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342B1 -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 Google Patents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42B1
KR102006342B1 KR1020180002733A KR20180002733A KR102006342B1 KR 102006342 B1 KR102006342 B1 KR 102006342B1 KR 1020180002733 A KR1020180002733 A KR 1020180002733A KR 20180002733 A KR20180002733 A KR 20180002733A KR 102006342 B1 KR102006342 B1 KR 10200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ing
antistatic
rubbing cloth
fra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205A (ko
Inventor
노재규
박성규
김나래
정예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플렉스
Priority to KR102018000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는: LCD 기판의 러빙(Rubbing)을 위해 러빙포가 부착되는 러빙 롤러의 일측에서 상기 러빙포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러빙포에 접촉되어서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 바(Bar); 그리고 상기 제전 바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용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전성 접촉부재 즉 제전 바가 직접 러빙포에 접촉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고가의 주기적 소모품 교체 비용을 요구하는 이오나이저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고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 방출의 위험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공정 환경이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Static Electricity Removing Device Of Rubbing Cloth And Rubbing System Having The Same For Manufacturing LCD}
본 발명은 러빙포 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CD 기판의 러빙 공정에서 러빙포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 저소비 전력, 풀 칼라 구현, 경박 단소 등의 특징을 가지며, 시계, 계산기, PC용 모니터, 노트북 등으로부터 항공용 모니터, 개인 휴대용 단말기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어레이가 형성된 TFT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컬러필터기판(이하 'CF 기판'이라고 약칭함)을 서로 나란하게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그 사이에 액정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TFT 기판의 표면에는 화소 전극으로서 패턴화된 ITO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ITO 전극의 표면 위에는 배향막이 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CF 기판의 표면에 배향막이 코팅 처리된다. 이들 TFT 기판과 CF 기판은 배향막이 서로 마주하도록 하여 배치되며, 두 기판의 배향막은 모두 액정과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액정표시장치은, 어레이 공정과 셀 공정 및 모듈(Module) 공정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셀 공정을 위해 LCD 기판의 러빙 공정(Rubbing Process)이 수행되며, 상기 러빙 공정은 액정 배향을 유도하기 위해 LCD 기판의 표면을 섬유 소재로 문지르는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빙 공정은 액정 분자의 배향을 규제하기 위해서 폴리이미드 재질의 배향막을 섬유 소재로 러빙하는 공정이며, 이와 같이 LCD 기판의 러빙 처리에 사용하는 섬유를 러빙포 또는 러빙천이라 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러빙포(10; Rubbing Cloth)는 파일 직물 즉 벨벳(Velvet) 직물의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진 원단 조직(지조직)에 파일사(13)이 기모된 구조이다.
상술한 러빙 공정을 위해 상기 러빙포(10)는 원통형 러빙 롤러(1; Rubbing Roller)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러빙 롤러(1)의 회전에 의해 배향막의 표면이 러빙 처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러빙포(10)는 상술한 러빙 롤러(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러빙 롤러(1)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러빙포(10)가 상기 배향막(2)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러빙 롤러(1)가 회전하면 LCD 기판(2)상에 형성된 배향막(3)의 표면에 미세한 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러빙 공정에서는 LCD 기판(2)과 러빙포(10)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며, 러빙 공정 중에 발생한 정전기는 기판(2)이 러빙 스테이지(4)에서 분리될 때의 방전을 일으키고, 이는 기판(2)에 형성되는 전극 및 배향막에 손상을 가져오고 심할 경우 기판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주변 기기들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러빙 공정 중에 기판에 발생하는 정전기는 제거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러빙 공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이오나이저(Ionizer)를 이용한 간접 제전(정전기 제거)방식, 예를 들면 포토 이오나이져(Photo Ionizer)를 설치하여 방전을 예방하고 정전기를 일부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포토 이오나이저(Photo Ionizer) 장비가 고가이고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AC 타입(Type)과 DC 타입 이오나이저는 이온 방출을 통해서 대전된 물체를 제전시키고, 비접촉식 제전 방식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X-Ray 이오나이저는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제전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간접 제전방식은 러빙 공정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전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고, 특히 부도체에 내재된 정전기는 제전에 한계가 있으며,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오나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러빙 공정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러빙포에 직접 접촉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는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러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LCD 기판의 러빙(Rubbing)을 위해 러빙포가 부착되는 러빙 롤러의 일측에서 상기 러빙포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러빙포에 접촉되어서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 바(Bar); 그리고 상기 제전 바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용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러빙포 제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전 바는, 상기 제전용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전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전용 프레임은, 상기 제전 바의 일측 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서포터와, 상기 제전 바의 타측 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전 바는 상기 러빙포에 종동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전 바는, 상기 러빙포에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러빙 롤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전 바는, 상기 제전용 프레임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제전용 프레임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프레임 서포터, 그리고 상기 프레임 서포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LCD 기판이 탑재되는 러빙 스테이지와, 상기 러빙 스테이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빙 롤러를 포함하는 러빙장치; 그리고 LCD 기판의 러빙(Rubbing)을 위해 상기 러빙 롤러에 부착되는 러빙포에 접촉되어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러빙포 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러빙 시스템을 위한 러빙포 제전장치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러빙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도전성 접촉부재 즉 제전 바가 직접 러빙포에 접촉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고가의 주기적 소모품 교체 비용을 요구하는 이오나이저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고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 방출의 위험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공정 환경이 구현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는 러빙포에 직접 접촉방식으로 제전을 수행하므로, 기판에 영향을 주지않아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자재 즉 회전 자유로운 구조의 제전 바가 적용되므로 러빙 공정 중에 제전이 진행되어도 러빙포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는 러빙포와 제전 바 사이의 갭(Gap) 조절이 가능하므로 파일의 길이나 러빙 롤러의 직경 등 러빙 조건에 쉽게 대응할 수 있으며, 러빙 공정의 진행 여부 등 시기에 제한 없이 제전을 수행할 수 있고, 제전 바가 러빙포에 의해 종동 회전하면서 러빙포 파일의 에이징(Ag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LCD 기판의 러빙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전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를 갖는 러빙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러빙포 제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러빙 시스템에서 러빙포 제전장치의 제전 바가 러빙 롤러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러빙 시스템에서 러빙포 제전장치의 제전 바가 러빙 롤러에서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제1"과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할 때 이들을 상호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수를 정의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 관계 즉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는, 막대형상의 도전성 부재(제전 바)를 러빙 공정을 수행 중인 러빙포의 파일(Pile)에 접촉함으로써 LCD(액정표시장치)의 기판과 러빙포의 마찰에 의해 상기 러빙포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판과 러빙포와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가 도전성의 회전형 접촉부재(제전 바)를 통해 러빙포의 외부로 흐르면서 소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러빙 시스템은, 도전성의 회전형 접촉부재 다시 말해서 제전 바(Bar Removing Static Electricity)를 러빙 공정을 위해 회전하는 러빙포의 파일에 접촉하여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기 제거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는 효과 있으며, 특히 고가로 주기적 교환이 필요하며 인체에 유해한 포토 이오나이저에 비해 저비용으로 안전하게 제전(정전기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정전기 제거는 기판에 도전성 부재를 직접 접촉시켜서 상기 도전성 부재의 접지를 통해 정전기 제거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기판에 직접 접촉하는 제전방식(기판 직접 접촉 방식)은 단지 TFT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접지를 위한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며 동일한 위치에 기판 설계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양산 적용시에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든 기판에 동일한 설계가 반영되어야 하는 기판 직접 접촉 방식으로는 다양한 크기의 모든 제품에 적용할 수 없어 정전기 제거 목적으로 적용함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러빙포에 직접 막대 형상의 도전성 부재 즉 제전 바를 접촉시켜서 러빙포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러빙포 에이징(Aging)의 부수적인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의 러빙시 발생하는 정전기 및 러빙포(부도체)에 내재된 정전기 제거를 통해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전 바가 러빙포 특히 러빙포의 파일에 항상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러빙 공정 진행중 정전기 확인장치를 통해 러빙포의 정전기 값을 검출하고, 러빙포의 정전기 값이 소정의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전 바가 이동하여 러빙포에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제전 바와 러빙포의 갭(Gap; 간격) 조정이 가능하므로, 러빙 공정 진행 중 또는 러빙 공정의 휴지기에도 선택적으로 제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전 바는 회전이 자유로운 구성 즉 회전 자재의 구성으로서, 러빙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마찰차처럼 러빙 롤러의 역방향으로 종동 회전하면서 제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러빙포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고 러빙포 파일의 결방향의 에이징(Aging)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이 설명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는, 러빙 롤러(1)의 외주면에 부착된 러빙포(10)에 막대 형상의 도전성 부재 즉 제전 바(110)를 접촉시켜서 정전기(마찰전기)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러빙 롤러(1)는 원통 형상으로서 LCD 기판(2)의 배향막을 문지르기 위한 회전체이며, 상기 러빙포(10)와 기판(2)의 마찰에 의해 상기 러빙포(10)에 발생되는 정전기는 상기 제전 바(110)를 통해 제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100)는, 상술한 제전 바(110)와, 상기 제전 바(110)에 연결되는 제전용 프레임(120)을 갖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전 바(110; Bar)는, 상술한 LCD 기판(2)의 러빙(Rubbing)을 위해 러빙포(10)가 부착되는 러빙 롤러(1)의 일측에서 상기 러빙포(10)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러빙포(10)에 접촉되어서 상기 러빙포(10)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도전성 재질의 부재이며, 러빙포의 파일(13)에 접촉되어 상기 러빙포에 생성되는 정전기를 제거한다.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은, 상기 제전 바(11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러빙포(10)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접지된다. 즉, 상기 제전 바(110)는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을 통해 접지되며,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은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전성 재질의 예가 알루미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러빙 시스템의 일 실시 예는 LCD 기판(1)의 러빙 기능과 러빙포(10)의 제전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LCD 기판이 탑재되는 러빙 스테이지(4)와, 상기 러빙 스테이지(4)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러빙 롤러(1)와, 상술한 러빙포 제전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빙포 제전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LCD 기판의 러빙(Rubbing)을 위해 상기 러빙 롤러에 부착되는 러빙포에 접촉되어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러빙포 제전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전 바(110)는 상기 제전용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며,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제전 바(110)는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은, 상기 제전 바(110)의 일측 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서포터(121)와, 상기 제전 바(110)의 타측 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서포터(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회전 자재로 연결 즉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다 함은, 상기 제전 바(110)에 원주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전 바(110)가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전 바(110)가 상기 러빙포(10)에 접촉되면, 상기 러빙포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전 바(110)가 상기 러빙포(10)에 종동하여 상기 제전 바(110)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전 바(110)는 상기 러빙 롤러(1)의 축선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전 바(1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전 바(110)의 양단부는 베어링에 의해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서포터(121)와 상기 제2서포터(122)에는 각각 상기 상기 제전 바(1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링은 통전 가능한 베어링으로서, 상기 제전 바(110)와 제전용 프레임(120)간의 통전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베이링에는 통전 그리스 즉 도전성 그리스(Grease)가 주입된다.
본 실시 예어서, 상기 제전용 프레임의 제1서포터(121)와 제2서포터(12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전 바(110)는 상기 러빙포(10)에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러빙 롤러(1)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전 바(110)와 상기 러빙포(10)의 선택적 접촉이 가능하며, 상기 제전 바(110)와 상기 러빙포(10) 사이의 간격 즉 갭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전 바(110)가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과 일체로 이동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전 바(110)와 제전용 프레임(120)이 일체로 선형 왕복이동 가능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제전 바(110)가 상기 러빙포(10)에 근접해서 접촉하고, 그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후퇴해서 러빙포(1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제전용 프레임(120)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프레임 서포터(130)와, 상기 프레임 서포터(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가이드(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서포터(130)는 상기 프레임 가이드(14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프레임 가이드(140)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41, 142)을 따라 선형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가이드(140)의 상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1, 142)이 서로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서포터(130)는 절연 재질의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서 상기 프레임 서포터(130)의 저면에 한쌍의 레일 홈(131, 1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1, 142)은 상기 레임 홈(131, 132)에 끼워지며, 상기 레일 홈(131, 132)이 상기 가이드 레일(141, 14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그 결과 상기 프레임 서포터(130)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140) 위에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서포터(130)의 움직임은 액츄에이터(150; Actuator)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50)는 실린더나 LM 가이드(리니어 모션 가이드)나 리니어 모터 등의 선형 액츄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러빙 롤러(1)의 축선과 제전 바(110)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전 바(110)가 정전기 제거가 필요한 시기에 상기 액츄에이터(150)에 의해 러빙포(1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빙 롤러(1)가 전후(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LCD 기판(2)에 대한 러빙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전 바(110)가 러빙 롤러(1)와 동일하게 움직이면서 상시 제전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러빙 롤러(1)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러빙 스테이지(4)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상시 또는 선택적 시기의 제전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러빙 롤러 2: LCD 기판
3: 배향막 4: 러빙 스테이지
10: 러빙포 13: 러빙포 파일
100: 러빙포 제전장치 110: 제전 바
120: 제전용 프레임 130: 프레임 서포터
140: 프레임 가이드 150: 액츄에이터

Claims (8)

  1. LCD 기판의 러빙(Rubbing)을 위해 러빙포가 부착되는 러빙 롤러의 일측에서 상기 러빙포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러빙포에 접촉되어서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 바(Bar); 그리고
    상기 제전 바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용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러빙포 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전 바는, 상기 러빙포에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러빙 롤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전용 프레임과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제전용 프레임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프레임 서포터, 그리고
    상기 프레임 서포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 가이드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전 바와 상기 러빙포의 선택적 접촉 및 상기 제전 바와 상기 러빙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 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 바는, 상기 제전용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전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 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용 프레임은, 상기 제전 바의 일측 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서포터와, 상기 제전 바의 타측 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전 바는 상기 러빙포에 종동하여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 제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LCD 기판이 탑재되는 러빙 스테이지와, 상기 러빙 스테이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빙 롤러를 포함하는 러빙 장치; 그리고
    LCD 기판의 러빙(Rubbing)을 위해 상기 러빙 롤러에 부착되는 러빙포에 접촉되어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러빙포 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으로서:
    상기 러빙포 제전장치는,
    상기 러빙 롤러의 일측에서 상기 러빙포의 파일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러빙포에 접촉되어서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 바(Bar), 그리고
    상기 제전 바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러빙포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전용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전 바는, 상기 러빙포에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러빙 롤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전용 프레임과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제전용 프레임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프레임 서포터, 그리고
    상기 프레임 서포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 가이드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전 바와 상기 러빙포의 선택적 접촉 및 상기 제전 바와 상기 러빙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 시스템.
  8. 삭제
KR1020180002733A 2018-01-09 2018-01-09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KR10200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33A KR102006342B1 (ko) 2018-01-09 2018-01-09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33A KR102006342B1 (ko) 2018-01-09 2018-01-09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05A KR20190085205A (ko) 2019-07-18
KR102006342B1 true KR102006342B1 (ko) 2019-10-02

Family

ID=6746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33A KR102006342B1 (ko) 2018-01-09 2018-01-09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3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627A (ja) 2000-11-14 2002-05-22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41351A (ja) * 2001-03-14 2002-11-27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9053655A (ja) 2007-07-30 2009-03-12 Fujifilm Corp ラビング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976397B1 (ko) * 2010-04-12 2010-08-17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러빙장치의 정전기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048372B1 (ko) 2003-08-21 2011-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이용한 러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046B1 (ko) * 1994-11-28 1998-06-15 엄길용 액정기판의 제조방법
JP3073139B2 (ja) * 1994-12-27 2000-08-07 シャープ株式会社 ラビング装置
JPH1124080A (ja) * 1997-07-01 1999-01-29 Denso Corp ラビング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258609A (ja) * 1998-03-11 1999-09-24 Alps Electric Co Ltd ラビ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627A (ja) 2000-11-14 2002-05-22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41351A (ja) * 2001-03-14 2002-11-27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048372B1 (ko) 2003-08-21 2011-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이용한 러빙 장치
JP2009053655A (ja) 2007-07-30 2009-03-12 Fujifilm Corp ラビング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976397B1 (ko) * 2010-04-12 2010-08-17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러빙장치의 정전기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05A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1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oreign particle i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7714947B2 (en) Lateral ion pumping in liquid crystal displays
US7525619B2 (en) Apparatus for rubbing an alignment lay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roll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KR102006342B1 (ko) 러빙포 제전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CN1199078C (zh) 液晶显示元件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和液晶显示装置
KR20200088530A (ko) 러빙포 제전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 시스템
CN100462819C (zh) 一种摩擦装置及其用途
CN104834131A (zh) 一种摩擦取向装置
JP2013130639A (ja) 液晶パネルの配向膜のラビング装置およびラビング方法
KR101607660B1 (ko) 가변진동발생부를 갖는 패널 이물질 제거용 세정장치
KR20120110386A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048372B1 (ko) 러빙천 및 이를 이용한 러빙 장치
JP2515739B2 (ja) 表示素子用基板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2009265581A (ja) 液晶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405629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KR20010004064A (ko) 액정표시소자의 러빙장치 및 그 방법
JP3073139B2 (ja) ラビング装置
KR200266550Y1 (ko)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러빙장치
KR20040041266A (ko) 이온화장치와 그 제어방법
JPH11258609A (ja) ラビング装置
JP2003295189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
KR20180061479A (ko) 러빙천 클리닝 장치
JPH11305233A (ja) 配向膜付長尺可撓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ラビング装置
KR20070038742A (ko) 액정 표시 소자 제조용 러빙 장치 및 방법
JP2013003228A (ja) ラビング部材の洗浄方法、及びラビング部材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