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386B1 -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386B1
KR101236386B1 KR1020080077983A KR20080077983A KR101236386B1 KR 101236386 B1 KR101236386 B1 KR 101236386B1 KR 1020080077983 A KR1020080077983 A KR 1020080077983A KR 20080077983 A KR20080077983 A KR 20080077983A KR 101236386 B1 KR101236386 B1 KR 10123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image
photodetector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117A (ko
Inventor
유성철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386B1/ko
Priority to US12/389,412 priority patent/US7982759B2/en
Publication of KR2010001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7Element positioned
    • H04N2201/02431Lens or optica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7Element positioned
    • H04N2201/02433Reflective element, e.g.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7Element positioned
    • H04N2201/02435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5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 scanning element or carriage, e.g. of a polygonal mirror, of a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6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ignals, e.g.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o phase of the pixel clock

Abstract

광빔의 주사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광주사장치는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것으로, 화상구간과 이 화상구간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에 정방향 및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제1비화상구간에 배치되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제2비화상구간에 배치되며, 빔편향기로부터 직접 입사된 제1광빔과 반사부재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며,
반사부재는, 입사광을 광검출기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제2광빔이 제1광빔과 구별되도록 하는 구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 역방향으로 광을 왕복 주사하는 구조의 광주사유니트와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빔의 주사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유니트는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와, 바코드 리더 등의 기기에 채용된다. 이 광주사유니트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빔편향기에 의한 주주사와, 상담지체의 구동에 의한 부주사를 통하여 상담지체 상에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한다.
이 광주사유니트는 소정 파장의 광빔을 생성 조사하는 광원과, 이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 주사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이 빔편향기는 회전다면경이나 홀로그램 디스크와 같은 회전체를 이용하여 입사광빔을 일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회전방식과, 소정 각도 내에서 왕복 회동하는 공진미러를 이용하여 입사광빔을 정역방향으로 왕복 주사하는 공진미러 방식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는 회전방식과는 달리, 광원에 화상신호를 인가할 때에 광빔의 주사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야 한다.
종래의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를 채용한 광주사유니트는 주사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화상형성 구간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비화상형성 구간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각 광검출기를 통하여 주사방향을 판별하고, 각 주사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광주사유니트는 광검출기를 적어도 2개 구비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광검출기 각각에 대한 전기적 결선 및 신호 처리가 요구되는 바 회로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왕복 주사되는 광빔의 주사방향을 하나의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것으로, 화상구간과 이 화상구간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에 정방향 및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직접 입사된 제1광빔과 상기 반사부재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재는, 입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제2광빔이 상기 제1광빔과 구별되도록 하는 구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주사선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반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별부는 상기 반사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별부는,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투과, 흡수, 산란, 난반사 또는 상기 광검출기 이외의 위치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것으로, 화상구간과 이 화상구간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에 정방향 및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상기 주사선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2개의 반사부를 구비한 반사부재와;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직접 입사된 제1광빔과 상기 반사부재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검출기와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과 상기 제2비화상구간 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의 시작시점 사이의 시간마진을 제1시간마진이라 하고, 상기 역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과 상기 제1비화상구간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의 시작시점 사이의 시간마진을 제2시간마진이라 할 때, 상기 제1시간마진과 상기 제2시간마진은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화상구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 각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광빔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주사선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가지는 광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광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상담지체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정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적어도 2 이상의 반사영역을 가지는 반사부재와, 하 나의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주사선의 주사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2개 이상의 광검출기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낮춤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정역방향 주사선에 대한 유효화상구간의 시간마진을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관계없이 유효화상구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화상형성장치는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를 구비한 광주사유니트를 채용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은 광주사유니트의 이점 이외에도,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콤팩트화 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를 보인 사시도와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20)과, 상기 광원(20)에서 조사된 광빔을 왕복 편향시킴으로써 상담지체(10)에 주사선(L)을 형성하는 빔편향기(30)와, 주사선(L)의 주사방향 판단 및 유효화상구간의 선단 동기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반사부재(40) 및 광검출기(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광검출기(5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광원(20)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은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어부(70)에 의하여 온/오프 구동 제어되어 입력된 화상신호에 대응되는 광빔을 조사한다.
빔편향기(30)는 광원(20)에서 조사된 광빔을 왕복 편향시키는 것으로, 화상구간(Z1)과, 이 화상구간(Z1)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Z2)(Z3)에 정방향 주사선과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빔편향기(30)는 왕복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공진미러(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빔편향기(30)는 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ncal systems) 기술로 제조된 MEMS 스캐너로서, 공진미러(31)가 왕복 회동되면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정역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킨다. 이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30)는 소정의 공진주파수, 즉 구동주파수로 진동함으로써 광빔(B)을 주사하는 것으로, 그 구성 자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광주사유니트가 배치된 경우, 정방향 주사선은 빔편향기(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도 2의 점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구동) 하는 경우 형성되는 주사선을 의미하고, 역방향 주사선은 빔편향기(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도 2의 실선위치에서 점선위치로 구동)하는 경우 형성되는 주사선을 의미한다.
상기 정역방향의 주사선(L)의 총 구간(Z)은 화상구간(Z1)과, 이 화상구 간(Z1)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Z2)(Z3)으로 구분된다. 화상구간(Z1)은 총 구간(Z)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빔이 주사되는 구간이다.
제1비화상구간(Z2) 및 제2비화상구간(Z3) 각각은 화상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광빔(B)이 주사되는 구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비화상구간(Z2)과 제2비화상구간(Z3) 각각이 화상구간(Z1)의 좌측과 우측에 마련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미설명된 참조 기호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지칭된 것으로서,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준점(Ps)은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이 빔편향기(300)에서 반사되는 지점이고, 기준선(Ls)은 기준점(Ps)과 화상구간의 중심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제1선(L1)은 화상구간(Z1)에 접하지 않은 제1비화상구간(Z2)의 선단과 기준점(Ps)을 연결한 선이고, 제2선(L2)은 화상구간(Z1)과 제1비화상구간(Z2) 사이의 경계와 기준점(Ps)을 연결한 선이고, 제3선(L3)은 화상구간(Z1)과 제2비화상구간(Z3) 사이의 경계와 기준점(Ps)을 연결한 선이며, 제4선(L4)은 화상구간(Z1)에 접하지 않은 제2비화상구간(Z3)의 후단과 기준점(Ps)을 연결한 선이다.
반사부재(40)는 제2비화상구간(Z2)에 배치되며, 상기 빔편향기(30)로부터 입 사된 광빔을 광검출기(50)로 반사시킨다. 광검출기(50)는 제1비화상구간(Z1)에 배치되며, 빔편향기(30)로부터 직접 입사된 제1광빔(B1)과, 상기 반사부재(40)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B2)을 수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반사부재(40)는 입사광을 광검출기(50)로 반사시키는 반사부(41)와, 제2광빔(B2)이 제1광빔(B1)과 구별되도록 하는 구별부(45)를 포함한다. 반사부(41)는 상기 주사선 방향으로 구획되는 적어도 2개의 반사영역을 포함하며, 구별부(45)는 구획된 반사영역 사이에 형성된다. 구별부(45)는 빔편향기(30)로부터 입사된 광빔이 광검출기(50)로 향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광빔(B2)이 제1광빔(B1)과 다른 주사 패턴을 가지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반사부(41)가 제1 및 제2반사영역(도 3a의 41a)(도 3a의 41b)을 포함하고, 구별부(45)가 제1반사영역(41a)과 제2반사영역(41b) 사이에 마련된 구성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사부재(4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반사부(41)와 구별부(45)의 배치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반사부(41)가 3개 이상의 반사영역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반사영역 사이 각각에 구별부(45)를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구별부가 입사 광빔을 투과 및 흡수하는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별부(45)는 입사광을 투과시키도록 형성된 투명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재(40)에 주사된 광빔 가운데 반사부(41)에 입사된 광은 반사되어 상기 광검출기(50)로 진행한다. 반면, 투명창에 입사된 주사광은 투명창을 투과하여 진행함으로써, 상기 광검출기(50)로 진행하지 않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별부(45')는 입사광을 흡수하도록 흡수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재(40)에 주사된 광빔 가운데 반사부(41)에 입사된 광은 반사되어 상기 광검출기(50)로 진행하는 반면, 흡수부재에 입사된 주사광은 흡수됨으로써, 상기 광검출기(50)로 진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별부(45)(45')는 도 3a 및 도 3b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별부는 입사광을 산란, 난반사시키거나, 입사광을 광검출기(50) 이외의 위치로 반사시킴으로써, 구별부에 입사된 광이 반사부(41)에서 반사된 광빔의 진행 경로와 다른 진행 경로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40)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별부로서 별도의 물리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2개의 반사부(40a)(40b)를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부재(40)를 구성함으로써, 빔편향기(30)로부터 광검출기(50)로 직접 입사된 제1광빔(B1)의 패턴(도 4(a)의 P1 참조)과, 반사부재(40)를 경유하여 광검출기(50)에 입사된 제2광빔(B2)의 패턴(도 4(a)의 P2 참조)이 서로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상기 광검출기(50)에서 검출된 제1광빔(B1)과 제2광빔(B2)에 대한 신호 패턴 차이로부터, 상기 빔편향기(30)에서 편향 주사된 광빔의 주사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판단된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가지는 광빔이 조사되도록 광원(20)을 제어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의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시간에 따른 신호 패턴 변화를 보인 도면이고, 도 4(b)는 신호 패턴과 유효화상구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P1은 빔편향기에서 광검출기(50)로 직접 입사되는 제1광빔(B1)에 의하여 형성된 신호 패턴이고, P2는 반사부재(40)를 경유하여 광검출기(50)에 입사된 제2광빔(B2)에 의하여 형성된 신호 패턴이다. 여기서, 신호 패턴 P2는 반사부재(40)를 구성함에 있어서 반사영역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함에 따른 영향으로, 신호 패턴 P1과는 다른 신호 패턴을 가진다. 예컨대, 반사부(41)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반사영역(41a)(41b)을 포함하는 경우, 신호 패턴 P2는 제1 및 제2반사영역(41a)(41b) 각각에서 반사된 제2광빔(B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는 두 개의 신호패턴 P21, P22을 포함한다.
또한, T1은 빔편향기(30)의 방향 전환을 통하여, 역방향 주사에서 정방향 주 사로 주사선 형성 방향을 바꾸는 시간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T1은 광검출기(50)를 통하여 제1광빔(B1)을 검출한 시점부터, 주사선이 제1선(L1)까지 이동했다가 제2선(L2) 쪽으로 복귀함에 있어서 제1광빔(B1)을 다시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T2는 빔편향기(30)의 방향 전환을 통하여, 정방향 주사에서 역방향 주사로 주사선 형성 방향을 바꾸는 시간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T2는 반사부재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을 광검출기(50)가 검출한 시점부터, 주사선이 제4선(L4)까지 이동했다가 제3선(L3) 쪽으로 복귀함에 있어서 광검출기(50)가 제2광빔(B2)을 다시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S1과 S2 각각은 광검출기(50)와 반사부재(40) 사이의 구간에서 정방향 주사구간과 역방향 주사구간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부재(40)를 구성함으로써 광검출기(50)에서 검출되는 신호 패턴을 구분할 수 있어서, 광검출기(50)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제1광빔(B1)에 의한 신호인지, 제2광빔(B2)에 의한 신호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선의 주사구간이 정방향 주사구간(S1)인지 역방향 주사구간(S2) 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4(a)(b)를 참조하면, 광주사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시간마진(Tm1) 과, 제2시간마진(Tm2)을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간마진(Tm1)은 정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P1a)과, 상기 제1비화상구간(T2)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Z1)의 시작시점(TL2) 사이의 시간마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시간마진(Tm2)은 역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P22a)과, 상기 제2비화상구간(T3)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Z1)의 시작시점(TL3) 사이의 시간마진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 상기 광검출기(50)와 반사부재(40)는 상기 화상구간(Z1)의 중심(Ls)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Z2)(Z3) 각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시간마진(Tm1)(Tm2)을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관계없이 유효화상구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광원(20)과 빔편향기(30)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팅렌즈(23)와 실린더렌즈(25)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팅렌즈(23)는 광원(20)에서 조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평행 빔 또는 수렴하는 빔이 되도록 한다. 실린더렌즈(25)는 주주사방향 및/또는 부주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입사빔을 집속시킴으로써, 상기 빔편향기(30)에 입사빔을 선형으로 결상시키는 것으로, 적어도 한 매의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빔편향기(30)와 상담지체(10) 사이에 배치되는 에프-세타(f-θ)렌즈(61)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 f-θ렌즈(61)는 적어 도 일 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빔편향기(30)에서 편향된 광을 주주사방향과 부주사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배율로 보정하여 상담지체(10)에 결상되도록 한다. 또한, f-θ렌즈(61)와 감광매체(10) 사이에 반사미러(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반사미러(65)는 상기 빔편향기(30) 쪽에서 입사된 주사선을 반사시켜 상담지체(10)의 피노광면에 주사선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는 정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적어도 2 이상의 반사영역을 가지는 반사부재와, 하나의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주사선의 주사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2개 이상의 광검출기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낮춤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정역방향 주사선에 대한 유효화상구간의 시간마진을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관계없이 유효화상구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110)와, 상담지체(110)에 광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니트(120)와, 상기 상담지체(110)에 형성된 잠상에 대해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130)와, 상기 현상유니트(130)에서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140) 및, 상기 인쇄매체(M)에 전사된 미정착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150)를 포함한다.
광주사유니트(120)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킴으로써, 화상구 간과 이 화상구간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비화상구간에 정방향 및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한다. 이 광주사유니트(12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사유니트(140)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M)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11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급되는 인쇄매체(M)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착유니트(150)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경로 상에 마련되어 인쇄매체(M)에 전사된 미정착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화상형성장치는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를 구비한 광주사유니트를 채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콤팩트화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유니트의 반사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니트의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시간에 따른 신호 패턴 변화(도 4(a)) 및 신호 패턴과 유효화상구간 사이의 관계(도 4(b))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상담지체 20: 광원
30: 빔편향기 31: 공진미러
40: 반사부재 41: 반사부
45: 구별부 50: 광검출기
70: 제어부 120: 광주사유니트
130: 현상유니트 140: 전사유니트
150: 정착유니트

Claims (15)

  1.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것으로, 화상구간과 이 화상구간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에 정방향 및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직접 입사된 제1광빔과 상기 반사부재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재는,
    입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제2광빔이 상기 제1광빔과 구별되도록 하는 구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와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 각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주사선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반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별부는 상기 반사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부는,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투과, 흡수, 산란, 난반사 또는 상기 광검출기 이외의 위치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과 상기 제2비화상구간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의 시작시점 사이의 시간마진을 제1시간마진이라 하고,
    상기 역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과 상기 제1비화상구간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의 시작시점 사이의 시간마진을 제2시간마진이라 할 때,
    상기 제1시간마진과 상기 제2시간마진은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화상구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 각각에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7.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것으로, 화상구간과 이 화상구간의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비화상구간에 정방향 및 역방향 주사선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상기 주사선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2개의 반사부를 구비한 반사부재와;
    상기 빔편향기로부터 직접 입사된 제1광빔과 상기 반사부재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2광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와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 각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과 상기 제2비화상구간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의 시작시점 사이의 시간마진을 제1시간마진이라 하고,
    상기 역방향 주사선의 선단 동기신호 검출시점과 상기 제1비화상구간에 인접한 상기 화상구간의 시작시점 사이의 시간마진을 제2시간마진이라 할 때,
    상기 제1시간마진과 상기 제2시간마진은 실질상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화상구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비화상구간 각각에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광빔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주사선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가지는 광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유니트.
  1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광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상담지체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광빔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주사선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사선의 주사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가지는 광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77983A 2008-08-08 2008-08-08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23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983A KR101236386B1 (ko) 2008-08-08 2008-08-08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2/389,412 US7982759B2 (en) 2008-08-08 2009-02-20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983A KR101236386B1 (ko) 2008-08-08 2008-08-08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117A KR20100019117A (ko) 2010-02-18
KR101236386B1 true KR101236386B1 (ko) 2013-02-22

Family

ID=4165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983A KR101236386B1 (ko) 2008-08-08 2008-08-08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82759B2 (ko)
KR (1) KR101236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539B1 (ko) * 2013-01-31 2019-10-0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광 주사 장치, 광 주사 장치의 동기 검지 불량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586A (en) * 1996-02-08 2000-06-13 Kabushiki Kaisha Topcon Laser survey instrument
KR20050068752A (ko) * 2003-12-30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검출 렌즈와 빔 검출 센서를 단일화 한 광 주사 장치
KR100507830B1 (ko) * 2002-08-08 2005-08-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광주사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US20050185235A1 (en) * 2003-07-29 2005-08-25 Cannon Roger S. Resonant oscillating scanning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586A (en) * 1996-02-08 2000-06-13 Kabushiki Kaisha Topcon Laser survey instrument
KR100507830B1 (ko) * 2002-08-08 2005-08-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광주사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US20050185235A1 (en) * 2003-07-29 2005-08-25 Cannon Roger S. Resonant oscillating scanning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KR20050068752A (ko) * 2003-12-30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검출 렌즈와 빔 검출 센서를 단일화 한 광 주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117A (ko) 2010-02-18
US20100033767A1 (en) 2010-02-11
US7982759B2 (en)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021B1 (ko) 동기신호 검출장치
US7271383B2 (en) Scanning system with feedback for a MEMS oscillating scanner
KR100644668B1 (ko) 미러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JP2001174732A (ja) マルチビーム光走査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236386B1 (ko)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EP15853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 of scan detection
US7247841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JPH04328513A (ja)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系
KR100529339B1 (ko) 광주사장치
JP2008058884A (ja) 走査露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243232B1 (ko) 인쇄기의광주사시스템
KR100754172B1 (ko) 난반사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JP4360074B2 (ja) 光学走査装置
JP2004109160A (ja) 光ビーム走査光学装置
KR100419219B1 (ko) 프린터 및 그의 스캐닝장치
KR19980030974A (ko) 광주사 장치
KR100601647B1 (ko) 광주사장치
JP293356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11354A (ja) 光走査装置
KR20030065193A (ko) 레이저 스캐닝장치
JP2002131663A (ja) 光走査装置
JPH03245115A (ja) 光学装置及びこの光学装置が組込まれる画像形成装置或いは画像読取装置
JPS63294512A (ja) 光学装置
JP2000330047A (ja) 光走査装置
JP2001091868A (ja) 走査式描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