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671B1 -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671B1
KR102005671B1 KR1020180042714A KR20180042714A KR102005671B1 KR 102005671 B1 KR102005671 B1 KR 102005671B1 KR 1020180042714 A KR1020180042714 A KR 1020180042714A KR 20180042714 A KR20180042714 A KR 20180042714A KR 102005671 B1 KR102005671 B1 KR 10200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displacement
maximum
height
bod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183A (ko
Inventor
제바슈티안 트롬브케
하이코 뢰네르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4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0Other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5Position of vehicle body elements
    • B60G2400/952Position of vehicle body elements of door or bon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0Stationary vehicle
    • B60G2800/204Stationary vehicle adjusting floor height to the loading ramp lev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쪽으로 변위 가능한 해치(2), 특히 위쪽으로 선회 가능한 해치(2), 해치(2)에 부속된 구동 장치(3), 및 이 구동 장치(3)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4)를 구비한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1)를 제어하되, 개방 방향으로의 해치(2)의 변위를 제어 장치(4)에 의해 최대 해치 변위(φ)로 제한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대(5)가 다양한 차체 레벨(n)의 설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정 가능할 수 있고, 최대 해치 변위(φ)를 제어 장치(4)에 의해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A MOTOR-POWERED HATCH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motor-powered hatch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들어, 자동차의 해치를 모터 구동에 의해 조정하는 편의 기능이 점차 시장에 정착되고 있다. 그러한 편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모든 종류의 해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해치"라는 개념은 그에 상응하게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용어는, 그 부품들이 실질적으로 위쪽으로 조정될 수 있는 한, 자동차의 후방 해치, 트렁크 리드(trunk lid), 엔진 보닛(engine bonnet), 도어, 사이드 도어(side door), 짐칸 플로어(load compartment floor) 등을 포함한다.
한 가지 공지의 후방 해치 장치(DE 102 25 887 A1)는 위쪽으로 선회 가능한 후방 해치 및 그 해치에 부속된 구동 장치와 이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한 공지의 해치 장치는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최대 해치 변위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최대 해치 변위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하는 것은, 예컨대 감소한 지붕 높이를 갖는 동일한 차고 등에 늘 자동차를 주차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최대 해치 변위를 학습시키면, 해치 높이가 최대 높이로 제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후방 해치가 차고 등의 지붕 영역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최대 해치 변위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예컨대 미니밴(minivan)의 후방 해치의 경우에서 나타난다.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러한 후방 해치에 닿을 수 없는 경우가 제법 많이 있다. 그것은, 특히 후방 해치가, 모터 구동에 의한 후방 해치의 닫힘을 개시할 수 있는 조작 요소를, 개방된 상태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측면에 구비하는 경우에 편의성의 상실을 초래한다. 사용자 정의에 의해 최대 해치 변위를 설정함으로써, 어느 사용자라도 항상 조작 요소에 닿을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정적인 최대 해치 변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것은, 자동차 차체가 전체적으로 항상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는 경우에 전술한 이점들을 가져온다. 그러나 자동차가 다양한 차체 레벨들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높이 조정 가능한 차대를 갖는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하다. 여기서, 차대의 높이 조정은 사실상 설정된 정적인 최대 해치 변위와 중첩되게 된다. 그 결과, 차대가 들어 올려졌을 때에 해치에 닿을 수 있는 접근성이 더 이상 주어지지 않고, 그것은 편의성이 상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차고 등의 지붕 영역과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의도치않게 차대가 들어 올려져 있을 때 해치를 이전에 설정된 정적인 최대 해치 변위로 조정하는 경우에 그러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그것은 작동 안전성의 저하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차대를 구비한 자동차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해치를 조정할 때에 사용 편의성 및 작동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공지의 방법을 구성 및 개량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에서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최대 해치 변위를 제어 장치에 의해 차체 레벨의 변경에 적응시킨다는 기본 사상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이점은 예컨대 차고의 지붕 영역과의 충돌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도, 충돌 회피라는 관점에서 사전에 설정된 최대 해치 변위를, 차체 레벨의 변경 시에도 충돌 회피가 계속해서 유지되도록 차체 레벨의 변경에 적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해치 장치의 제약 없는 조작성에서 나타난다. 제안된 바에 따르면, 해치에 있는 조작 요소에의 접근성이라는 관점에서 사전에 설정된 최대 해치 변위를, 차체 레벨의 변경 시에도 접근성이 보장되도록 적응시킬 수 있다.
즉, 그러한 제안된 바에 따른 해결 방안에 의해, 차체 레벨의 변경과는 무관하게 작동 안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도 증대된다.
본원에서, "적응시킨다"는 개념은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한 개념은 차체 레벨의 변경이 최대 해치 변위의 그 어떠한 성격의 변경도 전부 수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차체 레벨의 특정의 변경들에서는 최대 해치 변위를 변경하지 않는 것도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들은 최대 해치 변위 및/또는 최대 해치 높이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하는 방안들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바에 따라 최대 해치 변위를 적응시키기 위한 간단한 법칙이 본 발명의 대상이다. 그에 따르면, 차체 레벨의 변경을 최대 해치 변위의 반대 방향으로의 적응에 의해 유효하게 상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들에서는, 제안된 바에 따라 최대 해치 변위를 적응시키는 것에 의해, 해치 높이가 차체 레벨의 변경으로 인해 예기치 않게 증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충돌 위험 및/또는 조작 요소에의 접근성의 저해를 초래할 수 있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해치 높이를 아주 상이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목을 끈다. 일 구성에 있어서, 해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해치의 조작 요소의 영역에 놓인, 해치에 있는 기준점의 높이가 된다. 해치 높이의 정의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의 해치 높이는 해치의 각각의 최고위 지점의 높이가 된다. 후자의 구성은 특히 충돌 방지를 원한다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에서는, 최대 해치 변위를 제어 장치에 의해 차체 레벨의 변경에 적응시킴으로써, 해치가 차고의 지붕 영역과 충돌할 위험이 감소하고, 해치 장치의 조작 요소에의 접근성이 보장되어 해치 장치를 제약 없이 조작할 수 있다. 즉, 차체 레벨의 변경이 있더라도 그와는 무관하게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단일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설정 과정 중에 후방 해치가 설정된 최대 해치 변위에 있는, 제안된 바에 따른 해치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차체 레벨의 변경 시에 후방 해치가 차체 레벨의 변경에 적응시킨 최대 해치 변위에 있는, 도 1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해치 장치(1)는 후방 해치 장치로서, 그에 상응하게 후방 해치(2)를 구비한다. "해치 장치"라는 개념의 폭넓은 이해와 관련하여, 명세서의 도입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후방 해치에 관한 이후의 모든 설명은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된 모든 다른 종류의 해치들에도 똑같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시된 해치 장치(1)에서, 해당 해치(2)는 실질적으로 위쪽으로 조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위쪽으로"라는 개념은 해치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범위에 걸쳐 위쪽으로 조정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해치(2)는 이제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선회 가능한 후방 해치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치(2)에는 공지의 방식대로 구동 장치(3)와 그 구동 장치(3)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4)가 부속된다. 제어 장치(4)는 통상적으로 BUS 시스템, 특히 CAN-BUS를 통해 상위 제어 시스템 등과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는 해치(2)가 최대 해치 변위(φ 1, φ 2)로 조정된 상황을 각각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은 이제 설명하려고 하는 설정 과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질적인 것은 모터 구동에 의해 해치(2)를 개방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은 제어 기술적으로 최대 해치 변위(φ)로 제한된다는 사실이다. 즉, 개방 방향으로 최대 해치 변위(φ)를 넘어 해치(2)를 조정하는 것이 제어 기술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조합하면, 도시된 자동차의 차대(5)는 상이한 차체 레벨들(n1, n2)의 설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레벨(n1)에 비해 올라간 자동차 레벨(n2)을 도시하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핵심은 최대 해치 변위(φ)를 제어 장치(4)에 의해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킨다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들의 경우에서는, 차체가 차체 레벨(n1)로부터 차체 레벨(n2)로 들어 올려진 결과, 최대 해치 변위를 그에 상응하게 적응시키는데, 여기서는 최대 해치 변위(φ 1)가 최대 해치 변위(φ 2)로 상응하게 감소하게 된다. 제안된 바에 따른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에 관해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안된 바에 따른 해결 방안은 해당 해치(2)가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해치 장치들(1)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해치(2)는 실질적으로 수평의 해치 축선(6)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최대 해치 변위(φ)는 항상 해치 축선(6)을 중심으로 한 해치(2)의 선회 각도(φ)에 해당하게 된다. 해치 축선(6)이 자동차 차체에 배치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해치 축선(6)의 위치가 자동차 차체에 대해 약간 변경되도록, 특히 해치(2)를 조정하는 동안 해치 축선(6)이 운동학적 여건에 의거하여 "이동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안된 바에 따른 제어 장치(4)의 작동이 해치(2)의 선회 각도(φ)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제어 장치(4)에서 해치 변위가 구동 변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3)의 특히 퍼센티지의 조정 행정 거리에 의해 표현되도록 조치한다. 구동 장치(3)는 구동 장치(3)의 조정 행정 거리를 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증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치 변위(φ)는 구동 장치(3)의 출발 위치를 기준으로 센서 신호 증분들의 수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본적으로는 제어 장치(4)에 의해 구동 변수로부터 해치(2)의 선회 각도(φ)로 역산을 하는 것도 역시 생각해볼 수 있다. 이하에서 해치 변위(φ)의 저장을 거론한다면, 그것은 실시예별로 실제의 선회 각도(φ)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구동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증분 센서는, 이동하는 구동 부품에 달린 영구 자석 장치가 그에 부속된 홀 센서(Hall sens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 자석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 부품의 조정은 그에 상응하게 상기 센서 신호 증분의 발생을 가져온다.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을 일반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어떠한 성격의 기준이라도 그러한 적응에 대해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혀 상이한 타입 및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설정 과정이 제공된다. 설정 과정에서의 이러한 상황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설정 과정의 바람직한 제1 구성에서는, 최대 해치 변위(φ 1)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설정되는 최대 해치 변위(φ 1)는 기본적으로, 특히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최대 해치 변위(φ)가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특히 학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그것은 사용자가 예컨대 리모트 키(remote key)를 통해 해치(2)가 원하는 최대 해치 변위(φ 1)에 있도록 해치(2)의 조정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서, 사용자는 한편으로 지붕 영역(7), 여기서는 차고(8)의 문(7)과의 충돌이 배제되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해치(2)에 배치된 조작 요소(9)에의 접근성이 보장되도록 해치(2)를 조정하였다.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이와 같이 설정된 최대 해치 변위(φ 1)로부터 기지의 해치 기하학을 통해 해당 해치 높이(h1)를 산출하여 최대 해치 높이(h1)로서 저장한다. 이때, 우선은 해치(2)의 각각의 최고위 지점이 "해치 높이"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다른 제어 기술적 처리를 수반하는 다른 정의들도 가능한데, 그에 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최대 해치 변위(φ 1)로부터 상기 최대 해치 높이(h1)를 산출하는 것은 기하학적 해치 모델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최대 해치 높이(h1)를 상응하게 근사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호환 테이블(concordance table)을 제어 장치(4)에 저장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설정 과정의 바람직한 제2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설정 과정 시에 제어 장치(4)에 의해 최대 해치 높이(h1)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때의 핵심은 설정되는 최대 해치 높이(h1)를 지붕 높이(hmax) 미만으로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어서, 설정된 최대 해치 높이(h1)로부터 해치 기하학을 통해 해당 해치 변위(φ 1)를 산출하여 최대 해치 변위(φ 1)로서 저장한다. 그 경우에도 역시 설정 과정은 센서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고 사용자 정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최대 해치 변위(φ 1) 및/또는 최대 해치 높이(h1)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일 구성에서는, 설정하려는 값을 조작 단말에 있는 키보드 등을 통해 입력한다. 여기에서의 바람직한 다른 구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치(2)를 상응하게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값을 학습시킨다.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설정 과정 동안 최대 해치 변위(φ 1) 및/또는 최대 해치 높이(h1)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설정 과정 동안 현존 차체 레벨(n1)을 산출하여 기준 차체 레벨로서 저장한다. 적어도 설정 과정이 항상 미리 정해진 기준 차체 레벨에서 수행된다면, 그러한 저장을 생략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레벨(n)이 완전히 낮춰지지 않으면, 설정 과정을 차단할 수 있다.
최대 해치 변위(φ)를 적응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최대 해치 변위(φ), 최대 해치 높이(h), 및 기준 차체 레벨(n)에 대한 저장 값들을 적응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제어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매우 간단한 구성에서는,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의 크기가 차체 레벨(n)의 변경의 크기, 여기서는 바람직하게는 차체 레벨(n)이 기준 차체 레벨로부터 벗어난 편차의 크기와 선형 함수 관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차체 레벨(n)이 상향 또는 하향 변경되었을 때에 최대 해치 변위(φ)가 반대 방향으로 하향 또는 상향 변경되는 결과를 가져오도록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기서는 해치(2)의 선회 각도(φ)에 해당하는 최대 해치 변위(φ)를 상향 또는 하향 변경한다는 것은 해치(2)가 전체적으로 어림잡아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으로써, 결과적으로 자동차 레벨(n)의 변경이 최대 해치 변위(φ)의 반대 방향으로의 변경에 의해 상쇄되게 된다.
전술한 측면에서, 바람직한 일 구성은 각각의 최대 해치 변위(φ)에서 변경 전의 해치 높이(h1)가 변경 후의 해치 높이(h2)를 넘어서지 않도록 최대 해치 변위(φ)의 변경을 차체 레벨의 변경에 적응시키는 조치를 취한다. 도 1은 해치(2)가 설정된 최대 해치 변위(φ 1)에 있을 때의 해치 높이(h1)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 차체가 차체 레벨(n2)로 들어 올려지고 난 후에, 도 2에 도시된 해치 높이(h2)가 도 1에 도시된 해치 높이(h1)와 사실상 거의 동일하도록 최대 해치 변위(φ)가 선회 각도(φ 1)로부터 선회 각도(φ 2)로 감소한다.
항상 최대 해치 변위(φ)의 변경을 저장된 최대 해치 높이(h1)를 고려하여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는 것도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차체 레벨(n)의 변경 후에 최대 해치 변위(φ)에서 해치 높이(h)가 저장된 최대 해치 높이(h1)를 넘어서지 않도록 최대 해치 변위(φ)를 해치 기하학을 고려하여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역시, 차체 레벨(n)의 변경 후에 최대 해치 변위(φ)에서 해치 높이(h)가 저장된 최대 해치 높이(h1)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최대 해지 높이(φ)를 차체 레벨(n)에 적응시키는 전술한 바람직한 구성은 그에 상응하는 설계에서 최대 해치 높이(φ)에 있는 해치(2)의 해치 높이가 차체 레벨(n)의 변경 시에도 거의 똑같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목을 끄는 사실은 해치 높이(h)를 적용 사안별로 아주 상이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해치 높이(h)는 해치(2)에 있는 기준점(10)의 높이인데, 그 경우에 기준점(10)은 해치(2)의 조작 요소(9)의 영역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정의에 의해, 전술한 구성들에서 설정된 높이(h1u)에 있는 조작 요소(9)에 항상 닿을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차대가 차체 레벨(n2)로 들어 올려지면, 특히 결과적으로 생기는 높이(h2u)가 설정된 높이(h1u)와 사실상 일치하도록 최대 해치 변위(φ 1)를 최대 해치 변위(φ 2)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해치 높이(h)를 해치(2)의 최고위 지점의 높이로 하는 것도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한 해치 높이(h)의 정의는 제안된 바에 따른 사상의 전술한 설명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차체 레벨(n)의 변경이 종료되고 차체 레벨(n)이 새로운 값으로 설정되고 나면 비로소 제안된 바에 따른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많은 상황들에 있어서, 차체 레벨(n)의 변경 중에, 특히 차체 레벨(n)이 증가하는 단계들 중에 이미 제안된 바에 따른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을 수행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있어서, 해치(2)가 최대 해치 변위(φ)에 있을 때에 차체 레벨(n)을 조정하는 과정 중에 현재 최대 해치 변위(φ)를 계속해서 현재 차체 레벨(n)에 적응시켜 해치(2)가 항상 각각의 적응된 최대 해치 변위(φ)로 조정되도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후자의 구성의 이점은 도 1에 도시된 상황을 전제로 하여 가장 잘 나타난다.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차체 레벨을 올릴 경우, 해치 위치의 적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해치(2)가 차고(8)의 문(7)가 충돌하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다. 후자의 구성에서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을 거의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해치(2)의 상응하는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차고(8)가 문(7)과 충돌하지 않게 된다.
역시 독자적인 의의를 갖는 또 다른 사상에 따라,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1) 그 자체를 청구한다. 그에 관해서는, 해치 장치(1)를 설명하는 데 적절한 모든 진술들을 참조하면 된다.
1: 해치 장치 2: 해치
3: 구동 장치 4: 제어 장치
5: 차대 6: 해치 축선
φ: 해치 변위 h: 해치 높이
n: 차체 레벨

Claims (10)

  1. 위쪽으로 변위 가능한 해치(2), 해치(2)에 부속된 구동 장치(3), 및 구동 장치(3)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4)를 구비하고, 개방 방향으로의 해치(2)의 모터 구동에 따른 변위를 제어 장치(4)에 의해 최대 해치 변위(φ)로 제한하는 것인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1)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대(5)가 상이한 차체 레벨(n)의 설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정 가능할 수 있고, 최대 해치 변위(φ)를 제어 장치(4)에 의해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며, 최대 해치 변위(φ)는 차체 레벨(n)의 변경 중에 계속하여 현재 차체 레벨(n)에 적응되고,
    차체 레벨(n)의 변경 후에 최대 해치 변위(φ 2)에서 해치 높이(h)가 저장된 최대 해치 높이(h1)를 넘어서지 않도록, 최대 해치 변위(φ)를 해치 기하학을 고려하여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며,
    상기 해치 높이(h)는 해치(2)에 있는 기준점(10)의 높이이며, 상기 기준점(10)은 해치(2)의 조작 요소(9)의 영역에 놓이게 되어, 조작 요소(9)가 설정된 높이(h1u)에서 항상 닿을 수 있는 것이 보장되고,
    설정 과정 중에 제어 장치(4)에 의해 최대 해치 높이(h1)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하여 저장하고,
    설정 과정 동안 제어 장치(4)에 의해 현재 차체 레벨(n1)을 산출하여 기준 차체 레벨(n1)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2)는 실질적으로 수평의 해치 축선(6)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고, 최대 해치 변위(φ)가 해치 축선(6)을 중심으로 한 해치(2)의 선회 각도(φ)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4)에서, 해치 변위(φ)는 구동 변수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4)에 의해 설정된 최대 해치 변위(φ 1)로부터 해치 기하학을 이용하여 해당 해치 높이(h1)를 산출하여 최대 해치 높이(h1)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4)에 의해 설정된 최대 해치 높이(h1)로부터 해치 기하학을 이용하여 해당 해치 변위(φ 1)를 산출하여 최대 해치 변위(φ 1)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최대 해치 변위(φ)의 적응의 크기가 차체 레벨(n)의 변경의 크기와 선형 함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체 레벨(n)의 상향 또는 하향 변경 시에 최대 해치 변위(φ)가 반대 방향으로 하향 또는 상향 변경되는 결과를 가져오도록 최대 해치 변위(φ)를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최대 해치 변위(φ 1, φ 2)에서 변경 전의 해치 높이(h1)가 변경 후의 해치 높이(h2)를 넘어서지 않도록, 최대 해치 변위(φ)를 해치 기하학을 고려하여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해치(2)가 최대 해치 변위(φ)에 있을 때에 차체 레벨(n)을 조정하는 과정 중에 현재 최대 해치 변위(φ)를 계속해서 현재 차체 레벨(n)에 적응시켜 해치(2)를 각각의 적응된 최대 해치 변위(φ)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제어 방법.
  10. 위쪽으로 변위 가능한 해치(2), 해치(2)에 부속된 구동 장치(3), 및 구동 장치(3)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4)를 구비하되, 제어 장치(4)가 개방 방향으로의 해치(2)의 모터 구동에 따른 변위를 최대 해치 변위(φ)로 제한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대(5)가 상이한 차체 레벨(n)의 설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정 가능할 수 있고, 제어 장치(4)가 최대 해치 변위(φ)를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며, 최대 해치 변위(φ)는 차체 레벨(n)의 변경 중에 계속하여 현재 차체 레벨(n)에 적응되고,
    차체 레벨(n)의 변경 후에 최대 해치 변위(φ 2)에서 해치 높이(h)가 저장된 최대 해치 높이(h1)를 넘어서지 않도록, 최대 해치 변위(φ)를 해치 기하학을 고려하여 차체 레벨(n)의 변경에 적응시키며,
    상기 해치 높이(h)는 해치(2)에 있는 기준점(10)의 높이이며, 상기 기준점(10)은 해치(2)의 조작 요소(9)의 영역에 놓이게 되어, 조작 요소(9)가 설정된 높이(h1u)에서 항상 닿을 수 있는 것이 보장되고,
    설정 과정 중에 제어 장치(4)에 의해 최대 해치 높이(h1)를 사용자 정의에 의해 설정하여 저장하고,
    설정 과정 동안 제어 장치(4)에 의해 현재 차체 레벨(n1)을 산출하여 기준 차체 레벨(n1)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KR1020180042714A 2011-04-27 2018-04-12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KR102005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8849.5 2011-04-27
DE102011018849.5A DE102011018849B4 (de) 2011-04-27 2011-04-27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motorischen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32A Division KR20160099519A (ko) 2011-04-27 2016-08-08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83A KR20180042183A (ko) 2018-04-25
KR102005671B1 true KR102005671B1 (ko) 2019-07-30

Family

ID=470076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32A KR20160099519A (ko) 2011-04-27 2016-08-08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80042714A KR102005671B1 (ko) 2011-04-27 2018-04-12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32A KR20160099519A (ko) 2011-04-27 2016-08-08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44415B2 (ko)
KR (2) KR20160099519A (ko)
CN (1) CN102767321A (ko)
DE (1) DE10201101884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1775B3 (de) 2011-12-21 2013-01-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system
DE102012013067A1 (de) 2012-07-02 2014-01-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motorischen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US9022285B2 (en) 2013-03-01 2015-05-05 Looppay,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loading, storing and transmitting magnetic stripe date in a device working with a mobile wallet system
DE102013018592A1 (de) * 2013-11-07 2015-05-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3114881A1 (de) * 2013-12-25 2015-06-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uersystem für eine motorische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117278A1 (de) * 2016-09-14 2018-03-1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US10577851B2 (en) * 2017-06-15 2020-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atic closure system with active distance control
CN107972736B (zh) * 2017-12-08 2020-04-17 安徽鹰龙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减震型大马力拖拉机
US10676979B2 (en) * 2018-10-16 2020-06-09 GM GI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liftgate in a motor vehicle
JP6995035B2 (ja) * 2018-10-31 2022-01-14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開閉体開閉装置
DE102019123876A1 (de) * 2019-09-05 2021-03-1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ystem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r Fahrzeugtür relativ zu einer Fahrzeugkarosserie
US20220275677A1 (en) * 2021-02-26 2022-09-01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ail gate of vehicle
FR3137615A1 (fr) * 2022-07-11 2024-01-12 Psa Automobiles Sa Système de contrôle d’ouvrant motorisé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395A (ja) * 2006-08-10 2008-02-21 Toyota Motor Corp バックドア付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6843A1 (de) * 1988-08-06 1990-02-08 Daimler Benz Ag Federungssystem fuer kraftfahrzeuge mit geschwindigkeitsabhaengiger niveauregulierung
JPH11198626A (ja) * 1998-01-13 1999-07-27 Toyota Motor Corp 車高調整装置
US6814392B1 (en) * 2000-06-26 2004-11-09 Atoma International Corp. Lead screw drive for a power liftgate
US6755458B1 (en) * 2000-09-29 2004-06-29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Liftgate force control
US7070226B2 (en) * 2001-04-26 2006-07-04 Litens Automotive Powered opening mechanism and control system
JP3897546B2 (ja) * 2001-06-19 2007-03-28 矢崎総業株式会社 余長吸収コネクタ
JP3719987B2 (ja) * 2002-02-05 2005-11-24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自動開閉装置
DE10225887A1 (de) * 2002-06-11 2004-01-08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 mit schwenkbar heckseitig angeordneter Klappe
DE10323077B4 (de) * 2003-05-22 2018-02-22 Audi Ag Kraftfahrzeug mit Heckklappe
US7159927B2 (en) * 2003-07-23 2007-01-09 Honda Motor Co., Ltd. Powered tailgate system
JP4258322B2 (ja) 2003-08-26 2009-04-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ワーラッゲージドアのヒンジ構造
US7034485B2 (en) * 2004-09-24 2006-04-25 Arvin Technologies, Inc. Vehicle liftgate control system
DE102005061610A1 (de) 2005-12-21 2007-07-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Schließbewegung eines Karosseriebauteils für Fahrzeuge
DE102008042183B4 (de) 2008-09-18 2024-02-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an einem Kraftfahrzeug
CN101767607B (zh) 2009-12-28 2012-07-2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开启高度可调的发动机罩气撑杆
DE102010054975B3 (de) * 2010-12-20 2012-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für den Betrieb einer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395A (ja) * 2006-08-10 2008-02-21 Toyota Motor Corp バックドア付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18849A1 (de) 2012-10-31
DE102011018849B4 (de) 2015-07-23
US20120277958A1 (en) 2012-11-01
US9644415B2 (en) 2017-05-09
CN102767321A (zh) 2012-11-07
KR20180042183A (ko) 2018-04-25
KR20160099519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671B1 (ko)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
US7909561B2 (en) Tow truck with underlift control
KR102052485B1 (ko)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RU2666489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закрывающей панелью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9138691B (zh) 具有主动距离控制的自动外罩系统
CA2698509C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raking a vehicle closure system
JP3620836B2 (ja) 開閉体の動作機構
US11230873B2 (en) Trunk door opening/clos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EP2578426B1 (en) Vehicle with openable closure
JP2008297769A (ja) バックドア開閉装置
US7034485B2 (en) Vehicle liftgate control system
CN109281556B (zh) 用于检测封闭件的未闭锁状况的系统及方法
JP2019052468A (ja) 開閉体駆動装置
JP2002021425A (ja) ヒンジ式自動車パネルを開閉するための作動装置
JP2009535534A (ja) 車両用乗込口システム
EP2951376B1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bewegen einer schwenkbaren klappe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einer heckklappe
CN104563709A (zh) 用于前盖的调整装置和相关的机动车
US9738246B2 (en) Adjusting device for a front lid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KR20120121865A (ko)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2006272989A (ja) 特装車両の制御装置及び特装車両無線制御システム
WO2017029229A1 (en)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door
EP3334882A1 (en) Vehicle door
KR20170140027A (ko)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6870165B2 (ja) ドア開閉装置及び車両ドア
KR101228869B1 (ko)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