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262A -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Google Patents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0262A KR20190080262A KR1020170182622A KR20170182622A KR20190080262A KR 20190080262 A KR20190080262 A KR 20190080262A KR 1020170182622 A KR1020170182622 A KR 1020170182622A KR 20170182622 A KR20170182622 A KR 20170182622A KR 20190080262 A KR20190080262 A KR 201900802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anning direction
- light
- main scanning
- light beam
- leng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1—Mechanical drive devices for polygonal mirrors
- G02B26/122—Control of the scanning speed of the polygonal mirr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5—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polygonal mirror and the image plan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7—Adaptive control of the scanning light beam, e.g. using the feedback from one or more detecto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9—Details of projection optic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광주사 장치가 개시된다. 광원에서 방출된 광빔은 ㄱ광 편향기에 의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된다. 동기검지센서는 광 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는 센싱 영역을 구비한다. 센싱 영역은 주주사 방향의 길이가 부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점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고, 토너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 프린터에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킨 후에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되는 감광체에 조사하는 광주사 장치가 채용된다.
광주사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광체에 스폿(spot) 형태로 결상시키기 위하여 콜리메이팅렌즈, 실린더리컬렌즈, fθ렌즈 등의 광학소자를 구비한다. 광주사 장치는 주주사방향의 동기, 즉 수평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한다. 동기검지센서는 주주사방향으로 편향된 광의 일부를 수광한다.
도 1은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부주사방향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주사방향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주사방향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동기검지센서의 일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7은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8은 동기검지광로의 부주사 방향의 광경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부주사방향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주사방향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주사방향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동기검지센서의 일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7은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8은 동기검지광로의 부주사 방향의 광경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광주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대전된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토너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는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 장치가 채용된다.
도 1은 광주사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주사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부주사방향(X)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주사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주주사방향(Y)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광주사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주주사방향(Y)에 대한 광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주사 장치(100)는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10)과, 광원(10)에서 조사된 광빔을 피노광체, 예를 들어 감광드럼(300)의 주주사방향(Y)으로 편향 주사시키는 광 편향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감광드럼(300)은 피노광체(300)로 기술한다. 광주사 장치(100)는 동기검지센서(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동기검지센서(29)는 광원(10)에서 조사된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여, 주사선의 수평동기(주주사방향(Y)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한다. 광 편향기(30)에서 편향된 광빔의 일부가 분기되어 동기검지광로(26)가 형성되며, 동기검지센서(29)는 동기검지광로(26)로 진행되는 광빔을 수광한다. 동기검지센서(29)는 예를 들어 광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 광빔이 지나가는 모든 광로에서, 주주사방향(Y)은 광 편향기(30)에 의하여 광빔이 편향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부주사방향(X)은 피노광체(300)가 이동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광원(10)으로서는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가 채용될 수 있다. 광 편향기(30)의 일 예로서 도 1에는, 복수의 반사면(34)을 가지는 폴리곤 미러(35)와, 폴리곤 미러(35)를 회전시키는 모터(36)가 도시되어 있다.
광원(10)과 광 편향기(30)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광원(10)에서 조사된 광빔을 평행 광이 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팅 렌즈(21)가 마련될 수 있다. 콜리메이팅 렌즈(21)와 광 편향기(30) 사이에는 광빔을 부주사방향(X)으로 집속시켜 반사면(34)에 결상시키는 광학 소자(23)가 마련될 수 있다. 광학 소자(2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한 매의 실린더리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 장치(100)는 결상광학소자(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결상광학소자(41)는 광 편향기(30)와 피노광체(300) 사이에 배치된다. 결상광학소자(41)는 광 편향기(30)에서 평향된 광빔을 피노광체(300)의 표면에 등속주사 및 결상시킨다. 결상광학소자(41)는 예를 들어 fθ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fθ렌즈는 적어도 일 매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fθ렌즈는 광 편향기(30)에서 편향된 광빔을 주주사방향(Y)과 부주사방향(X)에 대해 서로 다른 배율로 보정하여 피노광체(300)에 결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기검지센서(29)는 광 편향기(30)와 결상광학소자(41) 사이에 광빔의 일부를 수광할 수 있다.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편향기(30)에서 편향된 광빔의 일부는 반사경(25)에 반사되어 동기검지센서(29)에 입사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편향기(30)에서 편향된 광빔의 일부는 직접 동기검지센서(29)에 입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기검지센서(29)는 결상광학소자(41)를 통과한 광빔의 일부를 수광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편향기(30)에서 편향되어 결상광학소자(41)를 통과한 된 광빔의 일부는 반사경(25)에 반사되어 동기검지센서(29)에 입사될 수 있다.
동기검지센서(29)는 예를 들어 집적회로 칩(IC chip)의 형태로 제조되어 인쇄회로기판(60)에 장착될 수 있다. 동기검지센서(29)는 예를 들어, QFP(Quad Flat Package)방식의 칩일 수 있으며, QFN(Quad Flat No-Lead Semiconductor Package) 방식의 칩일 수도 있다. 동기검지센서(29)는 인쇄회로기판(60)에 장착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기검지센서(29)는 직접 프레임(50)에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60)과 도시되지 않은 연결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동기검지센서(29)의 일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동기검지센서(29)의 상세한 형태는 생략되며, 동기검지센서(29)의 기능을 알 수 있는 간략한 형태만이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기검지센서(29)는 광빔(LB)을 수광하는 센싱영역(29-1)을 구비한다. 광 편향기(30)에 의하여 광빔(LB)은 주주사방향(Y)으로 진행되며, 센싱영역(29-1)에 광빔(LB)이 입사되면, 주사선의 수평동기(주주사방향(Y)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수평동기신호가 생성된다. 센싱영역(29-1)은 주주사방향(Y)의 길이(LY)와 부주사방향(X)의 길이(LX)를 가진다. 주주사방향(Y)의 길이(LY)는 부주사방향(X)의 길이(LX)보다 길다.
광빔(LB)이 센싱영역(29-1)에 입사되기 전에,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60) 또는 인쇄회로기판(60)에 장착된 회로 소자들에서 반사될 수 있으며, 이 때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광빔(LB)은 동기검지센서(29)의 리드에서 난반사될 수도 있다. 광빔(LB)이 센싱영역(29-1)에 도달되기 전에 난반사 광이 센싱영역(29-1)에 먼저 입사되면, 잘못된 수평동기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광빔(LB)이 센싱영역(29-1)에 도달되어 수평동기신호가 생성된 후에 센싱영역(29-1)을 지나간 광빔(LB)의 난반사 광이 센싱영역(29-1)에 다시 입사되면, 잘못된 수평동기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수평동기신호의 에러는 인쇄되는 화상의 수직방향(부주사방향(X))의 정렬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6은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에 대처하기 위하여, 센싱영역(29-1)의 주주사방향(Y)의 적어도 일측에 난반사 광을 차단하는 차광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70)는 주주사방향(Y)을 기준으로 하여 센싱영역(29-1)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차광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광부재(71)는 예를 들어, 동기검지센서(29)에 부착되는 차광필름(또는 차광 테이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차광부재(71)는 예를 들어, 동기검지센서(29)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60), 또는 인쇄회로기판(60)과 동기검지센서(29)에 걸쳐서 부착되는 차광필름(또는 차광 테이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차광부재(71)는 예를 들어, 동기검지센서(29)의 리드를 가릴 수 있다. 제1차광부재(71)는 센싱영역(29-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차광 부재(70)는 주주사방향(Y)을 기준으로 하여 센싱영역(29-1)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차광부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차광부재(71)와 제2차광부재(72)는 주주사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광빔(LB)이 통과되는 슬릿(S)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차광부재(72)는 예를 들어, 차광필름(또는 차광 테이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광필름(또는 차광 테이프)는 예를 들어, 동기검지센서(29), 동기검지센서(29)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60)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60)과 동기검지센서(29)에 걸쳐서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차광부재(72)는 예를 들어, 동기검지센서(29)의 리드를 가릴 수 있다. 제2차광부재(72)는 센싱영역(29-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도 7은 난반사 광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차광 부재(70a)는 광원(10), 광 편향기(30), 동기검지센서(29)가 지지되는 프레임(50)에 마련되는 차광 리브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광 리브는 프레임(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프레임(5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차광 리브는 센싱영역(29-1)의 주주사방향(Y)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되어 난반사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차광 부재(70a)는 주주사방향(Y)을 기준으로 하여 센싱영역(29-1)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차광리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광리브(73)는 광빔(LB)이 동기검지센서(29)의 리드 중 센싱영역(29-1)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리드에 입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차광리브(73)는 광빔(LB)이 인쇄회로기판(60) 중 동기검지센서(29)에 인접한 상류 영역에 입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차광리브(73)는 센싱영역(29-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차광 부재(70a)는 주주사방향(Y)을 기준으로 하여 센싱영역(29-1)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차광리브(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차광리브(73)와 제2차광리브(74)는 주주사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광빔(LB)이 통과되는 슬릿(S)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차광리브(74)는 광빔(LB)이 동기검지센서(29)의 리드 중 센싱영역(29-1)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리드에 입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차광리브(74)는 광빔(LB)이 인쇄회로기판(60) 중 동기검지센서(29)에 인접한 하류 영역에 입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차광리브(74)는 센싱영역(29-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제1, 제2차광리브(73)(74)는 광빔(LB)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차광리브(74)는 제1차광리브(73)로부터 광빔(LB)의 진행방향의 상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차광리브(74)는 제1차광리브(73)로부터 광빔(LB)의 진행방향의 하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영역(29-2)의 부주사 방향(X)의 길이가 주주사 방향(Y)의 길이보다 길다면, 광빔(LB)이 통과되는 동기검지광로(26)에 대한 동기검지센서(29)의 주주사 방향(Y)의 위치 오차의 허용 범위가 매우 작다. 프레임(50)의 제조 오차, 동기검지센서(29)의 프레임(50)에의 조립 오차, 사용 환경에 의한 부품의 변형 등에 의하여 슬릿(S)이 주주사 방향(Y)으로 센싱영역(29-2)과 어긋나면, 수평동기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주사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 정밀한 조립 오차 관리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영역(29-1)의 주주사방향(Y)의 길이(LY)를 부주사방향(X)의 길이(LX)보다 길게 함으로써, 광빔(LB)이 통과되는 동기검지광로(26)에 대한 동기검지센서(29)의 주주사 방향(Y)의 위치 오차의 허용 범위를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광주사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동기검지센서(29)의 주주사 방향(Y)의 위치 오차, 차광부재(70a)의 주주사 방향(Y)의 위치 오차, 사용 환경에 의한 부품의 변형 등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주사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의 조립 오차 관리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70) 또는 (70a)를 채용함으로써, 난반사 광으로 인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동기검지센서(29)에 인가되는 가변 전압의 사용 범위인 0.5V~2.0V에서 수평동기신호의 흔들림량을 측정하였다. 예시적인 허용 가능한 흔들림량인 18ns이다.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가변 전압의 상한치에서는 흔들임량이 약 20ns, 하한치에서는 흔들임량이 약 50ns 였다. 이는 난반사 광의 영향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에 따르면, 가변 전압의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에서 흔들림량이 약 8ns 유지되어 난반사 광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센싱영역(29-1)에 입사되는 광빔(LB)은 주주사 방향(Y)의 광파워가 부주사 방향(X)의 광파워보다 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영역(29-1)에 입사되는 광빔(LB)은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가 주주사 방향(Y)의 길이(LBY)보다 길 수 있다. 일 예로서, 센싱영역(29-1)에 입사되는 광빔(LB)의 주주사 방향(Y)의 길이(LBY)는 광 편향기(30)의 반사면(34)에서 반사될 때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을 수 있다. 광빔(LB)은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는 1mm 이상일 수 있다.
센싱 영역(29-1)에 입사되는 광빔(LB)은 주주사 방향(Y)의 광파워가 부주사 방향(X)의 광파워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광빔(LB)이 통과되는 동기검지광로(26)에 대한 동기검지센서(29)의 부주사 방향(X)의 위치 오차의 허용 범위를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광주사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동기검지센서(29)의 부주사 방향(X)의 위치 오차, 사용 환경에 의한 부품의 변형 등에 의한 수평동기신호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주사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의 조립 오차 관리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광주사 장치(100)는 광 편향기(30)에서 편향된 광빔 중에서 센싱 영역(29-1)으로 입사되는 광빔(LB)을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가 주주사 방향(Y)의 길이(LBY)보다 길게 정형하는 빔정형 부재(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빔정형 부재(27)는 동기검지광로(26)에 위치된다. 빔정형 부재(27)는 광 편향기(30)와 동기검지센서(29)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빔정형 부재(27)는 광빔(LB)을 주주사 방향(Y)으로는 집광시키고, 부주사 방향(X)으로는 광량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확장할 수 있다.
도 8은 동기검지광로(26)의 부주사 방향의 광경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빔정형 부재(27)는 입사면(27-1)과 출사면(27-2)을 구비한다. 입사면(27-1)과 출사면(27-2)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린더리컬 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27-1)은 평면(flat surface)이고, 출사면(27-2)은 실린더리컬 면일 수 있다. 실린더리컬 면의 곡률반경은 빔정형 부재(27)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실린더리컬 면의 곡률반경을 30mm로 하여 광빔(LB)을 센싱영역(29-1)에 주주사 방향(Y)의 길이(LBY) 50㎛,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 1700㎛으로 결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27-1)이 실린더리컬 면이고, 출사면(27-2)이 평면(flat surface) 일 수도 있다. 또한, 입사면(27-1)과 출사면(27-2)이 모두 실린더리컬 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사면(27-1)과 출사면(27-2)의 곡률반경은 적절한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가 되도록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입사면(27-1)과 출사면(27-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피리컬 면일 수 있다. 이 경우, 빔정형 부재(27)의 주주사 방향(Y)의 굴절력(lens power)은 부주사 방향(X)의 굴절력보다 크다.
예를 들어, 입사면(27-1)과 출사면(27-2)은 실린더리컬 면과 스피리컬 면의 조합일 수 있다. 곡률반경은 빔정형 부재(27)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입사면(27-1)을 주주사 방향(Y)의 곡률반경 35mm의 실린더리컬 면으로 하고, 출사면(27-2)을 곡률반경 -100mm의 스피리컬 면으로 하여, 광빔(LB)을 센싱영역(29-1)에 주주사 방향(Y)의 길이(LBY) 42㎛,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 1610㎛으로 결상시킬 수 있다.
입사면(27-1)과 출사면(27-2) 중 적어도 하나는 주주사 방향(Y)의 굴절력이 부주사 방향(X)의 굴절력보다 큰 곡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사면(27-1)을 주주사 방향(Y)의 곡률반경 35mm의 실린더리컬 면으로 하고, 출사면(27-2)을 주주사 방향(Y)의 곡률반경 -100mm, 부주사 방향(X)의 곡률반경 -80mm의 곡면으로 하여, 광빔(LB)을 센싱영역(29-1)에 주주사 방향(Y)의 길이(LBY) 42㎛, 부주사 방향(X)의 길이(LBX) 1220㎛으로 결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광주사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광학소자(23)와 빔정형 부재(27)가 서로 가까이 위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동기검지센서(29)가 광 편향기(30)와 결상광학소자(41) 사이에 광빔의 일부를 수광할 때에는, 광학소자(23)와 빔정형 부재(27)가 렌즈(28)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을 보면, 감광드럼(300), 대전롤러(301), 광주사 장치(100), 현상기(200), 중간전사벨트(400), 전사롤러(500), 정착기(600)가 도시되어 있다.
감광드럼(300)은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감광체로서, 벨트 형태의 감광벨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대전롤러(301)는 감광드럼(300)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대전롤러(301)는 감광드럼(300)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301)에는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301)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광주사 장치(100)은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드럼(300)에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장치(100)으로서는 도 1 내지 도 9에 개시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현상기(200) 내부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토너는 현상기(200)와 감광드럼(300)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300)으로 이동되어,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감광드럼(300)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중간전사벨트(400)로 전사된다. 토너화상은 전사롤러(500)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전사롤러(500)와 중간전사벨트(400)사이로 이송되는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기(6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에 정착됨으로써 화상형성이 완료된다.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4개의 감광드럼(300C, 300M, 300Y, 300K)에는 각각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4개의 현상기(200C, 200M, 200Y, 200K)는 각각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를 감광드럼(300C, 300M, 300Y, 300K)에 공급하여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화상은 중간전사벨트(400)로 중첩 전사된 후에 다시 용지(P)로 전사된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광주사 장치로서,
광빔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키는 광 편향기;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는 센싱 영역을 구비하는 동기검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영역은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길이가 부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긴 광주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영역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어 난반사광을 차단하는 차광부재;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광빔이 상기 센싱영역에 입사되도록 슬릿을 형성하는 제1, 제2차광부재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광 편향기, 상기 동기검지센서가 지지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차광리브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광빔이 상기 센싱영역에 입사되도록 슬릿을 형성하는 제1, 제2차광리브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차광리브는 상기 광빔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광주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영역에 입사되는 광빔은 상기 부주사 방향의 길이가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긴 광주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 중에서 상기 센싱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빔을 상기 부주사 방향의 길이가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정형하는 빔정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정형 부재는 입사면과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부주사 방향의 굴절력을 가지는 실린더리컬 면, 스피리컬 면, 주주사 방향의 굴절력이 주주사 방향의 굴절력보다 큰 곡면인 광주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 편향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을 상기 광 편향기의 반사면에 집광시키는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빔정형 부재와 상기 광학소자는 일체로 형성되는 광주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영역에 입사되는 광빔은 주주사 방향의 파워가 부주사 방향의 파워보다 큰 광주사 장치. - 감광체;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주사 장치는,
광빔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키는 광 편향기;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는 센싱 영역을 구비하는 동기검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영역은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길이가 부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긴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광빔이 상기 센싱영역에 입사되도록 슬릿을 형성하는 제1, 제2차광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검지광로에 위치되어 상기 센싱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빔을 상기 부주사 방향의 길이가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정형하는 빔정형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빔정형 부재는 입사면과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부주사 방향의 굴절력을 가지는 실린더리컬 면, 스피리컬 면, 주주사 방향의 굴절력이 주주사 방향의 굴절력보다 큰 곡면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622A KR20190080262A (ko) | 2017-12-28 | 2017-12-28 |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PCT/KR2018/009776 WO2019132157A1 (en) | 2017-12-28 | 2018-08-24 | Optical scanning device including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ncluding the same |
US16/958,329 US20210055670A1 (en) | 2017-12-28 | 2018-08-24 | Optical scanning device including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622A KR20190080262A (ko) | 2017-12-28 | 2017-12-28 |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262A true KR20190080262A (ko) | 2019-07-08 |
Family
ID=6706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2622A KR20190080262A (ko) | 2017-12-28 | 2017-12-28 |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55670A1 (ko) |
KR (1) | KR20190080262A (ko) |
WO (1) | WO201913215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67286B2 (ja) * | 2002-02-20 | 2005-07-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
KR100708127B1 (ko) * | 2005-04-22 | 2007-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디텍터 및 이를 구비한 광주사기 |
JP5030517B2 (ja) * | 2006-09-20 | 2012-09-19 | 株式会社リコー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
KR101940294B1 (ko) * | 2012-11-01 | 2019-01-28 |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
KR102002539B1 (ko) * | 2013-01-31 | 2019-10-01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2622A patent/KR20190080262A/ko unknown
-
2018
- 2018-08-24 WO PCT/KR2018/009776 patent/WO201913215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8-24 US US16/958,329 patent/US20210055670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55670A1 (en) | 2021-02-25 |
WO2019132157A1 (en) | 2019-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25623B2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130033557A1 (en) |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JP2015025855A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EP2763389B1 (en) | Light scanning unit, method of detecting failure of synchronization signal,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light scanning unit | |
KR20100002220A (ko) | 화상 형성 장치 | |
JP2018132644A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985165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 |
JP5817855B2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KR20110012297A (ko) |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 |
JP5765876B2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430143B2 (ja) | 光学装置 | |
KR20190080262A (ko) | 동기검지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 |
JP5962267B2 (ja)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6031418B2 (ja) |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H1020608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KR101704714B1 (ko) | 광주사기의 광경로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 | |
JP2015215487A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7265773B2 (en) | Misalignment detection device, optical wri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9188734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4965143B2 (ja) |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 |
JP6525258B2 (ja)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5094537B2 (ja) | 光学走査装置 | |
JP2006215352A (ja) | 画像形成装置 | |
US9387689B2 (en) | Optical scanning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light beam sensor | |
JPS63202713A (ja) | 光ビ−ム走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