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40B1 - 레일 도유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도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40B1
KR102000640B1 KR1020180070195A KR20180070195A KR102000640B1 KR 102000640 B1 KR102000640 B1 KR 102000640B1 KR 1020180070195 A KR1020180070195 A KR 1020180070195A KR 20180070195 A KR20180070195 A KR 20180070195A KR 102000640 B1 KR102000640 B1 KR 10200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rail
hollow tube
body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호
Original Assignee
정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호 filed Critical 정동호
Priority to KR102018007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B61K3/02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8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with mechanical drive, other than directly by springs or 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리스 저장탱크; 상기 몸체프레임 주행 시 상기 레일의 상면을 타고 구르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름롤러; 상기 그리스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그리스가 내부에 저장되며 상기 구름롤러의 회전샤프트 끝단이 내부로 인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샤프트 자전 시 공전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편심캠을 구비하는 그리스 분배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편심캠이 공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의 그리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한 쌍의 분배밸브;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링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분배밸브로부터 전달받은 그리스를 인출시키는 그리스 인출공이 외주면에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프레임 주행 시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을 타고 구르면서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토포시키는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레일 도유장치 {OIL INUNCTION DEVICE OF RAIL}
본 발명은 레일의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도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그리스를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는 레일 도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크레인은 궤도레일상에 4개에서 8개의 차륜(바퀴) 구동에 의해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크레인이 이동할 때, 어떤 원인에 의해 크레인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면, 크레인의 차륜 플랜지와 궤도레일 측면이 서로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차륜 플랜지와 레일 측면이 조기에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의 차륜 플랜지와 레일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차륜 플랜지와 레일의 접촉 부분에서 윤활 작용을 하도록 그리스를 도유하는 레일 도유장치가 개시된바 있으나, 종래의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의 측면 전체에 걸쳐 윤활유를 균일하게 바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레일의 표면에 윤활유가 균일하게 도유되지 않을 경우 하역장비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심한 마찰이 발생하여 이동효율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레일의 표면에 윤활유가 균일하게 도유되지 않을 경우 레일이 쉽게 마모되어 사용수명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의 측면 전체에 걸쳐 윤활유를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7412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는, 하역장비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보조몸체(20)와, 상기 보조몸체(2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윤활유의 배출압력을 발생시켜 도유휠(50)로 공급하기 위한 펌핑부재(30)와, 상기 펌핑부재(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축(40)과, 레일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펌핑부재(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도유휠(50)과, 상기 도유휠(50)의 외경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펌핑부재(30)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윤활유를 레일의 표면에 도유하기 위한 다수의 도유공(60)과, 상기 도유휠(50)의 외경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레일(A)의 표면에 도유되는 윤활유를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산부재(70)와, 상기 펌핑부재(30)와 도유휠(50)의 사이에 연결되는 윤활유 공급관(8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의 측면에 윤활유를 고르게 도포할 수 있지만, 펌핑부재(30)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전원 및 구동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레일 전체에 걸쳐 윤활유를 고르게 도포하기 위해서는 도유휠(50)의 회전속도에 맞춰 윤활유 도유량을 증감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레일 도유장치는 펌핑부재(30)의 윤활유 펌핑량이 도유휠(50)의 회전속도와 관계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레일 도유장치의 전진속도가 빠른 경우 윤활유 도포량이 부족하고, 반대로 레일 도유장치의 전진속도가 느린 경우 윤활유 도포량이 과도하게 많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KR 10-130741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레일의 표면에 그리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레일 상의 주행속도에 맞춰 그리스 공급량이 증감되므로 그리스 도포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레일 도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리스 저장탱크; 상기 몸체프레임 주행 시 상기 레일의 상면을 타고 구르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름롤러; 상기 그리스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그리스가 내부에 저장되며 상기 구름롤러의 회전샤프트 끝단이 내부로 인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샤프트 자전 시 공전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편심캠을 구비하는 그리스 분배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편심캠이 공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의 그리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한 쌍의 분배밸브;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링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분배밸브로부터 전달받은 그리스를 인출시키는 그리스 인출공이 외주면에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프레임 주행 시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을 타고 구르면서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시키는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배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제1 중공관; 선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후방측이 상기 제1 중공관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공이 측벽에 형성되고, 내벽 중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입구가 위치하고 후단에 출구가 위치하는 바이패스유로를 구비하는 제2 중공관; 선단측이 상기 제1 중공관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후방측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제3 중공관; 상기 제2 중공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중공관 내부에 삽입되되, 선단이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푸시봉; 그리스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내부공간의 개구부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중공관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그리스 도유관; 상기 제2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선단측이 상기 제2 중공관 내부에 삽입되며, 후방측이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봉; 상기 제3 중공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그리스 도유관과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그리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브라켓;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 상기 푸시봉의 선단측을 둘러싸는 와셔; 상기 제1 중공관의 선단과 상기 와셔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푸시봉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푸시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은 입구측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봉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블록을 후단에 구비하며,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슬라이드봉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블록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블록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분배밸브는,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브라켓;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밸브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직레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구름롤러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롤러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리스 도포휠의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링크에 회전탄성력을 인가하는 회전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리스 도포휠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그리스 인출공과, 상기 그리스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그리스를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도포하는 다수 개의 도포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 개의 도포패드는 이웃하는 다른 도포패드와 장착 높이가 상이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몸체프레임은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크는 끝단이 상기 지지판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되 돌출 거리가 조절 가능한 조절나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레일의 표면에 그리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구성이 단순하고, 레일 상의 주행속도에 맞춰 그리스 공급량이 자동으로 증감되므로 주행속도에 상관없이 레일의 표면에 그리스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그리스 분배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분배밸브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그리스 분배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분배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그리스 도포휠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그리스 분배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하기 위한 장치로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그리스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고, 주행속도가 증감되더라도 레일(R)의 좌우 측면에 도포되는 그리스의 양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R)의 길이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몸체프레임(1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그리스 저장탱크(200)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주행 시 상기 레일(R)의 상면을 타고 구르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름롤러(300)와, 상기 그리스 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그리스가 공급노즐(412)을 통해 내부에 저장되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름롤러(300)의 회전력에 의해 공전하는 편심캠(420)을 구비하는 그리스 분배기(400)와, 상기 하우징(41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편심캠(420)이 공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410) 내의 그리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한 쌍의 분배밸브(500)와,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600)와, 외주면이 상기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링크(60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0) 주행 시 상기 레일(R)의 좌우 측면을 타고 구르면서 상기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시키는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름롤러(300)는 레일(R)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몸체프레임(100)이 레일(R)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할 때 레일(R)의 상면을 타고 구르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700) 역시 외주면이 레일(R)의 좌우 측면에 접촉되는바, 몸체프레임(100)이 주행을 할 때 레일(R)의 좌우 측면을 타고 구르게 된다. 즉, 상기 구름롤러(300)와 그리스 도포휠(700)은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프레임(100) 주행 시 레일(R)과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구름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름롤러(300)가 금속으로 제작되면 몸체프레임(100)이 주행할 때 레일(R)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것이 아니라 레일(R)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구름롤러(300)는 레일(R)과의 마찰력이 높게 확보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몸체프레임(100)이 주행할 때 구름롤러(300)와 그리스 도포휠(700)이 레일(R)의 표면을 타고 굴러가게 되고, 상기 분배밸브(500)는 구름롤러(300)가 레일(R)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하우징(410) 내부에 채워져 있는 그리스를 그리스 공급관(430)을 통해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700)로 각각 공급하게 되며, 상기 그리스 도포휠(700)은 외주면에 형성된 그리스 인출공(710)을 통해 그리스를 조금씩 인출해 가면서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R)의 길이방향으로 몸체프레임(100)을 이송시키는 조작만으로 그리스 도포휠(700)이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할 뿐만 아니라,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압송장치 없이도 그리스가 각 그리스 도포휠(700)로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몸체프레임(100)의 주행에 따라 구름롤러(300)가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름롤러(300)가 항상 레일(R)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레일(R)의 상면이 완벽한 평면이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굴곡을 갖는 경우 상기 구름롤러(300)가 레일(R)의 상면을 타고 구르지 못하는 구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R)의 상면이 상하로 굴곡지게 형성되더라도 구름롤러(300)가 항상 레일(R)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직레일(110)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레일(110)에 장착되며 상기 구름롤러(30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롤러브라켓(3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롤러브라켓(310)에 상기 구름롤러(300)가 장착되면, 레일(R)의 상면 중 하향으로 굴곡진 영역에 구름롤러(300)가 위치하였을 때 상기 구름롤러(30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므로, 상기 구름롤러(300)는 레일(R)의 상면 굴곡에 상관 없이 항상 레일(R)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레일(R)의 상면에 상하방향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구름롤러(300)는 항상 레일(R)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바, 구름롤러(3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그리스를 분배하는 분배밸브(500)는 항상 그리스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구름롤러(300)의 회전력에 의해 분배밸브(500)가 그리스를 분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분배밸브(5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은 그리스 분배기(4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분배밸브(5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밸브(500)는, 상기 하우징(41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제1 중공관(510)과, 상기 제1 중공관(510)에 결합되는 제2 중공관(520) 및 제3 중공관(530)과, 상기 제2 중공관(520)의 선단측에 결합되는 푸시봉(540)과, 제2 중공관(520) 및 제3 중공관(530)에 걸쳐 장착되는 슬라이드봉(550)과, 제3 중공관(530)에 결합되는 그리스 도유관(560)과,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배출브라켓(570)과, 상기 배출브라켓(570)의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5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중공관(510)은 하우징(410)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측(도 5에서는 좌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중공관(520)은, 선단측(도 5에서는 좌측)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후방측(도 5에서는 우측)이 상기 제1 중공관(510)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공(522)이 측벽에 형성되고, 내벽 중 상기 유입공(522)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후방(도 5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입구가 위치하고 후단(도 5에서는 우측단)에 출구가 위치하는 바이패스유로(524)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중공관(530)은 선단측이 상기 제1 중공관(510)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후방측이 상기 하우징(410)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배출브라켓(570)은 상기 제3 중공관(530)의 외주면 중 하우징(410)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되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과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그리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푸시봉(540)은 제2 중공관(5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중공관(520) 내부에 삽입되되, 선단이 상기 편심캠(42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상기 편심캠(420)이 회전샤프트(3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을 할 때 상기 편심캠(420)에 의해 밀려 제2 중공관(520)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도유관은 그리스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는 제2 중공관(520)의 후단을 향하는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유관의 내부공간 개구부는 바이패스유로(524)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중공관(520)의 후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봉(550)은, 상기 제2 중공관(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선단측이 상기 제2 중공관(520) 내부에 삽입되며, 후방측이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푸시봉(540)의 선단측에는 와셔(542)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중공관(510)의 선단과 와셔(542) 사이에는 푸시스프링(544)이 압축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스프링(544)은 푸시봉(540)이 전방(도 5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420)이 분배밸브(500)와 멀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분배밸브(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봉(540)이 제2 중공관(52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푸시봉(540)의 후단은 유입공(522)이 형성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름롤러(300)가 1/3바퀴 즉, 120도 회전하면, 편심캠(420) 역시 120도 공정을 하게 되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420)은 우측에 위치한 분배밸브(500)의 푸시봉(540)을 가압하여 제2 중공관(520)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시봉(540)이 제2 중공관(520) 내측으로 인입되면, 유입공(522)을 통해 제2 중공관(520) 내측으로 인입된 그리스는 푸시봉(54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는데, 상기 푸시봉(54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던 그리스가 바이패스유로(524)의 입구와 만나게 되면 상기 그리스는 바이패스유로(524)를 통해 제2 중공관(520)의 후방 즉, 제2 중공관(520)의 후단과 제3 중공관(530)의 선단 사이의 이격공간(S)으로 배출된다.
한편, 푸시봉(540)이 편심캠(42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봉(550) 역시 후방으로 가압되는바, 슬라이드봉(550)의 후단에 위치하는 개폐블록(552)은 그리스 유도관의 안쪽으로 인입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 유도관의 내부공간 개구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 중공관(520)의 후방으로 배출된 그리스는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데,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측벽과 제2 중공관(520)의 측벽에는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공(562) 및 배출유로(53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유관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그리스는 배출공(562) 및 배출유로(532)를 통해 배출브라켓(57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고 있던 개폐밸브(590)는 배출공(562) 및 배출유로(532)를 통해 유입되는 그리스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면서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배출브라켓(570)의 내부로 유입된 그리스는 그리스 공급관(430)을 통해 그리스 도포휠(700)로 제공된 후, 그리스 도포휠(700)의 그리스 인출공(710)을 통해 인출되면서 레일(R)의 좌우 측면에 도포된다.
한편,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은 입구측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봉(550)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블록(552)을 후단에 구비하며, 상기 그리스 도유관(56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슬라이드봉(55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블록(552)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블록스프링(554)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편심캠(420)이 더 공전하여 상기 편심캠(420)이 푸시봉(540)을 더 이상 가압하지 아니하게 되면, 상기 푸시봉(540)은 푸시스프링(544)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중공관(520)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개폐블록(552)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블록스프링(554)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밸브(500)는, 편심캠(420)이 푸시봉(540)을 1회 가압할 때마다 일정량의 그리스를 그리스 도포휠(700)로 공급하게 되는바,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압송장치 없이도 지속적으로 그리스를 그리스 도포휠(7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프레임(100)의 주행속도가 빨라지면 구름롤러(300)의 회전속도도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단위 시간 당 편심캠(420)이 푸시봉(540)을 가압하는 횟수도 증가하게 되는바, 단위 시간 당 그리스 도포휠(700)로 제공되는 그리스의 양 역시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몸체프레임(100)의 주행속도가 느려지면 단위 시간 당 그리스 도포휠(700)로 제공되는 그리스의 양 역시 감소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몸체프레임(100)의 주행속도 증감에 따라 그리스 도포휠(700)로 공급되는 그리스의 양이 증감되는바, 레일(R)의 좌우 측면의 그리스 도포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배출공(562) 및 배출유로(532)를 통해 배출브라켓(570) 내측으로 유입되는 그리스의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590)가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브라켓(570)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체결브라켓(580)과 상기 개폐밸브(59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밸브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590)의 개폐성능이 높아질 수 있도록, 상기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574)이 형성되고, 개폐밸브(590)의 외측면에는 오링(59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590)는,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도 7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브라켓(58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밸브샤프트(592)를 구비하는바,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밸브스프링은 상기 개폐밸브(590)가 상기 배출브라켓(570)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590)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장착되는바, 배출공(562) 및 배출유로(532)를 통해 배출브라켓(570) 내측으로 유입되는 그리스의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590)는 밸브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도 8은 그리스 도포휠(7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상기 회전링크(600)가 몸체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면, 상기 회전링크(600)에 결합된 그리스 도포휠(700) 역시 자전만 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레일(R)이 좌우방향으로 약간 휘거나 미세하게라도 레일(R)의 폭에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 그리스 도포휠(700)의 외주면이 레일(R)의 좌우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그리스 도포휠(700)의 외주면이 레일(R)에 접촉되지 못하면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가 도포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도유장치는 레일(R)이 좌우로 휘거나 폭 사이즈에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그리스 도포휠(700)이 레일(R)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리스 도포휠(700)의 외주면이 상기 레일(R)의 좌우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링크(600)에 회전탄성력을 인가하는 회전스프링(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일(R)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가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리스 도포휠(700)의 외주면에는 그리스 인출공(710)을 통해 인출되는 그리스를 레일(R)의 좌우 측면에 넓게 펴서 도포하는 다수 개의 도포패드(7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포패드(720)의 장착 높이가 일정하게 설정되면, 레일(R)의 좌우 측면 중 상기 도포패드(720)와 대응되는 부위만이 그리스가 도포되고 그 외의 부위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도포패드(720)는 이웃하는 다른 도포패드(720)와 장착 높이가 상이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링크(6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700)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판(120)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크(600)는 끝단이 상기 지지판(120)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되 돌출 거리가 조절 가능한 조절나사(6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120)과 조절나사(610)가 구비되면, 작업자는 조절나사(610)의 길이를 증감시킴으로써 회전링크(600)의 회전 가능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R : 레일 100 : 몸체프레임
110 : 수직레일 120 : 지지판
200 : 그리스 저장탱크 300 : 구름롤러
310 : 롤러브라켓 320 : 회전샤프트
400 : 그리스 분배기 410 : 하우징
412 : 공급노즐 420 : 편심캠
430 : 그리스 공급관 500 : 분배밸브
510 : 제1 중공관 520 : 제2 중공관
522 : 유입공 524 : 바이패스유로
530 : 제3 중공관 532 : 배출유로
540 : 푸시봉 542 : 와셔
544 : 푸시스프링 550 : 슬라이드봉
552 : 개폐블록 554 : 블록스프링
560 : 그리스 도유관 562 : 배출공
570 : 배출브라켓 580 : 체결브라켓
590 : 개폐밸브 600 : 회전링크
610 : 조절나사 700 : 그리스 도포휠
710 : 그리스 인출공 720 : 도포패드

Claims (8)

  1.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리스 저장탱크;
    상기 몸체프레임 주행 시 상기 레일의 상면을 타고 구르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름롤러;
    상기 그리스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그리스가 내부에 저장되며 상기 구름롤러의 회전샤프트 끝단이 내부로 인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샤프트 자전 시 공전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편심캠을 구비하는 그리스 분배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편심캠이 공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의 그리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한 쌍의 분배밸브;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링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분배밸브로부터 전달받은 그리스를 인출시키는 그리스 인출공이 외주면에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프레임 주행 시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을 타고 구르면서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그리스를 도포시키는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배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제1 중공관;
    선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후방측이 상기 제1 중공관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공이 측벽에 형성되고, 내벽 중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입구가 위치하고 후단에 출구가 위치하는 바이패스유로를 구비하는 제2 중공관;
    선단측이 상기 제1 중공관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후방측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제3 중공관;
    상기 제2 중공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중공관 내부에 삽입되되, 선단이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푸시봉;
    그리스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내부공간의 개구부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중공관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그리스 도유관;
    상기 제2 중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선단측이 상기 제2 중공관 내부에 삽입되며, 후방측이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봉;
    상기 제3 중공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그리스 도유관과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그리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브라켓;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
    상기 푸시봉의 선단측을 둘러싸는 와셔;
    상기 제1 중공관의 선단과 상기 와셔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푸시봉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푸시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은 입구측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봉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블록을 후단에 구비하며,
    상기 그리스 도유관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슬라이드봉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블록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블록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밸브는,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브라켓;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출브라켓의 내부공간 입구를 막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밸브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직레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구름롤러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롤러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도포휠의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링크에 회전탄성력을 인가하는 회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도포휠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그리스 인출공과, 상기 그리스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그리스를 상기 레일의 좌우 측면에 도포하는 다수 개의 도포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 개의 도포패드는 이웃하는 다른 도포패드와 장착 높이가 상이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은 한 쌍의 그리스 도포휠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크는 끝단이 상기 지지판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되 돌출 거리가 조절 가능한 조절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도유장치.
KR1020180070195A 2018-06-19 2018-06-19 레일 도유장치 KR10200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95A KR102000640B1 (ko) 2018-06-19 2018-06-19 레일 도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95A KR102000640B1 (ko) 2018-06-19 2018-06-19 레일 도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640B1 true KR102000640B1 (ko) 2019-10-21

Family

ID=6846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195A KR102000640B1 (ko) 2018-06-19 2018-06-19 레일 도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574A (zh) * 2021-04-19 2021-06-22 镇江港务集团有限公司 一种门机润滑用涂油器
CN115107823A (zh) * 2021-03-23 2022-09-27 中国航天科工飞航技术研究院(中国航天海鹰机电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超高速磁悬浮列车轨道的润滑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503A (ja) * 1999-09-17 2001-03-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車輪昇降機能をもつ脚装置
KR20040013649A (ko) * 2002-08-05 2004-02-14 박영일 천정 크레인 차륜이 접하는 레일 측면의 도유 장치
KR100888024B1 (ko) * 2007-11-29 2009-03-10 정세용 그리스 펌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KR101307412B1 (ko) 2012-02-17 2013-09-12 주식회사 승주이엔지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503A (ja) * 1999-09-17 2001-03-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車輪昇降機能をもつ脚装置
KR20040013649A (ko) * 2002-08-05 2004-02-14 박영일 천정 크레인 차륜이 접하는 레일 측면의 도유 장치
KR100888024B1 (ko) * 2007-11-29 2009-03-10 정세용 그리스 펌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KR101307412B1 (ko) 2012-02-17 2013-09-12 주식회사 승주이엔지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7823A (zh) * 2021-03-23 2022-09-27 中国航天科工飞航技术研究院(中国航天海鹰机电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超高速磁悬浮列车轨道的润滑系统及方法
CN115107823B (zh) * 2021-03-23 2023-08-15 中国航天科工飞航技术研究院(中国航天海鹰机电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超高速磁悬浮列车轨道的润滑系统及方法
CN113007574A (zh) * 2021-04-19 2021-06-22 镇江港务集团有限公司 一种门机润滑用涂油器
CN113007574B (zh) * 2021-04-19 2024-05-07 镇江港务集团有限公司 一种门机润滑用涂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640B1 (ko) 레일 도유장치
US5964414A (en) High pressure liquid rotary nozzle with viscous retarder
TW201309521A (zh) 用於將軌條頭潤濕或潤滑的裝置
KR101307412B1 (ko) 하역장비의 레일 도유장치
US2761167A (en) Paint applicator
US6821345B2 (en) Roller coater apparatus
WO2005069874A2 (en) Saw blade lubricating apparatus
US5671627A (en) Wire-drawing machine for dry-lubricated metal wire
CN104307896A (zh) 一种可移动的涂油辊装置
JP2005224773A (ja) ビード部用潤滑剤塗布装置
US4159046A (en) Chain lu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729307A (en) Lubricating system
US3601291A (en) Apparatus for applying a metered quantity of adhesive to closures
KR20070055467A (ko) 윤활제 도포장치
US2857019A (en) Apparatus for lubricating blooming mills
CN208495476U (zh) 管道弯折设备
JP5991292B2 (ja) 鋼帯への塗油装置及び塗油方法
US1628512A (en) Conveyer lubricator
RU27187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азки и чистки стальных канатов
US6521044B1 (en) Roller apparatus for applying lubricant to sheet metal stock
JPH0510387U (ja) ワイヤロープの塗油装置
CN208853108U (zh) 一种喷涂机构的行走装置
JPS6222248Y2 (ko)
CN108856401A (zh) 管道弯折设备
CN205278731U (zh) 一种板材涂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