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869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869B1
KR102007869B1 KR1020170159916A KR20170159916A KR102007869B1 KR 102007869 B1 KR102007869 B1 KR 102007869B1 KR 1020170159916 A KR1020170159916 A KR 1020170159916A KR 20170159916 A KR20170159916 A KR 20170159916A KR 102007869 B1 KR102007869 B1 KR 10200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yarn
carbon
carcass ply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80A (ko
Inventor
박병철
이상우
김청수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69B1/ko
Priority to JP2018018603A priority patent/JP2019099121A/ja
Priority to US15/933,905 priority patent/US20190160891A1/en
Priority to CN201810249706.XA priority patent/CN109835126A/zh
Priority to EP18167691.7A priority patent/EP3489042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60C19/084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42Reinforcements made of 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5Reinforcemen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e.g. hybrid or composite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64Reinforcements comprising mono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003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1664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 B29D2030/1671Venting air inclusions during the layer applications, e.g. by creating grooves, channels, passages, holes in the band-like tire component to be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3064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3071Venting air inclusions during the layer applications, e.g. by creating grooves, channels, passages, holes in the band-like tire component to be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8Applying bands of rubber treads, i.e. applying camel backs
    • B29D2030/582Venting air inclusions, e.g. air trapped between tread and carc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74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 of the belt cord
    • B60C2009/2077Diameters of the cords; Linear density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8Venting means, e.g. for expelling entrapp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트레드부 내부에서 카카스 플라이 상측에 벨트층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카카스 플라이와 상기 벨트 사이에는 복수의 에어벤트사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에어벤트사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카스 플라이와 상기 벨트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바디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타이어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카스 플라이를 경유해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를 통해 방전시켜 자동차에서 정전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The Pneumatic tires}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내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켜 이를 통해 차량 내의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 주유를 할 때 운전자의 정전기로 인해서 화재가 발생을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런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서 주유 전 정전기 방지 터치패드가 설치되어 있기는 하나, 차량에도 정전기를 방지할 수단이 필요하다.
차량이 전기가 통하기 위해서는 노면과 접지하는 부분이 타이어이므로 필연적으로 타이어도 전기가 통해야 한다.
종래에는 타이어의 사이드고무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유도하였으나, 사이드고무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전기 전도성까지 겸비하도록 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 밖의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서 타이어의 기타 고무 및 반제품들에 전기가 통하게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6800호(공개일자 2001. 11. 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3201호(등록일자 2004. 10. 06)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내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켜 이를 통해 차량 내의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내부에서 카카스 플라이 상측에 벨트층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카카스 플라이와 상기 벨트 사이에는 복수의 에어벤트사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에어벤트사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카스 플라이와 상기 벨트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도성을 갖도록 상기 에어벤트사 표면에 전기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사는 면사, 나일론사, PET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사의 인장하중은 0.25kgf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벤트사의 굵기(Denier)는 170D 내지 500D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전도성 코팅층은 액상 카본을 상기 에어벤트사 표면에 코팅하여 만들어지는 카본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상 카본은 N2SA가 83 내지 125(m2/g)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상 카본은 DBP(Dibutyl Phthalate)가 70 내지 125(cm3/100g) 범위 이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카본은 물 50 내지 60 중량%, 카본 블랙 37 내지 43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카카스 플라이와 벨트층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에어벤트사 중 일부의 통전 가능한 전기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카카스 플라이와 벨트층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타이어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카스 플라이를 경유해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를 통해 방전시켜 차량 내의 정전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벤트사에 카본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부(2)를 중심으로 양측 폭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사이드월부(3) 및 비드부(4)가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트레드부(2), 사이드월부(3) 및 비드부(4) 내부에는 인너라이너(7) 및 카카스 플라이(6)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특히 트레드부(2) 내부에는 카카스 플라이(6) 상측에 벨트층(5)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카카스 플라이(6) 내부에는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압연사(61; fabric cord)가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카스 플라이(6)와 상기 벨트층(5) 사이에는 복수의 에어벤트사(62)가 전술한 압연사(61)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사(62)들은 타이어 성형 과정에서 카카스 플라이(6) 상측에 벨트층(5)을 형성하기 위한 벨트 반제품을 감아 부착한 이후, 이들을 서로 압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벤트사(62)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카카스 플라이(6)와 상기 벨트층(5) 사이가 통전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에어벤트사(62)들중 일부가 통전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하여 카카스 플라이(6)로 흐르는 전류가 벨트층(5)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1)는 에어벤트사(62)들중 일부가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상기 에어벤트사(62) 표면에 전기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타이어(1)를 통해 지면으로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전기 전도성 코팅층은 상기 에어벤트사(62)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는 카본 코팅층(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벤트사에 카본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8)에 담긴 액상 카본에 에어벤트사(62)를 딥핑(dipping)한 후, 꺼내어 건조기(dryer: 81)를 이용해 건조하여 되면 상기 에어벤트사(62)의 외주면에 카본 코팅층(63)이 기설정된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벤트사(62)는 나일론사(Nylone Cord)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벤트사(62)가 면사(Cotton Cord), 나일론사(Nylone Cord), PET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에어벤트사(62)는 인장하중이 적어도 0.25kgf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굵기가170D 내지 500D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카스 플라이(6)의 압연 공정은 시트(Sheet) 형태의 압연 제직물을 풀면서 상, 하 고무를 토핑한 후, 고무의 점착력을 이용해 그 위에 에어벤트사(62)를 얹어 놓고 당기는 형태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벤트사(62)의 인장하중이 0.25kgf 미만인 경우 상기한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에어벤트사(62)가 끊어지게 되어, 결국 반제품 성형 압착 과정에서 이들을 통해 반제품들 사이에 갇힌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고 공기입 현상이 발생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카카스 플라이(6)와 상기 벨트층(5)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지 못하여 방전을 통한 정전기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에어벤트사(62)의 굵기가 170D(Denier) 미만인 경우에는 실이 너무 가늘고 얇아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는 달리 실의 굵기가 500D(Denier) 초과인 경우 카본을 용액화해서 실에 묻혀도 카본(carbon)이 골고루 충분히 묻지 않아 전기 전도성의 편차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하,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나일론사에를 카본 코팅층을 형성한 에어벤트사(62)의 굵기 별 전기 전도성 및 이들 에어벤트사의 적용 가능 여부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08378313-pat0001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벤트사(62)의 굵기가 170D 미만인 50D와 100D에서는 코드의 인장하중이 0.25kgf 미만이기 때문에 전술한 카카스 플라이(6)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을 견디지 못하고 끊어져 에어벤트사(62)를 통해 전술한 공기입 방지를 위한 통기 및 정전기 방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에어벤트사(62)로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에어벤트사(62)를 카본 수용액에 담근 후 건조시키는데, 카본 수용액이 건조될 때 표면장력에 의해서 방울이 맺히면서 건조된다. 이때 Denier가 높아져 굵기가 굵어지면 수용액이 마르면서 방울이 맺힘에 따라 카본이 균일하게 묻지 않아서 전도도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에어벤트사(62)의 굵기가 500D 초과한 550D와 600D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본(carbon)이 에어벤트사(62) 표면에 균일하게 묻지 않아 전기 전도성의 편차를 갖기 때문에 정전기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전기 전도성을 갖지 못하여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에어벤트사(62)가 정전기 방지를 위해 충분한 전기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카본 코팅층의 카본 블랙 등급(Grade)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카본 코팅층의 카본 블랙 등급(Grade)은, 아래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 카본의 N2SA(N2 Surface Area)과 DBP(Dibutyl Phthalat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8378313-pat0001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일론사를 적용한 에어벤트사(62)의 굵기 170D 내지 500D에 적용되는 카본 블랙 적용 범위는 Aggregate Size(Dia, nm) 95 내지 133 범위인N220, N234, N326, N330 등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에어벤트사에 요구되는 카본 코팅층(63)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카본 코팅층(63)이 상기한 등급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본 코팅층(63)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카본은 N2SA(N2 Surface Area)가 83 m2/g 내지 125 m2/g 범위 이내이고, DBP(Dibutyl Phthalate)가 70 (cm3/100g) 내지 125 (cm3/100g)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N2SA는 N2 분자가 카본에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을 나타낸 것으로, N2SA가 낮으면 표면적이 작고 부서질 수 있는 최소 입자 크기가 큰 것을 의미하고, N2SA가 높으면 카본의 표면적이 크고 부서질 수 있는 최소 입자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2SA가 83m2/g 미만인 경우 카본 최소 입자가 너무 커 에어벤트사(62)에 적용하더라도 실에서 떨어지는 현상(카본이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카본 코팅층(63)이 형성된 에어벤트사(62)의 전기 전도성 너무 낮게 나타난다.
또한, N2SA가 125m2/g 초과인 경우 입자간 응집이 강해서 분산이 잘되지 않아 카본 코팅층(63)이 형성된 에어벤트사(62)의 전기 전도성 수치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하, 표 3은 카본 코팅층(63)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카본의 N2SA에 따른 전기 전도성 및 이들 에어벤트사(62)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08378313-pat00012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2SA가 36 m2/g 내지 140 m2/g 의 모든 구간에서 전기 전도성을 갖기는 하나, N2SA가 83 m2/g 미만인 36 m2/g, 41 m2/g, 74 m2/g에서는 각각 전기 전도성이 너무 낮아 에어벤트사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N2SA가 125 m2/g 초과인 140 m2/g 에서는 전기 전도성 수치에 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에어벤트사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DBP(Dibutyl Phthalate)는 카본의 최소 입자크기의 구조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값이 클수록 발달이 많이 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조 발달이 많이 될수록 입자 사이에 오일 흡유가 많이 되고, 전기저항이 낮아져 전기가 잘 통하게 된다.
여기서, DBP가 70(cm3/100g) 미만인 경우 카본 입자크기가 매우 커져서(N990 Grade) 적용시 카본이 날리는 현상으로 전기 전도도가 떨어지고, DBP가 125(cm3/100g) 초과인 경우 전술한 N2SA에 따른 카본의 비표면적이 매우 높아(N134 Grade) 카본 입자간 응집이 강해져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 표 4는 카본 코팅층(63)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카본의 DBP에 따른 전기 전도성 및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에어벤트사(62)들에 대한 전기 저항성을 평가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37641868-pat00013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P가 70(cm3/100g) 미만인 N990 등급의 경우 카본 입자가 커서 적용시 카본이 날리는 현상으로 인해 형성된 카본 코팅층의 전기 저항성이 높아 정전기 방전에 필요한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에어벤트사(62)에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또한, DBP가 125(cm3/100g) 초과인 N134 등급의 경우 전술한 N2SA에 따른 카본의 비표면적이 매우 높아 카본 입자간 응집이 강해져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수도 없다.
따라서, DBP(Dibutyl Phthalate)가 70 내지 125(cm3/100g) 범위에 해당하는 N326, N330 및 N234의 카본 등급에서 에어벤트사가 정전기 방전에 필요한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108 미만의 전기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카본 코팅층(63)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카본의 성분비는 물 50 내지 60 중량%, 카본 블랙 37 내지 43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계면 활성제 포함 기타 약재의 경우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본 블랙이 43중량%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카본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카본이 너무 점성이 높아 카본이 덩어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에어벤트사(62)를 이루는 나일론 원사(Raw Cord)에 카본을 입힐 수가 없다.
또한, 물이 60중량% 그리고 계면활성제가 5중량% (계면 활성제 포함 기타 약재의 경우 7중량%)의 범위가 초과하게 되면 카본 블랙이 37중량% 이하로 너무 묽어 져서 카본을 코팅하여도 전기 전도성이 낮게 나오므로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공기입 타이어(1)는 자동차 운행시 노면에 접지되는 상태로 구동하게 되므로 자동차 바디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타이어 휠과 접속되는 카카스 플라이(6)와 카본 코팅층(63)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에어벤트사(62)를 통해 노면으로 방전시켜 자동차 바디에서는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타이어 산업에서 전기저항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 10의 배수자리가 변화해야(예를 들어 108→107) 전기 저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표 5는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에어벤트사(62)들의 굵기(Denier) 변화에 따라 이를 적용한 에어벤트사(62)의 전기저항지수를 평가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08378313-pat00014
여기서, 나일론사 재질에 카본 등급 N330(N2SA 83, DBP 101)의 카본 코팅층(63)이 형성된 에어벤트사(62)를 적용하여 전기저항지수를 평가 실험하였다.
전기저항지수는 정수×10^(예를 들어 5.1×10^5) 에 대한 자리수를 의미한다. 앞의 정수는 측정 편차로 판단 하에 생략하였다. 예를 들어 5.1×10^5와 5.9×10^5는 타이어상의 전기저항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원사(Raw Cord)를 적용한 종래 타이어의 전기저항지수는 8 수준이다. 따라서, 에어벤트사(62)의 굵기 170D 내지 500D 모두에서 전기저항지수가 8 미만인 4 내지 7 범위 이내이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를 위해 충분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표 6은 다양한 종류의 에어벤트사(62)가 적용된 공기입 타이어들의 전기저항지수를 평가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08378313-pat00015
표 6은 공기입 타이어(1)들에 각각 적용된 에어벤트사(62)들의 굵기 모두를 200D로 통일하고, 나일론 원사(Raw Cord), 카본 등급별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나일론사(N326, N330, N234), 도전성 카본블랙(C/B) 함유 코드 및 카본 화이버(fiber)를 각각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1)들에 대한 전기저항지수를 평가 실험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전기저항지수는 정수×10^(예를 들어 5.1×10^5)이며, 앞의 정수는 측정 편차로 판단하여 생략하였다.
여기서, 나일론 원사(Raw Cord)를 제외한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나일론사(N326, N330, N234), 도전성 카본블랙(C/B) 함유 코드 및 카본 화이버(fiber)를 각각 에어벤트사(62)로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1)들의 전기저항지수가 모두 8 미만인 1 내지 7 범위 이내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를 위해 충분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원사(Raw Cord)를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1)의 전기저항지수는 8 수준이다. 따라서, 전기저항지수가 8 미만으로 낮을수록 정전기 방지 효과가 좋으나, 도전성 카본블랙(C/B) 함유 코드 및 카본 화이버(Fiber)의 경우 일반적인 공기입 타이어(1)에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이를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는 적용성 평가에서 제외하였다. 상기한 두 재료의 가격은 일반적인 나일론사 대비 100배 이상의 가격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전성 카본블랙(C/B) 함유 코드 및 카본 화이버(Fiber)를 대신하여 카본 코팅층(63)이 형성된 에어벤트사(62)를 적용하여 범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카카스 플라이(6)와 벨트층(5)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에어벤트사 중 일부의 표면에 통전 가능하도록 카본 코팅층(63)을 형성하여 카카스 플라이(6)와 벨트층(5)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타이어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카스 플라이(6)를 경유해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를 통해 방전시켜 차량 내의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래디얼 타이어 2: 트레드
3: 사이드월 4: 비드
5: 벨트층 6: 카카스 플라이
7: 인너라이너 8: 용기
61: 압연사 62: 에어벤트사
63: 카본 코팅층 81: 건조기(dryer)

Claims (9)

  1. 트레드부 내부에서 카카스 플라이 상측에 벨트층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카카스 플라이와 상기 벨트 사이에는 전기 전도성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에어벤트사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에어벤트사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카스 플라이와 상기 벨트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기 전도성 코팅층은 액상 카본을 상기 에어벤트사 표면에 코팅하여 만들어지는 카본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액상 카본은, N2SA가 83 내지 125(m2/g)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고, DBP(Dibutyl Phthalate)가 70 내지 125(cm3/100g)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며, 물 50 내지 60 중량%, 카본 블랙 37 내지 43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에어벤트사는 면사, 나일론사, PET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
  4. 제3항에서,
    상기 에어벤트사의 인장하중은 0.25kgf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
  5. 제4항에서,
    상기 에어벤트사의 굵기(Denier)는 170D 내지 500D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59916A 2017-11-28 2017-11-28 공기입 타이어 KR10200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16A KR102007869B1 (ko) 2017-11-28 2017-11-28 공기입 타이어
JP2018018603A JP2019099121A (ja) 2017-11-28 2018-02-05 空気入りタイヤ
US15/933,905 US20190160891A1 (en) 2017-11-28 2018-03-23 Pneumatic tires
CN201810249706.XA CN109835126A (zh) 2017-11-28 2018-03-23 充气轮胎
EP18167691.7A EP3489042B1 (en) 2017-11-28 2018-04-17 Pneumatic ti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16A KR102007869B1 (ko) 2017-11-28 2017-11-28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80A KR20190061480A (ko) 2019-06-05
KR102007869B1 true KR102007869B1 (ko) 2019-08-06

Family

ID=6201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16A KR102007869B1 (ko) 2017-11-28 2017-11-28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60891A1 (ko)
EP (1) EP3489042B1 (ko)
JP (1) JP2019099121A (ko)
KR (1) KR102007869B1 (ko)
CN (1) CN109835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139B1 (ko) 2020-09-10 2022-03-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2591B2 (ja) * 2018-04-23 2022-01-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7161975B2 (ja) * 2019-06-19 2022-10-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7181159B2 (ja) * 2019-06-21 2022-11-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DE102020202898A1 (de) * 2020-03-06 2021-09-09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eifenkomponente
US20220258546A1 (en) * 2021-02-15 2022-08-18 Triangle Tyre Co. Ltd. Tires with Intrinsic Cellular Noise Dam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653B2 (ja) * 1989-01-24 1998-11-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16108514A (ja) * 2014-12-10 2016-06-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903A (ja) * 1989-05-13 1990-12-12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US5221382A (en) * 1991-05-10 1993-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including gas absorbing cords
US6289958B1 (en) * 1998-10-19 2001-09-1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tread containing electrically conductive stitched thread
KR20010096800A (ko) 2000-04-14 2001-11-08 신형인 타이어의 정전기 방출성능을 개선한 외부 도포제 조성물및 이의 도포방법
KR100453201B1 (ko) 2002-07-09 2004-10-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타이어
US20070144644A1 (en) * 2005-12-22 2007-06-28 David John Zanzig Pneumatic tire
JP4249791B2 (ja) * 2007-08-10 2009-04-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2010173617A (ja) * 2009-02-02 2010-08-12 Bridgestone Corp タイヤ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DE102010017444A1 (de) * 2010-06-18 2011-12-2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Luftabführungsfäd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Beschichtung für die Luftabführungsfäden
DE102010037328A1 (de) * 2010-09-06 2012-03-0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US20130056128A1 (en) * 2011-09-06 2013-03-07 Carlo Kanz Pneumatic tire with conductive bleeder cords
JP5841551B2 (ja) * 2013-01-09 2016-01-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75285B2 (ja) * 2013-12-26 2017-02-0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43170B2 (ja) * 2014-04-17 2018-06-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1791202B1 (ko) * 2016-01-11 2017-10-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WO2017122509A1 (ja) * 2016-01-13 2017-07-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WO2017122821A1 (ja) * 2016-01-13 2018-11-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653B2 (ja) * 1989-01-24 1998-11-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16108514A (ja) * 2014-12-10 2016-06-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139B1 (ko) 2020-09-10 2022-03-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9042B1 (en) 2021-01-13
US20190160891A1 (en) 2019-05-30
EP3489042A1 (en) 2019-05-29
KR20190061480A (ko) 2019-06-05
CN109835126A (zh) 2019-06-04
JP2019099121A (ja)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869B1 (ko) 공기입 타이어
JP6114187B2 (ja) 空気排出スレッドを有する空気入り車両タイヤおよび空気排出スレッド用導電性コーティングを製造する方法
RU2691489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80154695A1 (en) Pneumatic Tire
US20130056128A1 (en) Pneumatic tire with conductive bleeder cords
JP5868085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形成方法
CN109219529A (zh) 用于重载车辆车轮的轮胎
DE102010037328A1 (de) Fahrzeugluftreifen
CN109219532A (zh) 充气轮胎
US20210237519A1 (en) Tire
EP3181379B1 (de) Fahrzeugluftreifen
CN106573496A (zh) 用于车轮的轮胎
KR102371139B1 (ko) 공기입 타이어
US11999203B2 (en) Pneumatic vehicle tire
JP6780464B2 (ja) タイヤカーカス用簾織物の製造方法
CN104661805A (zh) 用于向轮胎内壁施用颗粒的方法
US1145325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aterial web, use thereof as a reinforcing ply for an elastomer item, and vehicle pneumatic tires
KR102139361B1 (ko) 타이어 코드 직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시트 및 상기 시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US20160288575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king a pneumatic tire
EP4177080A1 (en) A tire
JPH0840023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6118692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