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889B1 -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889B1
KR101997889B1 KR1020180041162A KR20180041162A KR101997889B1 KR 101997889 B1 KR101997889 B1 KR 101997889B1 KR 1020180041162 A KR1020180041162 A KR 1020180041162A KR 20180041162 A KR20180041162 A KR 20180041162A KR 101997889 B1 KR101997889 B1 KR 10199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body
light emitting
boss
prote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Priority to KR102018004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Abstract

도로표지병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분할하도록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 내부의 다수의 챔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원공급부;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호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호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측면에 투광부가 형성된 투광판넬; 투광판넬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투광부를 향하여 발광되도록 하는 다수의 발광체가 형성된 발광부재; 투광판넬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투광부 결합홈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시인성이 향상되고 램프 및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투광판넬과 보호판이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되되 별도의 패킹이 개재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결해질 수 있고, 조립과 분해 공정이 보다 간결해질 수 있었다.

Description

도로표지병{Road marker}
개시되는 내용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상에 형성된 노면표시선의 선형을 보완하여 야간 및 우천 시에 시인성을 증대시키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로표지병(road sign)이란 도로법 제3조 및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30조에 따른 도로부속물로서 야간이나 우천 시에 심각한 시인성(視認性) 저하가 뒤따르는 도료형 노면표시선의 선형을 보완하고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하게 유도하여 교통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시선유도시설을 지칭한다.
일반적인 도로표지병은 그 구동방식에 따라 반사형, 발광형으로 구분되고, 발광형은 또 다시 점멸식, 점등식, 전환식으로 세분화된다.
이 중에서 반사형 도로표지병은 자체발광 기능이 없어 자동차의 전조등을 반사시켜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등록제10-1564902호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제안하여 특허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특허 등록받은 내용 즉, 도로 표지병의 상하반전 여부에 따른 전원 공급 동작은 도로 표지병이 실제 매립되어 설치되기 전에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 소모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매립된 상태로 반영구적 계속 사용되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발광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램프를 교체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은 시인성이 향상되고 램프 및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분할하도록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 내부의 다수의 챔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원공급부;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호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호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측면과 상면에 투광부가 형성된 투광판넬; 투광판넬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투광부를 향하여 발광되도록 하는 다수의 발광체가 형성된 발광부재; 투광판넬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투광부 결합홈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도로표지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단 외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판은 가장자리에는 투광판넬의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턱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이 연속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선이 통공을 통해 상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는 배터리팩과, 발광부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피씨비 및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광판넬은 테두리에 끼움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투광부의 내측에 발광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발광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브라켓과 끼움부가 형성되고, 커버의 보스가 끼움결합되도록 보스결합홈이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는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보스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보스가 투광판넬의 보스결합홈에 결합되고, 보스의 하단이 보호판의 나사체결공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판의 나사체결공에 나사가 결합되어 보스의 나사홈에 체결되어 커버와 투광판넬, 보호판이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시인성이 향상되고 램프 및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투광판넬과 보호판이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되되 별도의 패킹이 개재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결해질 수 있고, 조립과 분해 공정이 보다 간결해질 수 있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상부에서 내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하부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하부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도로 상에 형성된 노면표시선의 선형을 보완하여 야간이나 우천시에 시인성을 증대시켜주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A)은,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분할하도록 다수의 격벽(23)이 형성되어 다수의 챔버(29)가 형성되는 본체(2); 본체(2) 내부의 다수의 챔버(29)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원공급부(3); 본체(2)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호판(4); 본체(2)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호판(4)의 상부에 결합되고, 측면과 상면에 투광부(52)가 형성된 투광판넬(5); 투광판넬(5)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투광부(52)를 향하여 발광되도록 하는 다수의 발광체가 형성된 발광부재(7); 투광판넬(5)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2)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며 투광부(52)에 대응하는 투광부 결합홈(62)이 형성된 커버(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금속소재를 다이캐스팅으로 주조 성형되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단 외측에 단턱부(22)가 형성되고, 단턱부(22)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체(2)의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단차부(24)가 형성되며, 단차부(24)에는 오링(244)이 삽입되는 오링홈(242)이 형성된다.
오링(244)은 보호판(4)을 결합시켰을때 밀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이나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는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팩(미도시)과, 발광부재(7)의 온-오프(on-0ff)를 제어하는 피씨비 및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환경이 어두운 상태일 때 조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피씨비에 온 작동신호를 줌으로서 발광부재(7)가 온 상태가 된다. 아울러 조도센서의 미세 제어에 의해 외부 환경의 조도에 비례하여 발광부재의 출력을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팩은 일회용 또는 충전식의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소진될 경우 보호판(4), 투광판넬(5), 커버(6)를 분리한 후 배터리팩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4)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투광판넬(5)의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턱(58)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42)이 연속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44)이 형성되어 전원공급부(3)의 전선이 통공(44)을 통해 상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나사체결공(46)이 형성된다.
상기 투광판넬(5)은 투광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투명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테두리에 끼움턱(5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측면과 상면에 형성되는 투광부(52)는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투광성능이 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며, 투광부 결합홈(62)에 삽입되며 거의 측면 길이의 전부에 이르도록 형성됨으로써 발광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투광부(52)의 내측에는 발광부재(7)가 삽입되도록 수용부(520)가 형성된다.
수용부(520)는 발광부재(7)를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브라켓(522)과 끼움부(524)가 형성된다. 브라켓(522)은 수용부(5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칸막이 형상이며 발광부재(7)를 끼울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다.
끼움부(524)는 발광부재의 일측을 끼울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발광부재(7)는 발광을 통해 노면표시선의 가시성을 증대시켜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 악천후시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해 발광체(72)로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가 형성된다.
일 예로 도로 외측의 노면표시선의 경우 백색 엘이디가 적용되고, 도로 중앙의 중앙선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황색 엘이디가 적용되며, 그외 다른 색상의 엘이디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엘이디를 적용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배터리팩()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투광판넬(5)에는 커버(6)의 보스(64)가 끼움결합되도록 보스결합홈(54)이 상부에 다수 형성된다.
보스결합홈(54)은 원통 형상이며 상하가 개구되어 있어 상부로는 보스(64)가 삽입될 수 있고, 하부로는 보호판(4)의 나사체결공(46)과 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투광판넬(5)의 모서리부위에는 커버(6)의 나사체결부(66)에 대응되도록 모따기 되어 호형으로 오목하게 요부가 형성된다 .
커버(6)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재질이며 다이캐스팅으로 주조 성형되는 것으로, 측면에 각기 투광부 결합홈(62)이 형성된다.
커버(6)의 내측에는 보스(64)가 다수 형성되며, 보스(64)의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6)의 보스(64)가 투광판넬(5)의 보스결합홈(54)에 결합되고, 보스(64)의 하단이 보호판(4)의 나사체결공(46)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판(4)의 나사체결공(46)에 나사(미도시)가 결합되어 보스(64)의 나사홈에 체결되어 커버(6)와 투광판넬(5), 보호판(4)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노면(300)에 매립공(320)을 형성한다.
이후 매립공에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A)의 본체(2)를 삽입하여 단턱부(22)가 노면에 걸쳐지도록 하여 시공된다.
따라서 노면 위로 노출되는 부위는 투광부(52)와 커버(6)만 노출되므로 차량 바퀴가 접촉하더라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노출 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투광부(52)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운전자를 향하도록 조사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투광판넬(5)의 끼움부(524)가 보호판(4)의 끼움홈(42)에 결합되어 기밀성을 갖도록 하면서 별도의 패킹이 개재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결해질 수 있고, 조립과 분해 공정이 보다 간결해질 수 있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3 : 전원공급부
4 : 보호판 5 : 투광판넬
6 : 커버 7 : 발광부재
22 : 단턱부 24 : 단차부
42 : 끼움홈 44 : 통공
52 : 투광부 64 : 보스
300 : 노면 320 : 매립공

Claims (8)

  1.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분할하도록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다수의 챔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호판;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호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측면과 상면에 투광부가 형성되며, 다수의 보스결합홈이 형성된 투광판넬;
    상기 투광판넬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투광부를 향하여 발광되도록 하는 다수의 발광체가 형성된 발광부재;
    상기 투광판넬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투광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보스가 다수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단 외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팩과, 발광부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피씨비 및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가장자리에는 투광판넬의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턱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이 연속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선이 통공을 통해 상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넬은
    테두리에 끼움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투광부의 내측에 발광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발광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브라켓과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보스가 끼움결합되도록 보스결합홈이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보스는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가 투광판넬의 보스결합홈에 결합되고, 보스의 하단이 보호판의 나사체결공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의 나사체결공에 나사가 결합되어 보스의 나사홈에 체결되어 커버와 투광판넬, 보호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KR1020180041162A 2018-04-09 2018-04-09 도로표지병 KR10199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62A KR101997889B1 (ko) 2018-04-09 2018-04-09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62A KR101997889B1 (ko) 2018-04-09 2018-04-09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889B1 true KR101997889B1 (ko) 2019-10-01

Family

ID=6820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62A KR101997889B1 (ko) 2018-04-09 2018-04-09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8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109B1 (ko) * 2019-11-26 2021-01-25 주식회사 해건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230046434A (ko) * 2021-09-30 2023-04-06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KR20230107055A (ko) * 2022-01-07 2023-07-14 윤종경 반사시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경계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553A (ko) * 1998-12-01 2000-07-05 김궁철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고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265876Y1 (ko) * 2001-10-29 2002-02-25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횡단 보도용 구조물
JP2007066540A (ja) * 2005-08-29 2007-03-15 Moriyama Sangyo Kk 面状照明装置
KR101564902B1 (ko) * 2014-03-24 2015-11-02 주식회사프라텍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754724B1 (ko) * 2016-11-01 2017-07-19 (주)엠파이브 태양광 도로표지병의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553A (ko) * 1998-12-01 2000-07-05 김궁철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고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265876Y1 (ko) * 2001-10-29 2002-02-25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횡단 보도용 구조물
JP2007066540A (ja) * 2005-08-29 2007-03-15 Moriyama Sangyo Kk 面状照明装置
KR101564902B1 (ko) * 2014-03-24 2015-11-02 주식회사프라텍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754724B1 (ko) * 2016-11-01 2017-07-19 (주)엠파이브 태양광 도로표지병의 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109B1 (ko) * 2019-11-26 2021-01-25 주식회사 해건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230046434A (ko) * 2021-09-30 2023-04-06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KR102597716B1 (ko) 2021-09-30 2023-11-03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KR20230107055A (ko) * 2022-01-07 2023-07-14 윤종경 반사시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경계석
KR102633984B1 (ko) * 2022-01-07 2024-02-05 윤종경 반사시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889B1 (ko) 도로표지병
KR102151551B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100699690B1 (ko) Led를 이용한 자동차의 조명장치
US7540640B2 (en) Illuminating warning lamp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4068B1 (ko) 차량용 헤드램프
US10876702B2 (en) Dual light sources having similar solor temperatures and different spectral characteristics
US20080105345A1 (en) Tire having an improved sidewall illumination system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JP3638899B2 (ja) 照明具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RU2012102058A (ru) Све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60088736A (ko)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35934Y1 (ko) 발광 램프가 장착된 스케이트 보드
KR102597716B1 (ko)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US6817742B2 (en)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color changing legs
KR20070035666A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KR20100115536A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20160108851A (ko)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102606006B1 (ko) 교체성을 향상시킨 도로 교통안전 표지판
JPH0937823A (ja) 傘用発光器
JP3152152U (ja) 照明付きバックミラー
KR200488934Y1 (ko) 차량용 안전 조명등
JP3129212U (ja) ナンバー灯