탈류장에 도착하면 용선성분를 확인하기 위해 샘플링(Sampling)을 실시하여 취입할 탈류제 원단위를 설정한 다음, 취입용 랜스를 하강시키면서 용선내에 탈류제를 설정량 만큼 취입한 다음 랜스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탈류처리후 용선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샘플링을 실시한 후 탈류장을 출발하게 된다.
반면에, 하기 표3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을 먼저 실시하고, 이때 나타나는 용선 상부 나탕부에 전로슬래그를 투입하기 시작하고 이후 버블링이 종료됨과 동시에 탈류제 취입을 연속적으로 개시하여 취입이 완료되면 랜스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버블링, 전로슬래그 투입 및 탈류제 투입시간은 도 4와 같이 행하고,
전로슬래그 투입은 분당 약50kg으로 행하고, 탈류제는 칼슘카바이드계이며, 취입량은 용선 톤당 5.3 kg이였다
형상 입자크기분포 주요성분 융점
입자(granule type) 10mm초과: 1%이하 1-10mm: 27% 1-5mm: 70% 1mm미만: 2% FeO:25%, CaO: 45%, SiO2: 13% MgO: 9% 기타: MnO, Al2O3, TiO2등 (염기도: 3.46) 1342℃
구분 C Si Mn P S 온도(℃)
용선성분(wt%) 4.3-4.8 0.25-0.60 0.25-0.45 0.090-0.110 0.015-0.050 1350-1450
구분 조업방법
종래방법 탈류장 도착-샘플링-랜스하강 및 탈류제 취입-취입완료및 랜스상승-샘플링-탈류장 출발
본 발명 탈류장 도착-샘플링- 랜스하강 및 버블링개시(30초)-전로슬래그 연동투입-탈류제취입개시- 취입완료및 랜스상승-샘플링- 탈류장 출발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발명법에 의해 실시한 경우가 처리중 탈류율은 물론 처리후 최종 탈류율이 종래방법에 비해 10% 높은 결과를 얻었다. 즉, 처리완료후 탈류율은 종래방법이 83%를 얻었고, 본 발명에서는 94%를 얻었다. 상기 결과는 동일한 탈류제를 취입하였기 때문에 취입된 탈류제가 부상하면서 일어나는 일시적인 반응에 대한 탈류기여 효율은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방법과 본 발명의 탈류율에 있어서 차이는 영구적인 반응에 의해 발생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영구적인 반응을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현시켰음을 입증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방법과 본발명법에 의해 실시한후 본발명법의 경우가 우수한 탈류율이 얻어지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첫째, 전로슬래그에 의한 탈류반응에의 기여이다.
이것은 전로슬래그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철(FeO)성분은 탈류반응을 해치는 물질이지만 용선상부 나탕부에 투입되면 전로슬래그입자와 용선과 접촉하여 입자표면은 CaO rich한 고염기도가 되고, 이 CaO가 용선중 유황과 반응하게 된다. 이때 반응에 의해 생성된 CO가스는 전로슬래그 및 탈류제 혼합층의 강한 환원성 분위기가 되어 탈류반응을 더욱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과정을 반응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식(3) 및 (4)로 나타낼 수 있다.
FeO(전로슬래그표면층) + [C] →CO + Fe
CaO(전로슬래그표면층) + [S] + [C] →CaS + CO
둘째, 탈류제의 탈류반응효율 향상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해 탈류제인 CaC2가 대기로부터 산화를 방지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탈류반응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높여주는 효과이다. 즉, 전로슬래그와 탈류제 혼합층내에 연속적 전로슬래그의 투입으로 CO가스 분위기가 강해짐에 따라 CaC2가 용선중 유황과의 반응을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게 된다.
종래방법의 경우는 용선상부에 부상된 취입탈류제는 대기중에 방치된 상태이므로 CaC2가 대기중 산소에 의해 산화됨에 따라 탈류반응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 이것을 화학반응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식(5)와 같다.
2CaC2(탈류제) + 3O2(대기) →2CaO + 4CO
여기서 탈류제인 CaC2는 대기산화에 의해 CaO가 되기 전에 용선의 유황과 직접 반응에 참여하는 것이 탈류반응에 더욱 효과적이다. 즉, 탈류반응은 CaO보다 CaC2가 더 욱 잘 일어난다는 것이다.
(실시예 2)
265톤/TLC의 용선을 용선예비처리 공정에서 전로슬래그를 토피도카(Torpedo car)내의 용선 상부 나탕부에 1.0~2.5kg/t 투입하였을 때 탈류제 종류별 원단위, 탈류전,후 유황함량의 수준 및 탈류반응효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탈류반응효율(K')은 ln([S]i/[S]f)/탈류제 원단위로 표시되고, 그리고 탈류전/후 [S]농도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탈류제 종류 항목 종래방법 본 발명법
CaC2계 실시횟수 52 15
탈류전[S](10-3%) 25.0 25.0
탈류후[S](10-3%) 4.0 1.5
취입원단위(kg/T) 5.55 5.53
탈류반응효율(K') 5.57 6.16
CaO계 실시횟수 82 10
탈류전[S](10-3%) 20.6 20.7
탈류후[S](10-3%) 4.2 2.5
취입원단위(kg/T) 9.36 9.19
탈류반응효율(K') 3.05 3.6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C2계 또는 CaO계 탈류제를 동등한 투입원단위로 분체취입한 경우, 어느 경우이든 종래방법에 비해 전로슬래그를 용선상부의 나탕부에 투입하면서 분체취입한 본발명의 방법의 경우가 처리후 용선중 유황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으며, 탈류제의 반응효율도 높게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로슬래그를 버블링 개시 30초부터 탈류제 취입과 더불어 투입해줌으 로써 용선 나탕부에서 취입부상된 탈류제와 혼합층을 형성하여 슬래그의 염기도 상승과 반응계면적 증대로 탈류제 반응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투입 전로슬래그에 의한 탈류효율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전로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재활용에 의해 폐기물 발생을 저감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은 탈류제 취입전 버블링 단계에서부터 용선 나탕부에 전로슬래그를 투입하여 탈류제 반응효율향상 및 전로슬래그 자체가 탈류반응에 기여시킴으로써, 탈류제 원단위 저감과 동시에 처리시간을 통해 생산공정부하를 경감하고, 폐기 전로슬래그를 재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CaO계 및 CaC2계 탈류제를 사용하여 용선을 탈류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류처리전 랜스를 하강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실시하여 용선나탕부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전로슬래그 입자를 용선 1톤에 대하여 1.0~2.5kg의 투입량으로 나탕부에 5분~12분간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이후 버블링이 완료된 후 즉시 상기 탈류제를 취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로슬래그가 1-10mm의 입도를 가지고, 그리고 FeO: 15~35중량%, CaO: 35~50중량%, SiO2: 5~18중량%, 및 MgO: 5~12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KR1020010079455A 2001-12-14 2001-12-14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KR10089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55A KR100896641B1 (ko) 2001-12-14 2001-12-14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55A KR100896641B1 (ko) 2001-12-14 2001-12-14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285A KR20030049285A (ko) 2003-06-25
KR100896641B1 true KR100896641B1 (ko) 2009-05-08

Family

ID=2957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455A KR100896641B1 (ko) 2001-12-14 2001-12-14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99B1 (ko) * 2002-12-27 2009-09-09 주식회사 포스코 탈산용강의 탈황 및 질소혼입 방지방법
KR101018167B1 (ko) * 2003-10-17 2011-02-28 주식회사 포스코 저류강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26A (ko) * 2000-05-15 2001-11-26 이구택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탈규용선의 탈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26A (ko) * 2000-05-15 2001-11-26 이구택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탈규용선의 탈류처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1-104526호(2001.11.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285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921B1 (ko) 강 스크랩 중의 구리 제거방법
JP2018178260A (ja) 転炉製鋼方法
JP4848757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R100896641B1 (ko) 용선의 탈류정련방법
JP5061545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R20190099018A (ko) 용선의 탈인 방법
KR102412350B1 (ko) 용선의 탈인 방법
JPH0141681B2 (ko)
KR100226901B1 (ko) 레이들 슬래그를 이용한 용선 탈황제
JP4904858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R100681292B1 (ko) 저인용선의 제조방법
JP4882171B2 (ja) 溶銑の脱燐方法
JP4406142B2 (ja) 溶銑の脱燐方法
JP3742543B2 (ja) 溶銑の脱珪脱硫方法
JP5326591B2 (ja) 鋼屑を鉄源とした溶銑の製造方法
JP2001107124A (ja) 溶銑の脱燐方法
RU2735536C1 (ru) Способ обесфосфоривания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железа и рафинирующая добавка
KR100816790B1 (ko) 용선 탈황슬래그의 배재효율 향상방법
JP4360239B2 (ja) 真空脱ガス設備における溶鋼の脱硫処理方法
JP2011058046A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R100878671B1 (ko) 용선 탈황슬래그 중의 황 제거방법
JP4224197B2 (ja) 反応効率の高い溶銑脱燐方法
JP3823877B2 (ja) 低燐溶銑の製造方法
KR100910471B1 (ko) 용강의 청정도 및 탈류효율 향상 방법
KR100775240B1 (ko) 탈류효율향상을 위한 용선의 예비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29

Effective date: 200904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