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467A - 윤활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467A
KR20070055467A KR1020070045043A KR20070045043A KR20070055467A KR 20070055467 A KR20070055467 A KR 20070055467A KR 1020070045043 A KR1020070045043 A KR 1020070045043A KR 20070045043 A KR20070045043 A KR 20070045043A KR 20070055467 A KR20070055467 A KR 20070055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main body
discharge
applicato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형
Original Assignee
박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형 filed Critical 박우형
Priority to KR102007004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467A/ko
Publication of KR2007005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69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a pump in the hand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제를 배출함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고,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윤활제가 배출되더라도 윤활제가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상황에 따라 윤활제의 도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료와 비용의 절감 및 주변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윤활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제가 담기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본체 내의 윤활제를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윤활제가 배출되는 배출로; 및 배출로에 연결되는 도포부; 를 포함하되, 도포부에는 배출로로부터 윤활제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윤활제, 도포, 가압, 배출로, 분기, 배출구, 직경, 경사면

Description

윤활제 도포장치{LUBRICANT APPLY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윤활제 도포장치의 도포부를 확대한 확대도와 도포부 내의 배출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의 도포부를 확대한 확대도와 도포부 내의 배출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윤활제 도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가압수단
210: 손잡이부 212: 고정손잡이
214: 레버 216: 작동편
220: 펌프부 222: 작동바아
224: 가압판 230: 스프링
240: 안전핀 242: 안전핀스프링
300: 배출로 400: 도포부
410: 커버 420: 배출구
430: 경사면 440: 홈
본 발명은 윤활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제를 배출함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고,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윤활제가 배출되더라도 윤활제가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상황에 따라 윤활제의 도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료와 비용의 절감 및 주변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윤활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산업분야에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나 시스템 등이 설치되거나 이용되고 있으며, 이 같은 다양한 종류의 기계 또는 장치에는 이들의 원활한 구동 및 운동을 위해 부품 중 서로 맞닿는 부분에 윤활제, 예를 들어 그리스(Grease)가 도포된다.
이와 같은 그리스는, 통상적으로 윤활유에 금속비누 등의 증조제를 가하면 평상시의 온도에서는 풀 또는 젤과 같은 형태를 유지하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액체상태로 변환되어 도포된 부분의 윤활작용을 할 뿐 아니라 마모 및 마멸을 방지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그리스를 도포하는 경우 너무 많이 도포하거나 너무 적게 도포하는 등 적절한 도포량으로 도포하기가 어려워서 재료를 낭비하여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게다가, 그리스를 너무 많이 도포한 경우 그리스가 지면에 흘러 지면에 얼룩을 생기게 하는 등 주변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3-94025호 "윤활제 공급 장치"에서는 윤활제공급량을 가급적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윤활제 공급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많이 들며 운반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윤활제를 배출함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는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윤활제가 배출되더라도 윤활제 배출량이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작업상황에 따라 윤활제의 도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윤활제의 도포량이 적절하게 조절됨으로써 주변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내 부에 윤활제가 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윤활제를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윤활제가 배출되는 배출로; 및 상기 배출로에 연결되는 도포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에는 상기 배출로로부터 상기 윤활제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도포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로는 둘 이상으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부에는 상기 도포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상향되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포부의 끝단에 이르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윤활제 도포장치의 도포부를 확대한 확대도와 도 포부 내의 배출로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압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고, 기계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여러 가지 가압수단 중 하나의 예로써, 통상 실리콘 건이라고 칭하는 실리콘 배출장치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가압수단(200), 배출로(300) 및 도포부(4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별도의 윤활제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 예를 들어 그리스가 담기게 된다.
가압수단(200)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본체(100) 내에 담겨있는 윤활제를 가압하게 된다. 통상의 실리콘 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의 가압수단(200)은 크게 손잡이부(210)와 펌프부(220) 및 스프링(2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210)와 펌프부(220) 및 스프링(230)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손잡이부(210)는 크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정손잡이(212)와 고정손잡이(212)에 힌지 결합되어 동작되는 레버(214) 및 레버(214)의 상측에 위치되는 작동편(216)으로 구성된다.
펌프부(220)는 일부가 손잡이부(210)의 고정손잡이(212)와 작동편(216)을 관통하여 본체(100)의 내부에 이르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 게 마련되는 작동바아(222)와, 작동바아(222)의 한 쪽 말단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본체(100)의 내주면과 접하는 가압판(224)으로 구성된다.
이때, 손잡이부(210)의 일측과 작동편(216) 사이에는 스프링(230)이 배치되고, 작동바아(222)는 전술한 스프링(230)을 관통, 배치되어 작동바아(22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손잡이부(210)의 타측에는 작동바아(222)가 전진 동작된 후 원상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며,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핀(24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안전핀(240)은 일부가 손잡이부(2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일측이 작동바아(222)에 의해 관통되고, 안전핀(240)을 탄성지지하는 안전핀스프링(24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압수단(20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른 본체(100)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이미 공지된 여러 기술에서 차용 가능하므로 그 도시된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출로(300)는 본체(100)의 타측에 마련되며, 본체(100) 내에 담겨있는 윤활제가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도포부(400)가 커버(410)의 한쪽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커버(410)와 도포부(40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커버(410) 없이 도포부(400)만 본체(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포부(400)는 배출로(300)에 연결되고, 배출로(300)로 부터 윤활제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구(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포부(400)에는 도포부(400)의 하부면으로부터 본체(100)를 향해 상향되어 경사진 경사면(430)이 형성되는데, 제1 실시예에서는 배출구(420)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도포부(400)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작업상황 등에 따라 배출구(420)는 도포부(400)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구(420)의 양측에는 배출구(4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부(400)의 끝단에 이르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440)이 형성된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의 도포부를 확대한 확대도와 도포부 내의 배출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도포부(400)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배출로(300)가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배출로(300)로부터 윤활제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구(420)는 상호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윤활제 도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윤활제 도포장치의 일측에 마련된 도포부(400)를 분리한다. 이때, 도포부(400)가 커버(4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경우 커버(410) 또한 같이 분리한다.
그리고 펌프부(220)의 작동바아(222)를 사용자의 손 등을 이용하여 후진시킨 후 본체(100) 내에 별도의 윤활제공급부(미도시)로부터 일정량의 윤활제를 공급받고 도포부(400) 또는 커버(410)와 도포부(400)를 결합한다.
이후, 손잡이부(210)의 레버(214)를 고정손잡이(212)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작동바아(222)가 동작되면서 가압판(224)이 본체(10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본체(100) 내부에 담겨있는 윤활제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윤활제는 배출로(300)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로(300)에 결합되어 있는 도포부(400)에 전달되고, 결국 도포부(4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가압판(224)에 의해 윤활제에 가해지는 압력은 도포부(4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420)보다 중앙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420)에 더 강하게 가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도포부(400)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커지도록 배출구(420)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배출구(420)에서 윤활제의 양이 비슷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도포부(400)를 사용할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도포부(400)를 본체(100)에 결합하고, 레버(214)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압판(224)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윤활제가 배출로(300)를 통해 배출구(420)로 배출되게 되며, 이때 각각의 배출구(420)에서 배출되는 윤활제의 양이 비슷하도록 배출 로(300)의 어느 일단부에서 각각의 배출구로 향하는 배출로(300)가 분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구(420)를 통해 윤활제가 배출되면 손잡이부(210)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른 본체(100)의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도포할 수 있도록 본체(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이 진행되면서 배출된 윤활제 중 도포되지 않은 윤활제는 경사면(430)을 따라 홈(440)에 투입됨으로써 너무 많은 양의 윤활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면(430)은 사용자가 윤활제를 도포하고자 하는 곳에 더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그리고 작업 도중 윤활제가 적절한 양보다 더 많이 배출되거나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등의 경우 안전핀(240)을 동작시킴으로써 작동바아(222)의 동작을 멈추거나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도포장치에 의하면, 윤활제를 배출함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윤활제가 배출되더라도 윤활제 배출량이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상황에 따라 윤활제의 도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윤활제의 도포량이 적절하게 조절됨으로써 주변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윤활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제가 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윤활제를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윤활제가 배출되는 배출로; 및
    상기 배출로에 연결되는 도포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에는 상기 배출로로부터 상기 윤활제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도포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둘 이상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에는 상기 도포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상향되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에는 상기 도포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상향되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포부의 끝단에 이르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포부의 끝단에 이르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포부의 끝단에 이르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KR1020070045043A 2007-05-09 2007-05-09 윤활제 도포장치 KR20070055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43A KR20070055467A (ko) 2007-05-09 2007-05-09 윤활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43A KR20070055467A (ko) 2007-05-09 2007-05-09 윤활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467A true KR20070055467A (ko) 2007-05-30

Family

ID=3827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043A KR20070055467A (ko) 2007-05-09 2007-05-09 윤활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30Y1 (ko) * 2012-04-20 2013-02-04 안태철 실리콘 분사장치
WO2022098161A1 (ko) * 2020-11-06 2022-05-12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30Y1 (ko) * 2012-04-20 2013-02-04 안태철 실리콘 분사장치
WO2022098161A1 (ko) * 2020-11-06 2022-05-12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KR20220061610A (ko) * 2020-11-06 2022-05-13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3410A (en) Device for distributing hot-melt adhesive
US9126817B2 (en) Paint replenishing apparatus for cartridge and paint replenishing method thereof
US7132127B2 (en) Centrifugal applicator
US6439480B1 (en) Device for automatic spray application of paint
CN102971087A (zh) 手持式涂抹设备
KR20070055467A (ko) 윤활제 도포장치
TW200719978A (en) Discharge nozzle washing apparatus
JP2005528202A (ja) アプリケータ
US7823754B1 (en) Wax delivery system of a saw blade lubricating apparatus
KR102000640B1 (ko) 레일 도유장치
KR20140132107A (ko) 분사압력 조절형 스프레이건
US6305246B1 (en) Ratchet wrench head with lubrication port
CN111050922B (zh) 具有改进的扳机组件的无气喷枪
US11090748B2 (en) Device adapted to dosing pasty substances
GB2354465A (en) Roller-type liquid applicator
CN112672847A (zh) 抛光设备
CN207245109U (zh) 一种防水胶涂抹设备
TW201827194A (zh) 用於密封容器的密封機之頂出裝置的頂出頭
JP5425030B2 (ja) 接着剤の塗布装置
CA2299490A1 (en) Lubricant dispenser
CN207486410U (zh) 一种润滑油自动定量涂抹装置
US434866A (en) And the bell-rock electrical
JPH0510387U (ja) ワイヤロープの塗油装置
US20220055395A1 (en) Applicator for hazardous materials
US1972132A (en) Lubric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