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538B1 - 고압호스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고압호스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538B1
KR102003538B1 KR1020170162719A KR20170162719A KR102003538B1 KR 102003538 B1 KR102003538 B1 KR 102003538B1 KR 1020170162719 A KR1020170162719 A KR 1020170162719A KR 20170162719 A KR20170162719 A KR 20170162719A KR 102003538 B1 KR102003538 B1 KR 10200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inner pipe
metal core
padd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725A (ko
Inventor
석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플렉스
Priority to KR102017016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5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29C48/0015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producing hollow articles having components brought in contact outside the extrusion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1Coat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1단계;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2단계;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4단계;
로 이루어져 고압호스를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내관, 금속심편사층, 외관으로 이루어진 고압호스를 단일 작업라인에서 단일공정으로 제조하여 고압호스의 강도가 강하며, 고압호스 제작시간이 단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압호스 제작방법{High pressure hos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관, 금속심편사층, 외관으로 이루어진 고압호스를 제작하여 단일 작업라인에서 단일공정으로 제조하는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50792호의 복층편사 및 3중압출에 의한 농업용 분무기 호스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관, 1차 편사층, 접착코팅층, 2차 편사층, 외관을 단일 작업라인에서 단일 공정으로 제작하되 상기 1차 편사층은 다수의 직선실을 상기 내관의 외경 길이에 따라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투입하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회전판을 통해 각각의 회전실을 반대방향에서 나선상으로 편사하여 상기 직선실의 위에 겹쳐지게 하며, 각 회전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내관의 전체 길이범위에서 상기 직선실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내관의 전체 길이범위에서 상기 직선실 및 타회전실의 상부에 위치되게 판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층편사 및 3중압출에 의한 농업용 분무기 호스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번호 공개번호 제10-2016-0062005호의 호스제작방법에 의하면, 호스성형체의 표면에 희생층을 제공하는 단계, 희생층상에서 호스를 제작하는 단계, 희생층으로부터 호스성형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희생층과 호스성형체 사이에 압력유체를 강제주입하는 단계와, 호스로부터 희생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제작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호스의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며 호스의 강도도 약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내관, 금속심편사층, 외관으로 이루어진 고압호스를 단일 작업라인에서 단일공정으로 제조하여 고압호스의 강도가 강하며, 고압호스 제작시간이 단축되는 고압호스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1단계;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2단계;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4단계;
로 이루어져 고압호스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관, 금속심편사층, 외관으로 이루어진 고압호스를 단일 작업라인에서 단일공정으로 제조하여 고압호스의 강도가 강하며, 고압호스 제작시간이 단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관압출금형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내관압출금형의 분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내관압출금형의 파이프관 상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제1금속심거치대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직조기 내부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기 후방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직조기 전방 사진
도 8은 본 발명 직조기의 금속심이 권취되어 있는 금속심권취부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1회전판에 제2금속심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압출기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냉각부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고압호스 사진
본 발명은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1단계;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2단계;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4단계;
로 이루어져 고압호스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관과 외관은 합성수지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호스는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4금속심과 제5금속심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2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형성하여 고압호스를 제작할 수 있는 5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관압출금형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내관압출금형의 분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내관압출금형의 파이프관 상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제1금속심거치대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직조기 내부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기 후방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직조기 전방 사진, 도 8은 본 발명 직조기의 금속심이 권취되어 있는 금속심권취부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1회전판에 제2금속심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압출기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냉각부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호스 사진이다.
본 발명은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1단계,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2단계,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4단계로 이루진다.
상기 1~4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단계는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1차압출기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2단계는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1차압출기가 직선이동하여 내관압출금형이 직조기 내부로 삽입되면, 1차 압출기에서 내관을 압출성형 하는 것이다.
이때, 내관과 함께 1차압출기의 후방에 설치된 제1금속심거치대(600)에서 복수 개의 제1금속심이 제1압출기 주위에 설치된 복수 개의 관을 통과하여 내관압출금형으로 투입된다.
상기 내관압출금형은 1차압출기에 후단 결합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파이프관과, 상기 파이프관(220)의 선단에 삽입되어 몸체에 결합되는 환봉(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에는 제1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211)은 원판 형상으로서,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제1통공(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통공에는 각각 제1금속심이 투입된다.
이에, 복수 개의 제1금속심이 방사형으로 내관 주위에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관(220)은 단차가 형성된 것으로, 제1직선부(221), 제1경사부(222), 제2직선부(2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직선부는 몸체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직선부의 외면에는 제2가이드판(2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은 원판형상으로서,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제2통공(22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2통공에는 각각 제1금속심이 투입된다.
이에, 복수 개의 제1금속심이 방사형으로 내관 주위에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관에는 환봉이 삽입되되, 상기 환봉은 선단에 환봉의 직경보다 길이가 긴 걸림원판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봉의 걸림원판과 파이프관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환봉의 외면 직경은 파이프관의 내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링형상의 틈이 형성된다.
이에, 내관압출금형에서 파이프관과 환봉 사이의 틈으로 내관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환봉에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되어 내관을 압출형성 할 시 공기가 순환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3단계는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금속심, 제2금속심, 제3금속심은 와이어 또는 철사를 사용한다.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은 내관의 주위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금속심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은 내관압출금형의 제1직선부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관압출금형의 제1직선부에서 제2금속심과 제3금속심이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이 만들어진 후에 제1금속심이 압축형성되는 내관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면,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관의 외면에 제1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관압출금형의 제1직선부외면에서 미리 제1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고 내관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압출성형된 내관의 형태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는 직조기(300)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며 복수 개의 제2금속심이 각각 권취되어 있는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연결되는 제1회전판(33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며 복수 개의 제3금속심이 권취되어 있는 제3금속심권취부(340)와, 상기 제3금속심권취부와 연결되는 제2회전판(350)과,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와 제3금속심권취부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2금속심권취부와 제3금속심권취부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와 제3금속심권취부는 변속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제2금속심권취부에는 각각 제2금속심이 권취되어 있되, 상기 제2금속심은 금속튜브관을 통하여 제2금속심권취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회전판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에서 제1회전판으로 공급되는 복수 개의 제2금속심이 꼬이지 않게 된다.
또한,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제3금속심권취부에는 각각 제3금속심이 권취되어 있되, 상기 제3금속심은 제2회전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기에 의해 제2금속심권취부와 제3금속심권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금속심과 제3금속심은 서로 교차하여 편사된다.
그러므로 상기 직조기는 제1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4단계는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내관의 외면에 제1금속심편사층이 형성된 반제품이 2차압출기로 투입되어 외관이 코팅하여 고압호스를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고압호스는 냉각부를 거쳐 권취부에 권취된다.
상기 냉각부(500)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부에는 10~25℃의 물이 저장되어 있으며, 외관을 형성한 고압호스는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스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물의 적정온도는 15℃가 적정하다.
이때 고압호스가 케이스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 위로 떠오르지 않도록 복수 개의 롤러가 고압호스를 하부로 누르며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냉각부를 거친 고압호스는 권취부에 권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관과 외관은 합성수지재질로서 주로 PVC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내관과 외관은 나일론, 우레탄, 고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내관, 제1금속심편사층, 외관으로 형성된 고압호스는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4금속심과 제5금속심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2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형성하여 고압호스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완성된 고압호스는 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복수 회 반복하여 더욱 더 강도가 높은 고압호스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관, 금속심편사층, 외관으로 이루어진 고압호스를 단일 작업라인에서 단일공정으로 제조하여 고압호스의 강도가 강하며, 고압호스 제작시간이 단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내관 20 : 제금속심편사층
21 : 제1금속심 22 : 제2금속심 23 : 제3금속심
30 : 외관
100 : 1차압출기
200 : 내관압출금형 210 : 몸체
211 : 제1가이드판 212 : 제1통공
220 : 파이프관 221 : 제1직선부
222 : 제1경사부 223 : 제2직선부
224 : 제2가이드판 225 : 제2통공
300 : 직조기 310 : 하우징
320 : 제2금속심권취부 330 : 제1회전판
340 : 제3금속심권취부 350 : 제2회전판
400 : 2차압출기
500 : 냉각부 510 : 케이스
520 : 롤러
600 : 제1금속심거치대

Claims (4)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1단계;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2단계;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4단계;
로 이루어져 고압호스를 제조하는 고압호스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1차압출기(100)를 직선이동시켜 1차압출기(100)의 선단에 결합되는 내관압출금형(200)을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며,
상기 1차압출기(100)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2단계는 내관(10)을 압출성형하며, 압출성형되는 내관(10)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을 투입하는 것이며,
상기 1차압출기(100)가 직선이동하여 내관압출금형(200)이 직조기(300) 내부로 삽입되면, 1차압출기(100)에서 내관(10)을 압출성형하는 것이며,
상기 내관(10)과 함께 1차압출기(100)의 후방에 설치된 제1금속심거치대(600)에서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이 1차압출기(100) 주위에 설치된 복수 개의 관을 통과하여 내관압출금형(200)으로 투입되는 것이며,
상기 내관압출금형(200)은 1차압출기(100)에 후단 결합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선단에 결합되는 파이프관(220)과, 상기 파이프관(220)의 선단에 삽입되어 몸체(210)에 결합되는 환봉(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몸체(210)에는 제1가이드판(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211)은 원판 형상으로서,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제1통공(212)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1통공(212)에는 각각 제1금속심(21)이 투입되어,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이 방사형으로 내관(10) 주위에서 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투입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파이프관(220)은 단차가 형성된 것으로, 제1직선부(221), 제1경사부(222), 제2직선부(2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직선부(223)는 몸체(210)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직선부(221)의 외면에는 제2가이드판(2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224)은 원판형상으로서,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제2통공(225)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통공(225)에는 각각 제1금속심(21)이 투입되어,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이 방사형으로 내관(10) 주위에서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투입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파이프관(220)에는 환봉이 삽입되되, 상기 환봉은 선단에 환봉의 직경보다 길이가 긴 걸림원판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환봉의 걸림원판과 파이프관(220)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환봉의 외면 직경은 파이프관(220)의 내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링형상의 틈이 형성되어, 내관압출금형(200)에서 파이프관(220)과 환봉 사이의 틈으로 내관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환봉에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되어 내관(10)을 압출형성 할 시 공기가 순환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3단계는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의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1금속심(21), 제2금속심(22), 제3금속심(23)은 와이어 또는 철사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은 내관의 주위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금속심(21)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은 내관압출금형(200)의 제1직선부(221)에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내관압출금형(200)의 제1직선부(221)에서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이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금속심편사층(20)이 만들어진 후에 제1금속심(21)이 압축형성되는 내관(10)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면,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10)의 외면에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내관압출금형(200)의 제1직선부(221) 외면에서 미리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고 내관(10)으로 이동되기에 압출성형된 내관(10)의 형태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는 직조기(300)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며 복수 개의 제2금속심(22)이 각각 권취되어 있는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연결되는 제1회전판(33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며 복수 개의 제3금속심(23)이 권취되어 있는 제3금속심권취부(340)와, 상기 제3금속심권취부(340)와 연결되는 제2회전판(350)과,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제3금속심권취부(340)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310)은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제3금속심권취부(34)0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제3금속심권취부(340)는 변속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제2금속심권취부(320)에는 각각 제2금속심(22)이 권취되어 있되, 상기 제2금속심(22)은 금속튜브관을 통하여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연결되어 있는 제1회전판(330)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금속심권취부(320)에서 제1회전판(330)으로 공급되는 복수 개의 제2금속심(22)이 꼬이지 않게 되며,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제3금속심권취부(340)에는 각각 제3금속심(23)이 권취되어 있되, 상기 제3금속심(23)은 제2회전판(350)에 연결되고, 상기 변속기에 의해 제2금속심권취부(320)와 제3금속심권취부(3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금속심(22)과 제3금속심(23)은 서로 교차하여 편사되므로, 상기 직조기(300)는 제1금속심편사층(2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4단계는 제1금속심편사층(20)의 외면에 2차압출기(400)로 외관(30)을 압출성형하는 것이며,
상기 내관(10)의 외면에 제1금속심편사층(20)이 형성된 반제품이 2차압출기(400)로 투입되어 외관이 코팅하여 고압호스를 제작하며, 상기 고압호스는 냉각부를 거쳐 권취부에 권취되는 것이며,
상기 냉각부(500)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520)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냉각부(500)에는 10~25℃의 물이 저장되어 있으며, 외관을 형성한 고압호스는 케이스(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스(5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며,
상기 고압호스가 케이스(5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 위로 떠오르지 않도록 복수 개의 롤러(520)가 고압호스를 하부로 누르며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고, 상기 냉각부(500)를 거친 고압호스는 권취부에 권취되는 것이며,
상기 내관(10)과 외관(30)은 합성수지재질인 것이며,
상기 4단계 이후에는 외면에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게 권취되는 제4금속심과 제5금속심의 편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2금속심편사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형성하여 고압호스를 제작하는 5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제작방법



삭제
삭제
삭제
KR1020170162719A 2017-11-30 2017-11-30 고압호스 제작방법 KR10200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19A KR102003538B1 (ko) 2017-11-30 2017-11-30 고압호스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19A KR102003538B1 (ko) 2017-11-30 2017-11-30 고압호스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25A KR20190063725A (ko) 2019-06-10
KR102003538B1 true KR102003538B1 (ko) 2019-07-24

Family

ID=6684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719A KR102003538B1 (ko) 2017-11-30 2017-11-30 고압호스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532B1 (ko) * 2019-07-09 2020-04-07 김규용 이중 난방호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 난방호스
KR102515294B1 (ko) 2021-09-16 2023-03-29 주식회사 세종플렉스 누수 알림기능을 갖는 pvc 호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194B1 (ko) * 1984-12-21 1991-09-19 캐터필라 인크. 고압용 호스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05147U (ko) * 2013-07-16 2013-08-29 주식회사 한길 파열강도를 향상시킨 피브이씨 호스의 압출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25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538B1 (ko) 고압호스 제작방법
US3058493A (en) Flexible reinforced corrugated hose
IL31538A (en) Thermoplastic compound strand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extrusion thereof
DE102015114488A1 (de) Vorrichtung zum Extrudieren eines strukturierten Extrudats
CN108655290A (zh) 包覆锭子的锭座加工成型方法
CN109296686B (zh) 一种环形金属橡胶隔振垫及其制备方法
CN101324296A (zh) 耐压水带及其生产工艺
EP323562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ndlosen treibriemens
US11794429B2 (en) Hose extrusion mandr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se
TWI477310B (zh) 製作繩線樣式之可撓高爾夫球桿握把之方法
CN201049511Y (zh) 制造钢网增强塑料复合管的配套设备
KR100614687B1 (ko) 내 마찰층을 갖는 다공관 제조장치
CN110434186B (zh) 一种超深孔细长零件的冷加工工艺及冷挤压拉长模具
EP323562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ndlosen treibriemens
EP299178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ahtformkörpers aus einem drahtgewebe sowie drahtformkörper
CN205250233U (zh) 一种胶原蛋白肠衣喷机用的编织成型组件
US20130048205A1 (en) Method for forming a frame
CN206344432U (zh) 一种异型截面电线电缆球面流道挤塑模具
JPS5815296B2 (ja) 補強糸編込みホ−スの製造装置
JP3895854B2 (ja) 内周面に環状補強リング部材を一体に形成した電気配線保護管
KR101389671B1 (ko) 열가소성수지재 튜브 압출제조기에서 다열로 튜브제조시 튜브 경의 편차조정장치
KR101458331B1 (ko) 신선기
CN108480484B (zh) 组合塔式、带内加强肋板的薄壁环状金属橡胶件冲压模具及其工作方法
CN210791978U (zh) 一种用于医用扩张管挤出冷却定型的长短组合式定径套
TWI245100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bore pipe and the produc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