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142B1 -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142B1 KR102007142B1 KR1020190022940A KR20190022940A KR102007142B1 KR 102007142 B1 KR102007142 B1 KR 102007142B1 KR 1020190022940 A KR1020190022940 A KR 1020190022940A KR 20190022940 A KR20190022940 A KR 20190022940A KR 102007142 B1 KR102007142 B1 KR 1020071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ehicle
- tunnel
- light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G01N2021/8427—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입출고되되, 차량의 도장면을 검사하는 검사터널부와, 차량의 도장면을 재도장하는 재도장터널부를 포함하는 터널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구의 직상부에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적색, 청색 및 녹색의 3종류 엘이디로 이루어지며, 조사하는 광의 색이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방구 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개방구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케이스 외부로 투과시키는 유리 및 상기 유리의 내측면에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 및 산란시키는 요철이 형성된 제1필터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생산공정 및 수입한 차량에 대한 출고에 있어서는 도장면의 상태를 엄격하게 검사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 도장 검사용 등기구는 자동차의 표면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도장 표면의 불량 상태를 감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도장 검사용 등기구는 등기구의 명암 경계가 고르지 못하고, 눈부심으로 인하여 검사자가 자동차 표면의 도장 불량 상태를 파악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도장면 상태 불량 여부의 판정을 대부분 작업자의 시각과 촉각에 의존하는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주의력 저하, 피로도 증가 등의 작업자 요인에 따라 변화하는 작업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존하게 된다.
이렇기 때문에, 검출편차의 발생과 검사누락으로 검출율의 저하는 물론 이로 인한 후 공정에서 수정 및 재작업에 따른 비용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도장검사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 및 도장검사 장치 등이 개발되었지만, 차량의 도장면 검사가 끝난 다음에, 작업자가 불량 도장면을 찾고 살펴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실시간으로 도장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을 때, 불량도장면이 발생하면 즉시 터널부의 외부에서 살펴보고 인지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자동으로 도장 검사가 이루어질 때, 하나의 색상으로 불량도장면을 판단함에 있어, 차량의 색에 따라 조도의 명암을 조절하거나 광의 색을 변경하여 살펴볼 수 있는 기능 등이 요구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무선송수신부가 변경신호를 수신하면, 광제어부가 광원을 제어하여 변경신호에 대응되는 색으로 광을 변경시킴으로써, 관리자는, 터널부의 외부에서 도장불량데이터를 관리자단말기로 확인하는 동시에, IOT방식으로 광의 색을 변경시켜 좀 더 정확하고 미세한 부분을 재확인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불량을 검출하는 불량검출부와 실시간으로 이중 검출함에 따라 보다 검출률을 높일 수 있으며, 좀 더 명확하게 관리자가 확인하여 작업자의 역량에 따라 작업을 배분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제어부가 차량인식부로 차량을 인식한 상태에서만 광원이 ON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차량이 터널부를 출고하거나, 입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원을 OFF로 유지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작업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원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낭비될 수 있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입출고되되, 차량의 도장면을 검사하는 검사터널부와, 차량의 도장면을 재도장하는 재도장터널부를 포함하는 터널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구의 직상부에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적색, 청색 및 녹색의 3종류 엘이디로 이루어지며, 조사하는 광의 색이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방구 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개방구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케이스 외부로 투과시키는 유리 및 상기 유리의 내측면에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 및 산란시키는 요철이 형성된 제1필터를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되는 차량의 도장면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된 도장면을 촬영한 촬영데이터를 통해 불량도장면을 검출하고, 상기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촬영데이터로부터 도장불량데이터를 생성하는 불량검출부; 상기 불량검출부에서 생성한 도장불량데이터를 빅데이터부 및 관리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도장불량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광원으로 조사되는 광의 색을 변경하면, 변경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관리자단말기;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변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원을 제어하여 상기 변경신호에 대응되는 색으로 광을 변경시키는 광제어부;를 포함하고, 관리자는, 상기 터널부의 외부에서 상기 도장불량데이터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확인하는 동시에, 광의 색을 변경시켜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널부의 재도장터널부에 입고되는 차량의 입고시간 및 출고시간을 체크하여 입출고데이터를 생성하는 입출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부는, 상기 불량검출부에서 기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와, 상기 입출고관리부로부터 기 생성된 입출고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장불량데이터가 재도장되어 처리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재도장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분석부 및 상기 빅데이터분석부가 생성한 재도장데이터와, 상기 불량검출부로부터 실시간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검사터널부를 출고하거나 상기 재도장터널부를 입고하는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예상시간을 예측하는 빅데이터예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터널부의 검사터널부와 재도장터널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명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 모서리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측면으로 회동되면 공간을 투과하는 광과 제1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일부분만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그 외의 광은 차단하는 회전판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을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작업자는, 상기 재도장터널부에서 불량도장면을 제2조명부로 재확인할 때, 상기 회전판의 통과공을 통과한 광만 집중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널부에 입고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인식부는, 상기 차량의 다수개 휠 중 기 설정된 휠과 타이어를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에 결합되며 자성을 갖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자성으로 착탈가능하며 외측면에 차량정보가 인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부착부 및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서 상기 기 설정된 휠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인쇄된 차량정보를 독취하는 독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차량인식부가 차량을 인식한 상태에서만 상기 광원이 ON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터널부를 출고하거나, 입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을 OFF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인식부는, 상기 터널부의 내부로 입고된 차량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의 전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검사터널부에 구비된 제1조명부가 검사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감지센서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길이폭만큼만 제1조명부의 광원을 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량검출부는, 상기 차량인식부에 의해 차량의 위치가 감지됨으로써,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위치를 파악하고, 도장불량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차량정보와 함께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위치를 함께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차량인식부가 재도장터널부로 입고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재도장터널부에 구비된 제2조명부가 재도장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인식한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통해 불량도장면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조명부가 상기 불량도장면으로 위치되면 상기 제2조명부의 광원을 ON시키고, 이동될 때는 OFF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조명부는, 특정색을 갖는 색필터가 적어도 2개 이상 일체로 이루어지되, 색필터의 색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고, 일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제2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2필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힌지결합된 반대측에 삽입구가 개구되어 손잡이가 삽입되는 개구공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아 제2필터를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제2필터가 통과공을 이동하면서 상기 제2필터의 색에 의해 차량의 도장면에는 특정 색의 광이 조사되며, 상기 제2필터의 색필터 경계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의 광 및 명암이 다르게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무선송수신부가 변경신호를 수신하면, 광제어부가 광원을 제어하여 변경신호에 대응되는 색으로 광을 변경시킴으로써, 관리자는, 터널부의 외부에서 도장불량데이터를 관리자단말기로 확인하는 동시에, IOT방식으로 광의 색을 변경시켜 좀 더 정확하고 미세한 부분을 재확인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불량을 검출하는 불량검출부와 실시간으로 이중 검출함에 따라 보다 검출률을 높일 수 있으며, 좀 더 명확하게 관리자가 확인하여 작업자의 역량에 따라 작업을 배분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광제어부가 차량인식부로 차량을 인식한 상태에서만 광원이 ON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차량이 터널부를 출고하거나, 입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원을 OFF로 유지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작업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원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낭비될 수 있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1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회전판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필터로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검사터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재도장터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1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회전판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필터로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검사터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재도장터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1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회전판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제2필터로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검사터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의 재도장터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는 차량이 입출고되되, 차량의 도장면을 검사하는 검사터널부(110)와, 차량의 도장면을 재도장하는 재도장터널부(120)를 포함하는 터널부(10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터널부(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터널부(100)는, 검사터널부(110)와 재도장터널부(120)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길게 형성된 터널부(100)로 차량을 다수 입고시키고 다수의 작업자가 순차적으로 차량의 도장을 포함한 다수를 점검하였으나, 누락되는 부분이 발생하였으며, 순차적으로 출고기 때문에 마지막에 입고된 차량의 점검이 일부 끝났음에도 불고하고 앞선 차량의 점검이 끝나지 않으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도장의 경우에는 점검함에 있어, 재도장이 필요할 경우 다수의 시간이 필요한 반면에, 긴 터널부(100)를 출고해야만 재도장이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터널부(100)는 도장면만을 검사하는 검사터널부(110)와 재도장만을 진행하여 재도장터널부(120)를 별도로 또는 세분화시킴에 따라, 도장검사 및 재도장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검사터널부(110)는, 차량이 입출고되고, 입고된 차량의 도장면을 검사하는 터널이다.
이러한 검사터널부(110)는, 제1레일부(111), 제1이동부(112), 개폐부(130) 및 검사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레일부(111)는, 제1조명부(210)와 제1촬영부(310)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검사터널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때 검사터널부(110)의 길이방향은 차량이 입출고되는 진행방향이다.
제1이동부(112)는, 제1레일부(111)를 따라 제1조명부(210)와 제1촬영부(31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이동부(112) 및 후술할 제2이동부(123)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개폐부(130)는, 전후가 개방된 검사터널부(110)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검사제어부는, 제1이동부(112) 및 개폐부(130)를 제어하되, 검사터널부(110)의 출입구를 폐쇄시킨 후, 제1이동부(112)를 제어하여 제1촬영부(310)와 및 제1조명부(210)를 이동시킨다.
재도장터널부(120)는, 검사터널부(110)에서 도장면을 검사한 차량의 도장면이 이상이 있을 경우, 입출고되고, 차량의 도장면을 재도장하는 터널이다.
이때, 재도장터널부(120)는, 제2레일부(121), 길이조절부(122), 개폐부(130) 및 재도장제어부를 포함한다.
제2레일부(121)는,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길이조절부(122)는, 제2레일부(121)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일단에 제2조명부(220)와 제2촬영부(3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길이조절부(122)는, 제2조명부(220)와 제2촬영부(320)가 재도장터널부(120)에 입고된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변경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는 재도장함에 있어, 조도가 강하거나 약한 광을 이용하고자 할 때, 제2조명부(220)를 차량측으로 당기거나 제2레일측으로 밀어서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전후가 개방된 재도장터널부(120)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재도장제어부는, 개폐부(130)를 제어하여, 재도장터널부(120)의 출입구를 폐쇄시킨다.
또한, 재도장터널부(120)에는, 길이조절부(122)를 제2레일부(121)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이동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130)는, 입구도어(131), 출구도어(132), 입구모터(133), 출구모터(134) 및 도어제어부를 포함한다.
입구도어(131)는, 터널부(100)의 내부로 차량이 입고되는 입구를 개폐한다.
출구도어(132)는, 터널부(100)의 외부로 차량이 출고되는 출구를 개폐한다.
입구모터(133)는, 터널부(100)의 천정 중간부에 구비되어, 입구도어(131)와 도어케이블(135)로 연결된다. 즉, 입구모터(133)가 작동됨에 있어, 권취부(13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케이블(135)이 감기고, 입구도어(131)가 터널부(100)의 천정으로 이동되어 터널부(100)의 입구가 개방된다. 또한, 권취부(13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케이블(135)이 풀리고, 입구도어(131)가 터널부(100)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출구모터(134)는, 터널부(100)의 천정 중간부에 구비되어, 출구도어(132)와 도어케이블(135)로 연결된다. 출구모터(134)가 작동됨에 따라, 출구도어(132)가 터널부(100)의 출구를 개폐시키며 그 작동은 입구모터(133)의 작동과 동일한다.
도어제어부는, 입구모터(133)와 출구모터(134)를 제어하여 입구도어(131)와 출구도어(132)를 개폐시키되, 출구도어(132)가 폐쇄된 상태에서 입구도어(131)를 개방시켜 차량이 입고되도록 하고, 차량이 입고된 입구도어(131)를 폐쇄시키고, 터널부(100)의 내부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폐쇄된 출구도어(132)만 개방시켜 차량이 출고되도록 하고, 차량이 출고되면 개방된 출구도어(132)를 폐쇄 및 입구도어(131)를 개방시킨다.
즉, 차량이 터널부(100)에 있으면, 다른 차량이 진입할 수 없도록 하며, 검사받은 차량이 출구로만 출차할 수 있고, 차량이 입고될 때는 출구도어(132)가 폐쇄되어 있어 터널부(100)에서 검사 또는 재도장없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의 도장면을 검사할 때, 후술할 조명부(200)의 광이 일정하게 조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외부의 빛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터널에서 도장면을 검사한다.
특히, 종래의 터널은 차량의 입출구가 모두 개방되어 있어 차량의 전후방 부분 도장면이 외부의 빛에 의해 원활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검사터널부(110)의 입출구를 입구도어(131)와 출구도어(132)로 폐쇄시킨 상태 즉,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촬영부(300)로 촬영하여 검사함에 따라 일정한 조도를 통한 도장면의 결함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도장면을 재도장할 때는, 도장에 따라 비산되는 도장료가 재도장터널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작업자 또는 또 다른 차량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장료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터널부(100)의 입출구를 폐쇄시키기 위함이다.
더불어, 재도장터널부(120)는, 비산되는 도장료를 실외로 이동시키고, 실외공기가 재도장터널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는, 조명부(200), 촬영부(300), 불량검출부(400), 무선송수신부(800), 관리자단말기 및 광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먼저, 조명부(200)는, 검사터널부(110)와 재도장터널부(120)에 각각 제1조명부(210)와 제2조명부(220)가 구비되어 차량으로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조명부(200)는, 케이스(201), 광원(202), 반사판(203), 유리(204) 및 제1필터(205)를 포함한다.
케이스(201)는, 하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방구(2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201)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광원(202)은, 케이스(201) 내부에 구비되되, 개방구(206)의 직상부에 케이스(2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또한, 광원(202)은, 적색, 청색 및 녹색의 3종류 엘이디로 이루어지고, 조사하는 광의 색이 변경되도록 제어된다.
반사판(203)은, 광원(202)의 양측에 설치되어 광원(202)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방구(206) 측으로 반사한다.
유리(204)는, 개방구(206)에 구비되어, 광원(202)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광원(202)에서 조사되는 빛을 케이스(201) 외부로 투과시킨다.
제1필터(205)는 유리(204)의 내측면에 광원(202)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 및 산란시키는 요철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201)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202)으로부터 케이스(201)의 외부로 투과되는 광은 일직선으로 투과되어 차량의 도장면에 조사된다.
여기서, 공간으로 유리(204)를 투과하는 광(a)은, 제1필터(205)와 유리(204)를 투과하는 광(b)보다 조도보다 높게 조사된다. 또한, 개방부를 제외한 부분은 광의 투과가 케이스(201)에 의해 차단(c)된다.
즉, 차량의 도장면에는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a, b)이 조사된다.
이때, 불량검출부(400)는,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된 도장면을 촬영한 촬영데이터의 명암차이를 분석하여 불량도장면을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검사터널부(110)의 제1조명부(210)와 재도장터널부(120)의 제2조명부(220)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특히, 제2조명부(220)는, 회전판(221) 및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회전판(221)은, 케이스(201)의 하측 모서리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다.
또한, 회전판(221)은, 케이스(201)의 하측면으로 회동되면 공간을 투과하는 광과 제1필터(205)를 투과하는 광의 일부분만 투과시키는 통과공(222)이 형성된다.
이때, 통과공(222)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221)은 통과공(222)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통과공(222)은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공간을 투과한 광(d)이 통과되고, 중심부를 제외한 부분에 제1필터(205)를 투과한 광(e)이 통과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작업자는, 재도장터널부(120)에서 불량도장면을 제2조명부(220)로 재확인 또는 재도장후 재도장을 확인할 때, 길게 조사되는 광을 일부 차단시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회전판(221)을 이용하여 회전판(221)의 통과공(222)을 투과한 명암이 다른 두개의 광(d, e)만 집중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은, 케이스(201)의 하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회전판(221)을 상기 케이스(201)의 측면으로 회동시킨다. 즉, 작업자가, 필요시에만 회전판(221)을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2조명부(220)는, 제2필터(223)를 더 포함한다.
먼저, 회전판(221)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관통되어 제2필터(223)가 삽입되는 삽입부(226)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판(221)은, 힌지결합된 반대측에 삽입구가 개구되는 개구공(227)이 형성된다.
제2필터(223)는, 특정색을 갖는 색필터(224)가 적어도 2개 이상 일체로 이루어지되, 색필터(224)의 색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필터(223)의 일단에는 손잡이(225)가 형성된다. 이때, 색필터(224)의 폭은 통과공(222)의 지름과 같거나 크다.
즉, 작업자는 제2필터(223)를 회전판(221)의 삽입부(226)로 넣고, 손잡이(225)를 잡아 회전판(2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필터(223)가 통과공(222)을 이동하면서 제2필터(223)의 색에 의해 차량의 도장면에는 특정 색의 광이 조사된다. 또한, 제2필터(223)의 색필터(224) 경계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의 광 및 명암이 다르게 조사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차량의 색상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색을 용이하게 변경 및 다수의 색상을 이용하여 도장면을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재도장이 끝나면 도장면을 제2조명부(220)를 이용하여 재도장한 부분만 회전판(221)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확인할 뿐만 아니라, 제2필터(223)를 추가하여 통과공(222)으로 통과되는 광을 서로 다른 색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명암을 달리하여 재도장된 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재도장터널부(120)에서 재도장된 차량은 제2조명부(220)를 통해 작업자가 면밀하게 재도장된 부분을 판별하기 때문에, 검사터널부(110)로 다시 입고되어 재도장면을 다시 검사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촬영부(300)는, 조명부(200)의 외측에 구비되되 검사터널부(110)와 재도장터널부(120)에 각각 제1촬영부(310)와 제2촬영부(320)가 구비되고, 조명부(200)로부터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되는 차량의 도장면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조명부(200) 및 촬영부(300)의 주위에는 조명부(200)가 조사하는 광을 차량의 도장면으로 반사하고, 도장면으로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부(300)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울을 이용하여 도장면을 촬영하는 기술은 기 등록된 특허에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제1촬영부(310)는, 제1조명부(210)와 일체로 제1이동부(112)에 의해 이동되면서 차량의 도장면을 촬영한다.
반면, 제2촬영부(320)는, 길이조절부(122)에 구비되어 제2조명부(220)와 일체로 슬라이딩되며, 차량의 도장면 및 작업자를 함께 촬영한다.
불량검출부(400)는,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된 도장면을 촬영한 제1촬영부(310)의 촬영데이터를 통해 불량도장면을 검출하고,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촬영데이터로부터 도장불량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촬영부(300)의 주변에 구비된 다수의 거울 및 조명부(200)의 변화하는 광원 색을 통해서, 촬영부(300)가 광의 명암, 난반사 되는 도장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량검출부(400)가 광의 명암과 난반사되는 도장면의 촬영데이터를 통해서, 먼지, 오물, 크레터링, 스크래치, 핀홀, 칠흐름, 칠튐 등의 표면불량과 팬딩자국, 얼룩, 은폐 불량 등의 외관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량의 검출은 기 등록된 특허에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송수신부(800)는 불량검출부(400)에서 생성한 도장불량데이터를 빅데이터부(700) 및 관리자단말기로 송신하고,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변경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송수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는, 무선송수신부(800)로부터 송신된 도장불량데이터를 수신하고, 광원으로 조사되는 광의 색을 변경하면, 변경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부(800)로 송신한다.
이때, 관리자단말기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도장불량데이터를 확인 및 광원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신호에는 광원의 조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송수신부(8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송수신부(80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인터넷으로 연결된 검사제어부와 재도장제어부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광제어부(900)는, 무선송수신부(800)가 변경신호를 수신하면, 광원을 제어하여 변경신호에 대응되는 색으로 광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광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터널부(100)의 외부에서 도장불량데이터를 관리자단말기로 확인하는 동시에, 광의 색을 변경시켜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제어부(900)는, 검사터널부(110)의 출입구가 폐쇄된 후, 제1조명부(210)의 광원(202)을 온시키고, 입구 또는 출구가 개방되면 제1조명부(210)의 광원(202)을 오프시킨다.
또한, 광제어부(900)는, 재도장터널부(120)의 출입구가 폐쇄시킨 후, 제2조명부(220)를 온시키고, 입구 또는 출구가 개방되면 제2조명부(220)의 광원(202)을 오프시킨다.
즉, 광제어부(900)는, 제1조명부(21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차량을 검사할 때, 제2조명부(22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차량을 재도장할 부분 확인 및 재도장 후 재확인할 때 제1조명부(210) 및 제2조명부(220)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광제어부(900)는 터널부에 차량이 입고된 상태에서 검사 또는 재도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터널부의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조명부의 광원이 OFF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작업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명부의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광제어부(900)는, 제2촬영부가 작업자를 인식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조명부를 OFF시킬 수도 있다.
또한, 광제어부(900)에 의해 조명부(200)가 제어되더라도, 작업자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는 터널부(100)의 재도장터널부(120)에 입고되는 차량의 입고시간 및 출고시간을 체크하여 입출고데이터를 생성하는 입출고관리부(600)를 더 포함한다.
빅데이터부(700)는, 빅데이터저장부(710), 빅데이터분석부(720) 및 빅데이터예측부(730)를 포함한다.
빅데이터저장부(710)는, 불량검출부(400)에서 기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와, 입출고관리부(600)로부터 기 생성된 입출고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저장한다.
빅데이터분석부(720)는, 빅데이터저장부(71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장불량데이터가 재도장되어 처리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재도장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장불량데이터의 수와, 면적에 대하여 재도장터널부(120)에 입고 후 출고되는 입출고데이터를 분석함에 따라, 특정 도장불량데이터에 대한 재도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빅데이터분석부(720)는, 차량인식부(500)를 통해 검사터널부(110)와 재도장터널부(120)의 차량이 동일할 경우, 제2촬영부(320)가 생성한 촬영데이터로부터, 불량도장면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내에 있는 작업자를 인식하여 불량도장면이 재도장되는 시간을 추출 및 분석함에 따라 재도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분석부(720)는, 불량도장면을 재도장하기 위하여 불량도장면에 머무르는 작업자를 인식하고, 그 작업자가 불량도장면에 있었던 시간을 바탕으로 재도장데이터를 세부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각각의 도장불량데이터를 처리하는 시간을 재도장데이터로 생성함에 따라, 차량이 재도장터널부(120)에 입고된 후, 출고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빅데이터예측부(730)는, 빅데이터분석부(720)가 생성한 재도장데이터와, 불량검출부(400)로부터 실시간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사터널부(110)를 출고하거나 재도장터널부(120)를 입고하는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예상시간을 예측한다.
즉, 불량검출부(400)에서 기 생성된 다수의 도장불량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한 기 도장불량데이터로 생성된 재도장데이터를 참고로 예상시간을 예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는 재도장터널부(120)에 구비되어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주문에 의하여 정해진 시점에 출고되어야 하는 차량임에 따라, 도장의 검사 및 재도장에 따른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출고시점을 사전에 조절 및 최대한 맞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자에게 예상시간을 사전에 고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작업자에게 골고루 작업량을 분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을 분류한 후 분배할 수 있고, 작업자의 휴식시간 등의 일과시간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작업량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불공평한 인사평가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최종관리자의 작업자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는, 터널부(100)에 입고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인식부(500)는, 고정케이블(511), 결합부(512) 및 플레이트(513)를 포함하는 부착부(510) 및 독취부(520)를 포함한다.
고정케이블(511)은, 차량의 다수개 휠 중 기 설정된 휠과 타이어를 감싸며 고정된다.
결합부(512)는, 고정케이블(511)에 결합되며 자성을 갖는다.
플레이트(513)는, 결합부(512)에 자성으로 착탈가능하며 외측면에 차량정보가 인쇄된다.
독취부(520)는 터널부(100)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휠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플레이트(513)에 인쇄된 차량정보를 독취한다.
광제어부(900)는, 차량인식부(500)가 차량을 인식한 상태에서만 광원이 ON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차량이 터널부(100)를 출고하거나, 입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원을 OFF로 유지시킨다.
즉, 광제어부(900)는, 실질적으로 작업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원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낭비될 수 있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저장부(710)는,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가 발생하면, 독취부(520)가 독취한 차량의 차량정보에 도장불량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빅데이터분석부(720)는, 도장불량데이터의 위치 또는 불량도장면의 면적 등을 분석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도장불량데이터가 일정횟수 이상으로 발생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에 도장불량데이터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도장검사에 앞서 검사터널부(110)로 입고되기 전의 공정인 초기 도장, 차량 세차, 보관, 이송 등의 단계에서 도장불량데이터의 발생가능성을 확인하고, 사전에 도장불량데이터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재도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인식부(500)는, 감지센서(530)를 더 포함한다.
감지센서(530)는, 터널부(100)의 내부로 입고된 차량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차량의 전후를 감지하고, 차량을 입고시키는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로 이동되는 조명부 및 촬영부의 이동범위안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제어부는, 제1이동부(112)를 제어할 때, 감지센서(530)로 감지된 차량의 길이폭만큼만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광제어부(900)는, 검사터널부에 구비된 제1조명부가 검사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감지센서로 감지된 차량의 길이폭만큼만 제1조명부의 광원을 ON시킴으로써, 차량의 폭만큼 제1이동부(112)를 이동시켜 신속하게 도장면을 검사할 수 있음은 물론, 검사하는 시간을 단축 및 검사시간 이외에 낭비될 수 있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불량검출부(400)는, 검사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위치가 감지됨으로써,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불량검출부(400)는 도장불량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차량정보와 함께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위치를 함께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재도장제어부는, 차량인식부(500)가 입고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인식하면, 인식한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파악함으로써, 입고된 차량의 불량도장면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재도장제어부는, 제2이동부(123)를 이용하여 제2촬영부(320)와 제2조명부(220)를 불량도장면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즉, 광제어부(900)는, 차량인식부가 재도장터널부로 입고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인식하고, 재도장터널부에 구비된 제2조명부가 재도장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인식한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통해 불량도장면 위치로 이동될 때, 제2조명부가 불량도장면으로 위치되면 제2조명부의 광원을 ON시키고, 이동될 때는 OFF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동으로 이동되어 조사되는 광을 통해서 불량도장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별도로 구비된 제어스위치를 이용하여 제2조명부(220)를 ON/OFF 시킬 수 있다.
또한, 재도장제어부는, 작업자가 불량도장면을 마킹하거나 재도장을 완료하면, 다음에 위치한 불량도장면으로 제2조명부(220) 및 제2촬영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된 이동스위치를 이용하여 불량도장면에 대해서 차례대로 제2조명부(220) 및 제2촬영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불량도장면을 하나씩 체크하면서 재도장함에 따라 누락되는 곳 없이 재도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누락된 불량도장면을 체크할 필요없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터널부 110 : 검사터널부
111 : 제1레일부 112 : 제1이동부
120 : 재도장터널부 121 : 제2레일부
122 : 길이조절부 123 : 제2이동부
130 : 개폐부 131 : 입구도어
132 : 출구도어 133 : 입구모터
134 : 출구모터 135 : 도어케이블
136 : 권취부 200 : 조명부
201 : 케이스 202 : 광원
203 : 반사판 204 : 유리
205 : 제1필터 206 : 개방구
210 : 제1조명부 220 : 제2조명부
221 : 회전판 222 : 통과공
223 : 제2필터 224 : 색필터
225 : 손잡이 226 : 삽입부
227 : 개구공 300 : 촬영부
310 : 제1촬영부 320 : 제2촬영부
400 : 불량검출부 500 : 차량인식부
510 : 부착부 511 : 고정케이블
512 : 결합부 513 : 플레이트
520 : 독취부 530 : 감지센서
600 : 입출고관리부 700 : 빅데이터부
710 : 빅데이터저장부 720 : 빅데이터분석부
730 : 빅데이터예측부 800 : 무선송수신부
900 : 광제어부
111 : 제1레일부 112 : 제1이동부
120 : 재도장터널부 121 : 제2레일부
122 : 길이조절부 123 : 제2이동부
130 : 개폐부 131 : 입구도어
132 : 출구도어 133 : 입구모터
134 : 출구모터 135 : 도어케이블
136 : 권취부 200 : 조명부
201 : 케이스 202 : 광원
203 : 반사판 204 : 유리
205 : 제1필터 206 : 개방구
210 : 제1조명부 220 : 제2조명부
221 : 회전판 222 : 통과공
223 : 제2필터 224 : 색필터
225 : 손잡이 226 : 삽입부
227 : 개구공 300 : 촬영부
310 : 제1촬영부 320 : 제2촬영부
400 : 불량검출부 500 : 차량인식부
510 : 부착부 511 : 고정케이블
512 : 결합부 513 : 플레이트
520 : 독취부 530 : 감지센서
600 : 입출고관리부 700 : 빅데이터부
710 : 빅데이터저장부 720 : 빅데이터분석부
730 : 빅데이터예측부 800 : 무선송수신부
900 : 광제어부
Claims (7)
- 차량이 입출고되되, 차량의 도장면을 검사하는 검사터널부와, 차량의 도장면을 재도장하는 재도장터널부를 포함하는 터널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구의 직상부에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적색, 청색 및 녹색의 3종류 엘이디로 이루어지며, 조사하는 광의 색이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방구 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개방구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케이스 외부로 투과시키는 유리 및 상기 유리의 내측면에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 및 산란시키는 요철이 형성된 제1필터를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되는 차량의 도장면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조도가 다른 일직선의 광이 조사된 도장면을 촬영한 촬영데이터를 통해 불량도장면을 검출하고, 상기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촬영데이터로부터 도장불량데이터를 생성하는 불량검출부;
상기 불량검출부에서 생성한 도장불량데이터를 빅데이터부 및 관리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도장불량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광원으로 조사되는 광의 색을 변경하면, 변경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관리자단말기;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변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원을 제어하여 상기 변경신호에 대응되는 색으로 광을 변경시키는 광제어부;를 포함하고,
관리자는, 상기 터널부의 외부에서 상기 도장불량데이터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확인하는 동시에, 광의 색을 변경시켜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터널부의 재도장터널부에 입고되는 차량의 입고시간 및 출고시간을 체크하여 입출고데이터를 생성하는 입출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부는,
상기 불량검출부에서 기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와, 상기 입출고관리부로부터 기 생성된 입출고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장불량데이터가 재도장되어 처리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재도장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분석부 및
상기 빅데이터분석부가 생성한 재도장데이터와, 상기 불량검출부로부터 실시간 생성된 도장불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검사터널부를 출고하거나 상기 재도장터널부를 입고하는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예상시간을 예측하는 빅데이터예측부를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터널부의 검사터널부와 재도장터널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명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 모서리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측면으로 회동되면 공간을 투과하는 광과 제1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일부분만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그 외의 광은 차단하는 회전판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을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작업자는, 상기 재도장터널부에서 불량도장면을 제2조명부로 재확인할 때, 상기 회전판의 통과공을 통과한 광만 집중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에 입고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인식부는, 상기 차량의 다수개 휠 중 기 설정된 휠과 타이어를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에 결합되며 자성을 갖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자성으로 착탈가능하며 외측면에 차량정보가 인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부착부 및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서 상기 기 설정된 휠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인쇄된 차량정보를 독취하는 독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차량인식부가 차량을 인식한 상태에서만 상기 광원이 ON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터널부를 출고하거나, 입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을 OFF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인식부는, 상기 터널부의 내부로 입고된 차량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의 전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검사터널부에 구비된 제1조명부가 검사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감지센서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길이폭만큼만 제1조명부의 광원을 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검출부는, 상기 차량인식부에 의해 차량의 위치가 감지됨으로써,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위치를 파악하고, 도장불량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차량정보와 함께 불량도장면이 검출된 위치를 함께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차량인식부가 재도장터널부로 입고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재도장터널부에 구비된 제2조명부가 재도장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인식한 차량의 도장불량데이터를 통해 불량도장면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조명부가 상기 불량도장면으로 위치되면 상기 제2조명부의 광원을 ON시키고, 이동될 때는 OFF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명부는, 특정색을 갖는 색필터가 적어도 2개 이상 일체로 이루어지되, 색필터의 색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고, 일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제2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2필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힌지결합된 반대측에 삽입구가 개구되어 손잡이가 삽입되는 개구공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아 제2필터를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제2필터가 통과공을 이동하면서 상기 제2필터의 색에 의해 차량의 도장면에는 특정 색의 광이 조사되며, 상기 제2필터의 색필터 경계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의 광 및 명암이 다르게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940A KR102007142B1 (ko) | 2019-02-27 | 2019-02-27 |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940A KR102007142B1 (ko) | 2019-02-27 | 2019-02-27 |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142B1 true KR102007142B1 (ko) | 2019-08-16 |
Family
ID=6780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940A KR102007142B1 (ko) | 2019-02-27 | 2019-02-27 |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142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5623A (ja) * | 1993-02-09 | 1994-08-23 | Toyota Motor Corp | 塗装欠陥検査装置 |
KR20090029017A (ko) * | 2007-09-17 | 2009-03-20 | 정영자 | 자동차 외표면 검사용 램프 |
KR101102423B1 (ko) | 2011-05-04 | 2012-01-05 | 남상철 | 자동차 도장 검사용 등기구 |
KR20130017338A (ko) * | 2011-08-10 | 2013-02-20 | 동희오토주식회사 |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
KR101500375B1 (ko) | 2013-06-27 | 2015-03-10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체 도장 외관 검사장치 |
KR101509753B1 (ko) * | 2013-12-17 | 2015-04-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 검사 장치 및 차량 검사 방법 |
KR101782542B1 (ko) | 2016-06-10 | 2017-10-30 | 주식회사 에이티엠 | 차량 도장표면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
-
2019
- 2019-02-27 KR KR1020190022940A patent/KR1020071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5623A (ja) * | 1993-02-09 | 1994-08-23 | Toyota Motor Corp | 塗装欠陥検査装置 |
KR20090029017A (ko) * | 2007-09-17 | 2009-03-20 | 정영자 | 자동차 외표면 검사용 램프 |
KR100973303B1 (ko) | 2007-09-17 | 2010-07-30 | 정영자 | 자동차 외표면 검사용 램프 |
KR101102423B1 (ko) | 2011-05-04 | 2012-01-05 | 남상철 | 자동차 도장 검사용 등기구 |
KR20130017338A (ko) * | 2011-08-10 | 2013-02-20 | 동희오토주식회사 |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
KR101500375B1 (ko) | 2013-06-27 | 2015-03-10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체 도장 외관 검사장치 |
KR101509753B1 (ko) * | 2013-12-17 | 2015-04-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 검사 장치 및 차량 검사 방법 |
KR101782542B1 (ko) | 2016-06-10 | 2017-10-30 | 주식회사 에이티엠 | 차량 도장표면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0375B1 (ko) | 차체 도장 외관 검사장치 | |
US5686987A (en) | Methods for assessing visual tasks to establish desirable lighting and viewing conditions for performance of tasks; apparatus; and, applications | |
US5436726A (en) | Flaw highlighting light panel and booth for automobile body repair | |
JP2002508071A (ja) | ボディ・シェルの表面欠陥を自動的に認識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 |
ES2323585T3 (es) | Un sistema automatico de control y vigilancia de la tolerancia del solapamiento en el empalme de telas textiles. | |
KR101640425B1 (ko) | 실러 도포 상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07142B1 (ko) |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 |
KR20210112512A (ko) | 크랙 검사기를 포함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랙 검사 방법 | |
US20190195803A1 (en) | Raman spectru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power of reflected light and image recognition | |
CN113795800A (zh) | 用于对工件进行检验的方法、检验设备和处理设备 | |
WO2006106707A1 (ja) | 色彩検査装置 | |
KR102007141B1 (ko) | 빅데이터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검사 및 재도장 예측 시스템 | |
EP3832528A1 (en) | Vehicle imaging station | |
JPH0765972B2 (ja) | パネル表面検査方法及び装置 | |
TWI786522B (zh) | 表面檢查裝置、表面檢查方法、鋼材製造方法、鋼材品質管理方法以及鋼材製造設備 | |
JP2007002363A (ja) | 糸条パッケージの発色性検査方法及び装置 | |
KR101102423B1 (ko) | 자동차 도장 검사용 등기구 | |
CN113795797A (zh) | 用于对工件进行检验的方法、检验设备和处理设备 | |
US6155108A (en) | Valve seat insert gaging system | |
KR101168399B1 (ko) | 타이어 휠 검사방법 | |
JP2736521B2 (ja) | ロール状フィルムの検査方法及び装置 | |
JP6597981B2 (ja) | 表面検査装置の異常判定方法とその表面検査装置 | |
KR102294899B1 (ko) | 딥 러닝을 이용한 ai 기반 자동차용 선루프의 결함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7317286B2 (ja) | トッピングゴムシートのゴム付き不良検出装置 | |
JPH04106461A (ja) | 表面欠陥検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