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539B1 -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539B1
KR102002539B1 KR1020130011489A KR20130011489A KR102002539B1 KR 102002539 B1 KR102002539 B1 KR 102002539B1 KR 1020130011489 A KR1020130011489 A KR 1020130011489A KR 20130011489 A KR20130011489 A KR 20130011489A KR 102002539 B1 KR102002539 B1 KR 10200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ous detection
detection sensor
light beam
ligh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611A (ko
Inventor
황호현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3001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39B1/ko
Priority to US14/154,660 priority patent/US20140210927A1/en
Priority to EP14152176.5A priority patent/EP2763389B8/en
Priority to CN201410042994.3A priority patent/CN103984093A/zh
Publication of KR2014009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5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main scanning direction, e.g. synchronisation of line start or picture elements in a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04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involving the fast moving of an optical beam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 G06K15/1219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e.g.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2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 H04N1/0283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in combination with a light deflecting element, e.g. a rotating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 주사 장치는 광원에서 출사되어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을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동기 검지 구조를 갖는 광 주사 장치는 시범적인 동작에서 검출된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을 이용하여 양품과 불량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Light scanning unit, method of detecting failure of synchronization signal and electrophotograpo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light scanning unit}
본 개시는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기검기 구조를 개선시킨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주사 장치는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화상신호가 인가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켜 상담지체의 주주사방향으로 주사한다. 광 주사 장치에 의한 주주사 및 상담지체의 이동에 의한 부주사에 의하여, 상담지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담지체에 주사되는 광빔의 주사 위치가 주사 라인마다 달라지게 되면, 화상 쉬프트가 일어나게 되며, 컬러 화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색들의 겹쳐지는 위치가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광 주사 장치는 광 주사의 시작 위치나 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기 검지부를 구비한다. 동기 검지부는 반복적으로 주사되는 광빔의 시작단이나 끝단에 위치하여 광 주사의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광 주사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동기 검지부의 동기 검지 센서에 입사하는 광빔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 편차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동기 검지 신호의 부주사 방향 위치 이탈을 막기 위해, 광 주사 장치의 조립 공정 중에 동기 검지 센서에서의 빔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검사할 필요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 / 온도 조건 차이에 의한 광 주사 장치의 하우징에 열변형이 발생되고, 또는 제품의 운송 도중 충격 및 사용 부주의 등의 이유로, 광 주사 장치의 초기 조립상태와는 다른 광축 조건으로 변동될 가능성을 여전히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광축 변동은 화상 열화뿐만 아니라, 동기 검지로 입사되는 광빔의 이탈을 유발하기도 한다. 더욱이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동기 검지 렌즈를 삭감한 경우에는 위와같은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와 같은 시장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광 주사 장치 조립 공정상에서는 설비 오퍼레이터가 설비에 부착된 별도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동기 검지 센서에 입사하는 빔 위치의 육안 검사하고, 부주사 방향 광축의 위치를 일정범위 내로 한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공정은 설비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설치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작업공수의 증가로 인한 생산 코스트 증가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인적 실수(Human Error)에 의한 불량 가능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설비에 별도의 모듈을 추가함이 없이, 동기 검지부의 광축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및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는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된 유효 수광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을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되도록 함으로써, 검출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을 이용하여 동기 검지의 불량과 양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일부를 차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는 광빔의 진행 방향의 후단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는 광빔의 진행경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는 상기 광주사 장치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동기 검지 센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광빔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가 광빔의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광빔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는 직선이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광빔의 진행 방향의 후단 쪽 경계는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폭이 광빔의 진행경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동되거나 혹은 불연속적으로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최소폭이 광빔의 1μs 동안 주사하는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동기 검지 센서로 향하는 광빔을 상기 동기 검지 센서에 결상시키는 동기 검지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는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주사 광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에서 동기 검지 센서는 상기 주사 광학계에 입사되지 않은 광빔을 수광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주사 광학계에 입사된 후의 광빔을 수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및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는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된 유효 수광면을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광원을 구동하는 단계; 광 편향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이 기준치에 미달되면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양품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기준치는 예를 들어 1μs 내지 그 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피주사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 주사 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 주사 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및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는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된 유효 수광면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별도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환경변화 및 외부 요인에 의한 광 주사 장치의 동기검지부 광축의 변동에도 안정적인 광 주사 장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인적 실수에 의한 불량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현재의 광축 조건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문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광학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I-I선에서 바라본 동기 검지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동기 검지부에 광빔이 주사됨에 따른 동기 검지 신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광학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서 I-I선에서 바라본 동기 검지부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는 광빔(L)을 출사하는 광원(110),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빔(L)을 피주사면에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키는 광 편향기(130), 광 편향기(130)에서 반사 및 주사되는 광빔(L)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주사 렌즈(140), 광 편향기(130)에서 반사 및 주사되는 광빔(L) 중 일부를 수광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지 센서(160) 및 이들 광학부품들을 실장하는 하우징(180)을 포함한다.
광원(110)으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채용될 수 있다. 광 편향기(13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폴리곤 미러일 수 있다. 광 편향기(130)가 시계 방향(135)으로 회전함에 따라,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빔(L)은 피주사면을 향하여 반사 및 주사된다. 광 편향기(130)는 다른 예로 멤스(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미러일 수도 있다.
광원(110)과 광 편향기(130)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 광학계(120)가 마련될 수 있다. 입사 광학계(120)는 콜리메이터 렌즈(121), 개구스톱(122) 및 실린드리컬 렌즈(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121)는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된 광빔(L)을 평행광 혹은 수렴광으로 만들어 주는 집광 렌즈이다. 개구스톱(122)은 광빔(L)의 직경과 형상을 조절한다. 실린드리컬 렌즈(123)는 광빔(L)을 주주사 방향 및/또는 부주사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집속시킴으로써, 광편향기(130)의 반사면에 선형으로 결상시키는 왜상 렌즈(anamorphic lens)이다.
주사 렌즈(140)는 광 편향기(130)에서 반사 및 주사되는 광빔(L)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로서, 빔평향기(130)에서 편향 반사되는 광빔(L)의 경로상에 배치된다. 주사 렌즈(140)는 예를 들어 광빔(L)을 집속시키면서, 피주사면에 등속 주사되도록 보정하는 fθ렌즈일 수 있다. 도면에는 주사 렌즈(140)가 1 매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2 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빔평향기(130)에서 편향 반사되는 광빔(L)의 경로상에는 광경로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반사미러(미도시)가 더 개재될 수 있다.
동기 검지 센서(160)는 광 편향기(130)에서 반사 및 주사되는 광빔(L) 중 일부를 검출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소자이며,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포토 센서 IC(photo sensor integrated chip)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동기 검지 센서(160)는 광빔(L)을 수광하는 수광면(161)을 갖는다. 동기 검지 센서(160)는 광빔의 일 주사선에서 주주사가 시작되는 시작단에 해당되는 광빔을 수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기 검지 센서(160)는 광빔의 일 주사선에서 주주사가 끝나는 끝단에 해당되는 광빔을 수광하도록 배치되거나 광빔의 일 주사선에서 주주사의 시작단 및 끝단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동기 검지 센서(160)는 회로 기판(190)에 실장된 상태로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면(161)이 광빔(L)을 수광할 수 있도록 광 주사 장치(100)의 하우징(180)에 설치될 수 있다. 동기 검지 센서(160)의 전면에는 수광면(161)의 주주사 방향(X)의 폭이 부주사 방향(Y)을 따라 차등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재(170)가 마련된다. 동기 검지 센서(160)와 차단부재(170)는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부를 이룬다. 차단부재(170)는 동기 검지 센서(160)의 유효 수광면의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으로 만드는 일예이다.
도 2는 하우징(180)의 I-I선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면(161)과 차단부재(170)가 도시된다. 도 2에서 X축은 광빔(L)이 주사되는 방향, 즉 주주사 방향이며, Y축은 주주사 방향에 수직한 부주사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C는 광빔(L)의 진행경로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중심선 C는 광 주사 장치(100)의 광축이 이상적으로 잘 정렬된 경우의 광빔(L)의 진행경로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80)의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가 위치한 전면에는 개구(180a)가 마련되어 광빔(L)이 수광부(161)에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80)의 개구(180a)는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광빔(L)의 진행방향의 후단쪽의 적어도 일부가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180a)는 주주사 방향(X)의 폭이 부주사 방향(Y)을 따라 차등될 수 있도록 단차지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80)의 개구(180a)에서 단차된 형상(171, 172)은 본 실시예의 차단부재(170)에 해당될 수 있다.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은 하우징(180)의 개구(180a) 자체의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차단부재(170)는 하우징(18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80)의 개구(180a)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별도의 불투명 부재가 개구(180a)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은 하우징(180)의 개구(180a)에서 광빔(L)의 진행 방향의 후단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우징(180)의 개구(180a)에서 단차된 형상(171, 172)은 광빔(L)의 진행 방향의 후단 쪽 경계일 수 있다.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은 광빔(L)의 진행경로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Y)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된 형상(171, 172)은 중심선(C)을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Y)으로 같은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에 의해 가리워진 수광부(161)의 주주사 방향(X)의 유효 폭(W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된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에 대한 양품 및 불량 여부를 가리우는 기준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에 의해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가 가리워지므로, 수광부(161)의 유효한 주주사 방향(X)의 폭(W2)은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원래 주주사 방향(X)의 폭(W1)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수광부(161)의 원래 부주사 방향(Y)의 길이(D1) 역시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에 의해 가리워져 수광부(161)의 원래 주주사 방향(X)의 폭(W1)을 유지하는 길이가 D2로 줄어들게 된다. 이때, 차단부재(170)의 단차된 형상(171, 172)에 의해 감소된 폭(W2)은 동기 검지 센서(160)에 의해 수평 동기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 최소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을 만족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동기 검지 센서(1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평 동기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 최소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이 1μs 이라 하면, 상기 감소된 폭(W2)은 주사되는 광빔(L)이 1μs 동안 진행하는 거리와 같거나 그 이상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수광부(161)의 원래 주주사 방향(X)의 폭(W1)을 유지하는 길이가 D2로 줄어들게 되더라도, 원래 부주사 방향(Y)의 길이(D1) 전역에 결쳐 수평 동기 신호가 검출될 수 있게 된다.
동기 검지 센서(160)는 수광부(161)의 광빔(L)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는 광빔(L)의 주주사 방향(X)과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는 광빔(L)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가 직선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80)의 개구(180a)는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광빔(L)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를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빔(L)이 부주사 방향(Y)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주사되더라도 동일한 시각에 수평 동기 신호가 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80)의 개구(180a)가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광빔(L)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개구(180a)는 광빔(L)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가 직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동기 검지 센서(16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190)에는 동기 검지 센서(160)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부품(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90)에는 광원(110)이 함께 일괄적으로 실장되어 조립공정에서의 공정수를 줄일 수도 있다. 물론 광 주사 장치(100)의 조립 방식에 따라서는 광원(110)이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광 편향기(130)와 동기 검지 센서(160) 사이에는 동기 검지 렌즈(150)가 배치될 수 있다. 동기 검지 렌즈(150)는 광 편향기(130)에서 반사되는 광빔(L)을 동기 검지 센서(160)에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동기 검지 센서(160)가 주사 렌즈(140)를 경유하지 않은 광빔(L)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동기 검지 센서(160)는 주사 렌즈(140)를 경유한 광빔(L)을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광원(110)과, 광 편향기(130)가 구동된다. 광원(110)에서 광빔(L)이 출사되면, 출사된 광빔(L)은 광 편향기(130)의 반사면(130a)에서 반사되면서 광 편향기(130)의 회전에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된다. 이때, 광 편향기(130)의 일 반사면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빔(L)은 피주사면에 일 주사선을 형성하게 된다. 일 주사선의 시작단에 해당되는 광빔(L)은 동기 검지 렌즈(150)와 하우징(180)의 개구(180a)를 거쳐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에 입사된다. 이때, 광빔(L)은 동기 검지 센서(160)에 주주사 방향(X)을 따라 주사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로 입사된 광빔은 광전 전환을 거쳐 수평 동기 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광 주사 장치(100)의 조립 공정의 일부일 수 있다. 광 주사 장치(1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동기 검지 센서(160)에 입사하는 광빔(L)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 편차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동기 검지 신호의 부주사 방향 위치 이탈을 막기 위해, 광 주사 장치(100)의 조립 공정 중에 동기 검지 센서(160)에서의 광빔(L)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검사할 필요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온도 조건 차이에 의한 광 주사 장치(100)의 하우징(180)에 열변형이 발생되고, 또는 제품의 운송 도중 충격 및 사용 부주의 등의 이유로, 광 주사 장치(100)의 초기 조립상태와는 다른 광축 조건으로 변동될 가능성을 여전히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광축 변동은 화상 열화뿐만 아니라, 동기 검지 센서(160)로 입사되는 광빔의 이탈을 유발하기도 한다. 더욱이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동기 검지 렌즈(150)를 생략한 경우에는 위와같은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광 주사 장치(100)의 하우징(180)에 동기 검지 관련 부품들의 실장이 완료된 이후에, 광 주사 장치(100)를 구동하여, 동기 검지 센서(160)에 감지되는 동기 신호를 평가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도 4는 동기 검지부에 광빔이 주사됨에 따른 동기 검지 신호를 도시한다.
도 4을 참조하면, 광 주사 장치(100)의 광학 부품들이 하우징(180)에 실장되어 조립된 후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테스트용 화상신호를 입력하고, 동기 검지 센서(160)에서 검지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테스트 모듈(미도시)을 조립된 광 주사 장치(100)에 맞물린다.
광원(110)을 구동하고(S210), 광 편향기(130)를 구동한(S220) 후에, 동기 검지 센서(160)에서 검지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S230). 다음으로, 검출된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을 측정하고(S240),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을 기준치 △t0와 비교한다(S250). 기준치 △t0는 조립된 광 주사 장치(100)의 동기 검지에 대한 양품 및 불량 여부를 가리우는 기준이 된다.
도 4에 도시되듯이, 만일 광빔(A)이 동기검지부에 중심선(C) 근방, 즉 차단부재(170)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은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라면,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원래 폭(W1)이 광빔(L)의 검출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며, 따라서 검출되는 동기 검지 신호의 폭은 △t1가 될 것이다. 즉,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이 기준치 Δt0 보다 크다면, 하우징(180)의 개구(180a)를 거쳐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에 입사되는 광빔이 기설정된 올바른 위치에서 입사된다고 해석할 수 있으므로, 조립된 광 주사 장치(100)는 양품으로 판정한다(S270). 반면에, 만일 광빔(B1, B2)이 동기검지부에 중심선(C) 근방에서 부주사 방향(Y)으로 많이 벗어나 차단부재(170)에 의해 일부가 가리워지진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라면,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감소된 폭(W2)이 광빔(L)의 검출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며, 따라서 검출되는 동기 검지 신호의 폭은 △t2가 될 것이다. 즉,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이 기준치 Δt0 보다 작다면, 하우징(180)의 개구(180a)를 거쳐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에 입사되는 광빔이 기설정된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나 입사된다고 해석할 수 있으므로, 조립된 광 주사 장치(100)는 불량품으로 판정한다(S26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준치 △t0는 차단부재(170)에 의해 감소된 수광부(161)의 주주사 방향(X)의 폭(W2)에 상응하는 동기 검지 신호의 폭 △t2과 같거나 그보다 크고 수광부(161)의 원래 폭(W1)에 상응하는 동기 검지 신호의 폭 △t1보다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100)의 광학부품들의 위치가 조립불량이나 사용환경에 의하여 변형되는 등의 이유로, 동기 검지 센서(160)에 입사되는 광빔(L)이 중심선(C)에서 부주사 방향(Y)으로 벗어날 수가 있는데, 광빔(A)이 동기검지부에 중심선(C) 근방, 즉 차단부재(170)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은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는 광 주사 장치(100)를 양품으로 판정하고, 광빔(B1, B2)이 동기검지부에 중심선(C) 근방에서 부주사 방향(Y)으로 많이 벗어나 차단부재(170)에 의해 일부가 가리워지진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는 광 주사 장치(100)를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차단부재(170)는 일 예에 해당되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동기 검지 센서(360)는 동기 검출 센서의 하우징(365)의 개구(365)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수광부(361) 자체가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된 유효 수광면이 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단부재(470)가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차단부재(470)의 배치에 따라, 동기검지 센서(160)의 유효 수광면의 주주사 방향의 폭은 수광부(161)의 중앙에 짧고, 외곽에서 길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기 검지 센서(160)의 수광부(161)의 일부를 가리는 차단부재(471)가 삼각형 형상을 지니게 된다. 이에 따라, 동기검지 센서(160)의 유효 수광면의 주주사 방향의 폭은 수광부(161)의 중앙에 외곽으로 연속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장치는, 광 주사 장치(510), 감광 드럼(520), 현상 장치(530), 대전 롤러(540), 전사 벨트(550), 전사 롤러(552) 및 정착 장치(56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광 주사 장치(510), 감광 드럼(520) 및 현상 장치(530)는 각 칼라별로 마련될 수 있다. 각 칼라별로 마련된 광 주사 장치(51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광 주사 장치(100)가 채용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510)는 4개의 광을 4개의 감광 드럼(520)에 각각 주사한다.
감광 드럼(520)은 상담지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담지체로서 벨트 형태의 감광 벨트가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 드럼(520)의 외주면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피주사면이 된다. 광 주사 장치(510)가 감광 드럼(520)의 피주사면을 길이방향으로 노광시키고, 피주사면이 감광 드럼(520)의 회전에 따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광 드럼(520)의 피주사면에는 2차원의 정전잠상이 형성되게 된다.
4개의 감광 드럼(520)에는 각각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4개의 현상 장치(530)는 각각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를 감광 드럼(520)에 공급하여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시킨다.
감광 드럼(520)의 외주면에서 노광장치(510)에 의해 노광되는 위치의 상류측에는 대전 롤러(540)가 마련된다. 대전 롤러(540)는 감광 드럼(520)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 롤러(540)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 롤러(540)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 벨트(550)는 감광 드럼(520)의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달하는 중간 전사체의 일예이다. 중간 전사 벨트(550)를 대신하여, 중간전사드럼이 중간 전사체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간 전사 벨트(550)는 감광드럼들(520)과 접촉되어 주행된다. 감광 드럼들(520)에 형성된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 화상은 제1 전사롤러(551)에 인가되는 제1 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550)로 서로 겹쳐지면 전사된다. 감광 드럼(520)의 외주면에서 전사가 이루어지는 지점의 하류측에는 클리닝 장치(545)가 마련될 수 있다. 전사되고 남은 토너 화상들은 클리닝 장치(545)에 의해 제거된다. 중간 전사 벨트(550)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제2 전사롤러(552)에 인가되는 제2 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550) 상의 토너 화상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 매체(P)는 정착 장치(560)로 보내어진다.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560)의 정착닙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인쇄 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흑백의 단색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광 주사 장치(510), 감광 드럼(520) 및 현상 장치(530)가 하나씩만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 주사 장치(5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 즉 감광 드럼(520), 현상 장치(530), 중간 전사 벨트(550), 제1 및 제2 전사 롤러(551, 552), 정착 장치(560) 등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 유닛의 일 예로 설명한 것이고, 공지의 인쇄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인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510 : 광 주사 장치 110 : 광원
120 : 입사 광학계 121 : 콜리메이터 렌즈
122 : 개구스톱 123 : 실린드리컬 렌즈
130 : 광 편향기 140 : 주사 렌즈
150 : 동기 검지 렌즈 160, 360 : 동기 검지 센서
161, 362 : 수광면 170, 365, 470, 471, 472 : 차단부재
180 : 하우징 180a : 개구
190 : 회로 기판 520 : 감광 드럼
530 : 현상 장치 540 : 대전 롤러
550 : 중간 전사 벨트 560 : 정착 장치

Claims (18)

  1.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및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지 센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가 주주사 방향의 폭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차등된 유효 수광면을 포함하도록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일부를 차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는 광빔의 진행 방향의 후단 쪽에 배치되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광빔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가 광빔의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상기 차광부재에 의하여 감소된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은, 그에 상응하는 동기 검지 신호의 폭을 △t2, 광주사 장치의 양품 판정의 기준이 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폭을 Δt0라 할 때,
    △t2 ≤ Δt0 을 만족하는 광 주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는 광빔의 진행경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광 주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는 상기 광주사 장치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동기 검지 센서에 일체로 형성되는 광 주사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광빔의 진행 방향의 전단 쪽 경계는 직선이며,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광빔의 진행 방향의 후단 쪽 경계는 단차진 광 주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폭은 광빔의 진행경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변동되는 광 주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폭은 부주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동되거나 혹은 불연속적으로 변동되는 광 주사 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의 수광면의 상기 차광부재에 의하여 감소된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은 광빔의 1μs 동안 주사하는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큰 광 주사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로 향하는 광빔을 상기 동기 검지 센서에 결상시키는 동기 검지 렌즈를 더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주사 광학계를 더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지 센서는 상기 주사 광학계에 입사되지 않은 광빔을 수광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주사 광학계에 입사된 후의 광빔을 수광하도록 배치되는 광 주사 장치.
  15.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원을 구동하는 단계;
    광 편향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의 폭이 기준치에 미달되면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의 폭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양품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16. 삭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1μs 내지 그 보다 큰 값인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18.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피주사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주사 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11489A 2013-01-31 2013-01-31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89A KR102002539B1 (ko) 2013-01-31 2013-01-31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US14/154,660 US20140210927A1 (en) 2013-01-31 2014-01-14 Light scanning unit, method of detecting failure of synchronization signal,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light scanning unit
EP14152176.5A EP2763389B8 (en) 2013-01-31 2014-01-22 Light scanning unit, method of detecting failure of synchronization signal,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light scanning unit
CN201410042994.3A CN103984093A (zh) 2013-01-31 2014-01-29 光扫描单元、检测方法以及电子照相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89A KR102002539B1 (ko) 2013-01-31 2013-01-31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611A KR20140098611A (ko) 2014-08-08
KR102002539B1 true KR102002539B1 (ko) 2019-10-01

Family

ID=5003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489A KR102002539B1 (ko) 2013-01-31 2013-01-31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10927A1 (ko)
EP (1) EP2763389B8 (ko)
KR (1) KR102002539B1 (ko)
CN (1) CN1039840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0135B2 (en) * 2015-02-17 2017-08-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device
JP6520186B2 (ja) * 2015-02-18 2019-05-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
US20210001642A1 (en) * 2016-07-08 2021-01-07 Tocano Holding B.V. Printing apparatus with improved permanency of the print
JP6673278B2 (ja) * 2017-03-30 2020-03-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6984314B2 (ja) * 2017-10-27 2021-12-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90080262A (ko) * 2017-12-28 2019-07-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7387358B2 (ja) * 2019-09-26 2023-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272A (ja) * 2001-05-18 2002-11-27 Canon Inc 偏向走査装置
JP2004163666A (ja) * 2002-11-13 2004-06-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走査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26129A (ja) * 2006-02-27 2007-09-0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705B2 (ja) * 1988-10-24 1995-12-0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光ビーム走査装置
US6476955B1 (en) * 1999-09-13 2002-11-05 Canon Kabushiki Kaisha Multi-beam scanning optical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t
KR100708127B1 (ko) * 2005-04-22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디텍터 및 이를 구비한 광주사기
JP5137428B2 (ja) * 2007-03-13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236386B1 (ko) * 2008-08-08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272A (ja) * 2001-05-18 2002-11-27 Canon Inc 偏向走査装置
JP2004163666A (ja) * 2002-11-13 2004-06-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走査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26129A (ja) * 2006-02-27 2007-09-0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10927A1 (en) 2014-07-31
KR20140098611A (ko) 2014-08-08
EP2763389B8 (en) 2019-12-25
EP2763389A2 (en) 2014-08-06
EP2763389B1 (en) 2019-11-20
CN103984093A (zh) 2014-08-13
EP2763389A3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539B1 (ko)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US9024990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8422033B2 (en) Reflective optical sen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67085B2 (ja) フォトセンサ装置
US20080225304A1 (en) Optical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006106694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516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8237759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814121B1 (ko)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JP688776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012297A (ko)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US6815663B2 (en) Apparatus for optical scanning along with measurement of optical characteristics within scanning region
JP2014115670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621756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scanning device, and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in optical scanning device
US7889221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201320558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94333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10055670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including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ncluding the same
JP2006184650A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03406B2 (ja) 光ビームセンサーの位置調整方法
JP2007086566A (ja)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62153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81481A (ja)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8209580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003918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