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002B1 -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002B1
KR102002002B1 KR1020170093839A KR20170093839A KR102002002B1 KR 102002002 B1 KR102002002 B1 KR 102002002B1 KR 1020170093839 A KR1020170093839 A KR 1020170093839A KR 20170093839 A KR20170093839 A KR 20170093839A KR 102002002 B1 KR102002002 B1 KR 10200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circuit board
pattern layer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1843A (en
Inventor
권오성
윤찬녕
박만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9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0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4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ink-jet printing or drawing by dispensing
    • H05K3/12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ink-jet printing or drawing by dispensing by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사 회로기판은 가고정형 접착소재에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로 도전 패턴층을 형성하고, 도전 패턴 위에 전자소자를 가고정한 후, 도전 패턴과 전자소자가 매립된 연성기판 또는 경성기판을 성형하고 가고정형 접착소재로부터 분리한 후 외부 보호층을 적층함으로써 절연층의 개수가 줄어 다층 전사 회로기판의 두께가 감소되고, 연성 회로기판의 경우에는 굴곡성이 향상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자소자와 배선 패턴의 거리가 축소됨으로써 기판의 RLC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를 직접 프린팅하여 적층함으로써 접합부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다층 기판에서 층간 정렬 상태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비아홀과 관련된 추가 공정이 필요 없어 공정이 간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The transfer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ductive pattern layer with a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temporarily fixes an electronic device on the conductive pattern, and then forms a flexible substrate or a rigid substrate having the conductive pattern and the electronic device embedded therein. After molding and separating from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by stacking the outer protective layer, the number of insulating layers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transfer circuit board, and in the case of a flexible circuit board, the flexi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iring pattern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RLC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In addition, by directly printing and laminating the conductive paste or the conductive ink, the reliability of the joint is improved, the interlayer alignment stat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level in the multilayer substrate, and the process is simplified because no additional process associated with the via hole is required.

Description

가고정형 접착소재를 이용한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본 발명은 회로 패턴을 사전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고 기판에 전사하여 제작을 완료하는 전사(轉寫)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circuit board, in which a circuit pattern is formed in advance by a printing method, transferred to a substrate, and completed fabricatio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이동 전화들, 소형 이동 단말들, 디지털 카메라들 등의 전자 장치들의 크기 감소 및 성능 향상을 위해 이들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경성 회로기판 또는 연성 회로기판은 더 높은 배선 밀도 및 두께 감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To reduce the size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ll mobile terminals, digital cameras, etc., rigid circuit boards or flexible circuit boards used in these electronic devices have increased demand for higher wiring density and thickness reduction. Doing.

연성 인쇄 회로기판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얇은 절곡 가능한 회로기판들이다. 연성 회로기판이 얇을수록 굴곡성이 좋아지며 고밀도의 3차원 실장 설계가 용이해진다.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are thin bendable circuit board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 thinner the flexible circuit board, the better the flexibility and the easier the design of high density three-dimensional mounting.

특히, 웨이퍼 상태의 패키징 되지 않은 칩(chip) 전자소자를 연성 회로기판에 매립하여 시스템의 고밀도화 및 소형화를 구현하려는 경향도 증가 추세이다. 종래는 내층 코어 기판을 패터닝한 후, 코어 기판에 칩을 접착한다. 그 위에 절연층 및 동박층을 접합하고 각 패턴층의 전기 접속을 위한 비아홀 및 패턴층의 배선 패턴을 형성하여 다층 연성 회로기판이 제조된다. 이 경우 칩의 두께로 인해 상위층의 평면도가 저하되고, 열압착 방식을 이용하는 동박층 접합 과정은 칩에도 열이 가해지므로 칩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ward embedding unpackaged chip electronic devices in a wafer state into a flexible circuit board to realize high density and miniaturization of a system. Conventionally, after patterning an inner layer core substrate, a chip is bonded to the core substrate. A multilayer flexible circuit board is manufactured by bonding an insulating layer and a copper foil layer thereon and forming a via hole and a wiring pattern of a pattern laye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each pattern layer. In this case, the planarity of the upper layer is lowere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chip, and the copper foil layer bonding process using the thermocompression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ssibility of chip damage is increased because heat is also applied to the chip.

본 발명은 임시 베이스기판 상에 가고정형 접착소재 층을 부착하고, 가고정형 접착소재 층에 직접 전도성 페이스트 혹은 전도성 잉크로 도전 패턴층을 프린팅하고, 그 위에 전자소자를 가고정하고, 이를 수지로 몰딩한 후에, 가고정형 접착소재 층으로부터 분리하는 전사 방식의 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미리 형성된 전자소자와 도전 패턴층을 연성기판 또는 경성기판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회로기판이 제작됨에 따라 전자소자를 납땜할 필요가 없어지고, 층간 정렬 상태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며 제조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이 축소되며, 특히 연성 회로기판의 경우에는 굴곡성이 향상되는 등 경박 단소화된 회로기판의 생산성 및 품질을 높이는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on a temporary base substrate, and printed a conductive pattern layer with a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directly on the temporar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and temporarily fixe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n, molding the resin There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ircuit board of a transfer method which separates from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is disclosed. As the circuit board is manufactured by transferring the pre-formed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to the flexible board or the hard board, there is no need to solder the electronic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hile maintaining a high level of interlayer alignment.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process that reduces the proces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flexible circuit board, and improve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thin and short circuit board, such as improved flexibilit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외부 보호층; 외부 보호층 상에 적층되는 제1도전 패턴층; 적어도 하나의 전극패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극패드는 제1도전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및 제1도전 패턴층 및 전자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단층 전사(轉寫) 회로기판을 형성하고, 외부 보호층과 제1도전 패턴층 사이에 차례로 적층되는 적어도 한 세트의 도전 패턴층; 및 상층과 하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아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다층 전사 회로기판을 형성하되, 회로기판의 하면이 제1도전 패턴층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ransfer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pad; Outer protective layer; A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laminated on the outer protective layer; At least one electrode pad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pad, the at least one electrode pa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a circuit board to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set to form a single-layer transfer circuit board and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outer prote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including one or more via hol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to form a multi-layer transfer circuit board,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is included i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It is done.

또한, 비아홀 내에 배치되며 제1도전 패턴층 및 도전 패턴층을 연결하는 도전성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onductive bridge may be disposed in the via hole and connect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또한, 회로기판은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성기판이되, 연성기판은 폴리이미드 전구체(precursor)인 PAA(polyacrylic acid)로부터 몰딩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is a flexible substrate made of a polyimide res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substrate is molded by molding from a polyacrylic acid (PAA) which is a polyimide precursor (precursor).

또한, 연성기판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lexible substrat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resin.

또한, 제1절연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수지 및 PDMS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is made of any one of polyimide,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styrene resin, and PDMS resi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가고정형 접착소재 상에 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도전 패턴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적층하는 단계; 비아홀을 전도성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 절연층 및 비아홀에 충전된 전도성 물질 상에 제1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제1도전 패턴층 상에 제1도전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제1 도전 패턴층 및 적어도 일부의 전자소자를 수지 전구체로 매립하는 단계;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켜 회로기판을 성형하는 단계; 가고정형 접착 소재 상에 적층된 부분을 가고정형 접착 소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도전 패턴층의 하면에 외부 보호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 transfer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pattern layer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Stacking an insulating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via hole o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Deposit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on the conductive material filled i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via hole;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electrode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Embedd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at least some electronic devices with a resin precursor; Curing the resin precursor to form a circuit board; Separating the part laminated on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from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And laminating an outer protective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또한, 가고정형 접착소재는 열을 가하면 점착력이 감소하는 가열 분리 방식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heat separation method that the adhesive force is reduced when heat is applied.

또한, 가고정형 접착소재는 UV(ultraviolet light)를 조사하면 소재가 경화되어 접착력이 감소하는 UV 조사 분리 방식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UV irradiation separation method that the material is cured when the UV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cures the adhesion.

또한, 도전 패턴층 및 제1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비아홀을 전도성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및 그라비아 프린팅 중 어느 하나의 프린팅 방식으로 적층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stack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The method may include stacking the via hole by any one of inkjet printing, screen printing, and gravure printing using a conductive ink.

또한, 도전 패턴층 및 제1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비아홀을 전도성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직접 프린팅 방식으로 적층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stack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The method may include stacking a via hole by a direct printing method using a conductive paste.

또한, 회로기판을 성형하는 단계는, 화학적 이미드화 방법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orming of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forming a polyimide by imidizing the polyimide precursor by any one of a chemical imidization method or an isocyanate method.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는 분리되는 임시층 상에 직접 도전 패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전자소자를 부착함으로써 납땜이 필요하지 않고, 절연층의 개수가 줄어 연성 회로기판의 굴곡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소자와 도전 패턴의 거리가 단축됨으로써 기판의 RLC특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inally forms a conductive pattern layer directly on the separated temporary layer and attaches an electronic device thereon,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soldering and reducing the number of insulating layers, thereby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ductive pattern is shortened, the RLC characteristic of the substrat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연성 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층 연성 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고정형 접착소재층이 적층된 베이스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기판의 가고정형 접착소재층에 도전 패턴을 적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패턴 상에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가 실장된 가고정형 접착소재층 위에 연성기판을 몰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기판, 가고정형 접착소재층 및 연성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이 가고정형 접착소재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ingle-laye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wo-layer flexible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substrate on which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is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pattern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of a bas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conductiv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molding a flexible substrate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o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substrate,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and a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circuit board separated from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unit' and 'modul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발명은 연성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기술하지만 연성기판과 경성기판은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만 다를 뿐 공정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경성 회로기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but since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rigid substrate differ only in the type of resin used, the process is applied in the same, so the rigid circuit board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연성 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ingle-laye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고정형 접착소재(TBDB: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20, 이하 TBDB라 한다)를 이용한 단층 연성 회로기판은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 40), 전자소자(IC chip, 30), 제1도전 패턴층(50) 및 외부 보호층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single-layer flexible circuit board using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TBDB: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TBDB)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B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lexible substrate 40. , An electronic device (IC chip) 30, a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nd an outer protective lay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층 연성 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wo-layer flexible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층 연성 회로기판의 경우에는 연성기판(40), 전자소자(30), 제1도전 패턴층(50), 제1절연층(60), 비아홀(via hole, 62), 제2도전 패턴층(70) 및 외부 보호층(80)을 포함한다. 2, in the case of a two-layer flexible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substrate 40, the electronic device 30,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may be used. , A via hole 62, a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and an outer protective layer 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은 TBDB(20)가 일면에 부착된 베이스기판(10)의 TBDB층(20) 위에 적층되어 형성되고, TBDB층(20)으로부터 분리된 후 외부 보호층(80)을 적층함으로써 제작이 완료된다. The flexible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the TBDB 20 on the TBDB layer 20 of the base substrate 10 attached to one surface, and separating the TBDB layer 20 from the outer protective layer. Production is completed by laminating 80.

전자소자(30)는 바닥 면에 전극패드(32)가 형성된 웨이퍼 형태의 칩(chip) 전자소자, SMD(surface mount device) 소자, BGA(ball gate array) 소자 등 액티브 소자 및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등 패시브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 is a wafer type chip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lectrode pad 32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 active device such as a surface mount device (SMD) device, a ball gate array (BGA) device, and a resistor, an inductor, and a capacitor. Etc., a passive element may be included.

베이스기판(10)은 폴리머 수지 또는 유리일 수 있으며,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적고 편평도 및 평행도가 확보되고 제조 공정 중에 휘어짐이 없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무방하다. 제조 과정 중에 베이스기판(10)은 일면에 가열 또는 UV 조사에 의해 점착력이 감소하는 TBDB(20)층을 포함한다.The base substrate 10 may be a polymer resin or glass,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there is little deformation due to temperature, flatness and parallelism, and no warpag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base substrate 10 includes a layer of TBDB 20 whose adhesion is reduced by heating or UV irradiation on one surface thereof.

제1절연층(60)은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DMS 등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서 절연층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머 소재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제1절연층(60)은 제1도전 패턴층(50)과 제2도전 패턴층(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62)이 사전에 레이저 가공 등으로 형성된 시트 형태일 수 있으며, 제1절연층(60)의 일면에는 제1도전 패턴층(50)에 접착되기 위한 접착층이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may be made of a polyimide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as the insulating material in a printed circuit board such as PDMS.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may be in the form of a sheet in which a via hole 6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is formed in advance by laser processing.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60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비아홀(62)은 제2도전 패턴층(7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로 채워져 형성된 도전성 브릿지(72)에 의해 제1도전 패턴층(50)과 제2도전 패턴층(70)이 비아홀(62)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via hole 62 is formed by the conductive bridge 72 formed by filling the conductive paste or the conductive ink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and thus,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The via hole 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최종 도전 패턴층(일 실시예에서는 제1도전 패턴층(50)) 상에는 전자소자(30)가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에 의해 가고정되며 실장된다. 연성기판(40)은 최종 도전 패턴층과 전자소자(30)를 감싸며 몰딩 후 경화시켜 형성된다.On the final conductive pattern layer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30 is temporarily fixed and mounted by a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ormed by wrapping and curing the final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electronic device 30.

연성기판(40)의 몰딩 성형이 마무리되면 TBDB층(20)으로부터 분리하고 제1도전 패턴층(50) 상에 외부 보호층(80)을 적층함으로써 연성 회로기판이 완성된다. 외부 보호층(80)은 예컨대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mold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completed, the flexible circuit board is completed by separating from the TBDB layer 20 and laminating the external protective layer 80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The outer protective layer 8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ilicone elastomer material.

도전 패턴층이 단층인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의 제조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ased o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a single lay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 공정 중에 상위 기판 요소들을 지지하는 베이스기판(10) 상에 TBDB층(20)을 부착한다. (1) Attach the TBDB layer 20 on the base substrate 10 supporting the upper substrate elements during the process.

(2) TBDB층(20) 상에 제1도전 패턴층(50)을 형성한다. 제1도전 패턴층(50)은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한 프린팅 방식을 사용한다. (2)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formed on the TBDB layer 20.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uses a printing method using a conductive paste or a conductive ink.

(3) 제1도전 패턴층(50) 상에 전자소자(30)를 실장한다. 이때, 제1도전 패턴층(50)은 건조된 상태이며, 전자소자(30)의 전극패드(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가 추가로 도포되어 전극패드(32)를 가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The electronic device 30 is mount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in a dried state, and a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is additionally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pads 32 of the electronic device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32. Can contribute to temporary fixation.

(4) 전자소자(30)가 실장된 기판에 몰드틀(미도시)을 설치하고 연성기판 소재를 채우고 경화시켜 연성기판(40)을 형성한다. 연성 회로기판이 아니라 경성 회로기판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경성기판용 소재를 채우고 경화시켜 경성기판(40')을 형성하거나, 접착층을 형성한 위에 경성기판을 부착할 수 있다. (4) A mold mold (not shown) is installed on a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 is mounted, and a flexible substrate material is filled and cured to form a flexible substrate 40. In the case of forming a rigid circuit board instea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the hard board material may be filled and cured to form the hard board 40 ', or the hard board may be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5) 연성기판(40)의 경화가 끝나는 시점에서 TBDB층(20)의 점착력이 감소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TBDB층(20)을 분리한다. UV 조사 분리 방식의 TBDB를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기판(10)을 투과하여 UV를 조사함으로써 TBDB층(20)을 분리할 수 있다. (5) When the cur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inished, the TBDB layer 20 is separated by heating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adhesive force of the TBDB layer 20 is reduced. In the case of using the TBDB of the UV irradiation separation method, the TBDB layer 20 can be separated by irradiating UV through the base substrate 10.

(6) 분리되어 노출된 제1도전 패턴층(50)에 최종적으로 외부 보호층(80)을 형성하여 연성 회로기판을 완성한다. (6) The outer protective layer 80 is finally formed on the separated and exposed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to complete the flexible circuit board.

도 1은 단층 연성 회로기판을 개시한 것이고, 도 2는 2층 연성 회로기판을 개시한 것으로서, 추가 도전 패턴층을 형성할 경우 도전 패턴층 및 절연층을 반복하여 적층할 수 있다. 최종 도전 패턴층 상에는 전자소자(30)가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에 의해 가고정되며 실장된다. 연성기판(40)은 최종 도전 패턴층과 전자소자(30)를 감싸며 연성기판 소재로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경화가 완료된 연성기판(40)을 TBDB층(20)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면에 외부 보호층(80)을 적층함으로써 연성 회로기판이 완성된다. 1 illustrates a single layer flexible circuit board, and FIG. 2 illustrates a two layer flexible circuit board. When the additional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ormed,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may be repeatedly stacked. On the final conductive pattern layer, the electronic device 30 is temporarily fixed and mounted by a conductive paste or a conductive ink. The flexible substrate 40 surrounds the final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is formed by molding a flexible substrate material.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completed by separating the hardened flexible board 40 from the TBDB layer 20 and stacking the outer protective layer 80 on the separated surface.

도전 패턴층이 다층인 경우에는 제2도전 패턴층(70) 형성 후 비아홀(62) 영역이 사전에 형성된 접합 시트 형태의 제1절연층(60)을 접합하고, 제1절연층(60) 상에 제1도전 패턴층(50)을 형성하며, 이때 비아홀(62) 영역은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로 채워서 제2도전 패턴층(70)의 패턴과 제1도전 패턴층(50)의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서 편의상 제1, 제2라고 지칭할 때 숫자가 낮은 경우가 전자소자(30)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a multilayer, after form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in the form of a bonding sheet in which the via hole 62 region is formed in advance is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is forme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formed in the via hole 62, wherein the via hole 62 is filled with a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attern of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and the patter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Connect with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number is low when the first and second are referred to for convenience is defined as being disposed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의 제조 방식은 TBDB(20)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종 패턴층과 전자소자(30) 사이에 절연층이 생략되어 굴곡성이 개선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에 의해 도전 패턴이 형성되고 전자소자(30)와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져 납땜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외부 보호층(80)을 형성하기 전까지 베이스기판(1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층간 정렬 상태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BDB 20 is used, and an insulating layer is omitted between the final pattern layer and the electronic device 30 to improve flexibility. In addition, a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by the conductive paste or the conductive ink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 so that a soldering process is not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base substrate 10 is fixed until the outer protective layer 80 is formed, the interlayer alignment may be maintained at a high level, and manufacturing time may be shorten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고정형 접착소재층이 적층된 베이스기판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substrate on which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is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기판(10)은 일면에 TBDB(20)가 부착되고, TBDB(20)가 위로 오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base substrate 10 is disposed so that the TBDB 20 is attach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the TBDB 20 is upward.

TBDB(20)는 직접 분리, 가열 분리 및 UV 조사 분리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가열 분리 방식의 TBDB(20)가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기판(10)은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정밀도가 높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UV 조사 분리 방식의 TBDB(20)가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기판(10)은 UV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BDB 20 may be separated by any one of direct separation, heat separation, and UV irradiation separation. When the heat separation type TBDB 20 is used, the base substrate 10 is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high dimensional accuracy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When the TBDB 20 of the UV irradiation separation method is used, the base substrate 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UV transmission.

직접 분리 방식은 점착력이 100 g/25mm 이하로 낮은 아크릴 계열 점착제를 이용한다. 도전 패턴이 단순하고 전자소자(30)의 개수가 적은 소형의 연성 회로기판의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점착층 분리 시 부가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rect separation method uses an acrylic adhesive having a low adhesive strength of 100 g / 25 mm or less. It can be used in the case of a small flexible circuit board having a simple conductive pattern and a small number of electronic elements 30. Separation may be facilitated by additionally applying heat during adhesion layer separation.

가열 분리 방식은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제 및 열박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팽창성 미소구를 함유한 열박리성 점착층을 이용한다. 열박리성 점착층은 15~40 ㎛의 두께가 바람직하며 기판 박리를 위해 가열을 하면 열팽창성 미소구가 팽창됨으로써 피착제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피착제가 박리된다. 예컨대, 기판을 핫 플레이트 상에서 100 ℃ 온도에서 1분 혹은 180 ℃ 온도에서 약 0.2초 가열하면 점착력이 급속히 감소하며 연성기판(40) 및 제1도전 패턴층(50)이 TBDB(20)로부터 박리된다. The heat separation method uses a heat-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imparting adhesiveness and heat-expandable microspheres for imparting heat peelability. The heat-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5 to 40 μm, and when heated to peel the substrate,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are expanded to de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adherend, thereby causing the adherend to peel off. For example, when the substrate is heated on a hot plate for 1 minute at 100 ° C. or at about 0.2 seconds at 180 ° C., the adhesive force rapidly decreases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re peeled from the TBDB 20. .

UV 조사 분리 방식은 UV에 의해 경화되는 점착소재를 이용한 것으로서, 경화 전에는 높은 점착력을 가지지만 UV가 조사되면 소재가 경화되면서 예컨대 300 g/25mm에서 20 g/25mm로 점착력이 10% 미만으로 감소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베이스기판(10) 측에서 UV를 조사함으로써 연성기판(40) 및 제1도전 패턴층(50)이 TBDB(20)로부터 박리된다. UV irradiation separation method uses adhesive material that is cured by UV, and it has high adhesive strength before curing, but when UV is irradiated, the material is cured and the adhesive strength is reduced to less than 10% from 300 g / 25mm to 20 g / 25mm. Use nature. By irradiating UV from the base substrate 10 side, the flexible substrate 40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re peeled off from the TBDB 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기판의 가고정형 접착소재층에 도전 패턴을 적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pattern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of a bas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TBDB층(20) 상에 제1도전 패턴층(50)이 형성된다. 제1도전 패턴층(50)의 전극 배선 패턴은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직접 프린팅, 전도성 잉크를 사용한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및 그라비아 프린팅 중의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formed on the TBDB layer 20. The electrode wiring patter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may be formed by one of direct printing using conductive paste, inkjet printing using conductive ink, screen printing, and gravure printing.

패턴층을 형성함에 있어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반도체 식각 공정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고 다양한 패턴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품종 소량 생산에 유리하다. 또한, 다층 연성 기판의 경우, 상위 도전 패턴층을 프린팅하는 과정에서 하위 도전 패턴층과 연결되는 비아홀(62)을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로 채워지도록 프린팅 할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비아홀(62)에 채워진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는 상위 도전 패턴층과 하위 도전 패턴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브릿지(72)로 정의될 수 있다. In forming the pattern layer, the use of a conductive paste or a conductive ink has advantages in that the process is simple and can quickly form various patterns, compared to a complicated semiconductor etching process, and is advantageous in producing small quantities of various produc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flexible substrate, the via hole 62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pattern layer may be printed to be filled with the conductive paste or the conductive ink in the process of printing the upper conductive pattern layer,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The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filled in the via hole 62 may be defined as a conductive bridge 72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upper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lower conductive pattern layer.

반면, 반도체 식각 및 금속 스퍼터링에 의해 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패턴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두껍게 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비아홀(62)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인접한 도전 패턴층이 전기적인 연결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비아홀(62)의 계단층 상단 모서리는 비아홀(62) 구간을 패터닝하는 경우 단선될 확률이 높은 영역이다. 비아홀(62)을 무전해 도금 후 전해 도금하고, 전도체로 비아홀(62)을 사전에 채우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laminated by semiconductor etching and metal sputtering,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cannot be locally thickened. For this reason, the via holes 62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djacent conductive pattern layers through a separate process. In addition, the upper edge of the staircase layer of the via hole 62 is an area that is likely to be disconnected when the via hole 62 is patterned. A separate process of electroplating the via hole 62 after electroless plating and pre-filling the via hole 62 with a conductor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아홀(62)은 상위 도전 패턴층이 프린팅될 때 동시에 매립되어 하위 도전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a hole 62 is simultaneously buri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pattern layer when the upper conductive pattern layer is prin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패턴 상에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conductiv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소자(30)는 예컨대 칩 마운터(chip mounter) 등의 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도전 패턴층(50) 상에 가고정될 수 있다. 전자소자(30)가 가고정되기 전 제1도전 패턴층(50)은 기본 건조 상태로 준비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한시간 정도 건조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양한 수단으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1도전 패턴층(50)은 완전 건조 상태가 아닌 상태로 준비될 수 있으며, 전자소자(30)를 배치하면 자연스럽게 가고정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소자(30)를 실장하기 전에 전극패드(32)가 접촉하여 가고정되는 부분에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를 추가로 도포함으로써 가고정 상태를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 may be temporarily fix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using equipment such as a chip mounter (not shown). Before the electronic device 30 is temporarily fixe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prepared in a basic dry state.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it is dried for about an hour,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by various means.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may be prepared in a state that is not completely dry,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 is dispose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naturally fixed may be maintained. In another embodiment, the temporary fixing state can be more reliably ensur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to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pad 32 is in contact with and temporarily fixed before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가 실장된 가고정형 접착소재층 위에 연성기판을 몰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molding a flexible substrate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o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베이스기판의 측면을 둘러싸며 연성기판(40) 성형 영역을 형성하는 몰딩틀은 편의상 생략한다.In FIG. 6, the molding fram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to form the flexible substrate 40 forming region is omitted for convenience.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소자(30)의 전극패드(32)는 바닥면이 제1도전 패턴층(50)에 밀착되어 가고정된 상태이다. 몰드틀의 높이는 전자소자(30)의 최대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TBDB층(20) 위에 성형되는 연성기판(40)의 소재는 폴리이미드, PDMS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굴곡성, 절연성 및 열전도성 등 연성 회로기판의 소재로서 이용 가능한 소재라면 다른 소재도 사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32 of the electronic device 30 is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The height of the mold may be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electronic device 30. The material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formed on the TBDB layer 20 may be any one of polyimide, PDMS, and silicone elastomer, but other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the material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flexible circuit boards such as flexibility, insul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Can be us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기판, 가고정형 접착소재층 및 연성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substrate,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and a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는 연성 회로기판 소재로 대표적인 폴리이미드 소재로 연성기판(40)을 형성한다. 폴리이미드는 안정적인 미세회로 형성을 위한 접착력, 치수안정성이 높고, 에칭 및 세정 공정에 필요한 산, 알칼리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특히 450 ℃ 이상의 고온에서 열분해가 시작되며, 용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이다. 폴리이미드는 전구체(precursor)인 PAA(polyacrylic acid)를 이미드화(imidization)하여 얻어진다. In one embodiment,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representativ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material. Polyimide has high adhes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for stable microcircuit formation, and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gainst acids and alkalis required for etching and cleaning processes. In particular, the pyrolysis starts at a high temperature of 450 ℃ or more, it is a material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without a melting point. The polyimide is obtained by imidizing polyacrylic acid (PAA), which is a precursor.

대표적인 이미드화법으로 화학적, 열적 방법 및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법이 있다. 화학적 이미드화법은 Acetic anhydride/pyridine 등의 탈수 촉매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이미드화 반응을 얻는 방법으로 100 ℃ 이하의 온도에서 폴리이미드를 얻는다. 열적 이미드화 방법은 PAA용액을 150~200 ℃로 가열하여 열적으로 이미드화하는 방법으로 공정이 간단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가열 분리 방식의 TBDB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는 공정 온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법은 PAA 제조단계에서 diamine 대신 diiocynate를 단량체로 사용하며, 단량체 혼합물을 120 ℃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CO2 가스가 발생하면서 폴리이미드를 얻는 방법이다. Representative imidization methods include chemical and thermal methods and isocyanates. Chemical imidization method is a method of obtaining a chemical imidation reaction using a dehydration catalyst such as Acetic anhydride / pyridine to obtain a polyimide at a temperature of 100 ℃ or less. The thermal imidization method is a method of thermally imidating a PAA solution by heating it to 150-200 ° C., but the process is simple. There are disadvantages. The isocyanate method uses diiocynate as a monomer instead of diamine in the PAA preparation step. When the monomer mixture is heated to a temperature above 120 ° C., CO 2 gas is generated to obtain polyimide.

한편, 폴리이미드를 성형하기 위해 열적 이미드화법을 사용하면 PAA 가열 온도가 높아 TBDB층(20)의 전자소자(30) 고정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UV 조사 분리형 점착제도 150 ℃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이미드의 몰딩 과정에서 열적 이미드화법은 부적합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ermal imidization method is used to mold the polyimide, the PAA heating temperature is high, and thus fixing the electronic device 30 of the TBDB layer 20 may be a problem. In addition, the same problem may occur because the adhesive force decreases at 150 ° C. or higher. Therefore, the thermal imidization method is not suitable in the molding process of polyimide.

따라서, TBDB층(20)의 특성을 고려하면, 폴리이미드의 이미드화법은 화학적 이미드화법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법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공정 모두 이미드화 과정에서 탈수 혹은 CO2 가스 등이 방출될 수 있는 개방된 표면의 확보가 필요하므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몰드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TBDB laye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imidization method of the polyimide is one of chemical imidization method or isocyanate method. In both processes, it is preferable to use a mold having an open top shape, si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open surface through which dehydration or CO 2 gas may be released during imidization.

또한, 라이네이팅 혹은 성형되는 연성기판(40)과 제1도전 패턴층(50) 및 전자소자(30)의 접착력을 높이고, 전자소자(30)와 TBDB층(20) 사이의 틈새 기포 등에 의한 비몰딩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이미드 성형 과정은 진공탈포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40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nd the electronic device 30 to be lined or molded is increased, and non-molding is caused by the gap bubble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the TBDB layer 20.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region, the polyimide molding process preferably includes a vacuum defoaming process.

한편, 연성 회로기판 소재로 PDM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TBDB(20)의 박리 온도보다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연성기판(40)을 경화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PDMS as the flexible circuit board material, the flexible substrate 40 can be cured at a temperatur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peeling temperature of the TBDB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은 도전 패턴층을 먼저 프린팅 한 후에 그 위에 연성기판(40)을 몰딩에 의해 적층하기 때문에 연성기판(40)을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 도전 패턴층을 프린팅하는 경우보다 도전 패턴층과 연성기판(40)의 접착력이 높고, 잦은 접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irst printed and t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laminated by molding,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irst formed and the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printed thereon.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higher than that of the case, and high reliability may be provid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frequent folding and unfolding are repeated.

연성기판(40)은 비전도 소재이며 열전도도가 우수한 AlO2 또는 SiO2 등의 미세 분말 형태의 입자가 추가로 함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소자(30)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연성 회로기판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40 may be additionally impregnated with fine powder particles such as AlO 2 or SiO 2 , which are non-conductive materials and have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ereby effectively generating heat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Can be configured to diverg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이 가고정형 접착소재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circuit board separated from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 소재의 연성기판(40) 몰딩의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몰딩틀을 탈거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BDB층(20)의 가열 분리 방식에 의하면, 베이스기판(10)을 핫 플레이트 상에서 100 ℃ 온도에서 1분 혹은 180 ℃ 온도에서 약 0.2초 가열함으로써 TBDB층(20)과 성형된 연성기판(40)이 분리된다. 화학적 이미드화법은 100 ℃ 이하의 온도에서 공정이 마무리되며, 가열 분리 방식의 TBDB층(20)의 분리 온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연성기판(40)이 경화된다. 경화가 완료된 후 연성기판(40)의 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온도를 추가 상승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UV 조사 분리 방식의 TBDB(20)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베이스기판(10) 측에서 UV를 조사하여 TBDB(20)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점착력을 낮춰 TBDB(20)층으로부터 성형된 연성기판(40)이 분리된다.After curing of the mold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of the polyimide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molding mold is removed. Then, according to the heat separation method of the TBDB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BDB layer (by heating the base substrate 10 on a hot plate for 1 minute at 100 ℃ temperature or about 0.2 seconds at 180 ℃ temperature ( 20 and the molded flexible substrate 40 are separated. In the chemical imidization method, the process is finish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or less,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cured in a state lower than the separation temperature of the TBDB layer 20 of the thermal separation method. After curing is completed, the temperature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t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remains, and thus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are shortened. When using the TBDB (20) of the UV irradiation separation method by lowering the adhesive force by curing the TBDB (20) layer by irradiating UV from the base substrate 10 side,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separated from the TBDB (20) layer do.

다층의 도전 패턴층의 경우에는 전자소자(30)를 실장하기 전 단계에서 절연층 및 추가 도전 패턴층을 적층한 후에 전자소자(30)를 실장한다. 제1도전 패턴층(50)은 제1절연층(60)에 의해 절연된다. 제1절연층(60)은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수지 및 PDMS (polydimethylsiloxane)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도전 패턴층(70) 상에 적층된다. 제1절연층(60)은 접합 시트 형태일 수 있고, 제1도전 패턴층(50)과 제2도전 패턴층(70)의 층간 회로 패턴을 전기적 연결하기 위한 비아홀(62) 영역이 사전에 예컨대 레이저 패터닝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접합 시트의 접합은 열압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conductive pattern layer, the electronic device 30 is mounted afte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additional conductive pattern layer are laminated in the step before the electronic device 30 is mounte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is insulat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may be made of any one of polyimide,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styrene resin, and PDMS (polydimethylsiloxane) material, and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Are stack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60 may be in the form of a bonding sheet, and a region of the via hole 6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terlayer circuit patterns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5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70 may be, for example, in advance. It may be formed by laser patterning. Bonding of the bonding sheet may be made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단층 및 2층 연성 회로기판의 경우에 관하여만 서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층 이상이 적층된 연성 회로기판의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2층 이상의 다층 연성 기판은 전자소자(30)를 실장하기 전에 중간 절연층과 중간 패턴층을 반복하여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ase of a single layer and a two layer flexible circuit board is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having three or more layer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ultilayer flexible substrate of two or more layers may be manufactured by repeatedly laminating an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 and an intermediate pattern layer before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30.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은 최종적으로 외부 보호층(80)을 형성하여 완성한다. 외부 보호층(80)은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수지 및 PDMS (polydimethylsiloxane)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flexible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finally forming the outer protective layer 80. The outer protective layer 80 may be made of any one of polyimide,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styrene resin, and PDMS (polydimethylsiloxane) material.

또한, 연성 회로기판의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도전 패턴층의 일부에는 이방성 도전막(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미도시)이 접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패턴층 적층 방식은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한 프링팅 방식만 기술하였고, 절연층은 사전에 비아홀(62) 영역이 형성된 시트의 접합 방식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고정형 접착제를 이용한 연성 회로기판의 제작 방식은 도전 패턴층과 절연층의 형성 방식에 있어서, 통상의 반도체 식각 공정 및 레이저 가공에 의한 비아홀(62) 형성 방식도 포함할 수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stacking method described only a printing method using a conductive paste or a conductive ink, and the insulating layer discloses a bonding method of a sheet in which a via hole 62 region is formed in advance. However, in the method of fabricating a flexible circuit board using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the method of forming the via hole 62 by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etching process and laser processing is performed. It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pertains.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이스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가고정형 접착소재 상에 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도전 패턴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비아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을 전도성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비아홀에 충전된 상기 전도성 물질 상에 제1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 패턴층 상에 상기 제1도전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 패턴층 및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전자소자를 수지 전구체로 매립하는 단계;
상기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켜 회로기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고정형 접착 소재 상에 적층된 부분을 상기 가고정형 접착 소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 패턴층의 하면에 외부 보호층을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Stacking a conductive pattern layer on a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base substrate;
Stacking an insulating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re-formed via hole o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Stack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filled in the via hole;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electrode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Fill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resin precursor;
Curing the resin precursor to form a circuit board;
Separating the part laminated on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from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And
Stacking an outer protective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circuit board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형 접착소재는 열을 가하면 점착력이 감소하는 가열 분리 방식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heat separation method that the adhesive force is reduced when applying hea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형 접착소재는 UV(ultraviolet light)를 조사하면 소재가 경화되어 접착력이 감소하는 UV 조사 분리 방식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temporarily fixed adhesive materi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UV irradiation separation method material is cured by irradiating UV (ultraviolet light) to reduce the adhes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아홀을 전도성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및 그라비아 프린팅 중 어느 하나의 프린팅 방식으로 적층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ack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circuit board comprising a method of laminating by any one of inkjet printing, screen printing, and gravure printing using a conductive ink.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아홀을 전도성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직접 프린팅 방식으로 적층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ack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circuit board comprising a method of laminating by direct printing using a conductive pas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을 성형하는 단계는,
화학적 이미드화 방법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orming the circuit board,
A method for producing a transfer circuit board comprising the step of imidating a polyimide precursor by any one of chemical imidization method or isocyanate method to form polyimide.
KR1020170093839A 2017-07-25 2017-07-25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KR102002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39A KR102002002B1 (en) 2017-07-25 2017-07-25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39A KR102002002B1 (en) 2017-07-25 2017-07-25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3A KR20190011843A (en) 2019-02-08
KR102002002B1 true KR102002002B1 (en) 2019-10-22

Family

ID=6536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39A KR102002002B1 (en) 2017-07-25 2017-07-25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0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0313A (en) * 2008-06-26 2010-01-14 Murata Mf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with built-in component
KR101191865B1 (en) * 2011-04-20 2012-10-16 한국기계연구원 Fabrication method of flexible substrate having buried metal electrode and the flexible substrate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636A (en) * 2006-03-22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bonding semiconductor chip and stacking
KR20120004777A (en) * 2010-07-07 2012-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0313A (en) * 2008-06-26 2010-01-14 Murata Mf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with built-in component
KR101191865B1 (en) * 2011-04-20 2012-10-16 한국기계연구원 Fabrication method of flexible substrate having buried metal electrode and the flexible substrate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3A (en)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688B1 (en)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US8872041B2 (en) Multilayer laminat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763295A2 (en)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143837B1 (en) Electronic chip embedd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0234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TW201251556A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11958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dule with built-in component, and module with built-in component
JP2004311788A (en) Sheet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5191156A (en) Wiring plate containing electric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9094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JP4503583B2 (en) Adhesive sheet for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with built-in capacitor using the same
US7728234B2 (en) Coreless thin substrate with embedded circuits in dielectric lay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083345A1 (en) Wiring board with embedded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940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mounting package
KR101701380B1 (en) Device embedd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9286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board with built-in components
KR10200200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f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Adhesives
JP2004363566A (en) Electronic-component mount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09346A (en) Component incorpora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9286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board with built-in components
JP2002246745A (en) Three-dimensional mounting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dhesive therefor
JP2006310543A (en) Wiring board and its production process, wiring board with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
JP2015141953A (en) Component built-i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34007A (en) Wiring board manufacturing method
JP2020061542A (en) Component built-in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