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05B1 - 분리막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분리막 세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1605B1 KR102001605B1 KR1020150169420A KR20150169420A KR102001605B1 KR 102001605 B1 KR102001605 B1 KR 102001605B1 KR 1020150169420 A KR1020150169420 A KR 1020150169420A KR 20150169420 A KR20150169420 A KR 20150169420A KR 102001605 B1 KR102001605 B1 KR 102001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ion membrane
- septic tank
- inlet
- partition
- rol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을 포함하며, 분리막이 정화조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이 배열된 이송 유닛;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 및 정화조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하는 분리막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막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으로 사용되는 부직포에는 코팅액이 코팅되며, 이러한 분리막에는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와 같은 유독성 물질(오염물)이 포함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분리막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막 세척장치(10)는 투입구(12)와 배출구(13)를 갖는 정화조(11)와, 상기 정화조(11) 내부에서 분리막(S)을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롤(21)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20), 및 상기 정화조(11)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분사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정화조(11) 내부에는 소정 수위의 세정액이 수용되며, 분리막(S)은 정화조(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배출되고, 상기 오염물은 세정액과 함께 정화조(1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세척 장치(10)에서 오염물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오염물 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 코팅에 포함된 오염물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분리막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리막에 포함된 오염물을 정화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막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을 포함하며, 분리막이 정화조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이 배열된 이송 유닛;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 및 정화조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을 포함하며, 분리막이 정화조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이 배열된 이송 유닛;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 및 정화조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의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격벽을 설치하고, 세정액의 분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유로 유속이 증가하게 되고, 정화조 내부에 잔류된 오염물이 빠르게 배출된다. 따라서, 오염물 배출시간이 짧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분리막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격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격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분리막 세척장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격벽(14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100)(이하, ‘세척 장치’라고도 함)는, 투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코팅된 부직포(이하, ‘분리막’)(S)가 정화조(111) 내부로 공급되고, 정화조 내부에서 세척된 분리막(S)은 배출구(113)를 통해 정화조(111) 외부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세척 장치(100)는 투입구(112)를 통해 정화조(111)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S)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121)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21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유닛(210)은 정화조(111) 내부에서 분리막(S)을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분리막(S)은 정화조(111) 내부에서 롤(121)의 회전에 의해, 롤 투 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이송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리막(S)에 포함된 오염물이 분리막(S)으로부터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 유닛(210)은 분리막(S)이 정화조(111)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113)를 통해 정화조(111)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121)이 배열된다.
또한, 상기 세척 장치(100)는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유닛(130)은 하나 이상의 분사홀을 갖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은 예를 들어, 순수(DI)일 수 있다. 상기 분사 유닛(130)에 의하여 정화조(111) 내부에 세정액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정화조(111) 내부에는 소정 수위만큼의 세정액이 수용된다. 또한, 세정액은 투입구(112)를 통해 정화조(111)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물론, 세정액은 범람하여 배출구(113)를 통해서도 정화조(1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분사 유닛(130)의 분사 방향과 분리막(S)의 이송 경로 등에 기초하여 정화조(111) 내부에서 세정액의 유동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세정액의 유동에 따라 분리막(S)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이 정화조(1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 장치(100)는 정화조(111)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S)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141, 142)를 갖는 격벽(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격벽(140)은 정화조(111) 내에 직립(y축 방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격벽(140)은 투입구(112)와 배출구(113) 사이에 위치하되, 투입구(111)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격벽(140)과 투입구(112) 사이의 수평 거리(x축 방향)는 격벽(140)과 배출구(113)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14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구부(141, 142)가 마련되며, 상부 측 개구부(141)(‘상부 개구부’하고도 함)는 하부 측 개구부(142)(이하, ‘하부 개구부’라고도 함)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40)은 정화조(111) 내부를 2개의 구획으로 구분하며, 개구부(141, 142)를 통해서만 분리막(S)의 이송 및 세정액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이송 유닛(120)은 정화조(111)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S)이 하부 측 개구부(142)를 적어도 1회 통과하고, 상부 측 개구부(141)를 적어도 2회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120)은 격벽(140)과 투입구(112) 사이에 배치된 롤(121)의 개수보다 격벽(140)과 배출구(113) 사이에 배치된 롤(121)의 개수가 더 많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장치(2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200)는 분사 유닛(230)의 분사 방향 및 분사 유닛(230)의 위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100)와 차이를 가지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200)는, 투입구(212) 및 배출구(213)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211) 및 투입구(212)를 통해 정화조(211)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S)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221)을 포함하는 이송유닛(21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유닛(210)은 분리막(S)이 정화조(211)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213)를 통해 정화조(211)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221)이 배열된다.
또한, 상기 세척 장치(200)는 투입구(212) 측에서 배출구(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211)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230) 및 정화조(211)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S)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격벽(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사 유닛(230)은 투입구(212) 측에서 배출구(213)를 향하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분사 유닛(230)은 정화조(21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화조(211)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분리막(S)의 이송 경로 중 최하단에 위치한 경로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분리막 세척장치(100)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분리막 세척장치(200)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특히, 도 6과 도 8은 x축 방향 유속을 나타내고, 도 7 및 도 9는 순수(세정액)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분사유닛(130)이 배출구(113) 측에서 투입구(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경우, A 영역과 같이, 순수가 짧은 시간 내에 격벽(140) 유로로 향하여 short path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5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투입구(212) 측에서 배출구(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211) 분사 유닛(230)이 마련된 경우, 순수가 격벽(240)에서 먼 곳부터 채우면서 용출된 오염물(DMF)가 격벽 유로에서 균일한 유속에 의해 범람에 의해 쉽게 배출될 가능성이 높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 특성은 오염물 배출 시간 감소의 원인이 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투입 입자수가 945이고, 배출 입자수가 924이며, 이때 배출 효율은 97.7%로 나타났고, 배출 평균 시간은 8611초로 측정되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투입 입자수가 908이고, 배출 입자수가 888이며, 이때 배출 효율은 97.8%로 나타났고, 배출 평균 시간은 6204초로 측정되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보다 오염물 배출 평균 시간이 약 30% 정도 단축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200: 분리막 세척장치
111, 211: 정화조
112, 212: 투입구
113, 213: 배출구
120, 220: 이송 유닛
121, 221: 롤
130, 230: 분사 유닛
140, 240: 격벽
S: 분리막(부직포)
111, 211: 정화조
112, 212: 투입구
113, 213: 배출구
120, 220: 이송 유닛
121, 221: 롤
130, 230: 분사 유닛
140, 240: 격벽
S: 분리막(부직포)
Claims (14)
- 분리막에 포함된 오염물을 정화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막 세척 장치로서,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을 포함하며, 분리막이 정화조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이 배열된 이송 유닛;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 및
정화조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되, 투입구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부 측 개구부는 하부 측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이송 유닛은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이 하부 측 개구부를 적어도 1회 통과하고, 상부 측 개구부를 적어도 2회 통과하도록 마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액은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 유닛은 격벽과 투입구 사이에 배치된 롤의 개수보다 격벽과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 롤의 개수가 더 많도록 배열된 분리막 세척 장치. - 분리막에 포함된 오염물을 정화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막 세척 장치로서,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정화조;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롤을 포함하며, 분리막이 정화조 내부의 소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롤이 배열된 이송 유닛;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정화조 내부에 마련된 분사 유닛; 및
정화조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이송 중인 분리막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되, 투입구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삭제
- 제 7 항에 있어서,
분사 유닛은 격벽과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분사 유닛은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세정액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격벽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부 측 개구부는 하부 측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이송 유닛은 정화조 내부로 공급된 분리막이 하부 측 개구부를 적어도 1회 통과하고, 상부 측 개구부를 적어도 2회 통과하도록 마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세정액은 투입구를 통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분리막 세척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이송 유닛은 격벽과 투입구 사이에 배치된 롤의 개수보다 격벽과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 롤의 개수가 더 많도록 배열된 분리막 세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420A KR102001605B1 (ko) | 2015-11-30 | 2015-11-30 | 분리막 세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420A KR102001605B1 (ko) | 2015-11-30 | 2015-11-30 | 분리막 세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260A KR20170063260A (ko) | 2017-06-08 |
KR102001605B1 true KR102001605B1 (ko) | 2019-07-18 |
Family
ID=5922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9420A KR102001605B1 (ko) | 2015-11-30 | 2015-11-30 | 분리막 세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16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13516A (zh) * | 2018-08-06 | 2018-12-18 | 成都创合丰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过滤膜的清洗装置及射流清洗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9208A (ja) * | 2005-03-10 | 2006-09-21 | Nitto Denko Corp | 多孔質膜の製造方法 |
JP2008029991A (ja) * | 2006-07-31 | 2008-02-14 | Clean Technology Kk | シート洗浄装置及びシート洗浄方法 |
JP2012177214A (ja) | 2011-02-28 | 2012-09-13 | Toray Ind Inc | 糸条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
JP5371983B2 (ja) | 2008-07-08 | 2013-12-18 | 三井造船株式会社 | フィルタープレス式脱水機のろ布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2129B2 (ja) * | 1992-10-29 | 1994-12-14 | 三菱化工機株式会社 | 濾布の洗浄装置 |
DE102010051668A1 (de) * | 2010-11-17 | 2012-05-24 | Li-Tec Battery Gmbh | Verfahren und System zur Reinigung von blatt- oder plattenförmigen Objekten |
WO2012108429A1 (ja) * | 2011-02-07 | 2012-08-16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多孔質中空糸膜の洗浄装置、および多孔質中空糸膜の製造方法 |
KR101673159B1 (ko) * | 2015-03-17 | 2016-11-07 | (주)지컴 | 세척장치 |
KR101798710B1 (ko) * | 2015-06-02 | 2017-11-17 | 주식회사 프로텍 | 재생형 필터 자동 세척장치 |
-
2015
- 2015-11-30 KR KR1020150169420A patent/KR102001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9208A (ja) * | 2005-03-10 | 2006-09-21 | Nitto Denko Corp | 多孔質膜の製造方法 |
JP4634192B2 (ja) | 2005-03-10 | 2011-02-16 | 日東電工株式会社 | 多孔質膜の製造方法 |
JP2008029991A (ja) * | 2006-07-31 | 2008-02-14 | Clean Technology Kk | シート洗浄装置及びシート洗浄方法 |
JP5371983B2 (ja) | 2008-07-08 | 2013-12-18 | 三井造船株式会社 | フィルタープレス式脱水機のろ布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
JP2012177214A (ja) | 2011-02-28 | 2012-09-13 | Toray Ind Inc | 糸条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260A (ko) | 201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94657B (zh) | 基板清洗处理装置 | |
KR101485320B1 (ko) |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 |
JP4722070B2 (ja) |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 |
TWI596238B (zh) | 表面處理裝置 | |
KR101733239B1 (ko) |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 |
KR101763039B1 (ko) | 터널 공사용 분진 배출 장치 | |
JP2009539579A (ja) | 湿式静電集塵装置 | |
US20060219820A1 (en) | Conveyor ware washer and spray pipe therefor | |
US9616453B2 (en) | Coating mist collection apparatus | |
KR20130005079A (ko) | 더스트 포집장치 | |
KR101817899B1 (ko) |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 |
KR102025152B1 (ko) | 와류형 세정집진장치 | |
KR101227079B1 (ko) |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챔버 | |
CN103878694A (zh) | 气液分离装置及研磨装置 | |
KR101798710B1 (ko) | 재생형 필터 자동 세척장치 | |
JP6310871B2 (ja) | 塗装設備 | |
KR102001605B1 (ko) | 분리막 세척장치 | |
KR20140102446A (ko) | 인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 시스템 | |
JP6335830B2 (ja) | 液滴捕集装置、及び、その液滴捕集装置を用いた塗装排気洗浄装置 | |
JP2015080423A (ja) | 食品洗浄機 | |
JP7393353B2 (ja) | 物体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 |
KR102112654B1 (ko) | U턴형 및 수접촉 증가 충진재를 포함하는 반도체 공정중 발생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거장치 | |
JP2020157257A (ja) | 気液分離装置 | |
JP2009006215A (ja) | 缶体の洗浄装置 | |
JPH09224897A (ja) | 節水型洗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