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251B1 -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251B1
KR102002251B1 KR1020180042571A KR20180042571A KR102002251B1 KR 102002251 B1 KR102002251 B1 KR 102002251B1 KR 1020180042571 A KR1020180042571 A KR 1020180042571A KR 20180042571 A KR20180042571 A KR 20180042571A KR 102002251 B1 KR102002251 B1 KR 10200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f001
feed
lactobacillus curvatus
isolated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수
서향임
김영아
정이형
이은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04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33Curvatus
    • A23Y2220/25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에서 분리되며,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Lactobacillus curvatus JIF001 isolated from Tenebrio molitor mealworm, feed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및 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으로부터 분리되어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이를 사료에 이용하여 사료 효율 및 가축 성장 촉진을 향상시키며, 식품에도 적용이 가능한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은 동물 및 인간에게 필수 영양분으로 대부분의 가축들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사료를 섭취함으로써 필수 단백질을 얻는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높은 촉매활성으로 단백질을 분해하여 소화, 흡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질에 대하여 특이성을 보이며, 여러 생리학적 측면과 함께 그 경제적 유용성으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산업적 분야에서도 널리 응용되고 있다(Bioresource Technol. 1998, 64, 175-183).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중요한 산업용 효소 중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는 전체 효소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Chem. Eng. News, 1986, 64, 11-14), 세제공업과 식품가공 및 사료 첨가제에 활용하고 있고(Mciobiol. Mol. Biol. Rev. 1999, 63, 735-750; Process Biochem. 2004, 39, 1441-1447), 이 밖에도 의약분야까지도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렇게 이용분야가 다양한 단백질 분해효소는 자연계에서 식물, 동물은 물론 미생물과 같은 생물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단백질 분해효소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요즈음은 특히 생화학적인 다양성의 범위가 넓으면서 유전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조작이 가능한 미생물이 효소원으로 대두되고 있다(Biotechnol. Lett., 1992, 14, 301-304; Biotechnol. Adv. 1999, 17, 561-594; Process Biochem. 2004, 39, 1441-1447).
단백질 분해효소는 사료의 성분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사료의 소화율을 높이고 사료 이용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소로서 현재 사료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효소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사료에서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대두박, 옥수수 등 여러 가지 식물성 박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사료 성분들은 불용성의 고형분 단백질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가축이 소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단백질성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하여 어분 가루 등과 같은 용해율이 좋은 성분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증가되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식물성 박류를 이용하여 소화 흡수율을 증진시키려는 시도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성 박류들 중에서 대두박은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고(최대 약 40%),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하여 가축 사료용 단백질 공급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두박은 높은 단백질 함량에도 불구하고 난분해성 고형분 단백질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돼지와 닭 같은 소화 시간이 짧은 가축에서는 효율적으로 분해되지 못하므로, 소화 흡수율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대두박을 사료로 공급할 경우에는 가축이 충분히 소화할 수 있도록 고형분 단백질을 분해시켜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축산 업계에서 단백질성 영양분의 소화 흡수율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어, 대두박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가수분해할 수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탐색이 필수적이다.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경우 생체 내 항생적 환경 조건 하에서 효소가 활성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높은 활성 및 안정성을 갖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개발하고, 그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바실러스(Bacillus)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며 세대가 짧고 배양이 용이한 특징으로 인해 그 이용이 매우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성을 지니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며 또한, 안정성이 높은 미생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Gene 1995, 152, 67-74; Mciobiol. Mol. Biol. Rev. 1999, 63, 735-750; Appl. Microbiol. Biotechnol. 2002, 59, 15-32; Can. J. Microbiol. 2004, 50, 1-17).
최근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균제, 식품첨가제 및 정장제 등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분리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사료첨가제, 식품에 대한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으로부터 분리되어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이를 사료에 이용하여 사료 효율 및 가축 성장 촉진을 향상시키며, 식품에도 적용이 가능한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및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에서 분리되며,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및 식품은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에서 분리되며,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균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균주를 사료에 사용함으로써 사료 효율을 개선시켜 가축 성장을 촉진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료뿐만 아니라 식품 등 다양한 연구 및 산업 분야에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사료에 함유되어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고 가축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식품에도 적용이 가능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및 식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는 본 발명에서 최초로 분리 동정된 신규한 균주로,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으로부터 미생물을 배양법에 기초하여 처음으로 분리 동정하였다.
이하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에서 신균주를 동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신균주의 내산성, 내담즙성, 가축 성장 촉진 효능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1. 균주 분리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여 갈색거저리의 유충의 장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다.
먼저, 갈색거저리 유충의 표면을 살균하기 위해 70%(w/w) 에탄올에 갈색거저리 유충을 1분 내지 2분 동안 담가둔 후 멸균 증류수로 표면을 씻어 내고, 살균한 유충을 핀셋과 가위를 사용하여 머리부터 항문까지 절개한 뒤 장을 채집하였다.
적출한 장을 EP 튜브에 넣고 Pestle tip을 이용하여 마쇄한 후, 마쇄된 장에 1ml의 0.85% NaCl을 넣고 2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에 상등액 101 내지 103배의 0.85% NaCl를 넣어 희석하고 PCA(Platw count agar) 배지에 도말하여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중 생성되는 콜로니(colony)를 분리하고 각 배지에 스크리닝하여 37℃, 48시간동안 배양하고 순수분리 될 때까지 콜로니를 반복 분리하였고, 이에 따라 스크리닝된 균주는 하기 표 1과 같다. 여기서 분리된 각 균주를 Stock 상태로 보관하였다.
No. No. No. No.
1 GSM1 11 GSM13 21 GSM25 31 GSM38
2 GSM2 12 GSM14 22 GSM26 32 GSM39
3 GSM3 13 GSM15 23 GSM27 33 GSM40
4 GSM4 14 GSM16 24 GSM28 34 GSM41
5 GSM5 15 GSM17 25 GSM30 35 GSM42
6 GSM6 16 GSM18 26 GSM31 36 GSM43
7 GSM7 17 GSM19 27 GSM32
8 GSM8 18 GSM21 28 GSM33
9 GSM11 19 GSM22 29 GSM34
10 GSM12 20 GSM24 30 GSM35
이와 같이 분리된 균주들을 콜로니 모양, 색에 따라 군집으로 분리하였고, 모양 및 색에 따라 크게 4개의 군집으로 분리가 가능하였다.
2. 균주의 효소활성 평가
분리된 균주의 효소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mylase, Cellulase, Lipase, Protease 활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순수분리되어 Stock 상태로 보관된 각 균주를 50ml falcon tube에 10ml씩 분주된 MRS 배지에 200㎕(2%) 접종하여 24시간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paper disc(Advantec, Japan) 방법을 이용하고, 각 효소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기질성분이 포함된 고체 선별배지 사용하여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Amylase 활성은 starch agar(0.3% Beef Extract, 1% soluble starch, 1.2% agar) 배지에 멸균된 직경 6mm인 원형 paper disc를 올리고 각 균주 배양액을 20㎕씩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lugo solution(Sigma, Swizerland)으로 염색하고 분해능을 억제환(clear zone)의 직경으로 조사하였다.
Cellulase 활성은 1% CMC가 포함된 agar 배지에 직경 6mm인 원형 paper disc를 올리고 각 균주 배양액을 20㎕씩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0.1% congo red로 30분간 염색하고 1N Nacl로 세척한 뒤 나타난 억제환의 직경으로 조사하였다.
Lipase 활성은 1% tween 80이 포함된 spirit blue agar 배지에 직경 6mm인 원형 paper disc를 올리고 각 균주 배양액을 20㎕씩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분해능을 억제환의 직경으로 조사하였다.
Protease 활성은 1% skim milk(Difco, USA)가 첨가된 agar 배지에 직경 6mm인 원형 paper disc를 올리고 각 균주 배양액을 20㎕씩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분해능을 억제환의 직경으로 조사하였다.
이때,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 각 균주마다 효소활성 측정을 3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효소활성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이용한 paper disc 방법의 결과로서 배양 후 나타나는 disc 주위의 억제환 크기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18036391690-pat00001
분리된 균주를 콜로니 모양, 색에 따라 분리한 군집에서 상기 표 2에 도시된 효소활성 평가 결과에 따라 경향성을 파악하여 효소활성이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다시 군집을 분리한 후, 분리된 군집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군집을 대표할 수 있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에 따라 GSM1, GSM6, GSM8, GSM11, GSM21, GSM24 및 GSM 25로 7개의 균주를 선별할 수 있었다.
3. 균주 동정 결과 및 최종 균주
선별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한 다음 이 결과를 NCBI의 BLAST와 비교하여 균주 동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18036391690-pat00002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SM1은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GSM6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GSM8은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GSM11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GSM21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GSM24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및 GSM 25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이다.
이와 같이 동정결과 GSM1, GSM8, GSM24 및 GSM 25는 같은 균주이고, GSM11 및 GSM21는 같은 균주이며, Lactobacillus curvatus 및 Pediococcus pentosaceus는 모두 식용이 가능한 균주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정된 균주 중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며 단백질 분해효소인 protease 효소활성이 가장 높은 GSM8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본 발명의 GSM8은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 균주로 명명되었고,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생물자원센터에 2018년 03월 20일자로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는 KCTC18679P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신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에서 분리되어 내산성 및 내담증성을 가지고, 프로테아제 효소활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신균주는 사료에 함유되어 가축의 단백질 소화흡수를 향상시켜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사료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사료뿐만 아니라 식품 등 다양한 연구 및 산업 분야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는 온도 30 내지 37℃, pH 7에서 생존가능하고 배양될 수 있으며, 생육최적온도 37℃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다.
4. 사료 및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신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이용하여 사료 및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의 사료 효율이 개선되고 가축 성장 초진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식품의 흡수 효율이 개선되며 산폐가 늦춰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사료 및 식품은 밤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밤나무 추출물은 카스타네아 사티바의 추출물로서, 밤나무 추출물은 물, 알코올을 이용한 추출물, 정제 또는 가수분해를 통해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밤나무 추출물은 람노갈락투로난스 및 우론산을 포함하고,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밤나무 추출물을 사료 및 식품에 더 포함하여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의 프로테아제 효소활성을 더욱 활성화시켜줄 수 있다.
이때, 밤나무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밤나무 추출물이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활성 촉진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내산성 평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이하 'JIF001'라 함)의 내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을 50ml falcon tube에 10ml씩 분주된 MRS 배지에 200㎕(2%)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JIF001을 MRS 배지에 도말하여 생균수를 확인하였다.
배양된 JIF001를 3% HCl을 첨가한 MRS 배지 및 첨가하지 않은 MRS 배지에 나누어 6시간 방치한 후, 방치된 JIF001을 MRS 배지에 도말하여 생균수를 확인하였다.
이때, 0.3% HCl을 첨가하지 않은 MRS 배지에 방치된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균주의 생존율은 대조군의 생균수를 100%로 하고 대조군과 JIF001의 생균수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균주명 생존율(%)
JIF001 15%
상기 표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3% HCl을 첨가한 MRS 배지에서도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는 낮은 pH에서도 생존할 수 있어 내산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가축, 사람의 장내에서도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2] 내담즙성 평가
본 발명의 JIF001의 내담즙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을 50ml falcon tube에 10ml씩 분주된 MRS 배지에 200㎕(2%) 접종하여 24시간 37℃℃에서 배양한 후 담즙산염 0.3%를 MRS 배지에 넣고, JIF001를 접종하고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담즙산염을 함유하지 않은 MRS 배지에 JIF001를 도말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균주의 생존율은 대조군의 생균수를 100%로 하고 대조군과 JIF001의 생균수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균주명 생존율(%)
JIF001 85%
상기 표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담즙산염 0.3%를 첨가한 MRS 배지에서 3시간 후 85%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는 우수한 내담즙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성장 촉진 및 사료 효율
닭을 이용하여 성장 촉진 효과 및 사료 효율을 평가 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을 닭 사료에 1%수준(108 CFU/g)으로 처리한 사료와 균주을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닭에 급여하면서 1개월 사양한 후, 닭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증체량/사료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표 6에 나타내었다.
증체량(g) 사료효율(%)
JIF001 처리된 사료 9.18 2.50
무처리 사료 9.01 1.87
상기 표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무처리된 사료를 섭취한 닭의 증체량보다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을 처리한 사료를 섭취한 닭의 증체량이 높고, 무처리된 사료보다 처리된 사료의 사료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679P 20180320

Claims (3)

  1.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에서 분리되며, 프로테아제 효소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며, 사료 효율 개선 및 가축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
  2.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JIF001(기탁번호 KCTC18679P)를 함유하는 사료.
  3. 삭제
KR1020180042571A 2018-04-12 2018-04-12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KR10200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71A KR102002251B1 (ko) 2018-04-12 2018-04-12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71A KR102002251B1 (ko) 2018-04-12 2018-04-12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251B1 true KR102002251B1 (ko) 2019-07-19

Family

ID=6751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71A KR102002251B1 (ko) 2018-04-12 2018-04-12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50B1 (ko) * 2023-07-27 2024-01-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신규 라티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m21f011 균주 및 이의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916B1 (ko) * 2006-11-23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혈전용해능 및 세포독성 활성이 있는 젖산 균주 및 이를함유한 막걸리
KR101680014B1 (ko) * 2016-07-04 2016-11-29 한국식품연구원 김치로부터 분리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
CN106754479A (zh) * 2016-11-24 2017-05-31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弯曲乳杆菌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916B1 (ko) * 2006-11-23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혈전용해능 및 세포독성 활성이 있는 젖산 균주 및 이를함유한 막걸리
KR101680014B1 (ko) * 2016-07-04 2016-11-29 한국식품연구원 김치로부터 분리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
CN106754479A (zh) * 2016-11-24 2017-05-31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弯曲乳杆菌及其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obiotics & Antimicro. Prot., Vol.9, pp.415-424(Epub.2017.07.2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50B1 (ko) * 2023-07-27 2024-01-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신규 라티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m21f011 균주 및 이의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941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ay et al. Enzyme‐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fish gut: a review
KR101517326B1 (ko) 발효 대두박 생산능이 향상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 대두박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R101182754B1 (ko) 부레옥잠 추출물에서 배양된 생균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101380516B1 (ko) 바실러스 섭틸리스 in-5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t-77 및 이를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방법
JP2019054786A (ja) 細菌発酵羽毛粉末を調製するためのバチルス・サブティリス株及びその使用
KR101009935B1 (ko) 히스타민 분해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라이케니포미스 gb-f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히스타민이 감소된 어분의 제조방법
KR101009936B1 (ko) 히스타민 분해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gb-lc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히스타민이 감소된 어분의 제조방법
KR101498272B1 (ko) 김치에서 분리되고 항균물질생성 및 면역활성 효능을 가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
KR101444196B1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km-1, 및 이를 이용한 발효대두박 및 양어용 사료의 제조방법
Banerjee et al. Non-Starch Polysaccharide Degrading Gut Bacteria in Indian Major Carps and Exotic Carps.
KR102002251B1 (ko)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jif001, 이를 함유하는 사료
KR20190098465A (ko)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119303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
KR101073987B1 (ko) 신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야자과 종자박의 고상 발효방법
KR100870561B1 (ko) 신규한 셀룰로시미크로비움 sp.HY―12 균주 및이로부터 생산되는 자일라나제
KR20190120150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
KR20140119847A (ko) 갯지렁이 유래 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 플락 양식시스템의 수질 정화용 미생물 제재
Armada et al. Optimiza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a Protease from a Fish Gut Isolate Pseudomonas sp. PD14 Grown on Fish Processing Wastes Substrate.
KR101190790B1 (ko) 신규 바실러스 속 cjb-01 균주 및 사료 첨가제
KR101859006B1 (ko) 뱀장어 고형오물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발효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3000B1 (ko)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지는 신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s21 및 이의 배양액
KR101447423B1 (ko)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내염성 및 에스테라아제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화제
Huang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LX-6 and its application in the solid fermentation of soybean m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