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69B1 -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69B1
KR101228869B1 KR1020100111926A KR20100111926A KR101228869B1 KR 101228869 B1 KR101228869 B1 KR 101228869B1 KR 1020100111926 A KR1020100111926 A KR 1020100111926A KR 20100111926 A KR20100111926 A KR 20100111926A KR 101228869 B1 KR101228869 B1 KR 10122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ehicle
pinion
gear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594A (ko
Inventor
조철호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0Fault detection
    • E05Y2400/508Fault detection of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충돌 후에 후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드가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차량 충돌 시에 상기 힌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후드와 상기 차체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승구동부와, 상기 힌지부를 하강시켜 상기 후드를 원상태로 이동시키는 복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차량용 후드가 개방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후드가 개방되면 상기 후드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와 차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피니언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c) 상기 후드가 폐쇄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후드가 폐쇄되었으면 상기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을 기어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VATOR FOR HOOD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충돌 후에 후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는 엔진룸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소형차의 경우에는 단지 하나의 레버를 구비한 레버식 힌지가 사용되는 반면에 준중형차 이상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후드의 중량과 강도를 고려하여 4절 링크로 이루어진 힌지를 사용하고 있다.
액티브 후드의 힌지는 통상시에 후드를 개폐 작동하다가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할 경우에 보행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후드의 후방부를 전방으로 밀어 올려서 후드의 변형 공간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엔진룸을 확인하게 위해 후드를 개방하면 후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엔진룸이 개방되고,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힌지가 상승되면서 후드와 차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보행자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차량용 액티브 후드는 차량 충돌 시에 후드를 상승시키고 충돌사고가 종료된 후에 후드를 복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차량 충돌 후에 후드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후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별도의 차량 정비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충돌 후에 후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드가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차량 충돌 시에 상기 힌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후드와 상기 차체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승구동부와, 상기 힌지부를 하강시켜 상기 후드를 원상태로 이동시키는 복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승구동부에 설치되는 회전브래킷과, 상기 후드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회전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구동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 또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케이스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구동부는, 상기 후드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후드감지센서와, 상기 후드의 개폐를 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후드개방노브와, 상기 복귀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스위치와, 상기 후드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와 상기 후드개방노브의 조작여부와 상기 구동스위치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차량용 후드가 개방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후드가 개방되면 상기 후드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와 차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피니언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c) 상기 후드가 폐쇄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후드가 폐쇄되었으면 상기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을 기어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 충돌 후에 후드의 변형이나 파손이 없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차량용 후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정비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차량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자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랙기어, 피니언 및 액추에이터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랙기어, 피니언 및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자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100)는 후드(10)가 차체(12)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30)와, 차량 충돌 시에 힌지부(30)를 상승시켜 후드(10)와 차체(12)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승구동부(50)와, 힌지부(30)를 하강시켜 후드(10)를 원상태로 이동시키는 복귀구동부(70)를 포함한다.
차량의 정비를 위한 후드(10)를 개방하면 후드(10)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므로 작업자가 차량의 엔진룸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주행 중에 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상승구동부(50)가 작동되므로 힌지부(30)를 상승시켜 후드(10)와 차체(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에 충돌한 보행자가 후드(10)에 충돌될 때에 후드(10)가 후드(10)와 차체(12) 사이의 공간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시키므로 차량과 충돌한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충돌사고 이후에, 후드(10)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이면 복귀구동부(70)를 작동시켜 후드(10)를 원상태로 하강시키므로 후드(10)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별도의 정비작업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힌지부(30)는 상승구동부(50)에 설치되는 회전브래킷(32)과, 후드(10)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4)과, 회전브래킷(32)과 고정브래킷(34)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36, 38)를 포함한다.
후드(10)의 전방 측 단부와 차체(12) 사이에는 잠금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후드(10)의 후방 측 단부와 차체(12) 사이에는 힌지부(30)가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잠금장치의 해제한 후에 후드(10)의 전방 측 단부를 상승시키면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후드(10)가 회전되면서 차량의 엔진룸이 개방된다.
회전브래킷(32)은 차체(12)의 내벽에 설치되는 상승구동부(50)에 연결되고, 고정브래킷(34)은 후드(10)의 저면에 설치되며, 링크(36, 38)가 회전브래킷(32)과 고정브래킷(34) 사이에 설치된다.
링크(36, 38)는 회전브래킷(32)의 일측 단부와 고정브래킷(34)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1링크(36)와, 회전브래킷(32)의 타측 단부와 고정브래킷(34)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제1링크(36)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링크(38)를 포함한다.
따라서 링크(36, 38)의 회전에 의해 후드(10)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제2링크(38)의 길이에 따라 후드(10)의 개방각도가 결정된다.
상승구동부(50)는 차체(12)에 설치되는 본체부(52)와, 회전브래킷(32)이 설치되고 본체부(5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승브래킷(54)과, 상승브래킷(54)과 본체부(5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6)를 포함한다.
차량 중행 중에 충돌이 발생되면 본체부(52)로부터 상승브래킷(54)이 분리되므로 탄성부재(56)의 팽창력에 의해 상승브래킷(54) 및 힌지부(30)가 상승되면서 후드(10)와 차체(12)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드(10)에 보행자가 충돌되면 후드(10)가 공간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보행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승구동부(50)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승구동부(50)의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랙기어, 피니언 및 액추에이터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랙기어, 피니언 및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복귀구동부(70)는 고정브래킷(34)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72)와, 랙기어(72)와 기어연결되는 피니언(74)과, 피니언(74)에 동력을 전달하고 랙기어(72)와 피니언(74)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80)를 포함한다.
상승구동부(50)에 의해 후드(10)와 차체(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후에 후드(10)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액추에이터(80)를 구동시켜 고정브래킷(34) 및 랙기어(72)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힌지부(30) 및 후드(10)가 하강하여 원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 후에 후드(10)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액추에이터(80)의 작동에 의해 후드(10)를 원상태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액추에이터(80)는 케이스(82)와, 케이스(82)에 설치되는 모터(83)와, 모터(83)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기어(84)와, 주동기어(84)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85)와, 종동기어(85)가 설치되고 케이스(82) 외측 또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74)이 설치되는 회전축(86)과, 회전축(86)을 케이스(82)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88)를 포함한다.
실린더(8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회전축(86)을 케이스(82)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회전축(86)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피니언(74)이 랙기어(72)와 기어연결되고, 실린더(88)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회전축(86)이 케이스(82) 내부로 삽입되면서 피니언(74)과 랙기어(72)가 분리된다.
따라서 후드(10)를 작업자가 개방할 때에는 랙기어(72)와 피니언(74)을 분리시켜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후드(10)를 회전시키며 개방작업을 행하고, 후드(10)를 닫으면 랙기어(72)와 피니언(74)을 기어연결시켜 힌지부(30)의 하강작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종동기어(85)는 회전축(86)의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플라인 기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린더(88)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86)이 케이스(82)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되어도 항상 주동기어(84)와 기어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구동부(70)는 후드(1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후드감지센서(79)와, 후드(10)의 개폐를 행하고 액추에이터(7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후드개방노브(78)와, 복귀구동부(70)를 작동시키는 구동스위치(76)와, 후드감지센서(7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와 후드개방노브(78)의 조작여부와 구동스위치(76)의 조작여부에 따라 액추에이터(80)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한다.
후드(10)가 폐쇄된 상태이면 후드감지센서(7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90)에서 실린더(88)로 작동신호를 송신하므로 실린더(8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회전축(86) 및 피니언(74)을 케이스(82)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74)이 케이스(82)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랙기어(72)와 기어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작업자가 후드(10)를 개방하기 위해 후드개방노브(78)를 조작하면 제어부(90)에서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88)로 작동신호를 송신하므로 실린더(88)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어 회전축(86) 및 피니언(74)이 케이스(82)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피니언(74)이 케이스(82)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랙기어(72)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작업자가 후드(10)를 개방할 때에 랙기어(72)와 피니언(74)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충돌 후에 후드(10)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구동스위치(76)를 조작하여 모터(83)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83)의 구동력에 주동기어(84), 종동기어(85) 및 회전축(86)을 따라 피니언(74)에 전달된다.
따라서 피니언(74)의 회전에 의해 랙기어(72)가 하강하면서 고정브래킷(34) 및 후드(10)를 하강시켜 원상태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용 후드(10)가 개방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와, 후드(10)가 개방되면 후드(10)에 설치된 고정브래킷(34)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74)와 차체(12)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80)에 결합된 피니언(74)을 분리시키는 단계(S20)와, 후드(10)가 폐쇄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30)와, 후드(10)가 폐쇄되었으면 랙기어(72)와 피니언(74)을 기어연결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후드(10)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후드감지센서(7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90)에서 실린더(88)로 구동신호가 송신되므로 실린더(8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므로 회전축(86) 및 피니언(74)이 케이스(82)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피니언(74)과 랙기어(72)가 기어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 충돌 후에 후드(10)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터(83)의 동력이 주동기어(84), 종동기어(85), 회전축(86) 및 피니언(74)에 의해 랙기어(72)에 전달된다.
이때, 피니언(74)으로부터 랙기어(72)로 전달되는 모터(83)의 동력은 랙기어(7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므로 랙기어(72)가 하강하면서 후드(10)를 원상태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상승구동부(50)에 의해 상승되었던 힌지부(30) 및 후드(10)가 하강하여 차체(12)와 후드(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후드(10)를 개방하기 위해 후드개방노브(78)를 조작하면 제어부(9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실린더(88)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서 회전축(86) 및 피니언(74)이 케이스(82) 내측 방향으로 되어 피니언(74)과 랙기어(72)가 이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후드(10)를 회전시켜 엔진룸을 개방할 때에 랙기어(72)와 피니언(74)이 간섭되지 않으므로 후드(1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충돌 후에 후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후드 12 : 차체
30 : 힌지부 32 : 회전브래킷
34 : 고정브래킷 36 : 제1링크
38 : 제2링크 50 : 상승구동부
52 : 본체부 54 : 상승브래킷
56 : 탄성부재 70 : 복귀구동부
72 : 랙기어 74 : 피니언
76 : 구동스위치 78 : 후드개방노브
79 : 후드감지센서 80 : 액추에이터
82 : 케이스 83 : 모터
84 : 주동기어 85 : 종동기어
86 : 회전축 88 : 실린더
90 : 제어부 100 :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Claims (6)

  1. 후드가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
    차량 충돌 시에 상기 힌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후드와 상기 차체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승구동부; 및
    상기 힌지부를 하강시켜 상기 후드를 원상태로 이동시키는 복귀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승구동부에 설치되는 회전브래킷;
    상기 후드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회전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구동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 또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이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상기 케이스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구동부는,
    상기 후드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후드감지센서;
    상기 후드의 개폐를 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후드개방노브;
    상기 복귀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스위치; 및
    상기 후드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와 상기 후드개방노브의 조작여부와 상기 구동스위치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6. (a) 차량용 후드가 개방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후드가 개방되면 상기 후드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는 랙기어와 차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피니언을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후드가 폐쇄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후드가 폐쇄되었으면 상기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을 기어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111926A 2010-11-11 2010-11-11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2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26A KR101228869B1 (ko) 2010-11-11 2010-11-11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26A KR101228869B1 (ko) 2010-11-11 2010-11-11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94A KR20120050594A (ko) 2012-05-21
KR101228869B1 true KR101228869B1 (ko) 2013-02-01

Family

ID=4626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26A KR101228869B1 (ko) 2010-11-11 2010-11-11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927A (ja) 2003-03-31 2006-04-27 アイエスイー・インノ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ヨーロップ・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両との前面衝突の際に人を保護する装置
KR100645206B1 (ko) * 2005-10-04 2006-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드 리프트 업 장치
JP2009056973A (ja) 2007-08-31 2009-03-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フードの跳ね上げ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927A (ja) 2003-03-31 2006-04-27 アイエスイー・インノ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ヨーロップ・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両との前面衝突の際に人を保護する装置
KR100645206B1 (ko) * 2005-10-04 2006-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드 리프트 업 장치
JP2009056973A (ja) 2007-08-31 2009-03-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フードの跳ね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94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295B2 (en) Vehicle closure member power actuator control
CN110029905B (zh) 用于机动车辆的电动门开启器系统
US7483777B2 (en) Controller for collision object protection device
US7232178B2 (en) Vehicle hood assembly and method of elevating vehicle hood
US10569812B2 (en) Swing and drop tailgate
JP4658624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US11686147B2 (en) Automated cargo door opener
JP2007276503A (ja) 車体前部構造
KR101261921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EP2578426B1 (en) Vehicle with openable closure
US7380625B2 (en) Vehicle engine compartment hood
CN104554127A (zh) 用于前盖的调整装置
JP3765164B2 (ja) 自動車のはね上げフード
KR101228869B1 (ko)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38246B2 (en) Adjusting device for a front lid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KR101271811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장치
KR101491316B1 (ko) 차량용 액티브후드 구동 장치
KR20130043454A (ko) 차량용 후드의 힌지 구조체
JP6314170B2 (ja) ボンネットヒンジ、ボンネットヒンジ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
JP4584049B2 (ja) 車両用衝突制御装置
JP4909780B2 (ja) フロントスポイラー装置
US8489289B2 (en) Converter for signals between a safety device and a safety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JP2003220973A (ja) 車両フード跳ね上げ装置
KR100405461B1 (ko) 보행자 보호용 후드힌지의 리프트 장치
KR101846711B1 (ko) 차량 측면 충격 보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