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50B1 -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50B1
KR102001450B1 KR1020190003125A KR20190003125A KR102001450B1 KR 102001450 B1 KR102001450 B1 KR 102001450B1 KR 1020190003125 A KR1020190003125 A KR 1020190003125A KR 20190003125 A KR20190003125 A KR 20190003125A KR 102001450 B1 KR102001450 B1 KR 10200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pper frame
wall
staircas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남
Original Assignee
주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남 filed Critical 주재남
Priority to KR102019000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은, (a) 벽에 계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b) 하부틀을 계단부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 (c) 하부틀 위에 상부틀을 배치하는 단계; (d) 건식벽 구조틀을 하부틀 및 상부틀에 배치하는 단계; (e) 건식벽 구조틀에 석고보드를 결합시키는 단계; (f) 건식벽 구조틀과 석고보드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g) 난간틀을 상부틀의 바닥 마감재 위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공간의 소형화에 따라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도시형 생활 주택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형 생활 주택에는 1개의 층에 대한 층고를 높여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복층형 구조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작은 실내 공간이라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다양한 활동이 분리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층형 구조는 실내 공간에 중층(middle floor)을 형성하고, 실내 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하층은 중층의 하측에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서, 사무를 보거나 생활을 하기 위한 공간, 즉 동적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천장을 갖는다. 또한, 상층은 중층의 상측에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서,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하기 위한 공간, 즉 정적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천장을 갖고, 적어도 일측은 개방된다.
한편, 복층형 구조에서 실내 공간을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하는 중층의 시공이 상당히 중요하다. 실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중층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하며,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층은 가벼운 무게를 가지면서도, 화재에 대한 난연성 및 습기 또는 수분에 대한 내수성도 양호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복층용 구조를 위한 중층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재 구조, 목재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중층은 철근이 배열된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층은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갖는다. 거푸집이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어야 하고,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자재의 운반 및 거푸집의 시공에 따른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중층은 상당한 시공 시간이 필요하고, 그 작업 공정도 복잡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양생 과정이 이루어지기에, 시공 기간은 더욱더 증가된다. 따라서, 복층형 구조물은 실내 공간에 시공될 때 시공 기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하게 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은 실내 공간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복층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은, (a) 벽에 계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b) 하부틀을 계단부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 (c) 하부틀 위에 상부틀을 배치하는 단계; (d) 건식벽 구조틀을 하부틀 및 상부틀에 배치하는 단계; (e) 건식벽 구조틀에 석고보드를 결합시키는 단계; (f) 건식벽 구조틀과 석고보드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g) 난간틀을 상부틀의 바닥 마감재 위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단계는, (a1) 벽에 앵커 볼트들을 설치하는 단계; (a2) 계단 상부 프레임이 앵커 볼트들 사이에 위치되는 단계; (a3) 계단 상부 프레임이 계단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에 결합되도록 하강되는 단계; (a4) 걸림 부재가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에 걸리는 단계; (a5) 덮개 프레임이 앵커 볼트에 걸린 걸림 부재를 폐쇄하면서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는 단계; 및 (a6) 계단들이 계단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계단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계단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는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폐쇄된 계단부 슬롯이 형성되고, 걸림 부재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점점 삽입되거나 점점 노출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는 걸림 부재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고 걸림 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용 슬롯이 형성되며, (a2) 단계에서, 걸림 부재는 걸림 부재의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수용 슬롯에 위치되고, (a4) 단계는, 걸림 부재가 걸림 부재의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에 삽입되도록 회전되어 앵커 볼트에 걸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의 양 종단부에는 각각 제 1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제 1 체결홀과 걸림 부재의 종단면 사이에 제 2 체결홀이 형성되며, (a2) 단계에서, 제 2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1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내부에 위치되며, 체결 바아는 제 1 체결홀을 통과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여 걸림 부재를 고정시키고, (a4) 단계에서, 제 1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2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내부에 위치되며, 체결 바아는 제 2 체결홀을 통과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여 걸림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벽은 제 1 벽 및 제 1 벽과 교차하는 제 2 벽으로 이루어지고, 계단 상부 프레임은 제 1 벽에 설치된 앵커 볼트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측면부, 및 제 1 측면부에 연결되고 제 2 벽에 설치된 앵커 볼트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측면부를 포함하고, 덮개 프레임은 제 1 측면부에 대응되고 하면의 일 종단이 제 1 측면부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 1 덮개 프레임, 및 제 2 측면부에 대응되고 하면의 일 종단이 제 2 측면부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 2 덮개 프레임을 포함하며, (a5) 단계는, 제 1 덮개 프레임이 제 1 측면부에 대응하는 앵커 볼트 및 걸림 부재를 폐쇄하도록 제 1 측면부에 위치되는 단계; 및 제 2 덮개 프레임이 제 2 측면부에 대응하는 앵커 볼트 및 걸림 부재를 폐쇄하도록 제 2 측면부에 위치되어, 제 1 덮개 프레임의 타 종단면과 제 2 덮개 프레임의 일 측면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덮개 프레임의 타 종단면의 상단부에는 제 1 결합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 2 덮개 프레임의 일 측면의 상단부에는 제 2 결합부가 제 1 결합부에 대응되면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오목하게 형성되며, (a5) 단계는, 제 2 덮개 프레임의 일 측면의 하단부가 제 1 결합부에 접촉되는 단계; 및 제 1 결합부가 제 2 결합부에 삽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5) 단계는, 고정부가 제 1 덮개 프레임의 상면 및 제 2 덮개 프레임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어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3) 단계는, 계단부 슬롯이 앵커 볼트의 헤드와 벽 사이에 삽입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계단부 슬롯에 끼워진 앵커 볼트를 벽에 더 삽입하여 앵커 볼트의 헤드가 계단 상부 프레임을 벽 쪽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틀의 측면에는 수평한 상태로 돌출된 결합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b) 단계에서, 하부틀의 결합 플레이트는 계단부의 상면에 걸쳐지며 결합될 수 있다.
하부틀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하부틀 결합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부틀은 하부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틀 수평 프레임; 및 상부틀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하부틀 결합 돌기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중공 구조의 상부틀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c) 단계는, 상부틀 수직 프레임들을 결합 돌기들에 맞추어 끼우는 단계; 및 하부틀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을 모두 관통하도록 지지 로드를 위치시켜 하부틀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은 실내 공간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복층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벽에 계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벽에 계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의 계단 상부 프레임, 걸림 부재 및 덮개 프레임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하부틀을 계단부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하부틀 위에 상부틀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건식벽 구조틀을 하부틀 및 상부틀에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건식벽 구조틀에 석고보드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건식벽 구조틀과 석고보드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난간틀을 상부틀 위에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은 벽에 계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S101); 하부틀을 계단부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S102); 하부틀 위에 상부틀을 형성하는 단계(S103); 건식벽 구조틀을 하부틀 및 상부틀에 형성하는 단계(S104); 건식벽 구조틀에 석고보드를 결합시키는 단계(S105); 건식벽 구조틀과 석고보드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S106); 및 난간틀을 상부틀의 바닥 마감재 위에 형성하는 단계(S10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은 복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계단부, 하부틀, 상부틀로 모듈화해서 실내 공간에 모듈들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모듈의 기준 위치는 벽에 고정한 앵커 볼트들에 의해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벽에 계단부(120)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벽에 계단부(120)를 고정시키는 단계의 계단 상부 프레임(121), 걸림 부재(123) 및 덮개 프레임(125)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다.
계단부(120)는 계단 상부 프레임(121), 계단(122)들, 걸림 부재(123) 및 덮개 프레임(124)을 포함한다. 여기서, 계단(122)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계단(122)들의 상단에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되어 계단부(120)의 최상단에 위치된다.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제 1 측면부(121a), 제 2 측면부(121b), 제 3 측면부(121c) 및 제 4 측면부(121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측면부(121a), 제 2 측면부(121b), 제 3 측면부(121c) 및 제 4 측면부(121d)는 각각 사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연결되어 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면부(121a)와 제 3 측면부(121c)는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제 2 측면부(121b)와 제 4 측면부(121d)는 제 1 측면부(121a)와 제 3 측면부(121c)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측면부(121a)와 제 3 측면부(121c)를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제 1 측면부(123a)와 제 2 측면부(121b)의 하면에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폐쇄된 계단부 슬롯(121')들이 형성된다. 계단부 슬롯(121')들은 터널형의 복수 개의 슬롯들이 도시되었지만, 벽에 고정된 앵커 볼트들에 한 번에 걸쳐지는 하나의 넓은 슬롯의 형상도 가능하다. 이러한 넓은 슬롯은 앵커 볼트(105)에 거치한 후에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제 1 측면부(121a)와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는 수용 슬롯(121")들이 형성된다. 수용 슬롯(121")들은 한 쌍의 계단부 슬롯(121')들 사이에 위치되고, 일정한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걸림 부재(123)는 수용 슬롯(1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선형 막대로서, 수용 슬롯(121")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수용 슬롯(121")은 걸림 부재(123)의 회전 경로를 제공한다. 걸림 부재(123)의 회전으로 인하여, 걸림 부재(123)의 양 종단면은 수용 슬롯(121")으로부터 노출되기도 하고, 수용 슬롯(121")에 삽입되기도 한다.
또한, 걸림 부재(123)의 양 종단부에는 각각 제 1 체결홀(123a)이 형성되고, 제 1 체결홀(123a)과 걸림 부재(123)의 종단면 사이에는 제 2 체결홀(123b)이 형성된다.
걸림 부재(123)가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12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수용 슬롯(121")에 삽입될 때, 제 2 체결홀(123b)은 수용 슬롯(121")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1 체결홀(123a)은 수용 슬롯(121")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체결 바아(125)는 제 1 체결홀(123a)을 통과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관통한다. 이로 인해, 계단 상부 프레임(121)이 운반될 때, 걸림 부재(123)는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걸림 부재(123)가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121")에 삽입되도록 회전되면, 제 1 체결홀(123a)은 수용 슬롯(121")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2 체결홀(123b)은 수용 슬롯(121")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체결 바아(125)는 제 2 체결홀(123b)을 통과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관통한다. 이로 인해, 걸림 부재(123)는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연결된 상태로 앵커 볼트(105)가 걸릴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덮개 프레임(124)은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상면에 위치되어 걸림 부재(123)를 폐쇄한다. 여기서, 덮개 프레임(124)은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어,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덮개 프레임(124)은 제 1 덮개 프레임(124a)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덮개 프레임(124a)은 제 1 측면부(121a)에 대응하도록 제 1 측면부(121a)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하면의 일 종단은 제 1 측면부(121a)의 상면에 힌지 연결된다. 제 1 덮개 프레임(124a)은 제 1 측면부(121a)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되면서 제 2 측면부(121b)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타 종단면에는 제 1 결합부(124a')가 형성된다. 제 1 결합부(124a')는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타 종단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제 2 측면부(121a)에 대응하도록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하면의 일 종단은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힌지 연결된다.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되면서 제 1 측면부(121a)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위치되면, 제 1 측면부(121a)의 상면에 위치된 제 1 덮개 프레임(124a)과 교차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타 종단면은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일 측면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일 측면에는 제 2 결합부(124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결합부(124b')는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타 종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일 측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결합부(124b')는 제 1 결합부(124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덮개 프레임(124a)이 제 1 측면부(121a)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덮개 프레임(124b)이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될 때,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일 측면의 하단부는 제 1 결합부(124a')에 접촉된다.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위치되면, 그 일 측면이 제 1 결합부(124a')에 접촉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1 결합부(124a')는 제 2 결합부(124b')에 삽입된다. 또한,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상면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상면은 상호 간에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124b')의 경사면이 제 1 결합부(124a')에 접촉되어 제 1 결합부(124a')의 상측에 위치되기에, 제 1 덮개 프레임(124a)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회동되지 않고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부(126)는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상면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26)는 제 1 결합부(124a') 및 제 2 결합부(124b')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금속 판재 및 볼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덮개 프레임(124a)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더욱더 견고하게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고정될 수 있다.
벽에 계단부(120)를 고정시키는 단계(S101)는 다음과 같다. S101 단계에서 계단 상부 프레임(121) 및 계단(122)들은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벽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앵커 볼트(105)들을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두께를 고려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제 1 벽(11) 및 제 2 벽(12)은 상호 간에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앵커 볼트(105)들은 계단부 슬롯(121')들 및 수용 슬롯(121")의 위치에 맞추어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 상부 프레임(121), 특히 제 1 측면부(121a) 및 제 2 측면부(121b)는 앵커 볼트(105)들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하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105)들은 계단부 슬롯(121')들에 대응되면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상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105)들은 수용 슬롯(121')들에 대응되면서 이격되도록 위치된다(도 3(a) 참조).
제 1 측면부(121a) 및 제 2 측면부(121b)는 앵커 볼트(105)들이 고정된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밀착된 후 하강하고, 계단부 슬롯(121')이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와 제 1 벽(11) 사이, 및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와 제 2 벽(1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도 3(b) 참조).
또한, 걸림 부재(123)는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121")으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 수용 슬롯(121")에 삽입되도록 회전된다. 걸림 부재(123)의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121")에 삽입되면, 걸림 부재(123)는 앵커 볼트(105)에 걸리면서 앵커 볼트(105)에 의해 지지된다(도 3(b) 참조). 여기서,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앵커 볼트(105)에 의해 지지되면서 걸림 부재(123)에 의해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근접하도록 유지된다. 이로 인해,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바닥(14)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위치되되, 낙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하측에는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지지하는 별도의 구성이 위치되지 않더라도,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덮개 프레임(124a)은 제 1 측면부(121a)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되어 제 2 측면부(121b)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도 3(c) 참조). 여기서, 제 1 측면부(121a)에 대응되는 걸림 부재(123) 및 걸림 부재(123)가 걸린 앵커 볼트(105)는 제 1 덮개 프레임(124a)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제 2 측면부(121b)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되어, 제 1 측면부(121a)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도 3(d) 참조). 여기서, 제 2 측면부(121b)에 대응되는 걸림 부재(123) 및 걸림 부재(123)가 걸린 앵커 볼트(105)는 제 2 덮개 프레임(124b)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제 1 결합부(124a')는 제 2 결합부(124b')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 2 결합부(124b')의 경사면이 제 1 결합부(124a')에 접촉되어 제 1 결합부(124a')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부(126)는 제 1 결합부(124a') 및 제 2 결합부(124b')에 대응되도록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상면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덮개 프레임(124a)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은 회동되지 않고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계단(122)들은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 연결되어,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지지한 상태로 바닥(14) 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계단(122)들은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제 4 측면부(121d)에 연결된다. 계단(122)들의 최상부는 제 4 측면부(121d)의 상면에 위치되어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상면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상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계단부(120)는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제 1 측면부(121a)와 제 2 측면부(121b)가 앵커 볼트(105)들에 의해 지지되고, 동시에 걸림 부재(123)가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상면에 위치되어 앵커 볼트(105)에 걸리며, 계단(122)들에 의해 지지되므로, 실내 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기둥들을 추가하지 않고도 제 1 벽(11)과 제 2 벽(12)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게 된다.
계단부(120)를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계단부 슬롯(121')에 끼워진 앵커 볼트(105)를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더 삽입하여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가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제 1 벽(11) 및 제 2 벽(12) 쪽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하부틀(110)을 계단부(120)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하부틀(110)을 계단부(120)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S102)는 다음과 같다.
하부틀(11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부재로서, 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전면부(113a)에 연결되며, 바닥(14)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1 하부틀 수직 기둥(114) 및 제 2 하부틀 수직 기둥(11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중앙 공간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하부틀 지지 프레임(116)들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프레임의 강성이 강화된다.
하부틀(110)을 제 2 벽(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 벽(12)에 앵커 볼트(105)들을 설치한다.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후면부(113b)에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폐쇄된 하부틀 슬롯(111)들이 형성된다. 앵커 볼트(105)들은 하부틀 슬롯(111)들의 위치에 맞추어 제 2 벽(1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틀 슬롯(111)들은 터널형의 복수 개의 슬롯들이 도시되었지만, 벽에 고정된 앵커 볼트들에 한 번에 걸쳐지는 하나의 넓은 슬롯의 형상도 가능하다. 이러한 넓은 슬롯은 앵커 볼트(105)에 거치한 후에 하부틀(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하부틀(110)은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105)들이 고정된 제 2 벽(12)에 밀착된 후 하강하며 하부틀 슬롯(111)이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와 제 2 벽(1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하부틀(110)은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후면부(113b)가 앵커 볼트(105)들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 1 하부틀 수직 기둥(114) 및 제 2 하부틀 수직 기둥(115)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 2 벽(12)에 밀착된 상태로 서 있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기둥들을 추가하지 않고도 제 2 벽(12)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게 된다.
하부틀(110)을 제 2 벽(1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하부틀 슬롯(111)에 끼워진 앵커 볼트(105)를 제 2 벽(12)에 더 삽입하여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가 하부틀(110)을 제 2 벽(12) 쪽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제 1 측부(113c)에는 수평한 상태로 돌출된 결합 플레이트(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플레이트(117)가 계단 상부 프레임(121) 의 상면, 특히 제 3 측면부(121c)의 상면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틀(110)과 계단부(120) 사이의 결합을 위해 결합 플레이트(117)와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플레이트(117)는 제 1 덮개 프레임(124a)의 상면 및 제 2 덮개 프레임(124b)의 상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하부틀(110) 위에 상부틀(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하부틀(110) 위에 상부틀(130)을 형성하는 단계(S103)는 다음과 같다.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하부틀 결합 돌기(112)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틀(13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부재로서,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 및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하부틀 결합 돌기(112)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중공 구조의 상부틀 수직 프레임(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의 중앙 공간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상부틀 지지 프레임(136)들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프레임의 강성이 강화된다.
상부틀 수직 프레임(132)들은 결합 돌기(112)들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결합 돌기(112)가 상부틀 수직 프레임(132)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끼워진다. 이후에,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을 모두 관통하도록 지지 로드(133)를 위치시켜 하부틀(110)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로드(133)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을 관통한 종단에 너트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 사이에는 소음 저감 구조물, 발열 구조물, 배기 구조물, 전선 등이 위치될 수 있다.
하부틀(110)의 후면부(113b)의 아래쪽에는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을 지지할 수 있는 철재 플레이트 또는 길이 가변식 기둥이 제 2 벽(12)에 밀착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부틀(110)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건식벽 구조틀(140)을 하부틀(110) 및 상부틀(130)에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건식벽 구조틀(140)을 하부틀(110) 및 상부틀(130)에 형성하는 단계(S104)는 다음과 같다.
건식벽 구조틀(140)은 수평하게 위치된 러너(141)와 수직하게 위치된 스터드(142)를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 제 1 하부틀 수직 기둥(114) 및 제 2 하부틀 수직 기둥(115) 사이와,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 제 1 하부틀 수직 기둥(114) 및 제 2 벽(12) 사이와,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벽 구조틀(140)은 하부틀 수평 프레임(113), 제 2 하부틀 수직 기둥(115) 및 벽(1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건식벽 구조틀(140)에 석고보드(15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건식벽 구조틀(140)에 석고보드(150)를 결합시키는 단계(S105)는 석고보드(150)가 러너(141)와 스터드(14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건식벽 구조틀(140)과 석고보드(150)에 마감재(160)를 부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건식벽 구조틀(140)과 석고보드(150)에 마감재(160)를 부착하는 단계(S106)에서, 계단부(120)의 계단(122)들, 계단 상부 프레임(121) 및 덮개 프레임(124), 하부틀(110)의 결합 플레이트(117)에도 마감재(160)가 부착되며,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의 중앙 공간에는 바닥 마감재(170)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난간틀(180)을 상부틀(130)의 바닥 마감재(170) 위에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난간틀(180)을 상부틀(130)의 바닥 마감재(170) 위에 형성하는 단계(S107)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부틀(130)은 바닥 마감재(170)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이고, 난간틀(180)은 바닥 마감재(170) 상에서 상부틀(1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S107 단계에서, 난간틀(180)은 바람직하게는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들, 난간틀 수평 프레임(182) 및 난간틀 마감재(183)를 포함한다.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상부틀(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바닥 마감재(170) 상에 고정된다. 이때,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들은 상부틀(130)의 상부틀 수평 프레임(131)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은 상부틀(130)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고, 볼트에 의해 바닥 마감재(170) 상에 고정된다.
이후에, 난간틀 마감재(183)는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들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난간틀 마감재(183)는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들 사이를 폐쇄한다. 난간틀 마감재(183)의 양측단부는 각각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후에, 난간틀 수평 프레임(182)은 난간틀 수직 프레임(181)들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때, 난간틀 마감재(183)의 상단은 난간틀 수평 프레임(182)에 접촉되어, 더욱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난간틀(180)은 바닥 마감재(170) 상에 형성됨으로써, 바닥 마감재(170)의 경계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이용자가 계단부(120)을 통해 바닥 마감재(170) 상에 도달한 이후에, 바닥 마감재(170)로 이용자가 낙하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난간틀(180)은 바닥 마감재(170)가 시공된 이후에 시공되기에,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난간틀(180)는 계단부(120)가 연결되는 바닥 마감재(170)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복층 구조물의 위치를 앵커 볼트만으로 쉽게 확정하고,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용접 없이 계단부, 하부틀 및 상부틀을 조립하여 형성하므로, 용접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이 더 단순해질 수 있다.
특히,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앵커 볼트(105)들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하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105)들은 계단부 슬롯(121')들에 대응되면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상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105)들은 수용 슬롯(121')들에 대응되면서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계단 상부 프레임(121)의 제 1 측면부(121a) 및 제 2 측면부(121b)는 앵커 볼트(105)들이 고정된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밀착된 후 하강하고, 계단부 슬롯(121')이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와 제 1 벽(11) 사이, 및 앵커 볼트(105)의 헤드(106)와 제 2 벽(1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 부재(123)는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121")에 삽입되도록 회전하여 앵커 볼트(105)에 걸리면서 앵커 볼트(105)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 인해, 계단 상부 프레임(121)이 하부에 위치된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바닥(14)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위치되되, 낙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벽(11) 및 제 2 벽(12)에 위치된 계단 상부 프레임(121)에는 계단(122)들이 연결되고, 제 2 측면부(121b)와 마주하도록 위치된 제 4 측면부(121d)가 계단(122)에 연결된다. 여기서, 계단 상부 프레임(121)은 계단(122)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에서, 작업자는 계단(122)들이 연결되지 않은 계단 상부 프레임(121)만을 앵커 볼트(105)들 사이에 삽입시키기에, 감소된 중량으로 인해 더욱 용이하게 계단 상부 프레임(121)을 앵커 볼트(105)들 사이에 위치시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1: 제 1 벽
12: 제 2 벽
14: 바닥
105: 앵커 볼트
110: 하부틀
120: 계단부
130: 상부틀
140: 건식벽 구조틀
150: 석고보드
160: 마감재
170: 바닥 마감재
180: 난간틀

Claims (10)

  1. (a) 벽에 계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b) 하부틀을 계단부와 벽에 고정시키는 단계;
    (c) 하부틀 위에 상부틀을 배치하는 단계;
    (d) 건식벽 구조틀을 하부틀 및 상부틀에 배치하는 단계;
    (e) 건식벽 구조틀에 석고보드를 결합시키는 단계;
    (f) 건식벽 구조틀과 석고보드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g) 난간틀을 상부틀의 바닥 마감재 위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a) 단계는,
    (a1) 벽에 앵커 볼트들을 설치하는 단계;
    (a2) 계단 상부 프레임이 앵커 볼트들 사이에 위치되는 단계;
    (a3) 계단 상부 프레임이 계단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에 결합되도록 하강되는 단계;
    (a4) 걸림 부재가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된 앵커 볼트에 걸리는 단계;
    (a5) 덮개 프레임이 앵커 볼트에 걸린 걸림 부재를 폐쇄하면서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는 단계; 및
    (a6) 계단들이 계단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계단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계단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는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폐쇄된 계단부 슬롯이 형성되고,
    걸림 부재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점점 삽입되거나 점점 노출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계단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는 걸림 부재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고 걸림 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용 슬롯이 형성되며,
    (a2) 단계에서,
    걸림 부재는 걸림 부재의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수용 슬롯에 위치되고,
    (a4) 단계는,
    걸림 부재가 걸림 부재의 양 종단면이 수용 슬롯에 삽입되도록 회전되어 앵커 볼트에 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걸림 부재의 양 종단부에는 각각 제 1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제 1 체결홀과 걸림 부재의 종단면 사이에 제 2 체결홀이 형성되며,
    (a2) 단계에서,
    제 2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1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내부에 위치되며, 체결 바아는 제 1 체결홀을 통과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여 걸림 부재를 고정시키고,
    (a4) 단계에서,
    제 1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2 체결홀은 수용 슬롯의 내부에 위치되며, 체결 바아는 제 2 체결홀을 통과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여 걸림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a3) 단계는,
    계단부 슬롯이 앵커 볼트의 헤드와 벽 사이에 삽입되도록 계단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계단부 슬롯에 끼워진 앵커 볼트를 벽에 더 삽입하여 앵커 볼트의 헤드가 계단 상부 프레임을 벽 쪽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하부틀의 측면에는 수평한 상태로 돌출된 결합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b) 단계에서,
    하부틀의 결합 플레이트는 계단부의 상면에 걸쳐지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하부틀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하부틀 결합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부틀은
    하부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틀 수평 프레임; 및
    상부틀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하부틀 결합 돌기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중공 구조의 상부틀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c) 단계는,
    상부틀 수직 프레임들을 결합 돌기들에 맞추어 끼우는 단계; 및
    하부틀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을 모두 관통하도록 지지 로드를 위치시켜 하부틀과 상부틀 수평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90003125A 2019-01-10 2019-01-10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0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25A KR102001450B1 (ko) 2019-01-10 2019-01-10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25A KR102001450B1 (ko) 2019-01-10 2019-01-10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50B1 true KR10200145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25A KR102001450B1 (ko) 2019-01-10 2019-01-10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280B1 (ko) * 2017-08-21 2018-03-08 오동석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280B1 (ko) * 2017-08-21 2018-03-08 오동석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0340B2 (en) Deck mounting system
US8959849B1 (en) Light steel frame structure for deck
KR102001450B1 (ko)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US10745908B2 (en) Deck mounting system
KR101835280B1 (ko)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775102B1 (ko) 실내용 복층 구조물 시공 방법
FI125419B (fi) Parvekerunko ja parveke
US20200407980A1 (en) Modular stairca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2001032420A (ja) 間仕切りパネルとその取付構造
CN205742632U (zh) 一种双层方钢通隔音墙结构
JPH055982B2 (ko)
IL101815A (en) Prefabricated modular method and units for the manufacture of buildings and structures
US20240279936A1 (en) Modular staircase
JPH1193272A (ja) 建物ユニット
KR102661116B1 (ko) 설치가 간편한 우물천장 조립체
CA3210882A1 (en) Wood post bracket
JP3521807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取付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2513365Y2 (ja) 家屋の外壁構造
FI113681B (fi) Menetelmä hirsirakenteen valmistamiseksi ja hirsirakenne
JP2005256300A (ja) ストリップ階段を用いた住宅の施工方法およびストリップ階段の取付構造
JP3339701B2 (ja) 複数階建物構造
JP2006183246A (ja) 手摺壁用タイルパネルの取付装置
JP2020122264A (ja) 天井下地の施工方法
WO1996018775A1 (de) Baustruktur mit vorgegebener primär- und variabler sekundärstruktur
JP3222549B2 (ja) 複数階建物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