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159B1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159B1
KR101673159B1 KR1020150036799A KR20150036799A KR101673159B1 KR 101673159 B1 KR101673159 B1 KR 101673159B1 KR 1020150036799 A KR1020150036799 A KR 1020150036799A KR 20150036799 A KR20150036799 A KR 20150036799A KR 101673159 B1 KR101673159 B1 KR 10167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spray
cleaning means
clean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743A (ko
Inventor
김영균
유승완
Original Assignee
(주)지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컴 filed Critical (주)지컴
Priority to KR102015003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46/0071
    • B01D46/00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liquid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피처리물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세척수단; 상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물이 부착된 필터 등의 피처리물을 버블 침전 및 스프레이에 의한 세척과 건조, 배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는 하우징; 피처리물을 세정액에 침전시킨 상태에서 버블을 형성하는 침전세척수단; 상기 침전세척수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건조수단; 및 상기 피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물이 부착된 필터 등의 피처리물을 버블 침전 및 스프레이에 의한 세척과 건조, 배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는 산업과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는 사용함에 따라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볼타입 필터(Ball type filter)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물이나 약액(이하, '세정액이라고 한다)을 수용한 수조에 필터를 투입한 다음, 작업자가 필터를 특정 도구로 수류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오염이 심할 경우, 위의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다음, 필터를 수조에서 다시 꺼내어 건조하여 재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필터를 세척하는 모든 과정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할 경우에 작업장에 악취가 발행하고 작업자가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물이 부착된 필터 등의 피처리물을 버블 침전 및 스프레이에 의한 세척과 건조, 배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세척시 수조에서 버블의 폭기에 의해 세척력을 향상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레이부를 스캐닝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세정액의 소요가 절감되는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밸트를 메쉬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는 하우징; 피처리물을 세정액에 침전시킨 상태에서 버블을 형성하는 침전세척수단; 상기 침전세척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피처리물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세척수단;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건조수단; 및 상기 피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침전세척수단은, 상기 세정액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버블을 형성하는 버블형성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블형성관은 수류를 형성하도록 고압공기를 전방 하측으로 45°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은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스프레이부를 좌우방향으로 스캐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부가 적어도 1 이 상 결합되며 폐곡선 형태의 밸트와, 상기 밸트를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교번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구비된 메쉬 소재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침전세척수단을 통과하는 수평이송구간과,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을 통과하는 경사이송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2층 이상으로 적층된 피처리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과 컨베이어 사이, 또는 상기 건조수단과 컨베이어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2층 이상으로 적층된 피처리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쉬 스크린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유해가스를 배기하는 배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물이 부착된 필터 등의 피처리물을 침전 및 스프레이에 의한 세척과 건조, 배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침전세척시 수조에서 버블의 폭기에 의해 세척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부를 스캐닝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세정액의 소요가 절감된다.
또한,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밸트를 메쉬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하우징(10)과, 침전세척수단(20)과, 스프레이 세척수단(30)과, 건조수단(40)과, 배출수단(50)과, 컨베이어(60)와, 배기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은 세정을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면에는 피처리물(P)을 투입하는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하우징(1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을 확인하고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판(12)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수단(7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유해가스를 배기하는 공지의 수단이다.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침전세척수단(20)과 스프레이 세척수단(30)을 통해 세척된 피처리물(P)을 배출하는 호퍼(51)와, 상기 호퍼(51)의 하단에 구비되어 호퍼(51)를 통해 낙하하는 피처리물(P)을 수납하는 수거통(52)이 구비된다. 상기 수거통(52)은 한 쌍이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수거통(52)에 피처리물(P)이 채워지면 레일(53)을 따라 이동하여 빈 수거통을 호퍼(51)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세척수단(20)은 세정액(물 또는 약액)을 수용하는 수조(21)와, 상기 수조(21)의 내부에서 버블을 형성하는 버블형성관(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블형성관(22)은 상기 수조(21)에 가로방향으로 3개가 형성되며, 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된 에어펌프(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고압공기가 위 3개의 버블형성관(22)으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상기 버블형성관(22)은 상기 수조(21)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버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관의 형태를 가지며, 고압공기가 분출되는 분사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분사홀은 전방의 하측으로 45°방향(도 6 참조)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압공기가 전방의 하측으로 45°방향으로 분출됨으로써 수조(21)에 버블이 형성되면서도 일정한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된 버블에 의해 피처리물(P)과 접촉하여 폭기되며, 이로 인해 피처리물(P)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분리, 제거된다.
한편으로는 상기 고압공기에 의해 수류가 형성되어 피처리물이 후속 공정을 위해 방향성을 갖고 유도된다.
이와 같이 유도된 피처리물을 다음 공정인 스프레이 세척을 위해 이송해야 한다. 상기 피처리물(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는 구동원인 모터(61)와, 상기 모터(61)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62)과, 상기 스프라켓(62)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63)과, 상기 체인(63) 사이에 구비되는 메쉬 소재의 밸트(64)와, 상기 체인(63) 사이에 연결되는 블레이드(6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스프라켓(62)이 구동되고, 상기 스프라켓(62)에 치합된 체인(63)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인(63)이 회전함에 따라 메쉬 소재의 밸트(64)가 이송되고, 특히,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블레이드(65)가 이송된다.
상기 블레이드(65)는 볼 타입 필터 등 구형의 피처리물(P) 등을 이송하기에 적합한 구성으로서, 수조(21)에 떠 있는 피처리물(P)을 1층 1열로 배열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 형태의 밸트(64)는 피처리물(P)을 이송하면서도 세정액이나 공기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컨베이어(60)는 수조(21)에서 피처리물(P)을 이송하는 수평이송구간(도 9의 60A 참조)과, 상기 수평이송구간(도 9의 60A 참조)의 끝단에서 경사지게 상향하는 경사이송구간(도 9의 60B 참조)과, 상기 경사이송구단(도 9의 60C 참조)의 끝단에서 건조후 배출하는 수평이송구간(도 9의 60A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21)에서 세척된 피처리물(P)은 스프레이 세척수단(30)으로 이송되는데, 이 때 경사이송구간(도 9의 60B 참조)을 통해 이송된다.
또한, 스프레이 세척수단(30)의 전단에 브러쉬(83)가 구비된다. 상기 브러쉬(83)는 블레이드(65)에 2층 이상의 피처리물(P)이 이송되는 경우, 2층 이상에 위치된 피처리물(도 3의 P1참조)을 수조(21)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러쉬(83)는 피처리물(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83a)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블레이드(65)는 한 쌍의 체인(63)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며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된 판형태로 구성되는데, 특히, 상기 블레이드(65)는 수직선으로부터 약 45°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65)가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면, 상기 브러쉬(83)가 2층 이상에 위치된 피처리물(P1)을 떨어뜨릴 때 이탈이 용이하지 않고, 수직선으로부터 45°보다 더 큰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면, 피처리물(P)을 이송할 때 블레이드(65)로부터 피처리물이 흘러내려 이송이 잘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프레이 세척수단(30)과 컨베이어(60), 건조수단인 에어나이프(40)와 컨베이어(60) 사이에는 메쉬 스크린(81,82)이 더 구비된다. 상기 메쉬 스크린(81,82)도 블레이드(65)를 통해 이송되는 피처리물(P0)이 1층으로 배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피처리물(P1)이 2층 이상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쉬 스크린(81,82)에 걸려 통과되지 못한다.
스프레이 세척수단(30)을 통과하여 세척된 피처리물(P)은 수평이송구간(도 9의 60C 참조)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에어나이프(40)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 에어나이프(40)는 에어펌프(미도시)를 통해 공급관(41)을 통해 공급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공지의 수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이 세척수단(30)은 한 쌍의 모터(31)와, 상기 모터(31)에 결합된 폐곡선 형태의 밸트(34)와, 상기 밸트(34)에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되는 스프레이부(33a,33b)를 포함한다.
상기 밸트(34)는 모터(31)에 의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되는데, 정방향으로 회전시, 제1스프레이부(33a)는 좌에서 우로 이동하지만, 제2스프레이부(33b)는 우에서 좌로 이동한다. 반대로 밸트(34)가 역방향으로 회전시, 제1스프레이부(33a)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지만, 제2스프레이부(33b)는 좌에서 우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스프레이부(33a,33b)가 스캐닝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정액이 소요되며,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세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쌍의 모터(31a,31b)와, 한 쌍의 밸트(34a,34b)와, 4개의 스프레이부(33a~33d)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의 작동상태 및 피처리물 세척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11)를 통해 피처리물(P)을 투입한다. 수조(21)에는 세정액을 미리 수용할 수도 있고, 피처리물(P)을 투입한 후 세정액을 고압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에어펌프(미도시)를 작동하여 버블형성관(22)에 고압공기를 공급하여 버블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한 수류를 형성한다. 상기 버블이 폭기하면서 피처리물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수류에 의해 스프레이 세척수단(30)의 전단으로 이송된다.
상기 수조(21)에서 세척된 피처리물(P)은 상기 컨베이어의 블레이드(65)에 의해 1층, 1열로 배열되어 경사이송구간(도 9의 60B 참조)으로 이송된다. 이 때, 블레이드(65)에 피처리물이 2층 이상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83)에 의해 2층 이상에 적층된 피처리물(P1)은 수조(21)로 떨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도 메쉬 스크린(81,,82)에 의해 동일한 작용을 하여 결국 1층, 1열로 피처리물(P0)이 배열되어 블레이드(65)를 타고 이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이송구간(도 9의 60B 참조)을 통과할 때, 복수의 스프레이부(33a~33d)가 좌우로 스캐닝하면서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여 피처리물(P)을 2차로 세정한다.
스프레이 세척수단(30)을 통과한 피처리물(P)은 수평이송구간(도 9의 60C 참조)을 통해 에어나이프(40)의 하방을 통과하면서 건조되고, 호퍼(51)를 통해 수거통(52)으로 수거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 타입 필터를 피처리물로 상정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특허청구범위는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실시예(세척장치)
10: 하우징
20: 수침전세척수단
21: 수조
22: 버블형성관
30: 스프레이수단
31: 모터
32: 공급관
33: 스프레이부
34, 34a,34b: 밸트
35a,35b: 클램프
40: 에어나이프
41: 에어공급관
50: 배출수단
60: 컨베이어
70: 배기수단

Claims (10)

  1. 하우징;
    피처리물을 세정액에 침전시킨 상태에서 버블을 형성하는 침전세척수단;
    상기 침전세척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피처리물에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스프레이부를 좌우방향으로 스캐닝하는 스프레이 세척수단;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건조수단; 및
    상기 피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세척수단은,
    상기 세정액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고압공기를 전방 하측으로 45°방향으로 분사하여 버블을 형성하는 버블형성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부가 적어도 1 이 상 결합되며 폐곡선 형태의 밸트와,
    상기 밸트를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교번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구비된 메쉬 소재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침전세척수단을 통과하는 수평이송구간과,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을 통과하는 경사이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2층 이상으로 적층된 피처리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 세척수단과 컨베이어 사이, 또는 상기 건조수단과 컨베이어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2층 이상으로 적층된 피처리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쉬 스크린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유해가스를 배기하는 배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150036799A 2015-03-17 2015-03-17 세척장치 KR10167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99A KR101673159B1 (ko) 2015-03-17 2015-03-17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99A KR101673159B1 (ko) 2015-03-17 2015-03-17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43A KR20160111743A (ko) 2016-09-27
KR101673159B1 true KR101673159B1 (ko) 2016-11-07

Family

ID=5710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799A KR101673159B1 (ko) 2015-03-17 2015-03-17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605B1 (ko) * 2015-11-30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582Y1 (ko) * 2006-09-25 2006-12-11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0835534B1 (ko) * 2007-11-27 2008-06-09 조승환 슬러지 탈수용 여과포 세척장치
KR101447164B1 (ko) * 2014-05-28 2014-10-06 주식회사프라임 버블을 이용한 친환경 식기세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935A (ko) * 2005-02-03 2005-02-28 (주)씨에스티개발 건설폐기물 세척 및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582Y1 (ko) * 2006-09-25 2006-12-11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0835534B1 (ko) * 2007-11-27 2008-06-09 조승환 슬러지 탈수용 여과포 세척장치
KR101447164B1 (ko) * 2014-05-28 2014-10-06 주식회사프라임 버블을 이용한 친환경 식기세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43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858B1 (ko) 가공부품의 이물질 세척장치
KR20180012511A (ko) 이브이 원통형 전지의 세척 및 건조장치
KR10092700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JP4836997B2 (ja) フィルタの洗浄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フィルタの洗浄システム
JPH09299895A (ja) 流液式スクラバ洗浄方法及び装置
CN1163947C (zh) 处理装置及机械手装置
KR20100005996U (ko) 컨테이너 세척장치
CN1576961A (zh) 基板的处理装置和处理方法
KR102288219B1 (ko) 식재료 세척장치
KR101798710B1 (ko) 재생형 필터 자동 세척장치
KR101673159B1 (ko) 세척장치
JP3009879B1 (ja) 洗浄物回転型空中水中洗浄装置
JPH10189528A (ja) 基板洗浄装置および基板洗浄方法
KR101386769B1 (ko) 용기 세척기
JP4923540B2 (ja) 作物洗浄装置
KR20080095359A (ko) 강관 내경의 표면처리 장치
KR20080073974A (ko) 스퍼터링용 타겟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KR102498918B1 (ko) 수산물선별장치
KR20170004592A (ko) 초음파 세척 장치 및 그 세척 방법
JP2015223136A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CN115446011B (zh) 一种玻璃模具清洗装置
JP2016153112A (ja) 浄化システム
CN208755133U (zh) 一种具有节水功能的油橄榄清洗装置
CN106135769A (zh) 食品净化工业设备和方法
KR20010057041A (ko) 웨이퍼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